KR20100044073A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4073A
KR20100044073A KR1020090031925A KR20090031925A KR20100044073A KR 20100044073 A KR20100044073 A KR 20100044073A KR 1020090031925 A KR1020090031925 A KR 1020090031925A KR 20090031925 A KR20090031925 A KR 20090031925A KR 20100044073 A KR20100044073 A KR 2010004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e signal
image data
focus
low 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1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네키 타오카
Original Assignee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지털이미징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4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40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3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based on contrast or high frequency components of image signals, e.g. hill climbing metho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43Demosaicing, e.g. interpolating colour pixel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1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for transforming different wavelengths into image signals
    • H04N25/11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 H04N25/13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 H04N25/134Arrangement of colour filter arrays [CFA]; Filter mosaics characterised by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the filter elements based on three different wavelength filte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선명한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는,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서 합초정보를 산출하는 합초정보 산출부;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 및 상기 촬상화상의 영역 내에서 상기 저역통과필터에 의한 필터 처리를 제어하는 필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제어부는 상기 화상신호로부터 취득되는 촬상화상의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저역통과필터 특성을 다르게 조절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An image pickup apparatus}
본 발명은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있어서 보다 고화질의 화상을 촬영하기 위해 촬상소자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안 리플렉스(reflex) 타입의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는 35mm판의 풀 사이즈(24mm x 36mm)의 촬상소자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화질이 양호한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대형의 촬상소자를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는 대구경의 밝은 렌즈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어두운 곳에서의 촬영에 적합하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장치에 관하여, 예를 들면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포커스가 맞지 않는 부분의 화상 데이터를 컨볼루션 필터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일본특허공개 2007-181193호 공보
그러나, 대형의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는, 소형의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의 화상과 동일한 확대율을 얻고자 하면, 렌즈의 초점거리를 길게 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대형의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는 소형의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와 렌즈의 화각을 같게 하면 렌즈의 초점거리가 길어진다. 이 때문에, 대형의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에서는 촬영한 화상의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형의 촬상소자를 구비하는 촬상장치는 대구경의 밝은 렌즈를 장착할 수 있지만, 밝은 렌즈를 사용한 경우, 조리개를 개방으로 한 상태에서의 f 넘버가 작아지기 때문에, 역시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는 문제가 생긴다. 이 때, 조리개를 좁힘으로써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할 수는 있지만, 어두운 곳에서의 촬영 등에서 대구경의 밝은 렌즈의 장점을 살릴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선명한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 개량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서 합초정보를 산출하는 합초정보 산출부;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 및 상기 촬상화상의 영역 내에서 상기 저역통과필터에 의한 필터 처리를 제어하는 필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제어부는 상기 화상신호로부터 취득되는 촬상화상의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저역통과필터 특성을 다르게 조절하는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촬상화상의 영역 내에서 화상의 콘트라스트(contrast)가 제어되게 되고,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선명한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 제어부는, 상기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화상 중에서 포커스가 맞는 영역에서는 포커스가 맞지 않은 영역에 비해 상기 저역통과필터에 의한 고주파 제거 특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의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어 화상 중의 해상감이 높은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제어부는, 상기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화상 중에서 포커스가 맞지 않은 영역의 화상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저역통과필터에 의한 고주파 제거를 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의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향상되어 화상 중의 해상감이 높은 영역이 넓어지기 때문에,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상신호를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촬상화상 중에서 포커스가 맞지 않은 영역의 화상신호를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저역통과필터에 의한 고주파 제거를 하지 않고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만이 행해짐으 로써, 화상이 보다 선명하게 되고 피사계 심도를 보다 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서 합초정보를 산출하는 합초정보 산출부;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통과필터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를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하여 제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처리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하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처리부; 상기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웨이트를 결정하는 웨이트 결정부; 및 상기 웨이트에 따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선형 결합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 결정부는 상기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화상 중에서 포커스가 맞는 경우일수록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의 웨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웨이트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제1 화상 데이터와 제2 화상 데이터의 비율이 변화하기 때문에,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에서는 제2 화상 데이터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화상을 보다 선명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사계 심도를 보다 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선명한 화상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한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 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또는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촬상장치(100)는 카메라부(102), 카메라 처리부(104), 베이어 리사이즈(Bayer Resize)부(130), 베이어 보간부(108), JPEG 인코더(110), MPEG 인코더(112),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14),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16), LCD(118), 호스트 CPU(120), SDRAM 인터페이스(122), SDRAM(124)을 구비한다.
카메라부(102)는 렌즈 광학계(미도시), 촬상소자(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렌즈 광학계는 렌즈 군의 이동에 의해 초점거리를 가변 할 수 있는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촬상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센서로 구성된다.
카메라부(102)에서는, 렌즈 광학계에 의해 피사체상이 촬상소자의 촬상면에 결상되고, 촬상소자에 의해 화상신호가 취득된다. 촬상소자에서 취득된 화상신호는 베이어 패턴(Bayer Pattern)으로 출력된다. 카메라 처리부(104)에서는 베이어 데이터를 그대로 처리하여 합초정보의 검출, AE의 정보 취득, 누락된 데이터의 보정, 광학 렌즈의 셰이딩(shading) 등의 보정이 행해진다. 합초정보는, 예를 들면 HPF(High Pass Filter)에 의해 화상신호 중의 고주파 성분을 구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이 때문에, 카메라 처리부(102)는 HPF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합초정보는 위상차 센서 등으로 구할 수 있다.
도 2는 카메라 처리부(104)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카메라 처리 부(104)는 보정부(104a), AF 검파부(104b), 및 버스 인터페이스(Bus I/F)(104c)를 구비한다. 보정부(104a)는 입력된 베이어 데이터의 화상신호에 대해 상술한 누락 데이터의 보정 등 각종보정을 한다. AF 검파부(104b)는 보정된 화상신호로부터 합초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버스 인터페이스(Bus I/F)(104c)는 SDRAM 인터페이스(122)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이고, 베이어 데이터의 화상신호는 버스 인터페이스(104c)를 개재하여 SDRAM 인터페이스(122)로 보내진다.
촬상화상이 동영상인 경우, 카메라 처리부(102)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B의 경로에 의해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로 보내진다.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는 베이어 데이터의 상태로 LPF(Low Pass Filter)에 의한 방해파 제거 처리를 한다. 또한, 카메라 처리부(102)에서 취득된 합초정보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A의 경로에 의해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로 보내진다.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는 카메라 처리부(102)에서 취득된 합초정보와 LPF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를 하여, 예를 들면 하이비전(Hivision; 예를 들면, FHD, HD) 사이즈(1920 x 1080픽셀, 1280 x 720픽셀)로 해상도 변환을 한다.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베이어 보간부(108)에 입력된다. 베이어 보간부(108)에서는 베이어 데이터를 YCbCr형식의 데이터로 변환하고, SDRAM(124)에 축적한다. YCbCr형식의 데이터는 MPEG 인코더(112)에서 MPEG 압축부호화가 행해지고, 그 결과가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14)로 보내지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14)에 접속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촬상화상이 정지화상인 경우, 카메라 처리부(102)에서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베이어 데이터의 상태로 SDRAM 인터페이스(122)를 통하여 SDRAM(124)으로 보내지고 SDRAM(124)에 축적된다. SDRAM(126)에 저장된 베이어 데이터는 베이어 보간부(108)에 의해 YCbCr형식의 신호로 변환되고 SDRAM(124)에 저장된다. YCbCr형식의 데이터는 JPEG 인코더(110)에서 JPEG 부호화 데이터로 부호화되고, 그 결과가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14)로 보내지며,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14)에 접속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또한 베이어 보간부(108)에서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YCbCr형식의 신호로 변환하는 베이어 보간 처리 이외에 화이트 밸런스 처리, 잡음 제거, 휘도 및 색 보정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현상처리가 행해진다.
호스트 CPU(120)는 도 1에 나타내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LCD(118)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116)에 접속되고, SDRAM(126)에 저장된 촬상화상 등을 표시한다.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는 LPF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의 LPF는 주로 해상도 변환 시에 생기는 고주파의 방해파를 억제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처리부(104)에서 취득된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의 LPF의 특성을 가변하도록 하고 있다.
도 3은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는 탭 계수 연산부(필터 제어부)(132), 수평 LPF(134), 수평 보간 및 서브 샘플링부(136), 수직 LPF(138), 및 수직 보간 및 서브 샘플링부(140)를 구비한다.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에는, 카메라 처리부(104)에서 취득된 오토 포커스의 합초정보와 카메라 처리부(104)에 의해 베이어 데이터의 상태로 신호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합초정보는 탭 계수 연산부(132)에 입력되고, 화상 데이터는 수평 LPF에 입력된다.
탭 계수 연산부(132)는 합초정보에 따른 탭 계수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합초정보의 신호가 큰 진폭을 갖는 경우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높고 포커스가 맞는 부분이기 때문에, 탭 계수 연산부(132)는 LPF의 고역 제거 특성을 높이는 탭 계수를 출력한다. 한편, 합초정보의 신호의 진폭이 작은 경우는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낮고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에, 탭 계수 연산부(132)는 LPF의 고역 제거 특성이 낮은 탭 계수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합초정보에 따라 LPF에 의한 대역의 저하를 가변한다. 이에 의해, LPF에 의해 저주파 신호만을 통과시켜 낮은 해상도로 떨어뜨렸을 때에, 화상 중의 해상감이 높은 영역을 넓게 취할 수 있고, 외관 상의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은 원래 고주파 성분이 적기 때문에, LPF의 고역 제거 특성을 낮게 했어도, LPF에 의한 방해파 제거에 주는 영향은 적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LPF(134)는 복수의 플립 플롭(134a), 복수의 승산기(134b) 및 가산기(134c)를 구비한다. 탭 계수 연산부(132)에서 연산된 탭 계수는 수평 LPF(134)의 각 승산기(134c)로 보내지고, 각 플립 플롭(134a)의 출력에 승산된다. 수평 LPF(134)에서 수평방향의 고역성분이 제거된 화상 데이터는 수평 보간 및 서브 샘플링부(136)에서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가 행해진다. 수평 보간 및 샘플링부(136)의 출력은 수직 LPF(138)에 입력된다.
수직 LPF(138)는 복수의 라인 메모리(LM)(138a), 복수의 승산기(138b) 및 가산기(138c)를 구비한다. 탭 계수 연산부(132)에서 연산된 탭 계수는 수직 LPF(138)의 각 승산기(138b)로 보내지고, 각 LM(138a)의 출력에 승산된다. 수직 LPF(138)에서 수직방향의 고역성분이 제거된 화상 데이터는 수직 보간 및 서브 샘플링부(140)에서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에 의한 해상도 변환처리가 완료되고, 수직 보간 및 샘플링부(140)의 출력은 베이어 보간부(108)로 보내진다.
도 4는 수평 LPF(134), 수직 LPF(138)에서의 대역 제한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로서, 가로축은 화상 데이터의 주파수 대역을, 세로축은 LPF의 게인(gain)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4의 (A)에 나타내는 특성은 카메라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된 베이어 데이터 중에 포함되는 화상 데이터의 대역을 나타내고, 실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은 포커스가 맞는 영역을, 점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은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포커스가 맞는 영역에서는 촬상소자의 분해능 한계(Fs/2)의 근방까지 주파수 대역이 분포하지만, 포커스가 어긋나면 주파수 대역이 분포하는 범위가 감소하여 콘트라스트가 감소하고 해상감이 저하된다.
도 4의 (B) 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특성은 도 4의 (A)의 특성에 승산하는 필터 계수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B)에 실선 및 점선으로 나타내는 특성은, 도 4의 (A)의 특성에 대해 도 4의 (B) 중의 일점쇄선의 특성으로 필터링 처리를 하여 해상도 변환을 행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는, 필터링 처리에 의해 도 4 의 (A) 중의 주파수(Fs)를 도 4의 (B) 중의 Fs´에 상당하는 해상도로 해상도 변환하는 것으로 한다.
도 4의 (B) 중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특성은, 도 4의 (A) 중의 실선의 특성에 대해 도 4의 (B) 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필터 특성을 승산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B)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특성은, 도 4의 (A) 중의 점선의 특성에 대해 도 4의 (B) 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필터 특성을 승산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커스가 맞는 영역은 필터 특성 그대로 해상도가 떨어진다. 한편,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해상도의 저하가 일어나고, 전체적으로 피사계 심도의 인상은 변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는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포커스가 맞는 영역과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에서 다른 필터 특성으로 처리를 한다. 포커스가 맞는 영역(도 4의 (A) 중의 실선의 특성의 영역)에서는, 도 4의 (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필터 특성으로 필터 처리를 한다.
한편,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도 4의 (A) 중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영역)에서는, LPF에 의한 필터 처리를 하지 않거나 또는 대역을 너무 떨어뜨리지 않도록 해상도 변환을 한다. 이에 의해,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에서도 화상의 콘트라스트가 올라가 포커스가 맞는 영역에 가까운 날카로운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화상 전체적으로 피사계 심도가 깊은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 계수를 오토 포커스의 합초정보에 맞추어 영역마다 조정함으로써, 피사계 심도가 깊은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은 탭 계수 연산부(132)에서 연산된 탭 계수와 LPF의 진폭 특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여기서, 도 5는 포커스가 맞는 영역의 탭 계수의 예와 진폭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또한, 도 6은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의 탭 계수의 예와 진폭 특성을 나타내는 특성도이다. 여기서,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내는 7개의 탭 계수는 도 3에 나타내는 수평 LPF(134), 수직 LPF(138)의 각 승산기(134b, 138b)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포커스가 맞는 영역에서는, 도 5의 진폭 특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PF의 고역 제거 특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에서는, 도 6의 진폭 특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PF의 고역 제거 특성이 낮아진다. 따라서, 화상 중의 해상감이 높은 영역을 넓힐 수 있고,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할 수 있다.
또한,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는 에지 강조 필터를 걸침으로써, 화상의 에지를 더욱 강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에서는,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에 대해서도 LPF에 의한 처리를 하였다. 이에 대해, 도 7에 나타내는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는,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LPF를 통과시키지 않고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만을 행함으로써, 화상을 보다 선명하게 하고, 피사계 심도를 보다 깊게 하는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베이어 리사이즈부(130)는 LPF(142), 보간 및 서브 샘플링부(144, 146), 웨이트 연산부(필터 제어부)(147, 148), 승산부(150, 152), 및 가산부(154)를 구비한다.
도 7에서, LPF(142)는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의 쌍방을 하나로 모아 나타내고 있다. LPF(142)는,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예를 들면 도 4의 (B)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필터 특성을 승산하여 해상도 변환을 한다. LPF(142)의 출력은 보간 및 서브 샘플링부(144)에 입력되고,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가 행해진 후, 제1 화상 데이터로서 승산부(150)에 입력된다.
또한,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에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LPF(142)에 입력되지 않고 보간 및 서브 샘플링부(146)에 입력되고,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가 행해진 후, 제2 화상 데이터로서 승산부(152)에 입력된다.
제1 웨이트 연산부(147)에는 카메라 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된 합초정보가 입력된다. 제1 웨이트 연산부(147)는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웨이트 부여 계수(W)(1>W>0)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웨이트 부여 계수(W)는, 포커스가 맞는 경우는 1에 가까운 값이 되고, 포커스가 맞지 않는 경우일수록 0에 가까운 값이 된다. 웨이트 부여 계수(W)는 승산부(150)에 입력된다. 또한, 웨이트 부여 계수(W)는 제2 웨이트 연산부(148)에 입력된다. 제2 웨이트 연산부(148)는 1-W의 연산을 하고, 그 값은 승산부(152)에 입력된다.
승산부(150)는 LPF(142)로부터 출력되고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가 행해진 제1 화상 데이터에 대해 제1 웨이트 연산부(147)로부터 입력된 웨이트 부여 계 수(W)를 승산한다. 또한, 승산부(152)는 LPF(142)에 입력되지 않고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가 행해진 제2 화상 데이터에 대해 제2 웨이트 연산부(148)로부터 입력된 계수(1-W)를 승산한다. 그리고, 승산부 150과 승산부 152의 각각의 출력은 가산부(154)에 입력되어 가산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베이어 리사이즈부(130)의 구성에서는, 합초정보에 따른 웨이트 부여 계수(W)가 LPF(142)를 통과한 제1 화상 데이터에 승산되고, 계수(1-W)가 LPF(142)를 통과하지 않고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가 행해진 제2 화상 데이터에 승산된다. 그리고, 제1 화상 데이터 및 제2 화상 데이터의 비율은 합초정보에 따른 웨이트 부여 계수(W)에 의해 제어되고, 화상 데이터의 고주파 성분의 진폭이 커서 포커스가 맞는 경우일수록 제1 화상 데이터의 비율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화상데이터의 고주파 성분의 진폭이 작아 포커스가 맞지 않는 경우는 제2 화상 데이터의 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LPF를 통과시키지 않고 보간 처리 또는 축소 처리만이 행해지기 때문에, 포커스가 맞지 않는 영역의 화상을 보다 선명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피사계 심도를 보다 깊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당업자이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 예 또는 수정 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백하고,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카메라 처리부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베이어 리사이즈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수평 LPF, 수직 LPF에서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탭 계수 연산부에서 연산된 탭 계수와 LPF의 진폭 특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베이어 리사이즈부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촬상장치
130: 베이어 리사이즈부
132: 탭 계수 연산부
134: 수평 LPF
138: 수직 LPF

Claims (6)

  1.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서 합초정보를 산출하는 합초정보 산출부;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 및
    상기 촬상화상의 영역 내에서 상기 저역통과필터에 의한 필터 처리를 제어하는 필터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 제어부는 상기 화상신호로부터 취득되는 촬상화상의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저역통과필터 특성을 다르게 조절하는, 촬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제어부는, 상기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화상 중에서 포커스가 맞는 영역에서는 포커스가 맞지 않은 영역에 비해 상기 저역통과필터에 의한 고주파 제거 특성을 저하시키는, 촬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제어부는, 상기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화상 중에서 포커스가 맞지 않은 영역의 화상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저역통과필터에 의한 고주파 제거를 하지 않는, 촬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화상신호를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하는 처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촬상화상 중에서 포커스가 맞지 않은 영역의 화상신호를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하는, 촬상장치.
  5.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에서 합초정보를 산출하는 합초정보 산출부;
    상기 화상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저역통과필터로부터 출력된 화상신호를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하여 제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처리부;
    상기 촬상소자로부터 판독된 화상신호를 축소 처리 또는 보간 처리하는 제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처리부;
    상기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웨이트를 결정하는 웨이트 결정부; 및
    상기 웨이트에 따라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와 상기 제2 화상 데이터를 선형 결합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 결정부는 상기 합초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화상 중에서 포커스가 맞는 경우일수록 상기 제1 화상 데이터의 웨이트를 증가시키고 상기 제2 화상 데이터의 웨이트를 감소시키는, 촬상장치.
KR1020090031925A 2008-10-20 2009-04-13 촬상장치 KR201000440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69771A JP2010098663A (ja) 2008-10-20 2008-10-20 撮像装置
JPJP-P-2008-269771 2008-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4073A true KR20100044073A (ko) 2010-04-29

Family

ID=4210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1925A KR20100044073A (ko) 2008-10-20 2009-04-13 촬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97499A1 (ko)
JP (1) JP2010098663A (ko)
KR (1) KR201000440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30377A4 (en) * 2002-06-28 2006-05-10 Nokia Corp INFORMATION TERMINAL
JP6366374B2 (ja) * 2013-08-30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6070994A (ja) * 2014-09-26 2016-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
WO2017135276A1 (ja) * 2016-02-01 2017-08-10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2086B2 (ja) * 1999-10-28 2012-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と撮像装置
JP3760846B2 (ja) * 2001-11-22 2006-03-29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被写体抽出装置及び撮影装置
US7688364B2 (en) * 2004-12-10 2010-03-30 Ambarella, Inc. Decimating and cropping based zoom factor for a digital camera
JP2007166442A (ja) * 2005-12-16 2007-06-28 Hitachi Ltd 撮像装置
JP2007318280A (ja) * 2006-05-24 2007-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処理装置
WO2009022634A1 (en) * 2007-08-10 2009-02-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098663A (ja) 2010-04-30
US20100097499A1 (en) 201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3297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824586B2 (ja) 撮像装置
JP3974633B1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911305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region discrimination method
US8102445B2 (en) Solid-state image-capturing apparatus, camera, and method of processing signal
WO2013039061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記録媒体
JP2010239492A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信号のノイズ低減方法
JP4640068B2 (ja) 撮像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200919470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541205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46893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20080095084A (ko) 영상 잡음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00044073A (ko) 촬상장치
US20160284061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7336386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EP4002830A2 (en) Image pick up apparatus, image pick up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08236739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709423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6029464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24584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018860B2 (ja) 信号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6157344A (ja) 撮像装置
JP587159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3079313B (zh) 图像处理装置、图像拾取装置、图像处理方法及存储介质
JP2010239493A (ja) 撮像装置および映像信号の補正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