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2566A -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2566A
KR20100042566A KR1020080101777A KR20080101777A KR20100042566A KR 20100042566 A KR20100042566 A KR 20100042566A KR 1020080101777 A KR1020080101777 A KR 1020080101777A KR 20080101777 A KR20080101777 A KR 20080101777A KR 20100042566 A KR20100042566 A KR 2010004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
mouse
unit
electrode
meas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2827B1 (ko
Inventor
윤형로
서광석
남기태
전석환
정인철
노연식
고준섭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1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8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4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03Dispensers or holders for protecting covers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06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specially shaped apparatus housings
    • A61B2560/0425Ergonomically shaped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4Constructional details of apparatus
    • A61B2560/0431Portable apparatus, e.g. comprising a handle or c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pidem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Dermat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한 심전도, 혈압을 측정하며, 사용하기 간편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의 일측에 장착된 링형 측정부에서 커프압 및 산소포화도에 의해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의 손바닥 접촉부에 위치된 심전도 전극 및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밑면에 위치된 가슴 심전도 전극을 통해 정확한 심전도를 측정하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의 손바닥 접촉부에 위치된 체임피던스 전극을 통해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구(半球)형으로 이루어지며 손바닥을 거치(据置)하도록 이루어진 손바닥 거치부를 구비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거치부(100) 상의 일측에 위치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 및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 를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 링형 측정부는, 내측에 삽입된 손가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커프를 구비하며, 상기 커프에 공기를 가압한 후, 커프에서의 압력 변화로 부터 혈압신호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커프압력 측정부; 내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여, 산소포화도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바닥 거치부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장착되어지는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의 일측에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을 가슴부위에 위치(부착)시킴에 의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 손바닥 거치부(100)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체임피던스 전극이 장착되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신호, 마우스, 심전도, 혈압, 체임피던스, 혈압, 산소포화도, 전극

Description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Bio-signal measurement device of mouse type}
본 발명은 보다 정확한 심전도, 혈압을 측정하며, 사용하기 간편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의 일측에 장착된 링형 측정부에서 커프압 및 산소포화도에 의해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의 손바닥 접촉부에 위치된 심전도 전극 및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밑면에 위치된 가슴 심전도 전극을 통해 정확한 심전도를 측정하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의 손바닥 접촉부에 위치된 체임피던스 전극을 통해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 노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건강진단을 위해서는 심전도, 체임피던스, 혈압, 산소포화도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필요로 하며, 또한 편리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 하다. 그러나 종래의 생체신호 측정장비는 이들 생체신호들을 개별적으로 측정하며 전문가에 의해 다루어지도록 이루어진 장비들이 대부분이다.
즉, 일반적으로 생체신호를 측정할 때 각 생체신호에 따른 장치들을 개별적 으로 필요로 하며, 생체신호인 심전도, 체임피던스, 혈압, 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해서는 심전도 측정을 위한 심전도 측정장치, 체임피던스 측정을 위한 체임피던스 측정장치, 혈압 측정을 위한 혈압측정장치, 산소포화도 측정을 위한 산소포화도 측정장치를 필요로 한다. 각각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한 측정장치를 개별적으로 모두 사용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여러 장치들을 관리 하는데도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생체신호인 심전도, 체임피던스, 혈압, 산소포화도를 하나의 장치에 의해서 측정이 가능한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생체신호인 심전도, 체임피던스, 혈압, 산소포화도를 하나의 장치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그리고 보다 편리하게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컴퓨터용 마우스와 같은 모양을 이루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정확한 심전도 및 체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며, 조작이 간편한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링형 측정부에서 커프압에 의한 혈압 및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며, 손바닥 심전도 전극 및 가슴 심전도 전극을 통해 심전도를 측정하며,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을 통해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는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구(半球)형으로 이루어지며 손바닥을 거치(据置)하도록 이루어진 손바닥 거치부를 구비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거치부(100) 상의 일측에 위치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형 측정부는 내측에 삽입된 손가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커프를 구비하며, 상기 커프에 공기를 가압하면서, 커프에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커프압력 측정부; 내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여, 산소포화도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반구(半球)형으로 이루어지며 손바닥을 거치(据置)하도록 이루어진 손바닥 거치부를 구비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손바닥 거치부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장착되어지는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의 일측에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을 가슴부위에 위치(부착)시킴에 의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 손바닥 거치부(100)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체임피던스 전극이 장착되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슴 심전도 전극부는 V-LEAD법을 사용하여 심전도를 측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와 상기 가슴 심전도 전극부는 페어(쌍)를 이루어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바닥 거치부(100) 상의 일측에 위치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바닥 거치부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장착되어지는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의 일측에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을 가슴부위에 위치(부착)시킴에 의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 손바닥 거치부(100)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체임피던스 전극이 장착되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板)모양을 이루며, 상기 링형 측정부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는 손가락 이탈방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링형 측정부에 삽입된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들이 상기 손바닥 거치부와 상기 손가락 이탈방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바닥 거치부에서 링형 측정부 앞에 위치되어 있는 홈으로, 링형 측정부에 손가락을 삽입시 안정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손가락 삽입 시작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또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는 손바닥의 노궁혈 또 는 소부(少府)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와 가슴 심전도 전극부는 염화은으로 이루어진 평면판 전극으로, 전극면이 볼록하게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형 측정부의 일측에, 엄지가 접촉되는 부위에, 시작 및 종료 스위치를 포함하는 키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에 위치되며,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외무로 전송하는 전원 및 신호선들과, 상기 링형 측정부의 커프에 공기압을 가하기 위한 공기관을 포함하는 케이블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 그리고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 상부 프레임;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의 일측에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 하부 프레임;로 이루어진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자석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밑면을 이루는 거치대 결합부; 자석부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대 결합부가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상부 프레임은 손바닥 거치부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 에 체임피던스 전극이 장착되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케이블부가 삽입되는 구멍인 케이블 통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의 외부 일측 부분에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손을 접촉시켜 심전도 또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손잡이용 전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물의 분사여부를 설정하는 조작부를 일측에 구비한 비데에 있어서,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를 포함하며, 밑면에는 자석부가 내장되어 있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기 조작부 일측에 위치되며, 자석부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데의 변좌 시트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변좌 시트부의 좌우 양측에 접지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형 측정부는 커프에 가압을 시작하고, 커프가 가압되는 동안, 커프압 력 측정부로부터의 압력신호와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로부터의 산소포화도(PPG) 신호를 획득하며, 커프 가압 동안 획득된 산소포화도(PPG) 신호에 피크(Peak)와 벨리(Valley)를 구하고 진폭을 구하며, 구하여진 진폭값과 압력신호에 10 포인트(Point) 보간법을 적용한 후, 최대 진폭의 위치를 평균혈압으로 하며,최대 진폭이 발생한 위치를 기준으로, 평균 혈압 이후에 최대 진폭의 60%를 발생한 위치에서의 압력신호의 값을 수축기 혈압으로 하고, 평균 혈압 이전에서 최대 진폭의 50%를 발생한 위치에서의 압력신호의 값을 이완기 혈압으로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컴퓨터용 마우스와 같은 모양을 이루어 사용하기에 편리하며,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링형 측정부에서 커프압에 의한 혈압 및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며, 손바닥 심전도 전극 및 가슴 심전도 전극을 통해 심전도를 측정하며,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을 통해 체임피던스를 측정하여 동시에 다중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며, 보다 정확한 심전도를 측정하고,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며, 동시에 체임피던스 및 산소포화도도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마우스 형태의 모양을 이루어 손이 안정적으로 올려지고, 접촉하는 손과 팔목으로 부터 사용자의 생체신호인 심전도, 체임피던스, 혈압,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고, 필요시 생체신호 측정장치 하단에 위치한 가슴 심전도 전극부에 의해 V-LEAD법을 사용하여 심전도를 측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인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의해 생체신호인 심전도, 체임피던스, 혈압, 산소포화도의 측정이 가능하여 일반인들도 손쉽게 생체신호를 측정가능하고, 개별적인 측정장치가 각각 필요하지 않고 통합되어 있어 효율적이다.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마우스 모양을 이루어 손이 안정적으로 올려짐과 동시에 손가락 이탈방지부와 검지 삽입부에 의해 하단에 위치한 가슴 심전도 전극부에 의한 가슴 부분의 심전도 측정 시 손 쉽게 장치를 다룰 수 있다.
또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하단의 케이블부가 움직일 수 있는 케이블 통로부를 포함한 받침부에 얹어져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좀 더 안정적으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보관/사용 할 수 있으며, 비데등에 받침부를 적용하면, 변좌 사용시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유비쿼터스 건강관리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8는 도 1의 뒷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링형 측정부 케이스(140) 등을 포함하는 다수 의 생체신호 측정부가 장착되는 몸체 상부(15)와,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 전원을 공급하며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10)에서 측정된 신호를 전송하는 등의 전원 및 신호선 들의 케이블부(60) 등이 장착되는 몸체 하부(50)로 이루어진다.
몸체 상부(15)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상부 전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컴퓨터의 마우스 모양의 동그란 반구형태를 이루며 손이 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몸체 상부(15)는 손바닥 거치부(100), 손가락 삽입 시작홈(110),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 링형 측정부(200), 엄지 접촉부(300), 손가락 이탈방지부(400)를 포함한다.
손바닥 거치부(100)는 손바닥이 안정적이고 편안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마우스 모양의 동그란 반구형태를 이루어 손바닥 및 팔목이 거치되어 접촉되는 수단이다. 손바닥 거치부(100)의 위에는 링형 측정부(200),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 등을 구비하고 있다.
손가락 삽입 시작홈(110)은 반구형태의 손바닥 거치부(100)에서 링형 측정부(200) 바로 앞에 위치되어, 링형 측정부(200)에 손가락을 삽입시 안정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홈이다. 즉, 손가락 삽입 시작홈(110)이 없다면, 반구형태의 손바닥 거치부(100) 위에 있는 링형 측정부(200)에 손가락을 삽입할 때, 삽입된 손가락이 꺽겨지게 되어, 상당히 불편한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손가락 삽입 시작홈(110)이 구비된 것이다.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는 손바닥 거치부(100)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장착되어지는 심전도 전극이다.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는 염화은 으로 이루어진 평면판 전극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극 부착면이 볼록하게 융기되어 있어 손바닥 부위가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는 손바닥의 노궁혈 또는 소부(少府)혈에 위치될 수 있다.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는 하나의 심전도 전극으로 질 수 있으며, 또는 2개의 심전도 전극으로 이루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는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과 페어(쌍)를 이루어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와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는 좌우쪽 증 서로 다른쪽에 위치될 수 있다.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는 손바닥 거치부(100)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장착되어지는 체임피던스 전극이다.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는 염화은으로 이루어진 평면판 전극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극 부착면이 볼록하게 융기되어 있어 손바닥이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는 손바닥의 노궁혈 또는 소부(少府)혈에 위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와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는 하나의 전극부로 이루어져, 심전도 또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하게 할 수 있다.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는 2개 이상의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는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와 페어(쌍)를 이루어 체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링형 측정부(200)는 원통형 관 모양, 즉, 링모양을 이루며, 손바닥 거치부(100) 상의 일측에 위치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삽입된 손가락에 서 혈압 및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수단이다. 링형 측정부(200)에 삽입되는 손가락은 검지일 수 있다. 링형 측정부(200)는 삽입된 손가락이 위에서 아래로 가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경사를 이루고 있다. 링형 측정부(200) 안쪽으로 커프압력 측정부(미도시), 산소포화도(PPG) 측정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커프압력 측정부(미도시)는 링형 측정부(200) 내부에, 손가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U"자 모양의 커프가 있어서, 커프압력 측정부(미도시)가 작동을 시작하면 커프에 공기를 가압하면서, 커프에서의 압력 변화를 출력한다. 커프압력 측정부 내에 위치되는 손가락 부분은 손가락(검지)의 끝부분에서 부터의 3번째 마디일 수 있으며, 커프의 재질은 고무재질을 사용 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미도시)는 링형 측정부(200) 내부에 발광부(미도시)와 수광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링형 측정부(200)에 삽입된 손가락에 광을 출사시키고, 손가락으로 부터 방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산소포화도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는 손가락(검지)의 끝부분에서 부터의 3번째 마디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는 발광다이오드, 광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링형 측정부(200)에서 커프압력 측정부(미도시)와 산소포화도(PPG) 측정센서부(미도시)을 이용하여 혈압을 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손가락 커프 내부에 혈류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PPG 센서를 이용하여 오실레이션 파형 획득하고, 손가락 커프의 압력을 상승시키면서 PPG 신호의 변동을 측정한다.
획득된 PPG 신호의 피크(peak)와 벨리(valley)를 검출하고 진폭을 계산한다.
압력이 상승되는 동안의 계산된 진폭을 피크(peak)가 발생한 지점에 위치시킨다.
계산된 진폭들 사이에 10포인트(point) 보간법을 적용하여 가상의 위치들을 만든다.
최대 진폭의 위치를 평균혈압으로 결정한다.
최대 진폭이 발생한 위치를 기준으로, 평균 혈압 이후에 최대 진폭의 60%를 발생한 위치에서의 수축기 혈압으로 하고, 평균 혈압 이전에서 최대 진폭의 50%를 이완기 혈압으로서 구한다.
엄지 접촉부(300)는 몸체 상부(15)에 위치되어, 링형 측정부(200)에 손가락, 예를들어 검지를 삽입하였을 경우 엄지가 접촉되는 면을, 엄지처럼 둥굴려서, 엄지가 거치되기 편하도록 한 부분이다. 엄지 접촉부(300)에 키입력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엄지 접촉부(300)는 링형 측정부(200)의 일측에 위치되어 질 수 있다.
키입력부(310)는 몸체 상부(15)에 위치되어, 생체신호 측정장치(10)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시작하게 하거나, 종료시키는 시작 및 종료 스위치 등을 구비한다. 키입력부(310)는 엄지 접촉부(300)의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손가락 이탈방지부(400)는 판모양을 이루며, 링형 측정부(200)의 일측 상부에 위치된다. 손가락 이탈방지부(400)는, 링형 측정부(200)에 삽입된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들이 손바닥 거치부(100)와 판모양의 손가락 이탈방지부(4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링형 측정부(200)에서 산소포화도 측정센 서부가 측정시마다 손가락의 일정 부분에 위치되게 하며, 또한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와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에 대해서도 측정시마다 손바닥의 일정 부분에 위치하게 하고, 이들 위치들이 측정 중에 움직임등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지 않게 한다.
예를들어, 링형 측정부(200)에 검지가 삽입된 경우, 중지, 약지, 애지가 손바닥 거치부(100)와 판모양의 손가락 이탈방지부(4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손가락 이탈방지부(400)는 중지, 약지, 애지의 윗부분과 접촉된다. 따라서 손가락 이탈방지부(400)는 링형 측정부(200)의 일측 윗부분에 위치되어 중지, 약지, 애지의 윗부분과 접촉 가능한 크기로 판 모양을 이룬다. 즉, 손이 손바닥 거치부(100)에 거치되어 검지는 링형 측정부(200)에 삽입되고, 엄지는 엄지 접촉부(300)와 접촉하며, 나머지 중지, 약지, 애지가 몸체 상부(15)에 거치 된 후,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가슴부위까지 들어올릴 때 편하게 들어 올리면서 손의 이탈을 막기 위한 커버의 역할을 한다.
몸체 하부(5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밑면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하단 부분으로, 몸체 상부(15)와 결합하여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이룬다. 몸체 하부(50)는 거치대 결합부(500),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 케이블부(60)를 포함한다.
거치대 결합부(500)는 몸체 하부(50)의 밑면으로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에 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거치대 결합부(50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관리/보관 할 수 있고, 필요시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로 부터 이탈 시켜 사용할 수 있다. 즉, 몸체 하부(50)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로 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거치대 결합부(500)의 내부에 자석부(530)를 포함하고 있어,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의 자석부와 결합하여, 거치대 결합부(50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거치대 결합부(500) 상에는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 케이블부(60)가 구비된다.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는 몸체 하부(50)의 일측, 즉 거치대 결합부(500)의 일측에 위치되며, 사용자가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를 가슴에 같다됨으로서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는 왼쪽 가슴 부분에 V-LEAD 법을 이용하여 심전도를 측정 할 수 있다.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는 염화은으로 이루어진 평면판 전극을 사용하며 전극 부착면이 볼록하게 융기되어 있어 가슴 부위가 접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의 사용시, 생체신호 측정장치(10)에 손을 거치한 후 왼쪽 가슴 쪽으로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를 같다붙여, 왼쪽 가슴에서 심전도의 흉부유도를 한다.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에 의해 V-LEAD법을 사용하여 심전도를 측정 가능하다.
케이블부(60)는 몸체 하부(50), 즉 거치대 결합부(500)에 위치되며, 생체신호 측정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생체신호 측정장치(10)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전원 및 신호선들(610)과 링형 측정부(200)의 혈압 측정을 위한 커프에 공기압을 가하기 위한 공기관(620)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서 심전도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을 위한 접지 전극은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가 결합된 외부 장치에 들 수 있다. 예를들어,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를변좌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변기의 변좌에 오른쪽과 왼쪽에 접지 전극을 장착하여 심전도 등의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몸체 상부(15)는 몸체 상부 프레임(16)에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 링형 측정부(200), 손가락 이탈방지부(400), 키입력부(310)가 장착된다.
몸체 상부 프레임(16)은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가 장착되기 위해 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 결합부(122),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가 장착되기 위해 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 결합부(132), 링형 측정부(200)를 삽입, 장착되기 위한 링형 측정부 케이스(140), 손가락 이탈방지부(400)를 링형 측정부 케이스(140)의 일측에 장착하기위한 손가락 이탈방지 결합부(402), 키입력부(310)를 장착하기위한 키입력부 장착부(310)를 구비한다.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는 그 밑면에 돌기형 결합부를 구비하여, 몸체 상부 프레임(16) 상의 손바닥이 닿는 부위에 위치된 손바닥 심전도 전극 결합부(122) 내의 홈에 삽입, 고정된다.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는 그 밑면에 돌기형 결합부를 구비하여, 몸체 상부 프레임(16) 상의 손바닥이 닿는 부위에 위치된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 결합부(132) 내의 홈에 삽입, 고정된다.
링형 측정부(200)는 링형 측정부 케이스(140) 내, 안쪽으로 삽입, 고정된다.
키입력부(310)는 키입력부 장착부(310)에 장착된다.
손가락 이탈방지부(400)는 그 일단에 홈을 구비하여, 손가락 이탈방지 결합부(402)의 돌기에 삽입. 고정된다.
몸체 하부(50)는 몸체 하부 프레임(51)에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 자석부(530), 키입력 회로부(540), 케이블 연결부(550), 케이블(60)가 장착된다.
몸체 하부 프레임(51)은 그 밑면이 거치대 결합부(500)를 이루며, 거치대 결합부(500) 상에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를 결합, 장착하기위한 가슴 심전도 전극 결합부(512), 자석부(530)를 장착하기위한 자석장착부(532), 케이블부(60)을 삽입 장착하기위한 케이블공(560), 링형 측정부 케이스(140)와 결합하여 고정시키기위한 링형 측정부 케이스 고정부(520)을 구비한다.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는 그 밑면에 돌기형 결합부를 구비하여, 몸체 하부 프레임(51)의 밑면에, 즉 거치대 결합부(500) 상에 위치된 가슴 심전도 전극 결합부(512) 내의 홈에 삽입, 고정된다.
링형 측정부 케이스 고정부(520)는 몸체 상부 프레임(16)과 몸체 하부 프레임(51)이 결합함에 의해, 링형 측정부 케이스(140)와 결합되어, 링형 측정부 케이스(140)내에 삽입된 링형 측정부(200)를 고정시킨다.
자석부(530)는 거치대 결합부(500)에 장착되어,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의 자석부와 결합하여, 거치대 결합부(50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게 한다. 자석부(530)는 한개 이상을 구비할 수 있다.
키입력 회로부(540)는 몸체 하부(50) 내부에 위치되어 키입력부(310)가 눌려 져 작동 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되어진다.
케이블 연결부(550)는, 케이블부(60)이 케이블 고정공(560)를 통해 몸체 하부(50) 내부에 위치된 후 각 케이블부(60)를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 링형 측정부(200),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 키입력 회로부(540)에 연결되게 하는 연결부로서, 이렇게 함에 의해, 심전도, 혈압, 체임피던스, 산소포화도 신호를 측정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거치대의 일 예이고, 도 12는 도 11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거치대의 좌측면도이다.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7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때 거치하는 거치대로서, 생체신호 측정장치 결합부(700), 케이블 통로부(710), 심전도 전극 접촉부(720), 손잡이용 전극부(730)을 포함한다.
생체신호 측정장치 결합부(70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거치대 결합부(500)가 접촉하여 결합되는 부분으로, 내부에 자석을 포함하고 있어 거치대 결합부(500) 내부의 자석부(530)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생체신호 측정장치 결합부(700)에서 이탈 시킬 수 있다.
케이블 통로부(71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70)에서 결합을 해지하고 이탈 시 케이블부(60)가 움직일 수 있는 구멍으로, 케이블부(60)가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만큼의 크기를 갖는다. 이때의 케이블부(60)의 길이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왼쪽 가슴에 접촉시켜 가슴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만큼의 길이를 최소한으로 하고, 길이는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심전도 전극 접촉부(720)은 생체신호 측정장치(10)의 하단의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가 접촉되는 부분으로,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가 하단면에서 볼록하게 융기된 점을 감안하여 하단의 거치대 결합부(50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 결합부(700)에 평면적으로 잘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가 볼록하게 융기된 높이와 같거나 그 보다 좀 더 많이 파인 홈이다.
손잡이용 전극부(73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70)의 외부 일측 부분에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모양의 전극부로서, 손잡이용 전극부(730)에 손을 접촉시켜 심전도 또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만약,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손잡이용 전극부(730)를 잡음으로써 심전도 및 체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변좌에 설치한 일예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탈 시켰을 때의 모습의 예이다.
도 13과 도 14에서와 같이,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70)에 생체신호 측정장치(10)가 평소에는 생체신호 측정장치 결합부(700)와 결합되어 있다가,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들어 올려 이탈 시킬 경우 케이블 통로부(710)를 통해 케이블부(60)가 움직여 생체신호 측정장치(10)가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70)로 부터 이탈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해준다.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70)를 비데에 적용한 것은 변좌에 앉아서 사용자가 필요시 생체신호 측정장치(10)를 사용하여 생체신 호를 측정 할 수 있게끔 한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채용한 생체신호 측정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기위한 블럭도로서, 생체신호 측정시스템은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10), 시스템부(80), 디스플레이부(90)를 포함한다.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10)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 링형 측정부(200),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를 포함한다.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는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여, 손바닥으로 부터 심전도를 검출하여, 전처리(증폭 및 잡음 제거 등)를 거쳐, 시스템부(80)의 심전도 연산처리 모듈부(820)로 송신한다.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는 체임피던스 전극을 구비하여, 손바닥으로 부터 체임피던스를 검출하여, 전처리를 거쳐, 시스템부(80)의 체임피던스 연산처리 모듈부(830)로 송신한다.
링형 측정부(200)는 커프압력 측정부(210),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220)를 포함한다.
커프압력 측정부(210)는 손가락을 감싸는 커프에 공기를 가압하면서, 커프에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 후, 시스템부(80)의 혈압 연산처리 모듈부(840)로 송신한다.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220)는 링형 측정부(200) 내부에 손가락 부위에 위치된 발광부(미도시) 및 수광부(미도시)를 통해 산소포화도(PPG)를 검출하여 검출된 신호를 시스템부(80)의 산소포화도 연산처리 모듈부(850)로 송신한다.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는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여, 가습부위로 부터 심전도를 검출하여, 전처리를 거쳐, 시스템부(80)의 심전도 연산처리 모듈부(820)로 송신한다.
시스템부(80)는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 부터 측정 신호을를 수신하여, 연산처리하며,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부(90), 메모리부(91)로 출력한다.
연산처리 모듈부(810)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10)로부터 검출된 생체신호들을 전처리를 거쳐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들을 연산처리하여 제어부(870)로 송신한다. 연산처리 모듈부(810)는, 심전도 연산처리 모듈부(820), 체지방 연산처리 모듈부(830), 혈압 연산처리 모듈부(840), 산소포화도 연산처리 모듈부(850)를 포함한다.
심전도 연산처리 모듈부(820)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120) 및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로 부터 전처리를 거쳐 수신된 심전도 신호에서 RR간격 등 다양한 심전도 관련 파라미터를 검출하여, 제어부(870)로 전송한다.
체지방 연산처리 모듈부(830)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130)로 부터 전처리를 거쳐 수신된 체임피던스 신호에서 체지방량 등 다양한 체지방 관련 파라미터를 검출하여, 제어부(870)로 전송한다.
혈압 연산처리 모듈부(840)는 커프압력 혈압 측정부(210)로 부터 전처리를 거쳐 수신된 혈압 신호에서 확장기 혈압, 수축기 혈압 등 다양한 혈압 관련 파라미터를 검출하여, 제어부(870)로 전송한다.
혈압 연산처리 모듈부(840)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통해 파라미터들을 구한 다.
제1단계로, 커프에 가압을 시작하고, 커프가 가압되는 동안, 커프압력 측정부(210)로부터의 압력신호와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220)로부터의 산소포화도(PPG) 신호를 획득한다.
제2단계로, 압력 신호는 압력 센서의 특성을 반영하여 mmHg 단위로 변환시킨다.
제3단계로, 압력 신호가 40mmHg가 되는 지점의 초기 PPG 신호를 획득하고, 가압에 따라 압력 신호는 증가하며, PPG 신호는 초기 증가 후 감소하는 특성을 보인다.
제4단계로, 커프 가압 동안 획득된 PPG 신호에 피크(Peak)와 벨리(Valley)를 찾고 진폭을 구한다.
제5단계로, 진폭값과 압력신호에 10 Point 보간법을 적용한다.
제6단계로, 최대 진폭의 인덱스(Index) 이후 최대 진폭의 60%가 발생한 인덱스(Index)값에 해당하는 압력 신호 값을 수축기 혈압으로 결정한다.
제7단계로, 보간법을 적용한 PPG 신호의 최대 진폭이 나타난 인덱스(Index)값에 해당하는 압력 신호의 값을 평균 혈압으로 결정한다.
제8단계로, 이완기 혈압은 평균 혈압을 결정짓는 PPG 신호의 최대 진폭값에 50%가 되는 지점을 최대 진폭이 나타나기 이전 부분에서 찾고 이 지점의 Index값에 해당하는 압력 신호의 값으로 결정한다.
제9단계로, 심박수는 말초 혈류 신호의 최대값 전후 5개의 간격을 검출하여 시간으로 나누어 산출한다.
제어부(870)는 연산처리 모듈부(810)로 부터 수신된 신호를 디스플레이부(90), 메모리부(91)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870)는 연산처리 모듈부(810)로 부터 수신된 신호로부터 복합 파라미터를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부(90), 메모리부(91)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90)는 제어부(870)로 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90)는 사용자가 인식하기 편한 주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과 소형의 무선 통신기능을 포함하는 임베디드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90)는 화면상에 생체신호 측정값을 숫자 및 도형, 글자 등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메모리부(90)는 제어부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저장한다.
도 16 내지 도 18은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6에서와 같이, 검지가 삽입된 링형 측정부(200)의 일측에 손가락 이탈방지부(400)를 구비하며, 손가락 이탈방지부(400) 밑에 중지와 약지 등이 위치된다.
도 17에서와 같이, 엄지 접촉부(300)에 키입력부(310)를 구비하여 생체신호 측정장치(10)에서 생체신호 측정을 시작하게 하거나, 종료시키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과 같이,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에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를 구비하여, 가슴 심전도 전극부(510)를 가슴에 접촉시켜 가슴부위에서 심전도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8는 도 1의 뒷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저면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거치대의 일 예이다.
도 12는 도 11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거치대의 좌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변좌에 설치한 일예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이탈 시켰을 때의 모습의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를 채용한 생체신호 측정시스템의 구성의 일예를 설명하기위한 블럭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 15: 몸체 상부
16: 몸체 상부 프레임 50: 몸체 하부
51:몸체 사부 프레임 60: 케이블부
80: 시스템부 90: 디스플레이부
91: 메모리부 100: 손바닥 거치부
110: 손가락 삽입 시작홈 120: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122: 손바닥 심전도 전극 결합부 130: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
132: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 결합부 140: 링형 측정부 케이스
200: 링형 측정부 210: 커프 압력 측정부
220: 산소포화도 측정 센서부 300: 엄지 접촉부
310: 키입력부 400: 손가락 이탈방지부
402: 손가락 이탈방지 결합부 500: 거치대 결합부
510: 가슴 심전도 전극부 512: 가슴 심전도 전극 결합부
520: 링형 측정부 케이스 고정부 530: 자석부
532: 자석장치부 540: 키입력 회로부
550: 케이블 연결부 560: 케이블 고정공
610: 전원 및 신호선 620: 공기관
700: 생체신호 측정장치 결합부 710: 케이블 통로부
720: 심전도 전극 접촉부 730: 손잡이용 전극부
810: 연산처리 모듈부 820: 심전도 연산처리 모듈부
830: 체지방 연산처리 모듈부 840: 혈압 연산처리 모듈부
870: 제어부

Claims (20)

  1. 반구(半球)형으로 이루어지며 손바닥을 거치(据置)하도록 이루어진 손바닥 거치부를 구비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거치부(100) 상의 일측에 위치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
    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측정부는
    내측에 삽입된 손가락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커프를 구비하며, 상기 커프에 공기를 가압하면서, 커프에서의 압력 변화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커프압력 측정부;
    내측에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여, 산소포화도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3. 반구(半球)형으로 이루어지며 손바닥을 거치(据置)하도록 이루어진 손바닥 거치부를 구비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손바닥 거치부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장착되어지는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의 일측에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을 가슴부위에 위치(부착)시킴에 의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
    손바닥 거치부(100)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체임피던스 전극이 장착되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
    를 적어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 심전도 전극부는 V-LEAD법을 사용하여 심전도를 측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와 상기 가슴 심전도 전극부는 페어(쌍)를 이루어 심전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거치부(100) 상의 일측에 위치되며,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고,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손바닥 거치부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장착되어지는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의 일측에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을 가슴부위에 위치(부착)시킴에 의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
    손바닥 거치부(100)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체임피던스 전극이 장착되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板)모양을 이루며, 상기 링형 측정부의 일측 상부에 위치되는 손가락 이탈방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링형 측정부에 삽입된 손가락 및 엄지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들이 상기 손바닥 거치부와 상기 손가락 이탈방지부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 거치부에서 링형 측정부 앞에 위치되어 있는 홈으로, 링형 측정부에 손가락을 삽입시 안정적으로 삽입되게 하는 손가락 삽입 시작홈을 더 구비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또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는 손바닥의 노궁혈 또는 소부(少府)혈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와 가슴 심전도 전극부는 염화은으로 이루어진 평면판 전극으로, 전극면이 볼록하게 융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측정부의 일측에, 엄지가 접촉되는 부위에, 시작 및 종료 스위치를 포함하는 키입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에 위치되며,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에서 측정된 생체신호를 외무로 전송하는 전원 및 신호선들과, 상기 링형 측정부의 커프에 공기압을 가하기 위한 공기관을 포함하는 케이블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 정장치.
  14.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 그리고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 상부 프레임;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의 일측에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몸체 하부 프레임;
    로 이루어진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에 있어서,
    자석부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프레임의 밑면을 이루는 거치대 결합부;
    자석부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 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대 결합부가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부 프레임은 손바닥 거치부 상에 위치되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체임피던스 전극이 장착되는 손바닥 체임피던스 전극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케이블부가 삽입되는 구멍인 케이블 통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의 외부 일측 부분에 손을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손을 접촉시켜 심전도 또는 체임피던스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손잡이용 전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18. 물의 분사여부를 설정하는 조작부를 일측에 구비한 비데에 있어서,
    손가락이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삽입된 손가락에서 혈압을 측정하는 링형 측정부;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 심전도 전극을 구비하는 손바닥 심전도 전극부; 심전도 전극이 구비되어 가슴 심전도를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가슴 심전도 전극부;를 포함하며, 밑면에는 자석부가 내장되어 있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상기 조작부 일측에 위치되며, 자석부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의 밑면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가 장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생체신호 측정장치 거치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19. 제18항에 있어서,
    비데의 변좌 시트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변좌 시트부의 좌우 양측에 접지 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20. 제2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측정부는
    커프에 가압을 시작하고, 커프가 가압되는 동안, 커프압력 측정부로부터의 압력신호와 산소포화도 측정센서부로부터의 산소포화도(PPG) 신호를 획득하며,
    커프 가압 동안 획득된 산소포화도(PPG) 신호에 피크(Peak)와 벨리(Valley)를 구하고 진폭을 구하며, 구하여진 진폭값과 압력신호에 10 포인트(Point) 보간법을 적용한 후, 최대 진폭의 위치를 평균혈압으로 하며,
    최대 진폭이 발생한 위치를 기준으로, 평균 혈압 이후에 최대 진폭의 60%를 발생한 위치에서의 압력신호의 값을 수축기 혈압으로 하고, 평균 혈압 이전에서 최대 진폭의 50%를 발생한 위치에서의 압력신호의 값을 이완기 혈압으로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형 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20080101777A 2008-10-16 2008-10-16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 KR10104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777A KR101042827B1 (ko) 2008-10-16 2008-10-16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777A KR101042827B1 (ko) 2008-10-16 2008-10-16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2566A true KR20100042566A (ko) 2010-04-26
KR101042827B1 KR101042827B1 (ko) 2011-06-20

Family

ID=4221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777A KR101042827B1 (ko) 2008-10-16 2008-10-16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82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782B1 (ko) * 2010-03-31 2012-06-12 (주)휴먼드림 건강상태측정이 가능한 마우스
WO2012128407A1 (ko) * 2011-03-24 2012-09-27 (주)누가의료기 다중 생체 신호 측정을 이용하여 손목혈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WO2013141419A1 (ko) * 2012-03-21 2013-09-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손을 이용한 혈관 및 심폐기능 평가를 위한 생체 계측 시스템
WO2017143366A1 (de) * 2016-02-22 2017-08-31 Cnsystems Medizintechnik Ag Verfahren und messsystem zur kontinuierlichen bestimmung des intra-arteriellen blutdruckes
WO2019067568A1 (en) * 2017-09-29 2019-04-04 Fitbit, Inc. DIGITAL SENSOR OF TENSIOMETER
KR20200061019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레드서브마린 생체신호측정장치
KR20200085093A (ko) * 2019-01-04 2020-07-14 주식회사 포에스텍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공공복지를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EP3763286A4 (en) * 2018-03-29 2021-08-04 Hangzhou Megasens Technologies Co., Ltd. ELECTRODE MULTIPLEXED PHYSIOLOGICAL PARAMETER MONITORING FINGER RING
US11510580B2 (en) 2019-07-24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e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412A (ko) 2014-09-05 2016-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19084549A1 (en) * 2017-10-27 2019-05-02 Simple Health Labs, Inc. PORTABLE CARDIAC MONITORING DEVICE
US11540734B2 (en) * 2018-08-27 2023-01-03 Verily Life Sciences Llc Apparatus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a heart performance metric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656A (ja) 1998-07-07 2000-01-18 Musashi Denshi Kk リラックス状態測定装置
KR20020065962A (ko) * 2001-02-08 2002-08-14 이철수 건강진단센서를 지니는 마우스
KR20030093440A (ko) * 2002-06-03 2003-12-11 박승환 건강진단용 생체신호 검출 마우스와 이를 이용한건강진단장치 및 건강진단 방법
US7066890B1 (en) 2005-08-31 2006-06-27 Lam Phillip L Combined computer mouse and blood pressure sphygmomanometer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782B1 (ko) * 2010-03-31 2012-06-12 (주)휴먼드림 건강상태측정이 가능한 마우스
WO2012128407A1 (ko) * 2011-03-24 2012-09-27 (주)누가의료기 다중 생체 신호 측정을 이용하여 손목혈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WO2013141419A1 (ko) * 2012-03-21 2013-09-2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손을 이용한 혈관 및 심폐기능 평가를 위한 생체 계측 시스템
KR101402134B1 (ko) * 2012-03-21 2014-06-11 주식회사 누가의료기 양손을 이용한 혈관 및 심폐기능 평가를 위한 생체 계측 시스템
WO2017143366A1 (de) * 2016-02-22 2017-08-31 Cnsystems Medizintechnik Ag Verfahren und messsystem zur kontinuierlichen bestimmung des intra-arteriellen blutdruckes
US11426087B2 (en) 2016-02-22 2022-08-30 Cnsystems Medizintechnik Ag Method and measuring system for continuously determining the intra-arterial blood pressure
US11026592B2 (en) 2017-09-29 2021-06-08 Fitbit, Inc. Finger blood pressure cuff
US10874308B2 (en) 2017-09-29 2020-12-29 Fitbi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obtaining pulse information from blood pressure measurements
US11382522B2 (en) 2017-09-29 2022-07-12 Fitbit, Inc. Position detection of blood pressure device
WO2019067568A1 (en) * 2017-09-29 2019-04-04 Fitbit, Inc. DIGITAL SENSOR OF TENSIOMETER
US11553848B2 (en) 2017-09-29 2023-01-17 Fitbi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nflation rate in blood pressure measurements
EP3763286A4 (en) * 2018-03-29 2021-08-04 Hangzhou Megasens Technologies Co., Ltd. ELECTRODE MULTIPLEXED PHYSIOLOGICAL PARAMETER MONITORING FINGER RING
KR20200061019A (ko) * 2018-11-23 2020-06-02 주식회사 레드서브마린 생체신호측정장치
KR20200085093A (ko) * 2019-01-04 2020-07-14 주식회사 포에스텍 독거노인 생활관리사의 공공복지를 위한 스마트 케어 시스템
US11510580B2 (en) 2019-07-24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Touch pen, electronic devic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bio-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2827B1 (ko) 2011-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827B1 (ko) 마우스형 다중 생체신호 측정장치
CN110327024B (zh) 一种基于按摩椅的健康参数检测方法、装置和系统
US7407484B2 (en) Physiological monitoring system for a computational device of a human subject
US20180333056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cardiovascular health
JP4644993B2 (ja) 経穴探査装置および治療効果判定装置
US20070027386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health management system arranged for monitoring a physiological condition of an individual
KR101460119B1 (ko) 생체 신호 측정을 위한 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80069851A (ko) 생체 신호 측정 센서 장치 및 상기 센서 장치를 구비한헤드셋 장치 및 팬던트 장치
US20180235489A1 (en) Photoplethysmographic wearable blood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KR100877207B1 (ko) 비침습적 연속 혈압, 동맥탄성도 측정장치
WO2015121689A1 (en) A phone for use in health monitoring
KR1005912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건강상태 측정장치 및 그 정보관리방법
KR100855043B1 (ko) 비침습적 연속 혈압, 동맥탄성도 측정방법
JP2002224088A (ja) 血中酸素飽和度測定装置
KR100855042B1 (ko) 비침습적 연속혈압, 동맥탄성도 측정장치
KR100949309B1 (ko) 모바일 컴퓨터를 이용한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61420A (ko) 펜 타입의 생체 신호 측정 장치
TWI624246B (zh) 血壓量測裝置及其方法
TWI663956B (zh) 智慧型個人攜帶式之血壓量測系統與血壓校正方法
US20150359471A1 (en) Composite medical examination device
KR100877212B1 (ko) 비침습적 연속 혈압, 동맥탄성도 측정장치
TWI586319B (zh) Cardiovascular health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JP2007014567A (ja) 血圧測定装置および血圧管理装置
CN110292367A (zh) 一种可扩展多生理参数监测指环
TWI586321B (zh) Cardiovascular health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