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966A - 마이크로 웨이브를 적용한 폐유 정화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웨이브를 적용한 폐유 정화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966A
KR20100041966A KR1020080101031A KR20080101031A KR20100041966A KR 20100041966 A KR20100041966 A KR 20100041966A KR 1020080101031 A KR1020080101031 A KR 1020080101031A KR 20080101031 A KR20080101031 A KR 20080101031A KR 20100041966 A KR20100041966 A KR 20100041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il
oil
water
separation chamber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590B1 (ko
Inventor
이석순
Original Assignee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01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590B1/ko
Publication of KR20100041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6Separation of liquids from each other by electri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1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an adsorp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유 속에 포함된 수분과 입자상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폐유 정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수분리챔버 내에 물과 함께 존재하는 유전율이 다른 폐유에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전달함으로써 폐유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도록 하여, 폐유 속의 수분과 오염물을 제거하여 재활용하거나 운전 중의 윤활유의 정화로 폐유의 발생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폐유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또한 폐기되는 폐유를 정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폐유, 마이크로 웨이브, 수분, 재활용, 오염물, 정전분리, 대전

Description

마이크로 웨이브를 적용한 폐유 정화분리장치{Apparatus for removing included Moisture in waste oil by using Microwav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폐윤활유 및 폐유압유 등과 같은 산업용 폐유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성분인 수분과 입자상 오염물을 제거하는 장치 및 그 방법으로, 폐유 속의 수분과 오염물을 제거하여 재활용하거나 운전 중의 윤활유의 정화로 폐유의 발생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폐유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또한 폐기되는 폐유를 정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폐유 정화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공작기계, 유압기계, 자동차 엔진, 일반 산업체 등에서 사용되는 윤활유 및 유압유는 수분의 혼합, 입자상 오염물의 혼합 등의 원인에 의하여 기계의 고장 및 노후화를 촉진하게 된다.
윤활유 속의 수분은 윤활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오염물로서, 장치의 부식, 윤활 특성의 감소, 유체 피막의 파손, 첨가제 포집, 유압강도의 감소, 윤활유의 산화 촉진, 박테리아의 증식 등의 원인이 되고 이로 인하여 유압제품의 마 모 및 파손의 주요 원인이 된다.
또한, 윤활유의 입자상 오염물은 윤활 면 사이에서 마모를 촉진하는 연마재의 역할을 하게 되어 입자상 오염물의 발생을 가속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윤활 면의 마모를 더욱 촉진한다.
그 결과, 윤활부의 마찰력의 증가로 온도의 상승을 유발하여 윤활유의 윤활특성을 저하시켜 유막의 파손을 초래하고 그 결과로 윤활부의 파손을 초래한다. 또한 윤활유에 있는 박테리아와 세균 등은 윤활특성을 저하시키고, 저장탱크, 유압배관 및 윤활면의 부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폐유의 재생기술은 폐유를 고온 열분해방식에 의하여 재생연료를 생산하는 방식(특허 10-0371526)과 폐유의 자연침강 후 촉매를 첨가하여 70-80℃의 온도로 가열하여 청정연료로 제조하는 방식(특허 10-0592856)이 있다. 이러한 방식 외에 폐유를 적절히 처리하여 저급 연료유로 처리하는 방식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또, 폐유를 재활용하는 방식은 수분과 입자상 오염물질의 제거 및 폐유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 조류 및 세균 등의 제거(www.tedimex.de)에 중점을 두고 있고, 원심력방식과 오일필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분과 입자상 오염물질의 제거는 윤활유의 특성을 재생하기 위하여 제거가 필수이고 박테리아 등은 폐유에 함유된 수분과 같이 있을 경우에는 저장탱크, 배관 및 윤활 면을 부식시키는 작용과 윤활특성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들의 제거 방식 중에서 원심력 방식은 입자상 오염물질의 제거가 완벽하지 않고 특히 박테리아의 제거에는 도움이 되지 않고, 오일필터 방식의 경우는 고 점도의 경우에는 오일필터의 막힘과 폐 오일필터라는 2차적 오염을 발생시킨다.
폐유 속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기존의 기술들 중에서 최신의 기술로 폐유를 진공 챔버에 가열/분무하여 낮은 포화증기압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특허10-0407159)과 같은 원리를 적용하고, 진공을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방식(특허 10-0751490)있다. 이들 방식은 박테리아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폐유를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장비를 필수로 포함해야 하고, 진공을 유지하기 위한 부가장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들 방식은 폐유의 가열과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윤활유와 수분이 마이크로웨이브의 유전율 흡수차가 다름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수분을 증발시켜서 제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마이크로 웨이브는 공업적으로 사용이 허용된 2.45GHz 주파수를 가진 것을 사용하나 915MHz 주파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333GHz 이하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이크로 웨이브가 유전체에 조사되면, 그 유전체의 특성에 응해서 유전체의 내부에 침투하여 고주파 전계와 자계를 주파수만큼 변화를 주어서 유전체의 분자내의 쌍극자의 회전이나 진동을 발생하고, 그 내부 마찰에 의하여 열이 발생한다. 마이크로웨이브의 흡수율은 극성 유전체는 높고, 무극성 유전체는 낮다. 극성 유전체인 물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잘 흡수하여 가열이 용이하나. 무극성 유전체인 오일은 마이크로웨이브를 흡수하는 성질이 낮아서, 그 정도는 20℃에서 오일은 물의 약 1/36 정도이다(공업용 마이크로파 응용기술, 기전연구사, 12쪽). 이 성질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웨이브를 폐유가 있는 유수분리챔버에 조사하면 폐유 속의 오일분자는 가열이 잘 안되나 물 분자는 쉽게 가열하여 증발시켜서 제거될 수 있다. 이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하여 폐유를 미립자로 분사하여 유수분리챔버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미립자 상태로 폐유가 떨어지도록 하여 충분히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도록 하는 방법을 적용하면 폐유 속에 포함된 물분자 만을 효과적으로 가열하여 증발시킬 수 있고, 윤활유는 가열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웨이브는 박테리아와 세균 등을 대부분 제거시킬 수 있고, 폐유 속에 대전입자가 포함된 경우에는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하여 대전입자는 대전이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전이 가능한 입자에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면 대전입자는 방전되거나 가열되면서 열전자를 방출하면서 대전이 된다. 전기적으로 대전이 된 입자상 오염물질은 서로 대항하는 극성을 가지는 한 쌍의 전극을 다수 쌍 설치하고, 양극과 음극의 서로 대항하는 전기적인 극성을 가지는 고전압을 각각 대응하는 극성의 전극에 인가하여, 각각의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전극에 이웃하는 면의 포집 필터에 부착되도록 하는 입자상 오염물 포집장치인 정전 분리기에 의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폐유가 저장되는 폐유 저장조 상기 폐수조로부터 폐유가 공급되고,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폐유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유수분리챔버와, 상기 유수분리챔버에 마이크로 웨이브를 공급하는 마이크로 공급장치와, 상기 유수분리챔버로부터 폐유를 공급받아 대전입자를 분리/흡착시켜서 제거하는 정전 분리기와 증발된 수분을 응축하여 저장 배출시키는 응축기 오일을 압송하기 위한 오일펌프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제공한다.
상기 유수분리챔버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폐유에 조사하여 윤활유와 수분의 유전률 흡수차를 이용하여 수분을 증발시켜서 수분은 챔버의 상부에 연결된 관을 통하여 응측기 및 수분저장소로 보내 저장한다.
또한, 마이크로 웨이브의 흡수를 용이하고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상부에 미립자로 분무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유수분리챔버에서 마이크로 웨이브가 조사되면, 폐유에 포함된 박테리아와 세균 등은 제거되고, 오염물 중에서 대전입자는 방전하거나 열전자를 방사하여 전기적으로 대전이 된다. 대전된 입자를 포함된 폐유는 배출 수단을 통하여 정전기 분리기로 공급된다.
또한, 유수분리챔버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가두어서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반사하는 재료인 구리나 알루미늄 혹은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고, 유수분리챔버의 내면과 폐유 분사장치 및 배출 수단은 마이크로 웨이브는 잘 통과시키고 오염물의 대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비전도상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리 혹은 석영이나 세라믹을 사용하는데 고온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테프론이나 플라스틱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수분리챔버 내에 별도의 용기를 만들어서 이 용기 안에폐유가 분사되는 상태에서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시키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때, 용기와 용기 안에 있는 폐유 분사장치 등 및 배출수단 등 모든 재질은 비전도성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고, 고온에서 사용이 가능하면서 마이크로웨이브를 흡수하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또한 배출 수단은 마이크로웨이브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 충분히 작은 구명으로 제작되어야 하고, 복수의 배출 구멍을 둘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공급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반사 마이크로웨이브가 마그네트론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아이솔레이터, 진행파 전력과 반사파 전력을 표시하는 파워모니터, 임피던스 조정기와 도파관을 가진다.
또, 임피던스 조정기는 3점 임피던스 조정기를 사용하나 EH Tuner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는 유수분리챔버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를 마이크로웨이브의 위상이 90도로 혹은 적절한 각도로 달리하여 복수로 할 수 있고, 유수분리챔버와 연결되는 공급 창은 서로 다른 모양의 복수의 사각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웨이브 공급장치는 마그네트론을 유수분리챔버에 단수 혹은 복수로 직접 부착하거나 도파관 혹은 동축관에 의하여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수분리챔버와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의 연결부위는 석영판으로 분리하여 마이크로 웨이브는 통과하나 유수분리챔버 내의 폐유나 수분이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상기 정전 분리기는 폐유가 유수분리챔버를 통하여 유입되고, 고압의 DC 전원을 복수의 전극에 의하여 공급하고 각 전극 사이에 오염물을 흡착할 수 있는 필터를 두어 오염물을 정전분리원리에 의하여 필터에 흡착되도록 한다.
또한, 오염물 제거 필터는 폐유의 흐름과 평행하게 두어 폐유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정전 분리기를 통과한 폐유는 비중이 높은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중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폐유가 흐르도록 유로를 추가하고, 비중이 높은 오염물은 배출 수단에 의하여 배출하도록 한다. 폐유를 정전분리기로 공급하는 공급수단과 정전분리기 내면은 비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야 한다.
상기 응축기 및 수분저장은 유수분리챔버로부터 증발된 수증기를 물로 변환시켜서 수분 저장조에 저장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에서, 수분의 증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유수분리챔버를 진공이 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유 속의 수분과 오염물을 제거하여 재활용하거나 운전 중의 윤활유의 정화로 폐유의 발생을 방지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폐유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또한 폐기되는 폐유를 정화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 정화장치는, 유수분리챔버 내에 물과 함께 존재하는 유전율이 다른 폐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폐유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물과 함께 존재하는 유전율이 다른 윤활유를 폐유 저수조(10)로부터 라인상 펌핑공급받아 이를 분리하여 배출하기 위한 폐유 유입구, 증기 배출구 및 수분-분리 폐유 이송구를 갖는 유수분리챔버(20)와, 상기 유수분리챔버(20)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일측에 마련된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수분리챔버(20)는, 상기 폐유를 분사토출하는 미립자 분사장치(21)와, 상기 폐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장치(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유 저수조(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폐유 유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라인 연결되어 상기 유수분리챔버(20)에 현가된 다수의 노즐부를 갖는 미립자 분사장치(21)에 의해 폐유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분무 낙하하면서 상기 마이크로웨 이브 발생장치(30)로부터 에너지를 전달받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나, 상기한 미립자 분사장치(21)는 상기 유수분리챔버(20)의 상하좌우에 배치되어 폐유가 상기 유수분리챔버(20) 내에서 확산 분사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폐유 정화분리장치는, 상기 유수분리챔버(20)로부터 전달되는 폐유에 포함된 대전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정전분리기(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챔버(20)에 형성된 수분-분리 폐유 이송구에는 상기 정전 분리기(40)가 연통 가능하게 라인 연결되어 폐유를 급송받아 오염물을 대전시켜 오염물질을 포집 제거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정전 분리기(40)는, 고압 DC 전원이 인가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원/접지전극(41, 42a)과, 상기 전원/접지전극(41, 42a)의 사이에 형성되어 정전 분리되는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필터(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수분리챔버(20)에서 증발된 수분은 상기 수분 배출구를 매개로 응축기(50)를 통과하여 응축되어 수분저장조(60)에 저장되도록 라인상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공급장치(30)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31)과, 반사 마이크로웨이브가 마그네트론(31)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아이솔레이터(32)와, 진행파 전력과 반사파 전력을 표시하는 파워모니터(33)와, 임피던스 조정기(34)와, 도파관(35)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유수분리챔버(20) 내에 물과 함께 존재하는 유전율이 다른 폐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폐유로부터 수분을 제거시 키는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물과 함께 존재하는 유전율이 다른 폐유를 정화분리할 수 있는 바, 이는, 폐유가 폐유 저수조(10)로부터 유수분리챔버(20)로 라인상 펌핑공급되는 단계와, 상기 유수분리챔버(20)로 마이크로 웨이브 발생장치(30)에 의해 에너지가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유수분리챔버(20)에 현가된 미립자 분사장치(21)에 의해 폐유가 상부에서 하방으로 분무 낙하하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장치(30)로부터 에너지를 전달받는 단계와, 물이 분리된 폐유가 정전 분리기(40)로 공급되는 단계와, 분리되는 물이 상기 유수분리챔버(20)로부터 증발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를 선택적으로 포함하여 폐유를 정화분리시키는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이는, 폐유가 저장되는 폐유 저수조(10); 상기 폐유 저수조(10)로부터 폐유가 유입되고, 유입된 폐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마이크로파챔버로서의 유수분리챔버(20)와, 상기 유수분리챔버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는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30)와, 상기 유수분리챔버(20)로부터 폐유를 공급받아 대전된 오염물을 정전분리원리에 의하여 분리하는 정전분리기(40) 상기 유수분리챔버(20)에서 증발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기(50)와, 상기 응축기로부터 응축된 수분을 저장하여 배출하는 수분저장조(60)와, 이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기(70)와, 폐유를 이송시키는 오일펌프(80)를 포함하는 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폐유 저수조(10)는 유수분리챔버(20)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거치기 전에 저장되어 있는 곳이고 저장된 폐유는 오일펌프(80)에 의하여 유수분리챔버(20)에 폐유를 공급하고, 유수분리챔버(20)와 정전분리기(40)를 거쳐서 수 분과 오염물질이 제거된 폐유를 다시 저장한다.
다음에, 상기 유수분리챔버(20)는 상기 폐유 저수조(10)에 저장되어 있던 폐유가 유입되고, 유입된 폐유는 미립자분사장치(21)에 의하여 유수분리챔버(20) 내에 미립 분사되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30)에 의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조사되어 수분을 증발시키고, 상기 응축기(50)에 공급한다. 유수분리챔버(20)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대전된 오염물을 포함한 폐유는 상기 정전 분리기(40)에 공급한다.
또,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30)는 마크네트론(31), 아이솔레이터(32), 파워모니터(33), 임피던스 조정기(34), 도파관(35), 석영유리판(36)로 구성되어 상기 유수분리챔버(20)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정전 분리기(40)는 유수분리챔버(20)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대전된 오염물을 포함한 폐유를 공급받아 고압 DC 전원(41)을 가한 전극(42a, 42b)에 의하여 대전된 오염물을 정전 분리하여 흡착 필터(43)에 의하여 흡착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정전 분리기(40)의 전극(42a, 42b)은 코팅에 의하여 전극을 보호하도록 처리되어 있다.
물론, 비중이 높은 오염물질이 폐유 배출 수단에 의하여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정전 분리 후에 중력방향과 반대로 되는 유로를 추가한다. 비중이 높은 오염물은 오염물 배출벨브(44)에 의하여 배출한다.
또, 상기 응축기(50)는 유수분리챔버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응축시켜서 수분으로 변환하고 배출수단에 의하여 수분저장조(60)에 저장되어 배출된다.
상기 제어기(70)는 상기 유수분리챔버에 있는 폐유 위치센서(71, 72)의 신호를 받아서 상기 오일펌프(80)의 가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폐유를 마이크로 웨이브를 가한 유수분리챔버 내부에 노즐을 통하여 분출시킴으로 마이크로웨이브의 선택적 에너지 흡수성질을 이용하여 수분만을 가열하여 증발 시키고, 동시에 마이크로웨이브가 대전이 되는 오염물에 에너지를 가하여 방전시키거나 열전자를 방출시켜서 오염물을 대전시키고,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는 유수분리챔버에서 폐유에 포함되어 있는 박테리아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수분리챔버에서 증발된 수분은 응축기를 통과하여 응축되어 수분저장조에 저장되고, 폐유 속에 있는 대전된 오염물은 배출수단에 의해 오염물질을 포집하는 정전분리기 속을 통과하고, 폐유 속에 대전된 오염물질은 배출수단에 의하여 정전기 분리기로 유입되고, 정전분리기 내에는 서로 대항하는 극성을 가지는 두 종류의 전극을 설치하고, 상기 전극에 고전압 발생장치로부터 고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두 전극 사이에 있는 폐유가 위치하는 공간에 강력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폐유 속에 함유된 대전되는 입자상 오염물질을 정전기력에 의하여 포집됨으로써, 폐유의 정화분리가 효율적으로 달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폐유와 수분의 마이크로 웨이브의 유전체 흡수율 차를 이용하여 수분을 효과적으로 증발시켜서 제거하고, 동시에 마이크로웨이브는 폐유에 있는 박테리아와 세균 등을 제거하는 효과와 폐유에 포함되어 있는 대전입자를 대전시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대전된 오염물은 정전분리기에 의하여 효 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서 기존의 진공을 이용하는 방식보다 효과적으로 폐유를 재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석유류의 저장에서 수분, 오염물, 박테리아 및 세균 등의 유입에 의하여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에 적용하여 석유류의 품질을 재생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유 정화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폐유 수조 20 : 유수분리챔버
30 : 마이크로웨이브 공급부 40 : 정전분리기
50 : 응축기 60 : 수분저장조
70 : 제어장치 80 : 오일펌프

Claims (6)

  1. 유수분리챔버 내에 물과 함께 존재하는 유전율이 다른 폐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폐유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화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분리챔버는,
    상기 폐유를 분사 토출하는 미립자 분사장치와;
    상기 폐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웨이브 발생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화분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유 정화분리장치는,
    상기 유수분리챔버로부터 전달되는 폐유에 포함된 대전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정전분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화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분리기는,
    고압 DC 전원이 인가되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전원/접지전극과;
    상기 전원/접지전극의 사이에 형성되어 정전 분리되는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흡착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화분리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 공급장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반사 마이크로웨이브가 마그네트론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아이솔레이터;
    진행파 전력과 반사파 전력을 표시하는 파워모니터;
    임피던스 조정기;
    도파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화분리장치.
  6. 유수분리챔버 내에 물과 함께 존재하는 유전율이 다른 폐유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여 폐유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정화분리방법.
KR1020080101031A 2008-10-15 2008-10-15 마이크로 웨이브를 적용한 폐유 정화분리장치 KR101129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031A KR101129590B1 (ko) 2008-10-15 2008-10-15 마이크로 웨이브를 적용한 폐유 정화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031A KR101129590B1 (ko) 2008-10-15 2008-10-15 마이크로 웨이브를 적용한 폐유 정화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966A true KR20100041966A (ko) 2010-04-23
KR101129590B1 KR101129590B1 (ko) 2012-03-27

Family

ID=4221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031A KR101129590B1 (ko) 2008-10-15 2008-10-15 마이크로 웨이브를 적용한 폐유 정화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870A1 (ko) * 2016-05-04 2017-11-09 강미선 오일정제장치
CN107427867A (zh) * 2015-04-06 2017-12-01 (株)三英菲尔-科技 利用超微泡沫的排管冲洗系统,方法及具备其的船舶或海洋生产设备
KR101995679B1 (ko) 2018-12-13 2019-07-02 이승호 비중차를 이용한 청정 연료 분리장치를 구비한 보일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245B1 (ko) * 2019-08-26 2020-05-26 홍승구 폐유 정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6375A (en) 1991-12-23 1994-02-15 Texaco Inc. Oil recoery apparatus
KR970049596U (ko) * 1996-01-15 1997-08-12 서숙하 각종 폐유를 이용한 산소 석유의 제조장치
US7045038B1 (en) 1999-12-21 2006-05-16 Industrial Microwave Technologies, Inc. Process for treating waste oil
GB0512183D0 (en) * 2005-06-15 2005-07-20 Tooley John K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refining of waste oi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27867A (zh) * 2015-04-06 2017-12-01 (株)三英菲尔-科技 利用超微泡沫的排管冲洗系统,方法及具备其的船舶或海洋生产设备
WO2017191870A1 (ko) * 2016-05-04 2017-11-09 강미선 오일정제장치
KR101995679B1 (ko) 2018-12-13 2019-07-02 이승호 비중차를 이용한 청정 연료 분리장치를 구비한 보일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590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337B1 (ko) 오염물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슬러지 연속 건조 시스템
CN203890292U (zh) 油田废弃物的工业处理装置
CN103923670B (zh) 油田废弃物的工业处理方法及其装置
US54878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hazardous waste or other hydrocarbonaceous material
KR101129590B1 (ko) 마이크로 웨이브를 적용한 폐유 정화분리장치
WO2014146129A2 (en) Distillation reactor module
KR101936548B1 (ko) 폐액 재생장치
CN107051349A (zh) 化学液体的等离子体处理方法及设备
TW201138935A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ducing pollutants in gas streams
CN102504930B (zh) 一种设置有超声式膜分离器的废润滑油再生处理装置
US20060135373A1 (en) Apparatus for purifying waste lubricant and method of purifying waste lubricant using the same
KR101638618B1 (ko) 연료유 정제장치
RU254361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резиновых отходов
AU20203616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contaminated solid material
WO1985005097A1 (en)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urification of polluted liquid
CN110642314A (zh) 一种延迟焦化装置综合利用原油电脱盐污水的工艺装置
CN216092884U (zh) 微波加热陶瓷滤芯除尘器
JPH0788469A (ja) 廃液及び水溶性廃塗料の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RU2547750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технических масел
CN103285734A (zh) 一种基于纳米滤膜的废有机溶剂处理工艺及系统
CN106984439B (zh) 一种废油回收装置
CN101666503B (zh) 交流等离子弧废液焚烧器
CN217732729U (zh) 一种无机废液闪析处理装置
CN216584661U (zh) 一种油田高粘污泥输送干化一体化处理装置
RU2255967C1 (ru)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отработанного моторного масла от воды и топли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