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0361A - 마스터실린더 - Google Patents

마스터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0361A
KR20100040361A KR1020080099412A KR20080099412A KR20100040361A KR 20100040361 A KR20100040361 A KR 20100040361A KR 1020080099412 A KR1020080099412 A KR 1020080099412A KR 20080099412 A KR20080099412 A KR 20080099412A KR 20100040361 A KR20100040361 A KR 20100040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ydraulic chamber
oil
sealing member
cylin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8009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0361A/ko
Publication of KR20100040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3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0Tandem, side-by-side, or other multiple master cylind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24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with pressure-varying means, e.g. with two stage operation provided by use of different piston diameters including continuous variation from one diameter to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1/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 B60T11/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out power assistance or drive or where such assistance or drive is irrelevant transmitting by fluid means, e.g. hydraulic
    • B60T11/16Master control, e.g. master cylinders
    • B60T11/236Piston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동해제 시 피스톤의 연통구와 오일탱크 측의 유로가 신속히 연통되는 마스터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마스터실린더에서는 피스톤에 마련되는 상기 복수 개의 연통구들의 형상을 변경하여, 제동해제 시 피스톤의 연통구와 오일탱크 측의 유로가 신속히 연통되도록 하여 피스톤의 무의미한 후퇴동작 및 제동해제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마스터실린더{MASTER CYLINDER}
본 발명은 마스터실린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동해제 시 피스톤의 연통구와 오일탱크 측의 유로가 신속히 연통되는 마스터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마스터실린더는 유압식 브레이크시스템에서 유압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도 1은 차량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텐덤형 마스터실린더와 오일탱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는 실린더본체(1)와, 실린더본체(1)의 보어(2) 내부에 진퇴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제1피스톤(3)과 제2피스톤(4)을 구비한다.
제1피스톤(3) 및 제2피스톤(4)은 오일탱크(5)와 연통된 제1 및 제2오일유입구(6)를 통하여 제1액압실(7)과 제2액압실(8) 쪽으로 오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 개의 연통구들(9)을 각각 구비한다.
제1피스톤(3) 및 제2피스톤(4)이 전진하면, 제1 및 제2오일유입구(6)와 복수 개의 연통구들(9)들 사이의 연통은 실링부재들(11)에 의해 차단되고, 제1액압실(7) 및 제2액압실(8)의 액압은 상승한다.
반대로, 제1피스톤(3) 및 제2피스톤(4)이 후퇴하면, 복수 개의 연통구(9)들은 실링부재들(11) 후방으로 각각 이동되어 제1 및 제2오일유입구(5, 6)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제1액압실(7) 및 제2액압실(8)의 오일이 오일탱크(5) 쪽으로 복귀하여 제1액압실(7) 및 제2액압실(8) 내부의 액압이 하강하여, 제동압이 해제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1)들은 링형태로 마련되며 실린더본체(1)의 수용홈(1a)에 설치된다. 실링부재(11)는 피스톤(4)의 외면에 접하는 내측날개부(11a)와 수용홈(1a) 내면에 접하는 외측날개부(11b)를 구비하고 컵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므로 이른바 컵실이라고도 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부재(11)는 피스톤(4)이 전진할 때 그 내면에 액압실(8)의 압력이 작용하므로 내측날개부(11a) 및 외측날개부(11b)가 피스톤(4) 외면과 수용홈(1a) 내면에 밀착되어 오일의 유통을 차단함으로써 액압실(8)의 압력이 상승하도록 한다. 액압실(8)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내측 및 외측날개부(11a,11b)의 변형도 커져 밀착력도 커진다.
그러나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4)이 후퇴하는 경우에도 액압에 의해 실링부재(11)의 변형상태가 유지되어 내측날개부(11a)가 연통구(9)을 막아 오일의 복귀경로를 차단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3)이 소정구간 무의미하게 후퇴하는 동작(Lost travel)을 야기하고, 제동해제를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하절기에 오일의 온도가 상승하여 액압실(8) 압력이 높아질 경우 심화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동해제 시 피스톤의 연통구와 오일탱크 측의 유로가 신속히 연통되도록 하여 피스톤의 무의미한 후퇴동작 및 제동해제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터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실린더는 오일유입구 및 액압실을 구비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오일유입구와 상기 액압실을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연통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본체의 보어에서 진퇴하며 액압실 내부의 압력을 승강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본체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기 연통구를 통한 오일의 유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통구들의 실링부재측 입구는 피스톤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각 연통구들은 실링부재측 입구 직경이 액압실측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연통구들의 직경은 액압실측 입구에서 실링부재측 입구를 향해,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다가, 점점 더 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실린더에서는, 제동해제 시에 액압실의 압력이 연통구들을 통해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연통구의 형상을 개선하여, 실링부재와 피스톤 사이의 밀착력을 완화시켜 연통구의 개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동해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피스톤의 무의미한 후퇴동작 및 제동해제지연이 최소화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본체 및 후퇴 중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4b는 도 3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실린더는 내부에 보어(21)가 형성된 실린더본체(20)와, 실린더본체(20)의 보어(21) 내부에 각각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린더본체(20) 보어(21)의 내주면과 피스톤(30, 40)의 외주면 사이에는 오일의 누설을 방지하고, 고압의 액압을 형성하기 위하여 실링부재(50)가 마련된다.
보어(21)의 내면과 제1피스톤(30)의 외면 사이에는 제1실링부재(51) 및 제2실링부재(52)가 각각 설치되고, 보어(21)의 내면과 제2피스톤(40)의 외면 사이에는 제3실링부재(53) 및 제4실링부재(54)가 각각 설치된다. 각 실링부재(51, 52, 53, 54)는 각 피스톤(30, 40)이 진퇴하는 경우에도 움직이지 않도록 보어(21)의 내면에 형성된 수용홈(22)들에 설치된다. 이때, 제2실링부재(52) 및 제4실링부재(54)는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의 진퇴동작에 따라 후술되는 연통구(100, 100')를 통한 오일의 유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이에 의해 제1액압실(23) 및 제2액압실(24)의 액압이 상승하게 된다.
실린더본체(20)는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 사이에 형성되는 제1액압실(23)과, 제2피스톤(40) 및 보어(21)의 말단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액압실(24)을 구비한다.
또한, 실린더본체(20)에는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에 의해 제1액압실(23) 및 제2액압실(24)이 가압될 때 제1액압실(23) 및 제2액압실(24)의 오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액압실(23) 쪽에 제1오일배출구(25)이 형성되고, 제2액압실(24) 쪽에 제2오일배출구(26)이 형성된다. 제1액압실(23) 및 제2액압실(24)의 오일은 제1오일배출구(25) 및 제2오일배출구(26)으로 배출되어 바퀴 측의 휠 실린더(미도시) 등으로 공급된다.
또한, 실린더본체(20)는 제1오일유입구(27) 및 제2오일유입구(28)를 구비하고, 제1오일유입구(27) 및 제2오일유입구(28)는 실린더본체(20)의 상부에 마련된 오일탱크(60)와 연결된다.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직렬연결되고, 실린더본체(20)의 보어(21) 내부에서 진퇴하며 제1액압실(23) 및 제2액압실(24)의 압력을 승강시킨다.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은 제동동작 종료 후 제1피스톤(30) 및 제2 피스톤(40)을 복원시키기 위한 제1복원스프링(71) 및 제2복원스프링(72)이 설치되는 스프링수용홈(31, 41)을 각각 구비한다.
이때,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의 각 스프링수용홈(31, 41)에는 지지부(32, 42)가 마련되고, 각 지지부(32, 42)에는 제1복원스프링(71) 및 제2복원스프링(72)을 일측에서 지지하는 리테이너(33, 43)가 진퇴가능 하도록 끼워진다. 미설명 부호 35, 45는 리테이너(33, 43)의 이탈방지를 위해 지지부(32, 42)에 끼워지는 스탭링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제1복원스프링(71) 및 제2복원스프링(72)은 일단이 스프링수용홈(31, 41)의 내부에 지지되고 타단이 각 리테이너(33, 43)의 플랜지형 단부(34, 44)에 지지된다.
또한, 제1피스톤(30)은 제1액압실(23)과 제1오일유입구(27)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연통구(100)들을 더 구비하고, 제2피스톤(40)은 제2액압실(24)과 제2오일유입구(28)를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연통구(100')들을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통구를 제1피스톤(30)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하기 내용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2피스톤(4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연통구(110)의 실링부재측 입구(111)는 제1피스톤(3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경사진 형태의 연장부(112)를 구비한다. 이때, 연장부(112)는 연통구(110)의 일측을 절삭가공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30)의 후퇴동작이 시작되면, 액압이 남아있더라도 실링부재(52)와 피스톤의 접촉이 연장부(112)의 존재로 인해서 빨리 분리 되고, 제1오일유입구(27)와 연통되어 다량의 오일이 연통구(100)들을 통해 유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마스터실린더에서는, 연통구(100)들에 연장부(112)를 형성함으로써, 실링부재와 피스톤 사이의 밀착력을 완화시켜 연통구의 개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동해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연장부는 종래의 연통구를 절삭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는 바, 그 가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다음은 이러한 마스터실린더의 전체적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피스톤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동작에 의하여 제1피스톤(30)이 가압되면, 제1피스톤(30)이 전진하면서 제1액압실(23)을 가압하고, 제1액압실(23)이 가압되면 제1복원스프링(71) 및 제1액압실(23)의 압력에 의해 제2피스톤(40)이 가압되어 전진하며, 이에 따라 제2액압실(24)이 가압된다. 이때, 제2실링부재(52) 및 제4실링부재(54)는 제1 및 2액압실(23, 24)과 제1 및 제2오일유입구(27, 28)의 연통을 차단하며, 이에 따라 제1액압실(23) 및 제2액압실(24)의 압력이 상승한다. 그리고, 제1액압실(23) 및 제2액압실(24)의 오일은 제1오일배출구(25) 및 제2오일배출구(26)을 통하여 바퀴 측의 휠 실린더(미도시) 등으로 공급되어 제동이 이루어진다.
제동해제 시(도 3, 도 4a 및 도 4b 참조)에는, 제1복원스프링(71)과 제2복원스프링(72)의 탄성에 의해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이 후방으로 밀리므로 제1피스톤(30) 및 제2피스톤(40)의 원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진다. 이때 연통구(100)들에 연장부(112)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연통구(100, 100')와 제1 및 제2오일유입구(27, 28)와의 연통 및 제동해제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본체 및 후퇴 중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본체 및 후퇴 중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도 6b, 7b는 도 4b에 대응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며, 이하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에 대한 내용은 이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연통구(200)들의 실링부재측 입구(211)는 제1피스톤(30)의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슬릿형태의 연장부(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릿형태의 연장부(212)의 역할은 제1실시예의 경사진 형태의 연장부(112)와 같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연통구(310, 311)의 실링부재쪽(311) 입구의 직경(D1)은 액압실(310)쪽 입구의 직경(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직경이 커진만큼 제동해제 시 액압이 남아있더라도 실링부재와 피스톤(30) 사이에 접촉의 분리가 원활하게 되어, 다량의 오일이 연통구(310, 311)들을 통해 유출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실시 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연통구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터 실린더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피스톤의 전진상태를 나타낸다.
도 2c은 도 2a에 대응되는 단면도로서, 피스톤의 후퇴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본체 및 후퇴 중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피스톤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본체 및 후퇴 중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7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본체 및 후퇴 중의 피스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0 실린더본체 21 보어
23 제1액압실 24 제2액압실
25 제1오일배출구 26 제2오일배출구
27 제1오일유입공 28 제2오일유입공
30 제1피스톤 40 제2피스톤
32 지지부 33 리테이너
34 단부 35 스탭링
100 연통구 110 연통구
111 실링부재쪽 입구 112 연장부

Claims (5)

  1. 오일유입구 및 액압실을 구비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오일유입구와 상기 액압실을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연통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본체의 보어에서 진퇴하며 액압실 내부의 압력을 승강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본체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기 연통구를 통한 오일의 유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통구들의 실링부재측 입구는 피스톤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슬릿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4. 오일유입구 및 액압실을 구비하는 실린더본체;와,
    상기 오일유입구와 상기 액압실을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연통구들을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본체의 보어에서 진퇴하며 액압실 내부의 압력을 승강시키는 피스 톤;과,
    상기 실린더본체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의 상기 연통구를 통한 오일의 유통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각 연통구들은 실링부재측 입구 직경이 액압실측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연통구들의 직경은 액압실측 입구에서 실링부재측 입구를 향해, 동일한 크기를 유지하다가, 점점 더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터 실린더.
KR1020080099412A 2008-10-10 2008-10-10 마스터실린더 KR201000403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12A KR20100040361A (ko) 2008-10-10 2008-10-10 마스터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412A KR20100040361A (ko) 2008-10-10 2008-10-10 마스터실린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361A true KR20100040361A (ko) 2010-04-20

Family

ID=4221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412A KR20100040361A (ko) 2008-10-10 2008-10-10 마스터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03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058A (ko) * 2013-09-09 2015-03-18 주식회사 만도 마스터 실린더의 실링부재
WO2016085209A1 (ko) * 2014-11-28 2016-06-02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9058A (ko) * 2013-09-09 2015-03-18 주식회사 만도 마스터 실린더의 실링부재
WO2016085209A1 (ko) * 2014-11-28 2016-06-02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CN107000719A (zh) * 2014-11-28 2017-08-01 怡来汽车零部件系统株式会社 车辆的主缸
US10252706B2 (en) 2014-11-28 2019-04-09 Erae Ams Co., Ltd. Master cylinde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956B1 (ko) 마스터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이를 갖춘 마스터실린더
KR100814180B1 (ko) 컵 시일 및 이것을 이용한 마스터 실린더
JP2004521799A (ja) 密封及び補給シールを備えたマスターシリンダ
KR101557434B1 (ko) 마스터 실린더용 피스톤
US7055322B2 (en) Master cylinder
KR101207805B1 (ko) 마스터실린더용 피스톤 및 이를 갖춘 마스터실린더
US3165896A (en) Hydraulic brake
KR20100040361A (ko) 마스터실린더
KR101043897B1 (ko) 마스터 실린더용 실링부재 및 이를 갖춘 마스터 실린더
KR20170037099A (ko) 브레이크 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20100030463A (ko) 마스터실린더
US9862367B2 (en) Master cylinder for brake system
US7344203B2 (en) Master cylinder
KR101307801B1 (ko) 마스터실린더
KR20080086654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20080086651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101702835B1 (ko) 마스터 실린더의 실링부재
KR101134900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101134903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20120047462A (ko) 마스터실린더용 피스톤 및 이를 갖춘 마스터실린더
KR101561956B1 (ko) 차량용 마스터 실린더
KR20120047463A (ko) 마스터실린더용 피스톤 및 이를 갖춘 마스터실린더
KR101193243B1 (ko) 브레이크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KR20080088053A (ko) 브레이크시스템용 마스터실린더
JP5597448B2 (ja) マスタシリ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