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857A -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857A
KR20100042857A KR1020080102049A KR20080102049A KR20100042857A KR 20100042857 A KR20100042857 A KR 20100042857A KR 1020080102049 A KR1020080102049 A KR 1020080102049A KR 20080102049 A KR20080102049 A KR 20080102049A KR 20100042857 A KR20100042857 A KR 20100042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accident
car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동
박세창
김재곤
김용준
황진우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2857A/ko
Publication of KR2010004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위의 자동차 또는 메인 사고 관리 서버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 자동차에 장착되어 충돌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감지 센서부 및 충돌 감지 센서부가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차량 추돌 감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자동차, 뺑소니, 추돌, 충돌, 인증, RF

Description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ccident Informat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차된 차량과 주행 중인 차량이 추돌한 경우 피해자 차량과 가해자 차량은 주행 중인 운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는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있어서 자동차는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일 예로, 우리나라에 등록된 차량 대수는 이미 2005년 2월을 기준으로 천오백만대를 넘어섰을 만큼 거의 모든 가구가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 급격한 차량 증가에 따라 교통사고가 발생건수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교통사고 후 목격자가 없을 경우에 처벌이 두려워 신고하지 않고 도주하는 뺑소니 교통사고가 사회 문제로 부각되었다.
대한민국통계청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이러한 뺑소니 교통사고는 1990년부터 2005년 사이에 연평균 15,000건 이상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한 사망자수는 매년 600명, 부상자수는 20,000명에 육박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뺑소니 피해로 인 한 심적인 고통과 더불어 사고로 인한 피해 보상을 받을 수 없는 이유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는 피해자와 그 가족들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중 주차되어 있는 차량과 충돌을 일으킨 후 도주하는 뺑소니 교통사고도 큰 문젯거리가 되고 있다. 주행 중 차량이 주차된 차량과 충돌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큰 인명 사고는 발생하지 않지만 주차된 차량이 심하게 파손되어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는 큰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다. 일반적으로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는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손해에 대한 배상을 받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주행 차량이 아무런 정보를 남기지 않고 도주한 경우, 주차된 차량의 소유주는 자신의 차량과 추돌한 주행 차량의 정보는 알기 어려우며 이러한 사고를 경찰소 등에 의뢰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주차된 자신의 차량과 추돌이 발생한 경우, 자신의 차량과 추돌한 차량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추돌 차량의 정보를 각 차량의 소유주에게 알려줄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RF ID를 이용하여 운전자를 인증하고, 추후 추돌 사고가 발생한 경우 추돌 가해 차량의 운전자 정보를 추돌 피해 차량으로 전송함으로써 주차 차량과 추돌한 차량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는 주위의 자동차 또는 메인 사고 관리 서버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어 충돌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감지 센서부 및 충돌 감지 센서부가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등록번호, 모델명, 자동차의 소유자 정보, 현재 자동차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고 관련 정보는, 사고가 발생한 부위, 사고가 발생한 시각, 사고가 발생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던 중 충돌을 감지한 경우, 웨이크-업(wake-up)한 후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슬립 모드로 복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다시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는 인접한 RF 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RF ID 리더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 센서부가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현재 운 전자 정보를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와 메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관련 정보 기록 시스템은 상기 자동차는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상기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며, 상기 메인 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자동차로부터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인증 요청 받은 경우, 상기 인증 요청된 정보에 따라 상대방 자동차에 접속하여 상기 자동차와 충돌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던 중 충돌을 감지한 경우, 웨이크-업(wake-up)한 후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차는,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슬립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차는,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다시 교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차는, 인접한 RF 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RF ID 리더기를 더 포함하고, 이를 통해 입력된 운전자 정보를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교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와 메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관련 정보 기록 방법은 제1 자동차는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충돌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자동차는 충돌이 발생한 제2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제2 자동차의 정보를 상기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단계; 및 상기 메인 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자동차로부터 인증 요청된 제2 자동차의 차량 정보에 따라 제2 자동차에 접속하고, 상기 제2 자동차에게 상기 제1 자동차와 충돌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 자동차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던 중 충돌을 감지한 경우, 웨이크-업(wake-up)한 후 제2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1 자동차는 제2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슬립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제2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자동차는 제2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다시 교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자동차는 인접한 RF 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정보를 읽어 들이는 단계를 더 수행하고, 이에 따라 입력된 현재 운전자 정보를 제1 자동차로 전송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Ad-Hoc 네트워킹을 이용하여 충돌이 발생하면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정보 의 확인을 위해서 피해 자동차는 자동차 충돌 관리 서버에 이를 통보하고, 자동차 충돌 관리 서버는 가해 자동차와 접촉하여 충돌 정보를 확인받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보다 신뢰성 있는 차량 추돌 감지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신뢰성 있는 차량 추돌 감지 장치를 통해 차량에 자동차 충돌이 발생하는 순간 충돌을 감지하는 두 차량은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이에 대한 인증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해당 정보는 추후 사고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결정적 판단자료로 되도록 하므로 뺑소니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은 자동차 A(10), 자동차 B(20),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 응용 웹 서버(40), 모바일 단말(50), 개인용 컴퓨터(60) 등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행 중인 자동차 B(20)가 주차된 자동차 A(10)에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자동차 A(10)는 주차되어 있으므로 자동차 A(10)가 피해자 차량이 되며, 자동차 B(20)가 가해자 차량이 된다.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는 오프 상태(Off State)의 피해자 자동차 A(10)는 웨이크 업(Wake-Up) 하여 자동차 B(20)와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 후 자동차 A(10)와 자동차 B(20)는 추돌 사고 관련 정보와 각 자동차의 소유자 및 주행 중인 자동차(B)의 현재 운전자 정보를 교환한다.
이 후 피해자 차량인 자동차 A(10)는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에 접속하여 자동차 B(20)와 교환한 정보, 즉 사고 관련 정보와 자동차 B의 소유자 정보, 자동차 B의 현재 운전자 정보 등을 전송한다.
피해자 차량인 자동차 A(10)로부터 추돌 관련 정보를 전달받은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수신한 정보 중에 포함되어 있는 자동차 B(20)의 정보(예를 들면,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차 B(20)로 연결한다. 연결 후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가해자 차량인 자동차 B(20)의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자동차 B의 확인이 완료된 후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사고 관련 정보들을 경찰기관 등을 포함하는 응용 웹 서버(40)로 전달한다. 또한, 응용 웹 서버(40)는 가해자의 모바일 단말(50)로 단문 메시지 등을 전송하거나 또는 개인용 컴퓨터(60)로 전자메일을 보내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사고 관련 정보들은 응용 웹 서버(40)를 통하여 경찰기관과 사용자, 특히 피해 자동차의 소유자에게 빠르게 전달되므로 사고의 피해 복구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추후 사고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사고에 따른 손해 배상 처리 등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 정보 기록 장치(70)는 크게 제어부(71), RF ID 리더기(72), 메모리부(73), 무선통신부(74), 충돌감지 센서부(75)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RF ID 리더기(72)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탑승한 후 운전자를 인증하기 위한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자동차의 운전자는 소정의 RF ID 태그(80)를 RF ID 리더기(72)에 접촉하거나 근접하게 위치시켜 운전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73)는 자동차의 차량번호와 인증된 자동차의 운전자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인증된 자동차 운전자 정보로는 인증 운전자의 이름, 운전면허번호, 연락처 정보 등이 있다. 또한, 사고 관련 정보는 사고가 발생한 시각, 사고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한 부위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무선통신부(74)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가해자인 자동차와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통신을 수행하거나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피해자 차량과 가해자 차량의 통신을 위해서 기지국인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없이 다수의 노드가 흩어져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노드들끼리 서로 통신을 하는 자율적인 구조의 무선 애드 혹(Ad-Hoc)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충돌감지 센서부(75)는 자동차에 장착되어 사고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사고를 감지하는 충돌감지 센서부(75)로는 다양한 다수의 센서(75a, 75b, 75c)들이 존재할 수 있다.
제어부(71)는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7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어부(71)는 RF ID 리더기(72)를 통하여 수신된 RF ID 태그(80)의 정보를 획득하여 운전자 인증을 수행한다.
만일 운전자 인증이 실패한다면 제어부(71)는 자동차 시동이 안 걸리게 하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운전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71)는 자동차 시동이 걸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RF ID 태그(80)와 매칭되는 운전자를 현재 운전자로 인식해 둔다.
또한, 제어부(71)는 현재 차량의 상태와 그 상태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에 따라 사고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동작 상태 및 발생 이벤트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동작 상태는 총 4개의 상태가 존재한다. 슬립 모드로 전력을 최소화하는 오프 상태(Off State)(S31), 자동차 열쇠가 삽입되어 있으며,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기 전 상태인 초기 상태(Init State)(S32),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져 자동차의 운전이 가능한 주행 상태(Driving State)(S33), 차량의 충 돌이 발생한 경우 진입하는 충돌 상태(Collision State)(S34)이다. 제어부(71)는 자동차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각각 다른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임의의 동작 상태에 존재하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71)는 각 이벤트에 대한 제어와 함께 자동차의 동작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 상태와 이벤트에 따른 제어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자.
먼저, 슬립 모드(Sleep Mode)로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고 있는 오프 상태(Off State)(S31)에서 제어부(71)는 자동차 키의 삽입 이벤트의 발생 여부 또는 자동차의 충돌 발생 여부를 체크한다.
오프 상태(S31)에서 사용자가 자동차 열쇠를 삽입(Key = 1)하게 되면 시스템은 초기 상태(Init Sate)(S32)로 진행하고, RF ID 리더기(72)를 통해 운전자의 RF ID 태그(80)로부터 운전자 정보를 입력받는다.
RF ID 태그(80)로부터 인증 가능한 운전자 정보가 입력되면(ID(license) = 1), 제어부(71)는 RF ID 태그(80)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예를 들면, 운전자 정보)을 메모리부(73) 등에 저장한다(Store Info 과정). 이 때 RF ID 태그(8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메모리부(73)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운전자의 ID, 운전자의 성명, 운전자의 운전면허번호, 운전자의 연락처 등이 존재한다.
운전자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어부(71)는 주행 상태(Driving State)(S32)로 진행하게 된다. 주행 상태(Driving State)(S32)에서 사용자는 자동차의 운전이 가능하다.
주행 상태(S32)에서 삽입되어 있는 자동차 키가 분리되는 등 주행 종료 이벤 트가 발생한 경우(key=0) 제어부(71)는 현재 운전자의 주행 정보를 기록하고(Store Info) 다시 오프 상태(Off state)로 복귀(S31)하게 된다.
만일 주행 상태(Driving State)(S33) 또는 오프 상태(Off State)(S31)에서 충돌 센서 등을 통하여 사고 발생이 감지된 경우(Csensor=1) 제어부(71)는 충돌 상태(Collision State)(S34)로 진입한다.
충돌 상태(collision state)(S34)로 진입한 경우, 제어부(71)는 자동차에 탑재된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충돌에 따른 피해 여부를 보고받는다. 또한, 충돌이 발생한 시각과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도 체크하여 저장할 수 있다. 가해자 차량이 뺑소니할 수 없도록 충돌 상태(collision state)에는 자동차의 주행을 일정 정도 제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후 충돌이 발생한 두 대의 자동차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루어 사고 관련 정보들의 데이터 송수신(Data Transaction)을 한다. 이 후 송수신된 정보를 검증하기 위하여 현재 주차되어 오프 상태로 존재하던 차량은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로 사고 관련 정보를 전달한다.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사고 관련 정보 중 가해자 차량의 정보를 체크한다. 그 후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사고 관련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가해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해자의 자동차에 접속을 하여 가해자 정보가 정확한지 체크한다. 이와 같이 피해자와 가해자의 정보가 성공적으로 확인된 후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인증 성공 메시지를 각 자동차에게 전달한다.
인증 성공을 확인(csensor=0)한 피해자 차량(key=0, csensor=1)은 충돌 상 태(Collision)(S34)에서 오프 상태(S31)로 복귀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한다. 한편, 인증 성공을 확인한 가해자 차량(key=1, csensor=1)도 충돌 상태(Collision State)(S34)에서 운전 상태(Driving State)(S33)로 복귀하게 되어, 차량의 주행을 계속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자동차 간 사고 정보 교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자동차는 사고 발생이 감지되는지 체크한다(S401). 사고 발생을 감지한 자동차들은 충돌 상태(Collision State)로 진입하여(S402) 아래의 동작을 수행한다. 도 1과 마찬가지로 사고가 발생한 자동차 중 피해자 차량을 A, 가해자 차량을 B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고 발생을 감지한 각각의 자동차 A, B는 사고 당시의 사고 부위(CP : Collision Part)와 사고 시간(Collision Time)을 체크하여 저장해둔다(S403). 그 후 자동차 A, B는 사고 관련 정보, 자동차 정보 등을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S404).
S404의 무선 네트워크의 형성 후 자동차 A, B는 자동차 등록번호, 자동차의 브랜드와 모델명, 자동차의 현재 운전자, 자동차의 소유자 정보, 사고 부위 정보, 사고 시간 정보, 연락처 정보 등을 상대방과 교환한다(S405).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인증 방법을 나타낸 도 면이다.
도 4의 S405 과정에 따라 자동차 A, B가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한 후 피해자 차량인 자동차 A는 가해자 차량의 정보가 맞는지 체크하기 위하여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에 접속한다(S501). 물론 피해자 차량이 아닌 가해자 차량이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에 접속하는 방법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다.
자동차 A는 자신의 자동차 등록번호와 모델명을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로 전달한다(S502).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자동차 등록번호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 메뉴를 안내해주고 사고 관련 정보의 입력을 대기한다.
자동차 A는 자동차 B와 충돌이 발생하였음을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에 등록한다(S503). 특히 자동차 A는 자동차 B의 자동차 등록번호(본 실시예에서는 BB로 표기), 모델명(본 실시예에서는 YY로 표기), 자동차 B의 소유자, 충돌이 발생하여 피해를 입은 부위 및 사고 발생 시각 등 관련 정보를 알려주게 된다.
이러한 사고 관련 정보와 가해자 차량의 정보를 전달받은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자동차 A로부터 전달받은 가해자 차량번호와 모델명에 따른 연락처로 접속을 시도하고 사고 관련 정보의 인증을 수행한다(S504). 만일 자동차 B가 전달한 정보가 정확하다면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정확히 자동차 B에 접속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접속된 자동차의 자동차 등록번호가 BB이고 모델명이 YY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 자동차 소유주, 인증된 운전자 정보 등을 더 확인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접 속된 자동차에게 자동차 A와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자동차 B가 자동차 A에게 넘긴 정보가 정확하다면 이 단계에서 자동차 B는 자동차 A와 충돌사고를 일으켰음을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로 알려주게 되어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성공적으로 충돌 관련 정보의 인증이 이루어지면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자동차 A, B에게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S506). 두 대의 자동차 A, B는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통보받은 경우 충돌 상태를 해지하고 이 전 상태로 복귀한다(S507). 바람직하게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 또는 응용 웹 서버(40)를 통해 피해자 차량 소유자에게 단문 메시지 또는 이메일을 전송할 수도 있다(S508).
만일 S505 단계에서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메인 사고 관리 서버(30)는 피해자 자동차에게 사고 관련 정보의 인증 실패를 통지한다(S509). 이 때 피해자 자동차인 A는 가해자 자동차인 B와 사고 관련 정보 등을 재교환할 수 있다(S510).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기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동작 상태 및 발생 이벤트에 따른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자동차 간 사고 정보 교환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 정보 인증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자동차 A (주차 차량) 20 : 자동차 B (주행 차량)
30 : 메인 사고 관리 서버 40 : 응용 웹 서버
50 : 모바일 단말 60 : 개인용 컴퓨터
70 : 사고 정보 기록 장치 71 : 제어부
72 : RF ID 리더기 73 : 메모리부
74 : 무선 통신부 75 : 충돌감지 센서부
80 : RF ID 태그

Claims (20)

  1.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에 있어서,
    주위의 자동차 또는 메인 사고 관리 서버와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어 충돌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충돌 감지 센서부; 및
    상기 충돌 감지 센서부가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정보는,
    차량의 등록번호, 모델명, 자동차의 소유자 정보, 현재 자동차의 운전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 관련 정보는,
    사고가 발생한 부위, 사고가 발생한 시각, 사고가 발생한 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차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던 중 충돌을 감지한 경우, 웨이크-업(wake-up)한 후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슬립 모드로 복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다시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인접한 RF 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RF ID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돌 감지 센서부가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현재 운전자 정보를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장치.
  9.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와 메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관련 정보 기록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상기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며,
    상기 메인 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자동차로부터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인증 요청 받은 경우, 상기 인증 요청된 정보에 따라 상대방 자동차에 접속하여 상기 자동차와 충돌했는지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슬립 모드로 동작하던 중 충돌을 감지한 경우, 웨이크-업(wake-up)한 후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슬립 모드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상기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대방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다시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
  13. 제8항 내지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인접한 RF 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RF ID 리더기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현재 운전자 정보를 충돌이 발생한 상대방 자동차와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시스템.
  15. 적어도 하나의 자동차와 메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관련 정보 기록 방법에 있어서,
    제1 자동차는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센서를 통해 충돌의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 자동차는 충돌이 발생한 제2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제2 자동차의 정보를 상기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단계; 및
    상기 메인 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자동차로부터 인증 요청된 제2 자동차의 차량 정보에 따라 제2 자동차에 접속하고, 상기 제2 자동차에게 상기 제1 자동차와 충돌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차가 슬립 모드로 동작하던 중 충돌을 감지한 경우, 웨이크-업(wake-up)한 후 상기 제2 자동차의 정보를 메인 사고 관리 서버에 인증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차는 상기 제2 상대방 자동차의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슬립 모드로 복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동차 정보의 인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자동차는 상기 제2 자동차와 차량의 정보 및 사고 관련 정보를 다시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방법.
  19. 제14항 내지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동차는 인접한 RF ID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운전자 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동차는 충돌의 발생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2 자동차로부터 상기 운전자 정보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고 정보 기록 방법.
KR1020080102049A 2008-10-17 2008-10-17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0428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49A KR20100042857A (ko) 2008-10-17 2008-10-17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049A KR20100042857A (ko) 2008-10-17 2008-10-17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857A true KR20100042857A (ko) 2010-04-27

Family

ID=4221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049A KR20100042857A (ko) 2008-10-17 2008-10-17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285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635B1 (ko) * 2010-06-10 2012-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사고정보 교환장치 및 방법
KR20130089512A (ko) * 2012-02-02 2013-08-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용 자기진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고정보 처리방법과 기록매체
WO2013126067A1 (en) * 2012-02-24 2013-08-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 L.P. Near-field communication and impact sensor
WO2020251168A1 (ko) * 2019-06-10 2020-12-17 주식회사 디젠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635B1 (ko) * 2010-06-10 2012-01-2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의 사고정보 교환장치 및 방법
KR20130089512A (ko) * 2012-02-02 2013-08-12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용 자기진단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고정보 처리방법과 기록매체
WO2013126067A1 (en) * 2012-02-24 2013-08-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 L.P. Near-field communication and impact sensor
CN104137433A (zh) * 2012-02-24 2014-11-05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近场通信及碰撞传感器
GB2514048A (en) * 2012-02-24 2014-11-12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Near-field communication and impact sensor
US9294155B2 (en) 2012-02-24 2016-03-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ear-field communication and impact sensor
CN104137433B (zh) * 2012-02-24 2016-08-1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近场通信及碰撞传感器
GB2514048B (en) * 2012-02-24 2020-06-17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Near-field communication and impact sensor
WO2020251168A1 (ko) * 2019-06-10 2020-12-17 주식회사 디젠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1241A (ko) * 2019-06-10 2020-12-18 주식회사 디젠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사고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08451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リング方法
KR101871272B1 (ko) 충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1914B1 (ko) 자동차 충돌사고 알림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012337A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リング用プログラム
EP2549452A1 (en) Location-based tracking
JP4957640B2 (ja) 車載装置及び制御装置
CN106043222A (zh) 无人驾驶车辆防盗系统
TW201343438A (zh) 用於車輛中資訊交換之資訊處理系統、方法、裝置、電腦可讀取媒體及電腦可讀取程式
KR20100042857A (ko) 자동차 사고 정보 기록 장치 및 그 방법
EP1740419B1 (en) Antitheft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antitheft system
JP2008258740A (ja) 車載用監視記録システム、映像蓄積装置、鍵保管装置、および車載用監視レコーダ
US8068017B2 (en) Crime-prevention system
JP4893161B2 (ja) 警報システム
JP4006988B2 (ja) 照合装置及び照合方法、並びに、携帯される端末
JP3825273B2 (ja) 車輌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車輌およびセキュリティセンタ
JP4529811B2 (ja) 遠隔操作装置
JP4161816B2 (ja) 盗難検知システム、その盗難検知システムに利用可能な盗難検知装置、盗難判定装置、および盗難検知方法
US20180033218A1 (en) Remotely connected car internet of things key
KR100886686B1 (ko) 도난차량 정밀 위치추적 및 회수를 위한 차량단말과 이를위한 기록매체
JP4706321B2 (ja) 特定の機能を要求するコマンドを無線受信したことに基づいて、その機能を実行する無線受信装置、および、この無線受信装置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4120608B2 (ja)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4510604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
JP2002197575A (ja) 車両盗難予防方法、車両盗難予防装置、並びにそれに用いる送受信装置、通信装置及び管理装置
KR100767310B1 (ko) 개체 상호간의 데이터 교환 방법 및 장치
CN201566589U (zh) 汽车防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