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406A -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406A
KR20100040406A KR1020080099491A KR20080099491A KR20100040406A KR 20100040406 A KR20100040406 A KR 20100040406A KR 1020080099491 A KR1020080099491 A KR 1020080099491A KR 20080099491 A KR20080099491 A KR 20080099491A KR 20100040406 A KR20100040406 A KR 20100040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polyhedron
display unit
touch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055B1 (ko
Inventor
주석훈
김제언
한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055B1/ko
Priority to US12/493,117 priority patent/US8286098B2/en
Priority to EP09169008.1A priority patent/EP2175358B1/en
Publication of KR2010004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동 가능하며, 관련된 기능이 적어도 두 개의 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적어도 한 번의 터치(Touch)동작을 포함하는 조작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발생된 조작이벤트에 따라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한다.
이동단말기, 다면체아이콘, 회동, 편집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상호 관련된 기능이 표시된 회전 가능한 다면체아이콘을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기능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동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단말기를 포함한 다양한 단말기들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함에 따라 메뉴 구조 또한 복잡해지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상호 관련된 기능이 표시된 회전 가능한 다면체아이콘을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기능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은, 회동 가능하며, 관련된 기능이 적어도 두 개의 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적어도 한 번의 터치(Touch)동작을 포함하는 조작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된 조작이벤트에 따라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호 관련된 기능이 표시된 회전 가능한 다면체아이콘을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기능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은, 디 스플레이부; 및 회동 가능하며, 관련된 기능이 상호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한 번의 터치(Touch)를 하는 조작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생된 조작이벤트에 따라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하면 관련된 기능을 하나의 다면체아콘에 표시함으로써 시각적인 만족감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과정이 단축되어 조작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관련된 기능을 더블터치 앤 드래그 하는 동작으로 다면체아이콘의 크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하면,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다면체아이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하면, 다면체아이콘을 2차원 평면상으로 펼칠 수 있게 되어, 조작자가 한 눈에 다면체아이콘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확인한 후 선택 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터치동작으로 다면체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터치동작으로 다면체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하면, 다면체아이콘을 조작자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하면,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이 전면에 위치하게 되도록 할 수 있어 조작자의 사용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단말기(100)와 이동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 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단말기(100)의 위치, 사용 자 접촉 유무, 이동단말기의 방위, 이동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 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소 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근접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 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 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 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및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 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 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면체아이콘(I)이 마련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I)은 디스플레이부(151)에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다면체아이콘(I)은 평면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지만, 조작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3차원 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조작자가 느끼는 감성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다면체아이콘(I)은 조작자가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하는 동작을 통하여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조작자는 다면체아이콘(I)을 회전시키며 원하는 기능이 전면으로 나타나게 할 수 있으며, 전면에 나타난 기능을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다면체아이콘(I)에는 관련된 기능이 함께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I)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상호 관련된 기능이 하나 의 다면체아이콘(I)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회전 조작을 통하여 관련된 기능을 쉽게 탐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다면체아이콘(I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연락이 빈번한 친구의 사진이 표시되고, 측면에는 전화걸기 기능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조작자는 전면에 표시된 친구의 사진을 터치한 후 우측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통하여 측면에 표시되었던 전화걸기 기능이 전면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전화걸기 기능이 전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면, 전면에 표시되었던 친구와 전화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친구의 사진을 터치한 후 하방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을 통하여 상면에 표시되었던 메시지보내기 기능이 전면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메시지보내기 기능이 전면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터치를 해제하면, 친구에게 바로 메시지를 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메뉴를 클릭하고 전화통화 또는 메시지 보낼 상대를 검색하여 선택하여야 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관련된 기능을 하나의 다면체아콘(I)에 표시함으로써 조작자가 번거롭게 메뉴를 탐색하여야 하는 수고가 현저히 감소됨은 물론, 시각적인 만족감을 얻을 수도 있다. 다면체아이콘(I)은 제 1,2,3,4다면체아이콘(I1, I2, I3, I4)과 같이 수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2,3,4다면체아이콘(I1, I2, I3, I4)은 각각 다른 기능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다면체아이콘(I) 중 제 1다면체아이콘(I1)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제 2,3,4다면체아이콘(I2, I3, I4)에 대한 설명에 갈음하도록 한다. 다면체아이콘(I)은 기능선택면(210)과 관련기능면(220)을 포함한다.
기능선택면(210)은 다면체아이콘(I)의 전면을 의미한다. 기능선택면(210)은 디스플레이부(151)와 실질적으로 나란하게 보이도록 표시되는 부분으로서, 시각적으로 전면에 돌출되어 보이므로 조작자가 가장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조작자는 기능선택면(210)에 대하여 터치 등의 조작을 가함으로써 기능선택면(210)에 표시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면체아이콘(I)은 좌우, 상하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기능선택면(210)은 고정된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다면체아이콘(I)의 현재 기능선택면(210)은 메시지작성 기능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자의 조작으로 인하여 현재 다면체아이콘(I)의 상측면에 보이는 수신메시지확인 기능이 전면으로 이동되면, 수신메시지확인 기능이 표시된 화면이 새로운 기능선택면(210)이 된다. 이와 같이, 기능선택면(210)은 다면체아이콘(I)의 전면을 의미할 뿐 특정 기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관련기능면(220)은 다면체아이콘(I)의 기능선택면(210)이 아닌 면이다. 관련기능면(220)에는 기능선택면(210)에 표시된 기능과 관련된 기능들이 배치될 수 있다. 조작자는 다면체아이콘(I)을 터치 앤 드래그 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관련기능면(220)에 위치하던 특정 기능을 전면으로 이동시켜 새로운 기능선택면(210)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관련기능면(220)이 새로운 기능선택면(210)이 되는 순간에 종래에 기능선택면(210)에 표시되던 기능은 다면체아이콘(I)의 측면으로 이동되며 새로운 관련기능면(220)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면체아이콘(I)은 6면체이다. 따라서, 관련기능면(220)은 기능선택면(210)의 우측면, 상측면, 좌측면, 하측면, 뒷면 순서로 제 1,2,3,4,5관련기능면(도 4a의 221, 222, 223, 224, 225)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다면체아이콘(I)의 형상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6면체로 표현하였으나, 다면체아이콘(I)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다면체아이콘 중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e는 도 4a 내지 도 4d 다면체아이콘의 기능을 펼쳐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면체아이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I)의 기능선택면(210)에는 메시지보내기 기능이 위치할 수 있다. 조작자는 기능선택면(210)을 짧게 터치했다가 터치를 해제하는 동작을 취함으로써 기능선택면(210)에 위치한 메시지보내기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메시지보내기 기능이 활성화되면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조작자가 메시지보내기 기능이 아닌 다른 기능의 활성화를 원할 수 있다. 조작자는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찾기 위하여 다면체아이콘(I)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면체아이콘(I)의 회전방향은 좌우, 상하 등이 가능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측에서 우측인 제 1회전방향(R1)으로 회전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I)을 제 1회전방향(R1)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능선택면(210)에는 메시지환경설정 기능이 위치하게 되었다. 한편, 종래에 기능선택면(210)에 위치하였던 메시지보내기 기능은 제 1관련기능면(221)으로 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면에서는 회전이 완료된 상태만을 도시하였으나, 다면체아이콘(I)은 연속적으로 형상이 변화하며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자는 회전 하는 다면체아이콘(I)을 보며 호기심 및 감성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조작자가 다른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제 1회전방향(R1)으로 다면체아이콘(I)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I)을 제 2회전방향(R2)으로 회전시키면 최초 상태에서 제 5관련기능면(도 4a의 225)에 위치하고 있던 문자채팅 기능이 기능선택면(21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조작자가 또 다른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제 2회전방향(R2)으로 단면체아이콘(I)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I)을 제 2회전방향(도 4c의 R2)으로 회전시키면, 최초 상태에서 재 4관련기능면(도 4a의 224)에 위치하고 있던 발신함 기능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e에는 각 기능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면체아이콘(I)을 펼쳐보였다. 도 4a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 기능선택면(210)과 제 1,2,3,4,5관련기능면(221 내지 225)를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관련된 각 기능들이 다면체아이콘(I)의 각 면에 배치됨으로써 조작자는 수개의 트리메뉴 또는 팝업메뉴를 거치지 않고서도 조작자가 원하는 기능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도 3의 151)에는 각각 유사한 기능 혹은 사용자가 특히 빈번하게 사용하는 기능을 모아놓은 제 1,2,3,4다면체아이콘(I1, I2, I3, I4)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자는 하나의 다면체아이콘(I)의 면의 개수에 제한 받지 않고 각각의 다면체아이콘(I1, I2, I3, I4)에 원하는 기능을 그룹화하여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은 이미 존재하는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 한다.(S10) 이동단말기의 출시당시에 이미 필수적이며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능들을 담은 다면체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아래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면체아이콘을 생성, 삭제, 편집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에서는 일단 존재하고 있는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거친다.
조작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20) 조작이벤트는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동작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터치동작의 구체적인 예 및 각종 조작이벤트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조작이벤트가 발생하면, 발생된 조작이벤트에 따른 작동이 이루어진다.(S30) 작동은 다면체아이콘의 회전, 선택, 편집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며, 그 구체적인 실시예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a 내지 도 6c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선택하고, 선택한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I)의 현재 기능선택면(210)에 표시된 기능이 아닌 기능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자는 다면체아이콘(I)을 터치한다. 다면체아이콘(I)이 터치된 상태에서 제 1회전방향(R1)으로 드래그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일반적으로 터치 앤 드래그라고 설명된다. 터치 앤 드래그에 의하여, 드래그되는 방향을 따라 다면체아이콘(I)이 회전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최초로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을 원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하여 드래그 되는 방향을 결정한다. 드래그 되는 방향이 직교좌표계의 X축을 따라서 제 1회전방향(R1)으로 이루어지면 다면체아이콘(I)은 X축 방향인 도면의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조작자의 불명료한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는 경우에는, X축 또는 Y축과 이루는 각도(d)를 계산하여 각도(d)가 작게 나타나는 축의 방향으로 사용자가 드래그 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 3방향(R3)으로 드래그 된 경우에는 Y축과 이루는 각도(d)가 작으므로 Y축 방향으로 드래그 된 것으로 판단되어, 다면체아이콘(I)은 Y축 방향으로 회전한다.
도 6b는 다면체아이콘(I)이 회전하고 있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이 회전하고 있는 과정에는 종래의 기능선택면(210)과 종래의 제 3관련기능면(223)이 동시에 표시되는 과정을 거치며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일종의 미리보기 단계이다. 조작자는 다면체아이콘을 좌우 또는 상하로 일정범위 내에서 조금씩 드래그 하였다가 최초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을 반복함 으로써 기능선택면(210)의 주위에 있는 관련기능면(도 3의 220)들을 미리보기 할 수 있다.
도 6c는 조작자의 터치 앤 드래그에 의하여 다면체아이콘(I)이 완전히 회전된 후 터치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능선택면(도 6a의 210)에 위치하고 있던 메시지작성 기능이 제 1관련기능면(221)으로 이동되었고, 메시지환경설정 기능이 새로운 기능선택면(210)으로 되었다. 다면체아이콘(I)이 회전하며 기능선택면(210)에 위치하게 된 메시지환경설정 기능을 활성화하고자 하는 경우에, 조작자는 드래그를 중지하고 터치된 상태를 해제하면 된다. 즉, 디스플레이부(도 3의 151)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가압이 해제된 순간에 기능선택면(210)에 표시되었던 기능을 활성화한다.따라서 도 6c의 경우에는 메시지환경설정 기능이 활성화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조작이벤트가 회동을 위한 터치 앤 드래그 및 터치의 해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하여 다면체아이콘이 터치되었다는 조작이벤트가 감지된다.(S31)
다면체아이콘이 터치된 조작이벤트가 감지되면, 터치된 상태에서 짧은 시간내에 터치해제 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2) 즉, 별도의 드래그 동작이 없이, 다면체아이콘의 기능선택면에 대하여 터치한 후 즉시 터치해제되는 조작이벤트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동작 없이 터치해제된 것으로 판단되면, 터지가 해 제된 순간에 기능선택면에 표시되었던 기능을 실행시킨다.(S33)
기능선택면에 표시되었던 기능을 실행함과 함께, 스프링락(Spring-Lock)이 활성화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4) 스프링락은 사용자의 터치가 중지되면 최초에 표시되었던 기능선택면으로 복귀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스프링락에 의하여 역회전하여 최초에 표시되었던 기능선택면으로 복귀하는가 여부는, 단순히 터치 및 터치해제가 되어 다면체아이콘이 회전하지 않고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S37 내지 S39 단계를 거치며 다면체아이콘이 회전된 경우에는 최초 기능선택면으로 자동으로 복귀하는가 여부에 따라 조작자가 차후에 최초로 조작하게 되는 기능선택면에 표시된 기능이 상이해지게 된다.
스프링락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면체아이콘이 역회전하며 최초에 표시되었던 기능선택면으로 복귀한다.(S35) 즉, 최초 기능선택면에 메시지보내기 기능이 표시되었으나 다면체아이콘의 회전에 의하여 결과적으로 메시지환경설정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스프링락이 활성화 되어있으면 최초에 표시되었던 기능선택면으로 복귀하게 된다. 스프링락은 최초에 표시되었던 기능선택면의 기능이 다른 기능에 비하여 빈번하게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하다.
스프링락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면체아이콘이 역회전하지 않고 현재의 표시상태를 유지한다.(S36)
도 8은 다면체아이콘에 대한 터치 앤 드래그가 이루어진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드래그 동작이 이 루어지면(S37), 다면체아이콘을 드래그 방향으로 회전시킨다.(S38) 드래그 방향의 구체적인 예는 도 6a에 설명한 바와 같다.
다면체아이콘을 드래그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회전된 특정 면에서 터치가 해제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9) 터치가 해제되지 않고 계속하여 드래그 되고 있으면 다면체 아이콘을 계속하여 회전시키며,
특정 면에서 드래그가 중지된 후 터치가 해제되면, 터치가 해제된 면에 설정된 기능을 실행한다(도 7의 S3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하면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다면체아이콘을 사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메인메뉴와 서브메뉴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하여 특정 기능의 선택이 용이해진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a"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면체아이콘에 대한 조작이벤트는 기능선택면(210)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제 1,2꼭지점(212, 214)에 대한 더블터치 후 드래그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더블터치는 동시에 혹은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디스플레이부(도 3의 151)를 가압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블터치가 발생하면 제어부(도 1의 180)는 디스플레이 부(도 3의 151)의 두 지점 좌표를 파악한다.
제 1,2꼭지점(212, 214)에 대한 더블터치가 이루어진 후에, 제 1,2꼭지점(212, 214)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한다. 제 1,2꼭지점(212, 214)이 상호간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기능선택면(210)을 포함한 다면체아이콘(I)의 크기가 커진다. 반면, 제 1,2꼭지점(212, 214)이 상호간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기능선택면(210)을 포함한 다면체아이콘(I)의 크기가 작아지게 된다.
도 10은 다면체아이콘의 대각선상 꼭지점에 대한 더블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의 대각선 양쪽을 더블터치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면(S31a), 더블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하며 이동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2a)
더블터치된 상태에서 드래그하며 이동되면, 이동된 거리만큼 다면체아이콘을 확대 또는 축소시킨다.(S33a)
다면체아이콘을 확대 또는 축소시키며, 드래그가 중지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4a) 드래그가 중지되었으면 다면체아이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작동을 종료한다.
드래그가 계속되고 있으면, 임계거리를 초과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5a)
다면체아이콘을 확대하는 과정에 있어서 임계거리 이상이 되면 전체 화면으 로 확대할 수 있다.(S36a) 조작자가 드래그를 통하여 다면체아이콘을 확대함에 있어서,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 전체로 확대하고자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계속하여 드래그를 함은 시간, 노력이 지속적으로 소요된다. 따라서 더블터치된 후 드래그 되어서 더블터치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인 임계거리를 초과하면 더 이상의 점진적인 크기의 확대를 중지하고,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 전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가 되도록 확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하면 더블터치 앤 드래그 하는 동작으로 다면체아이콘의 크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b"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면체아이콘에 대한 조작이벤트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도 1의 140)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근접센서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도 3의 151)에 포인터(P)가 근접되는 정도에 따라서 근접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포인터(P)와 이동 단말기(100) 표면 간의 거리가 D0에서 D3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그 정도에 관한 근접신호를 출력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대한 각종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근접터치에 따른 다면체아이콘의 크기 조절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하여 일정시간 터치상태가 지속된 이후에 근접센서에 의하여 터치가 디스플레이부(도 3의 15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작되는 근접신호가 발생(S31b)하면, 다면체아이콘을 특정 비율로 확대한다.(S32b)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하면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다면체아이콘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a 및 도 13b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c"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다면체아이콘에 대한 조작이벤트는 다면체아이콘(I)의 어느 한 모서리(217)의 양 끝단 꼭지점(212, 216)을 더블터치한 후 드래그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다면체아이콘(I)의 어느 한 모서리(217)의 양 끝단인 제 1,3꼭지점(212, 216)을 더블터치한다는 점에서, 기능선택면(210)의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제 1,2꼭지점(212, 214)을 더블터치하여 다면체아이콘(I)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경우와 상이하다.
제 1, 3꼭지점(212, 216)을 더블터치한 후 모서리(217)와 나란한 제 4방향(R4)으로 드래그 하면, 다면체아이콘(I)이 평면상으로 펼쳐진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I)이 평면상으로 펼쳐지면, 다면체아이콘(I) 각면에 위치하고 있던 각 기능을 한눈에 확인 가능해진다. 조작자는 펼쳐진 다면체아이콘(I)의 어느 한 면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14는 다면체아이콘의 일 모서리의 양 끝단 꼭지점을 더블터치한 후 드래그 하는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의 일 모서리의 끝단을 더블터치하는 동작이 이루어지면(S31c), 더블터치된 상태에서 터치가 상호간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되어 이동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2c)
더블터치된 상태에서 터치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가 되면, 다면체아이콘이 펼쳐진다.(S33c) 다면체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 상에 2차원적으로 펼쳐지므로 조작자는 다면체아이콘을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다면체아이콘의 모든 기능을 한 눈에 확인 가능해진다.
펼쳐진 다면체아이콘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4c) 기능의 선택은 터치 혹은 키입력에 의하여 가능하다.
기능이 선택되면, 선택된 기능을 실행한다.(S35c)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하면 다면체아이콘을 2차원 평면상으로 펼칠 수 있게 되어, 조작자가 한 눈에 다면체아이콘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확인한 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도 15a 및 도 15b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d"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조작이벤트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경계선(155)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며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발생한다. 즉, 조작자가 경계선(155)의 외부에서 내부로, 즉 제 5방향(R5)으로 터치를 하는 경우에 제어부(도 1의 180)는 새로운 다면체아이콘(I5)을 생성하는 작동을 한다.
도 16은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경계선을 통과하는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 영영의 외부에서 내부로 터치동작을 하면(S31d), 새로운 다면체아이콘이 생성된다.(S32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터치동작으로 다면체아이콘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a 및 도 17b에 따른 이동단말 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e"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조작이벤트는 디스플레이부(151)의 경계선(155)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하며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발생한다. 즉, 조작자가 다면체아이콘(I)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를 유지하며 디스플레이부(151)의 경계선(155) 내부에서 외부방향인 제 6방향(R6) 다면체아이콘(I)을 이동시키면, 이동된 다면체아이콘(I)이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삭제된다.
도 18은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경계선을 통과하는 터치가 이루어진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을 터치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영역의 내부에서 외부로 터치동작을 하면(S31e), 터치되어 이동된 다면체아이콘이 삭제된다.(S32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터치동작으로 다면체아이콘을 삭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9a 내지 도 19h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a 내지 도 19h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 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f"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조작이벤트는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다면체아이콘(I)을 드래그 하여 편집영역(E)으로 드롭(Drop)하는 터치동작에 의하여 발생된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도 19a의 I)을 편집영역(도 19a의 E)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제 1영역(A1)과 제 2영역(A2)으로 구분되는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제 1영역(A1)에는 펼쳐진 다면체아이콘(EI)이 표시된다.
제 2영역(A2)에는 펼쳐진 다면체아이콘(EI)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메뉴들이 표시된다.
도 19c 및 도 1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영역(A2)에 있는 메뉴 중 메시지작성 메뉴를 펼쳐진 다면체아이콘(EI)의 면 중에 제 1위치(226)에 드래그 앤 드롭하는 터치동작을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위치(226)로 이동되어 드롭된 메시지작성 기능은 펼쳐진 다면체아이콘(EI)을 다시 입체화된 다면체아이콘(도 19a의 I)으로 되돌렸을 때, 선택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능으로 작용한다.
도 19e 및 도 1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위치(226)에 드롭된 메시지작성 기능을 펼쳐진 다면체아아콘(EI)의 제 2위치(227)로 드래그 앤 드롭하는 터치동작을 통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9g 및 도 1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위치(227)에 위치하고 있던 메시지작성 기능을 드래그하여 펼쳐진 다면체아이콘(EI) 외부의 영역에서 드롭하는 터치동작을 통하여 펼쳐진 다면체아이콘(EI)에 존재하고 있던 메시지작성 기능을 삭제할 수 있다.
도 20은 다면체아이콘에 대한 각종 편집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면체아이콘을 편집창으로 이동시키는 드래그 앤 드롭 터치동작이 이루어지면(S31f), 편집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S32f)
메뉴에 나타난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다면체아이콘의 어느 한 면으로 이동시키는 터치동작이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여(S33f), 그와 같은 터치동작이 발생하였으면 당해 면에 이동된 메뉴를 표시한다.(S34f)
한편, 다면체아이콘에 이미 표시된 기능을 다른면으로 이동시키는 터치동작이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여(S35f), 그와 같은 터치동작이 발생하였으면 다면체아이콘 내부에서 다른 면으로 기능을 이동시켜 표시한다.(S36f)
또한, 다면체아이콘 내부의 기능을 다면체아이콘 외부로 이동시키는 터치동작이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여(S37f), 그와 같은 터치동작이 발생하였으면 다면체아이콘에서 그 기능을 삭제한다.(S38f)
다면체아이콘에 대한 편집이 이루어지면, 편집이 종료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9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하면 다면체아이콘을 조 작자가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어 사용편리성이 증대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자 하며, 설명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 8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고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는 "g"를 부가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인용하기로 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위치조정 이벤트가 발생(S31g)하면, 자동위치조정 잠금기능이 설정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S32g) 다면체아이콘을 사용함에 있어서, 최초의 기능설정면에 위치하는 기능보다 관련기능면에 위치하는 기능을 보다 빈번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거나 제어부의 판단에 의하여 기능설정면에 위치될 특정 기능을 자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빈번한 위치의 이동은 조작자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동위치조정기능이 활성화되지 않도록 잠금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자동위치조정기능에 대한 잠금기능이 설정되지 않았다면, 현재의 기능설정면이 활성화된 횟수와 각 관련기능면이 활성화된 횟수를 비교한다.(S33g) 즉, 조작자의 선택에 의하여 기능설정면에 위치한 기능이 실행된 횟수와 기능설정면을 제외한 각 면들에 위치한 기능이 실행된 횟수를 비교함을 의미한다.
기능설정면의 기능이 실행된 횟수와 그 외 면의 기능이 실행된 횟수를 비교하여 기능설정면의 기능이 실행된 횟수가 더 많다면, 가장 실행된 횟수가 많은 관련기능면의 기능을 현재의 기능설정면의 기능으로 대체한다.(S34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하면, 가장 사용빈도가 높은 기능이 전면인 기능설정면에 위치하게 되어 조작자의 사용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주로 메시지송수신과 관련된 기능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다면체아이콘에는 다양한 기능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3에 도시된 다면체아이콘 중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e는 도 4a 내지 도 4d 다면체아이콘의 기능을 펼쳐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a 내지 도 6c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a 및 도 13b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a 및 도 15b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a 및 도 17b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9a 내지 도 19h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의 조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a 내지 도 19h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플로우챠트이다.

Claims (20)

  1. 회동 가능하며, 관련된 기능이 적어도 두 개의 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하여 적어도 한 번의 터치(Touch)동작을 포함하는 조작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발생된 조작이벤트에 따라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아이콘은,
    상기 다면체아이콘의 전면이며 활성화 될 수 있는 상기 기능이 표시되는 기능선택면과, 상기 다면체아이콘의 측면인 관련기능면을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관련기능면에 표시된 상기 기능 중 활성화 된 빈도가 높은 상기 기능이 상기 기능선택면에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은,
    상기 디스플레이된 다면체아이콘이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되며 상기 기능선택면이 상기 인접한 기능으로 연속적으로 대체되며 이루어지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는, 상기 기능선택면에 대한 상기 터치가 해제되는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기능선택면에 표시된 상기 기능이 활성화되는 것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선택면에 표시된 상기 기능에 대한 활성화가 종료되면,
    상기 다면체아이콘은 상기 회동 방향과 반대로 회동하여 상기 터치가 가해지기 전의 상기 기능선택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는, 상호 대각선 상에 위치하는 상기 기능선택면의 두 꼭지 점에 대하여 터치를 복수로 한 후 상기 복수의 터치를 유지하며 드래그 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복수의 터치 간의 거리가 상기 드래그에 의하여 이동된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다면체아이콘의 크기가 변화되는 것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터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복수의 터치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임계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다면체아이콘은 실질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면(全面)에 대응되는 크기로 확대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가 설정된 시간 이상 이루어진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인접하여 마련된 근접센서에 의하여 상기 터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 발생하며,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다면체아이콘이 설정된 비율로 확대되는 것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는, 상기 기능선택면의 일 모서리의 양 끝단에 대하여 터치를 복수로 한 후 상기 복수의 터치를 드래그 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다면체아이콘을 이루는 복수개의 상기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펼쳐지는 것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펼쳐진 복수개의 면 중 어느 한 면을 터치하여, 상기 터치된 면에 표시된 상기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선을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며 상기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새로운 상기 다면체아이콘이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는, 상기 다면체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터치를 한 후 상기 터치를 유지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경계선을 내부에서 외부로 통과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터치된 다면체아이콘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삭제되는 것인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는, 상기 다면체아이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편집창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다면체아이콘을 이루는 복수개의 상기 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펼쳐지는 단계; 및
    상기 다면체아이콘에 적용 가능한 기능이 표시된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펼쳐진 면 중 어느 한 면에 드래그 앤 드롭하여, 상기 메뉴의 기능이 상기 드롭된 상기 펼쳐진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하게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펼쳐진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된 상기 기능을 상기 펼쳐진 면의 다른 면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상기 기능이 상기 드롭된 다른 면에 위치하게 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은,
    상기 펼쳐진 면 중 어느 한 면에 위치된 상기 기능을 드래그하여 상기 펼쳐진 면의 외부에서 드롭함으로써 상기 드롭된 기능이 상기 펼쳐진 면에서 삭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방법.
  18. 디스플레이부; 및
    회동 가능하며, 관련된 기능이 상호 인접한 적어도 두 개의 면에 표시된 복수개의 다면체아이콘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어도 한 번의 터치(Touch)를 하는 조작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생된 조작이벤트에 따라 상기 조작이벤트에 대응되는 작동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다면체아이콘이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실질적으로 나란히 표시되는 면에 표시되는 기능이 상기 인접한 기능과 연속적으로 대체되며 상기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터치된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직교좌표계의 어느 하나의 축과 상기 드래그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작은 쪽을 향하여 상기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면체아이콘에 새로운 상기 기능을 추가하거나, 상기 다면체아이콘에 표시된 상기 기능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상기 다면체아이콘에 표시된 상기 기능을 삭제하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KR1020080099491A 2008-10-10 2008-10-10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KR101555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91A KR101555055B1 (ko) 2008-10-10 2008-10-10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US12/493,117 US8286098B2 (en) 2008-10-10 2009-06-26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executable functions on a touch screen display and display method thereof
EP09169008.1A EP2175358B1 (en) 2008-10-10 2009-08-31 Mobile terminal and display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91A KR101555055B1 (ko) 2008-10-10 2008-10-10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406A true KR20100040406A (ko) 2010-04-20
KR101555055B1 KR101555055B1 (ko) 2015-09-22

Family

ID=41066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491A KR101555055B1 (ko) 2008-10-10 2008-10-10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86098B2 (ko)
EP (1) EP2175358B1 (ko)
KR (1) KR1015550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403A (ko) * 2010-07-12 201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KR20130063325A (ko) * 2011-12-06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배열방법
KR20140055510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92995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60037647A (ko) * 2014-09-29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719348A (zh) * 2018-07-13 2020-01-21 商升特公司 智能邻近检测器
US10635297B2 (en) 2013-04-02 2020-04-28 Facebook, Inc. Interactive elements in a user interfa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67B1 (ko) 2006-07-13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갖는 영상기기 및 이 영상기기에서 줌 기능을수행하는 방법
KR101445645B1 (ko) * 2007-08-03 2014-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이템 매칭기능을 구비한 방송수신장치 및사용자입력장치, 그리고 아이템 매칭방법
US8086275B2 (en) * 2008-10-23 2011-12-27 Microsoft Corporation Alternative inputs of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8237583B2 (en) * 2008-11-05 2012-08-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vital display systems
KR20110026066A (ko) * 2009-09-07 201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면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333321B2 (ja) * 2009-09-30 2013-11-0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631912B1 (ko) * 2009-11-03 2016-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922625B2 (en) * 2009-11-19 2014-12-3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10059009A (ko) * 2009-11-27 2011-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메뉴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1096702A2 (ko) * 2010-02-03 2011-08-1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8966395B2 (en) * 2010-03-03 2015-02-2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097563A1 (en) * 2010-06-24 2013-04-18 Associacao Instituto Nacional De Matematica Pura E Aplicada Multidimensional-data-organization method
US8443300B2 (en) 2010-08-24 2013-05-14 Ebay Inc. Three dimensional navigation of listing information
CN101924809A (zh) * 2010-08-26 2010-12-22 北京播思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触摸屏的智能三维拨号盘及快捷拨号方法
KR101780020B1 (ko) 2010-09-02 2017-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JP5664036B2 (ja) * 2010-09-07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KR101728725B1 (ko) * 2010-10-04 2017-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146426B2 (en) * 2010-11-09 2018-12-04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input for controlling displayed information
KR20120086031A (ko) * 2011-01-25 2012-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1841121B1 (ko) * 2011-02-17 2018-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JP5821227B2 (ja) * 2011-03-17 2015-11-24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楽装置及び信号処理特性制御プログラム
KR101728728B1 (ko) * 2011-03-18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69439B2 (en) 2011-04-11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ustomized navigation
US9360991B2 (en) * 2011-04-11 2016-06-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ree-dimensional icons for organizing, invoking, and using applications
GB2490108B (en) 2011-04-13 2018-01-17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user control of a state of an apparatus
US8854321B2 (en) * 2011-05-02 2014-10-07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facilitating data entry by way of a touch screen
US9202297B1 (en) * 2011-07-12 2015-12-01 Domo, Inc. Dynamic expansion of data visualizations
US9792017B1 (en) 2011-07-12 2017-10-17 Domo, Inc. Automatic creation of drill paths
JP5849490B2 (ja) * 2011-07-21 2016-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417754B2 (en) *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2981719B (zh) * 2011-08-19 2017-03-01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参数设定方法及系统
TWI457818B (zh) * 2011-09-09 2014-10-2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一種電子裝置的使用者介面
WO2013067392A1 (en) * 2011-11-02 2013-05-10 Hendricks Investment Holdings, Llc Device navigation icon and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810468B1 (ko) 2011-11-28 2017-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WO2013082695A1 (en) * 2011-12-08 2013-06-13 Exopc Method for improving an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3d touch screen display
CN103164121B (zh) * 2011-12-19 2016-07-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软件界面展示的方法和装置
CN102567524B (zh) * 2011-12-29 2018-05-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立体旋转浏览的实现方法和装置
US10074345B2 (en) * 2012-02-20 2018-09-11 Pantech Inc. Mobile terminal having a multifaceted graphical object and method for performing a display switching operation
US20130222363A1 (en) * 2012-02-23 2013-08-29 Htc Corporation Stereoscopic ima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015582B2 (en) * 2012-05-01 2015-04-21 Kabushiki Kaisha Toshiba User interface for reordering thumbnails
US9069455B2 (en) * 2012-06-22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3D user interface for application entities
US9069932B2 (en) * 2012-07-06 2015-06-30 Blackberry Limited User-rotatable three-dimensionally rendered object for unlocking a computing device
TW201405408A (zh) * 2012-07-27 2014-02-01 Hon Hai Prec Ind Co Ltd 功能方塊實現方法及系統
GB2505642B (en) * 2012-08-29 2015-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forming actions through a user interface
US9898183B1 (en) * 2012-09-19 2018-02-20 Amazon Technologies, Inc. Motions for object rendering and selection
US9098127B2 (en) * 2012-10-17 2015-08-04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9448694B2 (en) * 2012-11-09 2016-09-20 Intel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pplications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WO2014142807A1 (en) * 2013-03-12 2014-09-18 Intel Corporation Menu system and interactions with an electronic device
US20140282073A1 (en) * 2013-03-15 2014-09-18 Micro Industries Corporation Interactive display device
EP2799968A1 (en) * 2013-05-03 2014-11-05 i-POL GmbH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electronic content
CN104142775A (zh) * 2013-05-08 2014-11-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功能项快捷操作的实现方法
KR20140133361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40133357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20140133353A (ko) * 2013-05-10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ui 화면 제공 방법
KR102305362B1 (ko) * 2013-09-03 2021-09-24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 조작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KR20180128091A (ko) 2013-09-03 2018-11-30 애플 인크. 자기 특성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503388B2 (en)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201731B1 (ko) 2013-09-26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택타일 피드백을 발생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15043653A1 (de) * 2013-09-27 2015-04-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wend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anwenders bei der bedienung einer bedieneinheit
KR102138515B1 (ko) * 2013-10-01 2020-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R3014235B1 (fr) * 2013-12-04 2016-01-01 Thales Sa Affichage d'informations sur un terminal d'operateur d'un systeme de mission
US10303324B2 (en) * 2014-02-10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display three dimensional (3D) virtual spa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DE102014211340A1 (de) * 2014-06-13 2015-12-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Kraftfahrzeug-Komfortsystems
WO2015200889A1 (en) 2014-06-27 2015-12-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CN104049867B (zh) * 2014-06-27 2017-12-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090717B (zh) * 2014-07-10 2017-06-06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在电子设备中切换界面的方法及设备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TWI582641B (zh) 2014-09-02 2017-05-11 蘋果公司 按鈕功能性
CN113824998A (zh) 2014-09-02 2021-12-2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WO2016039570A1 (en) * 2014-09-12 2016-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s through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GB2530078A (en) * 2014-09-12 2016-03-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Launching applications through an application selection screen
DE102014218920A1 (de) * 2014-09-19 2016-03-24 Siemens Schweiz Ag Erweiterte Bedienfunktion von grafischen Bedienoberflächen
KR102215997B1 (ko) * 2014-10-30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5677305B (zh) * 2014-11-18 2020-01-21 华为终端有限公司 图标管理的方法、装置及终端
SE538519C2 (en) * 2014-12-09 2016-09-06 Adssets AB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simulating a three dimensional display of data on a two dimensional display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US10013406B2 (en) * 2015-05-18 2018-07-03 Sap Se Flip-to-edit container
CN106325655B (zh) * 2015-06-19 2020-04-03 深圳超多维科技有限公司 应用于触摸终端的3d应用图标交互方法及触摸终端
US9817570B2 (en) 2015-11-17 2017-11-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keyboard with rotatable keys
US9854156B1 (en) 2016-06-12 2017-12-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amera effects
DK180859B1 (en) 2017-06-04 2022-05-23 Apple Inc USER INTERFACE CAMERA EFFECTS
US20190073111A1 (en) * 2017-09-05 2019-03-07 Future Mobility Corporation Limited Methods and systems using a rotatable three-dimensional object providing visual user information on a display
CN108765299B (zh) * 2018-04-26 2022-08-1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立体图形标记系统及方法
US11722764B2 (en) 2018-05-07 2023-08-08 Apple Inc. Creative camera
US10375313B1 (en) 2018-05-07 2019-08-06 Apple Inc. Creative camera
DK179896B1 (en) 2018-09-11 2019-08-30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DK201870623A1 (en) 2018-09-11 2020-04-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SIMULATED DEPTH EFFECTS
US10674072B1 (en) 2019-05-06 2020-06-0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770601B2 (en) 2019-05-06 2023-09-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US11321857B2 (en) 2018-09-28 2022-05-03 Apple Inc. Displaying and editing images with depth information
US11128792B2 (en) 2018-09-28 2021-09-21 Apple Inc.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with multiple focal planes
US11706521B2 (en) 2019-05-06 2023-07-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capturing and managing visual media
CN110502164B (zh) * 2019-07-30 2021-05-1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界面显示方法及电子设备
CN111638824B (zh) * 2020-05-27 2022-02-11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未读消息的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11039074B1 (en) 2020-06-01 2021-06-1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media
US11212449B1 (en) 2020-09-25 2021-12-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edia capture and management
US11539876B2 (en) 2021-04-30 2022-12-27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US11778339B2 (en) 2021-04-30 2023-10-0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ltering visual media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1852B1 (en) * 1999-01-08 2001-12-18 Ati International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hree dimensional object on live video
US7134095B1 (en) * 1999-10-20 2006-11-07 Gateway, Inc. Simulated three-dimensional navigational menu system
JP2002175139A (ja) * 2000-12-07 2002-06-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メニュー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US7216305B1 (en) * 2001-02-15 2007-05-08 Denny Jaeger Storage/display/action object for onscreen use
KR100608589B1 (ko) * 2004-07-24 2006-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643276B1 (ko) * 2004-08-0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이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JP2007041726A (ja) * 2005-08-01 2007-02-15 Ricoh Co Ltd 表示処理装置、表示処理方法及び表示処理プログラム
KR100746008B1 (ko) * 2005-10-31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모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및 방법
US7725839B2 (en) * 2005-11-15 2010-05-25 Microsoft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active file explorer
US7509588B2 (en) *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KR100860034B1 (ko) * 2007-04-20 2008-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단말기의 배경 화면 설정 방법및 이들을 이용한 단말기
US20100031202A1 (en) * 2008-08-04 2010-02-04 Microsoft Corporation User-defined gesture set for surface computing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6403A (ko) * 2010-07-12 201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멀티터치를 이용한 객체 표시 제어 방법
KR20130063325A (ko) * 2011-12-06 2013-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배열방법
KR101879333B1 (ko) * 2011-12-06 2018-07-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배열방법
KR20140055510A (ko) * 2012-10-31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10635297B2 (en) 2013-04-02 2020-04-28 Facebook, Inc. Interactive elements in a user interface
KR20150092995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60037647A (ko) * 2014-09-29 201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0719348A (zh) * 2018-07-13 2020-01-21 商升特公司 智能邻近检测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75358B1 (en) 2018-03-07
US8286098B2 (en) 2012-10-09
EP2175358A2 (en) 2010-04-14
EP2175358A3 (en) 2013-04-10
KR101555055B1 (ko) 2015-09-22
US20100093400A1 (en)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055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US11320959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774869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65268B2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4259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502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20110058117A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12989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정보 표시 방법
KR2011004565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00028699A (ko) 식별모듈 전환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1002880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아이템 설정 방법
KR2010006225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KR2012000740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50066422A (ko)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10009944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정보처리방법
KR2010002754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스티커 기능 수행방법
KR2010004920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20100042107A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표시정보 제어방법
KR201000557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표시방법
KR10201855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050828A (ko)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2010004193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102068799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00125632A (ko) 아이콘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10020998A (ko) 유저 인터페이스와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