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9395A -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수계 농축 생성물 형태 - Google Patents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수계 농축 생성물 형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9395A
KR20100039395A KR1020107002757A KR20107002757A KR20100039395A KR 20100039395 A KR20100039395 A KR 20100039395A KR 1020107002757 A KR1020107002757 A KR 1020107002757A KR 20107002757 A KR20107002757 A KR 20107002757A KR 20100039395 A KR20100039395 A KR 20100039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s
formula
absorber
absorbers
soluble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뮐러
브리기테 린데만
베른트 헤르초크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00039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93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5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aromatic, i.e. the carboxylic acid directly linked to the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Triazol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benzotr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66Triazine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V 방사선의 손상 효과로부터 인간 및 동물의 모발 및 피부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b)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디페닐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벤조푸란 유도체, 1개 이상의 유기규소 라디칼을 포함하는 중합체 UV 흡수제, 신남산 유도체, 캄포르 유도체, s-트리아진 유도체, 트리아닐리노-s-트리아진 유도체,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및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의 존재하에
(a)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불균일상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된 중합체 담체
를 포함하고, 중합체 담체 (a)에 대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의 중량비가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 부 초과인, 평균 입도 1000 nm 미만의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은 예기치 못한 높은 선스크린 효과 및 긍정적인 피부 느낌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수계 농축 생성물 형태 {WATER BASED CONCENTRATED PRODUCT FORMS OF OIL-SOLUBLE ORGANIC UV ABSORBERS}
본 발명은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존재하에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불균일상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되고, 중합체 담체에 대한 UV 흡수제의 중량비가 중합체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 부 초과인,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입도 1000 nm 미만의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이러한 수성 분산액의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수성 분산액은 미용 용도, 바람직하게는 선스크린제(sunscreen)에 유용한 성분이다.
수성 상 중에서의 미용 UV 보호용으로 등록된 UV 필터의 수는 매우 적다. 불행히도, 이들 UV 흡수제의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다. 예를 들어, 널리 공지된 UV 흡수제인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PBSA)은 매우 좁은 pH 범위 > 7.2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중성 pH를 특징으로 하는 제제는 이들 UV 필터를 이용할 수 없다.
이와 동시에, 유상 및 수상 중에서 균형을 이룬 UV 필터 조합물이 유상 또는 수상 중에만 UV 필터를 포함하는 제제에 비해 특히 높은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제는 내수성이 거의 없다.
본 발명에 이르러, UV 흡수제의 존재하에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불균일상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되고, UV 흡수제와 중합체 담체 사이의 중량비가 중합체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 부 초과인 입도 1000 nm 미만의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이 예기치 못한 높은 선스크린 효과 및 긍정적인 피부 느낌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UV 방사선의 손상 효과로부터 인간 및 동물의 모발 및 피부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b)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디페닐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벤조푸란 유도체, 1개 이상의 유기규소 라디칼을 포함하는 중합체 UV 흡수제, 신남산 유도체, 캄포르 유도체, s-트리아진 유도체, 트리아닐리노-s-트리아진 유도체,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및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의 존재하에
(a)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불균일상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된 중합체 담체
를 포함하고, 중합체 담체 (a)에 대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의 중량비가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 부 초과인, 평균 입도 1000 nm 미만의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용도이다.
바람직하게는, 분산액 중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담체의 농도는 20% 내지 60% b.w.이다.
임의로,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종 초과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사용된다. 중합이 2종 이상의 단량체로 수행되는 경우, 1종 이상의 단량체는 2개의 불포화 관능기를 보유하여 특정한 정도의 가교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관능성 단량체의 양은 단량체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에서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중합체 담체에 대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중량비가 100 부 당 80 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부 당 100 부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부 당 120 부 초과인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용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중합체 담체에 대한 지용성 UV 흡수제의 중량비는 중합체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0 부 내지 중합체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100 부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도는 500 n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nm 미만이다.
소적(droplet) (유/수 에멀젼) 및 또한 입자 (중합체 분산액)의 크기는 동적 광 산란 (DLS) 기술 (또한, 광자 상관 분광법 (PSC) 또는 준-탄성 광 산란법 (QELS)이라고도 공지되어 있음)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측정을 위해서, 예를 들어 90°의 고정된 산란 각을 갖는 니콤프(NICOMP) 입도 측정기 (니콤프 모델 380,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 바바라 소재의 파티클 사이징 시스템(Particle Sizing System))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으로 평균 직경 DINT (세기 가중)가 유도된다.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총 고체 함량은 수성 분산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예를 들어 20 중량% 초과, 예를 들어 30 중량% 초과,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초과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총 고체 함량은 수성 분산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중량% 초과이다.
본 발명에서 성분 (b)로서 사용되는 지용성 UV 흡수제는 여러 부류의 널리 공지된 유기 UV 필터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보호 물질은 예를 들어 GB-A-2,286,774에 기재되어 있고, 또는 별법으로는 문헌 [Cosmetics & Toiletries (107), 50 et seq. (1992)]에서 공지되어 있다.
하기하는 화합물은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의 예이다:
4-아미노벤조산 (PABA), 화학식
Figure pct00001
의 에틸디히드록시프로필-PABA, 화학식
Figure pct00002
(여기서, m, n 및 x는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각각 최대 25임)의 PEG-25-PABA, 화학식
Figure pct00003
의 옥틸디메틸 PABA, 및 화학식
Figure pct00004
의 글리실 아미노-벤조에이트.
하기하는 화합물은 살리실산 유도체의 예이다:
화학식
Figure pct00005
의 호모멘틸 살리실레이트, 화학식
Figure pct00006
의 트리에탄올아민 살리실레이트, 화학식
Figure pct00007
의 아밀 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화학식
Figure pct00008
의 옥틸 살리실레이트, 및 화학식
Figure pct00009
의 4-이소프로필벤질 살리실레이트.
하기하는 화합물은 벤조페논 유도체의 예이다:
벤조페논-3-(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벤조페논-4-(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술폰산), 및 벤조페논-8-(2,2'-디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하기하는 화합물은 디페닐 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예이다:
옥토크릴렌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옥토크릴렌 (에틸-2-시아노-3,3'-디페닐 아크릴레이트).
하기하는 화합물은 벤조푸란 유도체의 예이다:
3-(벤조푸라닐)-2-시아노아크릴레이트, 2-(2-벤조푸라닐)-5-tert-부틸-벤족사졸 및 2-(p-아미노페닐)벤조푸란, 및 특히 화학식
Figure pct00010
또는
Figure pct00011
의 화합물.
하기하는 화합물은 1개 이상의 유기규소 라디칼을 함유하는 중합체 UV 흡수제의 예이다:
벤질리덴 말로네이트 유도체, 특히 화학식
Figure pct00012
(여기서, R24는 수소 또는 메톡시이고, r은 대략 7임)의 화합물, 화학식
Figure pct00013
의 화합물, 또는
Figure pct00014
.
하기하는 화합물은 신남산 에스테르의 예이다:
옥틸 메톡시신나메이트 (4-메톡시신남산 2-에틸헥실 에스테르), 디에탄올아민 메톡시신나메이트 (4-메톡시신남산의 디에탄올아민 염),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4-에톡시신남산 2-이소아밀 에스테르), 2,5-디이소프로필메틸 신나메이트 및 신남산 아미도 유도체.
하기하는 화합물은 캄포르 유도체의 예이다:
4-메틸-벤질리덴캄포르 [3-(4'-메틸)벤질리덴보르난-2-온], 3-벤질리덴캄포르 (3-벤질리덴보르난-2-온), 폴리아크릴아미도메틸벤질리덴캄포르 {N-[2(및 4)-2-옥시보른-3-일리덴-메틸)벤질]아크릴아미드 중합체}, 트리모늄-벤질리덴캄포르 술페이트 [3-(4'-트리메틸암모늄)-벤질리덴보르난-2-온 메틸 술페이트], 테레프탈리덴 디캄포르술폰산 {3,3'-(1,4-페닐렌디메틴)-비스(7,7-디메틸-2-옥소-바이시클로[2.2.1]헵탄-1-메탄술폰산} 또는 그의 염, 및 벤질리덴캄포르술폰산 [3-(4'-술포)벤질리덴보르난-2-온] 또는 그의 염.
하기하는 화합물은 트리아닐리노-s-트리아진 유도체의 예이다:
옥틸 트리아진-[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1'-옥시)-1,3,5-트리아진, 및 US-A-5 332 568, US-A-5 252 323, WO 93/17002 및 WO 97/03642 및 EP-A-0 517 104에 기재된 트리아닐리노 s-트리아진 유도체.
하기하는 화합물은 s-트리아진 화합물의 예이다:
2-(4'-메톡시페닐)-4,6-비스(2'-히드록시-4'-n-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4-(3-(2-프로필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4-(2-메톡시에틸카르복실)-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 2,4-비스{[4-(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4-(2"-메틸프로페닐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4-(1',1',1',3',5',5',5'-헵타메틸트리실릴-2"-메틸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4-(3-(2-프로필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6-[4-에틸카르복실)-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 또는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6-(1-메틸피롤-2-일)-1,3,5-트리아진.
하기하는 화합물은 벤조트리아졸의 예이다: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하기하는 UV 흡수제가 사용된다:
(b1) 화학식 (1)
Figure pct00015
의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b2) 화학식 (2)
Figure pct00016
의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b3) 화학식 (3)
Figure pct00017
의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b4) 화학식 (4)
Figure pct00018
의 부틸 메톡시디벤조일 메탄, (b5) 화학식 (5)
Figure pct00019
의 2-시안-3,3-디페닐아크릴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b6) 화학식 (6)
Figure pct00020
의 트리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b7) 화학식 (7)
Figure pct00021
의 벤조페논-3, (b8) 화학식 (8)
Figure pct00022
의 벤조페논-4, (b9) 화학식 (9)
Figure pct00023
의 폴리실리콘-15, (b10) 화학식 (10)
Figure pct00024
의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 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b11) 화학식 (11)
Figure pct00025
의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b12) 화학식 (12)
Figure pct00026
의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b13) 화학식 (13)
Figure pct00027
의 에틸헥실 디메틸 PABA, (b14) 화학식 (14)
Figure pct00028
의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b15) 화학식 (15)
Figure pct00029
의 에틸헥실 트리아존, (b16) 화학식 (16)
Figure pct00030
의 호모살레이트, (b17) 화학식 (17)
Figure pct00031
의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b18) 화학식 (18)
Figure pct00032
의 4-메틸벤질리덴캄포르, 또는 (b1) 내지 (b18)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의 UV 흡수제 (b2)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UV 흡수제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UV 흡수제의 하기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 화학식 (1), (2) 및 (3)의 UV 흡수제 (b1), (b2) 및 (b3)의 혼합물,
- 화학식 (4) 및 (5)의 UV 흡수제 (b4) 및 (b5)의 혼합물,
- 화학식 (1) 및 (2)의 UV 흡수제 (b1) 및 (b2)의 혼합물,
- 화학식 (2) 및 (6)의 UV 흡수제 (b2) 및 (b6)의 혼합물,
- 화학식 (2) 및 (3)의 UV 흡수제 (b2) 및 (b3)의 혼합물,
- 화학식 (2), (3) 및 (6)의 UV 흡수제 (b2), (b3) 및 (b6)의 혼합물.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는 실온 및 대기압에서 수용해도가 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미만이다.
수용해도와 단량체 소적 중의 용해도 사이의 정확한 균형은 중합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극성이 log p의 값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분배 계수 log p (옥타놀/물)는 예를 들어 화학적 화합물의 환경적 영향을 등급화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파라미터이다. 이의 산출법은 문헌 [W. M. Meylan, P. H. Howard in J. Pharmaceutical Sciences 84, (1995), 83-92]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내용상,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는 바람직하게는 log p 값이 log p = 2 초과이다.
예를 들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스티렌, 치환된 스티렌, 공액 디엔, 아크롤레인,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피롤리돈, 비닐이미다졸, 말레산 무수물, (알킬)아크릴산 무수물, (알킬)아크릴산 염, (알킬)아크릴산 에스테르, (알킬)아크릴로니트릴, (알킬)아크릴아미드, 비닐 할로겐화물 또는 비닐리덴 할로겐화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는 화학식 (19) CH2=C(Ra)-(C=Z)-Rb (여기서, Z는 O 또는 S이고, Ra는 수소 또는 C1-C4알킬이고, Rb는 NH2, O-(Me+), 글리시딜, 치환되지 않은 C1-C18알콕시, 1개 이상의 N 및/또는 O 원자가 개재된 C2-C100알콕시, 또는 히드록시-치환된 C1-C18알콕시, 치환되지 않은 C1-C18알킬아미노, 디(C1-C18알킬)아미노, 히드록시-치환된 C1-C18알킬아미노 또는 히드록시-치환된 디(C1-C18알킬)아미노, -O-CH2-CH2-N(CH3)2 또는 -O-CH2-CH2-N+H(CH3)2 An-이고, An-는 1가 유기 또는 무기 산의 음이온이며, Me는 1가 금속 원자 또는 암모늄 이온임)의 화합물이다.
구체적인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예는 스티렌,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벤질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톨루엔, n-부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이다.
특히 적합한 단량체 혼합물은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비닐 톨루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의 혼합물이다.
음이온 An-가 유래되는 산의 예는 C1-C12카르복실산, 유기 술폰산, 예컨대 CF3SO3H 또는 CH3SO3H, 무기산, 예컨대 HCl, HBr 또는 HI, 옥소산, 예컨대 HClO4 또는 착산, 예컨대 HPF6 또는 HBF4이다.
1개 이상의 O 원자가 개재된 C2-C100알콕시로서의 Ra에 대한 예는 화학식
Figure pct00033
(여기서, Rc는 C1-C25알킬, 페닐 또는 C1-C18알킬로 치환된 페닐이고, Rd는 수소 또는 메틸이며, v는 1 내지 50의 수임)의 화합물이다.
이들 단량체는 예를 들어 상응하는 알콕실화 알콜 또는 페놀의 아크릴화에 의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부터 유래된다. 반복 단위는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또는 이들 2가지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의 추가의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pct00034
상기 식에서,
An- 및 Ra는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의미를 가지며,
Re는 메틸 또는 벤질이다.
An-는 바람직하게는 Cl-, Br- 또는 -O3S-CH3이다.
추가의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Figure pct00035
Figure pct00036
(여기서, Ra는 화학식 (19)에서와 같이 정의됨)이다.
아크릴레이트 이외의 적합한 단량체의 예는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이다.
바람직하게는,
Ra는 수소 또는 메틸이고,
Rb는 NH2, 글리시딜, 치환되지 않거나 히드록시-치환된 C1-C4알콕시, 치환되지 않은 C1-C4알킬아미노, 디(C1-C4알킬)아미노, 히드록시-치환된 C1-C4알킬아미노 또는 히드록시-치환된 디(C1-C4알킬)아미노이며,
Z는 산소이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는 전형적으로 C1-C18알킬 에스테르이다.
바람직한 것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C1-C18아크릴레이트, C1-C18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스티렌, 비닐톨루엔, 히드록시-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실화 알콜로부터 유래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이다.
특히 유용한 메타크릴레이트는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이다.
구체적인 실시양태에서,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은 2종 이상의 상기 단량체의 혼합물 및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인 1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되어, 가교된 중합체가 수득되도록 하여 제조된다.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단량체의 양은 단량체의 중량 합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5 내지 20 중량%이다.
이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단량체의 전형적인 예는 디비닐-벤젠,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부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실레이트 (1EO/OH)-트리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프로폭실레이트 (1PO/OH)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프로폭실레이트-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PETIA),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또는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PETA)이다.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은 수용해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수용해도가 5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미만이다.
평균 입도 1000 nm 미만의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제제는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존재하에서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불균일상 라디칼 중합으로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담체에 대한 유기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중량비가 중합체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 부 초과인, 예를 들어 WO 2005/23878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지의 방식으로 제조된다.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제조 방법은,
(i)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를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a) 중에 용해하거나 유화시키거나 분산시키는 단계,
(ii)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a) 중에 용해되거나 유화되거나 분산된 상기 UV 흡수제 (b)의 통상의 o/w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통상의 에멀젼을 유기 상의 소적이 1000 nm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갖는 미니에멀젼으로 균질화하는 단계, 및
(iv)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상기 미니에멀젼을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때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담체 (a)에 대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의 중량비가 중합체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 부 초과이다.
단계 (ii)에서,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추가로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성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임의로는, 다른 수혼화성 용매가 물 함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10 중량% 미만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예시적인 공용매는 지방족 알콜,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테르, 피롤리딘, N-알킬 피롤리디논, N-알킬 피롤리돈,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아미드, 카르복실산 및 그의 염, 에스테르, 유기황화물, 술폭시드, 술폰, 알콜 유도체, 히드록시에테르 유도체, 예컨대 부틸 카르비톨 또는 셀로솔브, 아미노 알콜, 케톤 등 및 또한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디옥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롤, 디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다른 수용성 또는 수혼화성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것은 물, 물과 알콜의 혼합물, 물과 에틸렌 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물, 물과 아세톤, 물과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물과 디메틸포름아미드의 혼합물이다.
첨가될 수 있는 적합한 계면활성제 또는 표면 활성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인 사용량은 단량체(들)을 기준으로 하여 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전형적인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유형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C12-C18알킬 술폰산의 알칼리 및 암모늄 염, 숙신산의 디알킬 에스테르 또는 에톡실화 알칸올의 황산 반-에스테르이다.
이들 화합물은 예를 들어 US 4 269 749에 공지되어 있고, 대개가 시판되는 물품, 예를 들어 상표명 다우팍스(Dowfax)® 2A1 (다우 케미칼 컴퍼니(Dow Chemical Company))로 시판되는 물품이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지방족 또는 아르지방족 화합물, 예컨대 에톡실화 정도가 3 내지 50인 에톡실화 페놀 (모노, 디, 트리) 및 C4-C9 범위의 알킬기, 에톡실화 장쇄 알콜 또는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프로필렌옥시드 블록 공중합체이다.
추가의 보호성 콜로이드,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또는 비닐피롤리돈을 함유하는 공중합체가 첨가되어 단계 b)에 따라 통상의 수중유 에멀젼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의 예는 문헌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Band XIV/1, Makromolekulare Stoffe, G. Thieme Verlag Stuttgart 1961, 411-420]에 기재되어 있다.
균질화 단계 (ii) 및 (iii)은 일반적으로 기계적 교반 (로터/고정자 분산기)을 적용한 후에 예를 들어 초음파 장비와 같은 강력한 분산 장치 [J. Dispersion Sci. Technology 2002, 23(1-3), 333-349] 또는 고압 균질화기 (APV 가울린(Gaulin) 균질화기,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Microfluidizer))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유화/균질화는 연속식 또는 회분식(batchwise)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기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US 5,108,654에 기재되어 있다.
중합 단계 (iv)는 유리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라디칼 개시제는 단량체 또는 단량체 혼합물을 기준으로 0.01 중량%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중합 개시제는 반응 혼합물에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리 라디칼 개시제는 비스-아조 화합물, 퍼옥시드 또는 히드로퍼옥시드이다.
구체적인 바람직한 라디칼 공급원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르아미드) 이수화물, 2-페닐아조-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 2-(카르바모일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2,2'-아조비스(2-메틸프로판), 2,2'-아조비스(N,N'-디메틸렌이소부티르아미딘), 유리 염기 또는 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판), 유리 염기 또는 히드로클로라이드,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히드록시메틸)에틸]프로피온아미드} 또는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아세틸 시클로헥산 술포닐 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 퍼옥시 디카르보네이트, t-아밀 퍼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 퍼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 퍼피발레이트, t-아밀퍼피발레이트, 비스(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시드, 디이소노나노일 퍼옥시드, 디데카노일 퍼옥시드, 디옥타노일 퍼옥시드, 디라우로일 퍼옥시드, 비스(2-메틸벤조일) 퍼옥시드, 디숙신산 퍼옥시드, 디아세틸 퍼옥시드, 디벤조일 퍼옥시드, t-부틸 퍼 2-에틸헥사노에이트, 비스(4-클로로벤조일) 퍼옥시드, t-부틸 퍼이소부티레이트, t-부틸 퍼말레이네이트, 1,1-비스(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t-부틸 퍼옥시 이소프로필 카르보네이트, t-부틸 퍼이소노나오에이트, 2,5-디메틸헥산 2,5-디벤조에이트, t-부틸 퍼아세테이트, t-아밀 퍼벤조에이트, t-부틸 퍼벤조에이트, 2,2-비스(t-부틸퍼옥시) 부탄, 2,2-비스(t-부틸퍼옥시) 프로판, 디쿠밀 퍼옥시드, 2,5-디메틸헥산-2,5-디-t-부틸퍼옥시드, 3-t-부틸퍼옥시 3-페닐프탈리드, 디-t-아밀 퍼옥시드, α,α'-비스(t-부틸퍼옥시 이소프로필) 벤젠, 3,5-비스(t-부틸퍼옥시)3,5-디메틸 1,2-디옥솔란, 디-t-부틸 퍼옥시드, 2,5-디메틸헥신-2,5-디-t-부틸퍼옥시드, 3,3,6,6,9,9-헥사메틸 1,2,4,5-테트라옥사 시클로노난, p-멘탄 히드로퍼옥시드, 피난 히드로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벤젠 모노-α-히드로퍼옥시드, 큐멘 히드로퍼옥시드 또는 t-부틸 히드로퍼옥시드이다.
또한, Fe-화합물 또는 Co-화합물과 퍼옥소 염 또는 바이술파이트 또는 히드로술파이트의 염의 조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조합물은 산화환원 시스템이라고 공지되어 있다.
중합 온도는 사용되는 개시제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중합 온도는 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의 범위 내이다.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온도는 최대 120℃까지 상승될 수 있으나, 일반적의 압력하의 중합이 통상적인 방법이다.
별법으로, 중합은 광개시제 및 전자기 방사선, 특히 자외선 방사선으로 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광개시제는 원칙적으로 전자기파 조사시에 1개 이상의 유리 라디칼을 형성하는 임의의 화합물 및 혼합물이다. 이것들은 복수종의 개시제로 구성된 개시제 시스템 및 서로 독립적으로 또는 상승작용적으로 기능하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공개시제, 예를 들어 아민, 티올, 보레이트, 에놀레이트, 포스핀, 카르복실레이트 및 이미다졸에 추가하여, 증감제, 예를 들어 아크리딘, 크산텐, 티아젠, 쿠마린, 티옥산톤, 트리아진 및 염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화합물 및 개시제 시스템에 관한 설명은 예를 들어 문헌 ([Crivello J.V., Dietliker K.K., (1999): Chemistry & Technology of UV & EB Formulation for Coatings, Inks & Paints] 및 [Bradley G. (ed.) Vol. 3: Photoinitiators for Free Radical and Cationic Polymerization 2nd Edition, John Wiley & Son Ltd.])에서 찾을 수 있다. 단계 b)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합한 광개시제는 불포화기를 갖는 개시제일 수도 있고, 또는 이러한 기를 갖지 않는 개시제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화합물 및 유도체는 예를 들어 하기하는 부류의 화합물로부터 유래된다: 벤조인, 벤질 케탈, 아세토페논, 히드록시알킬페논, 아미노알킬페논, 아실포스핀 옥시드, 아실포스핀 황화물, 아실옥시이미노케톤, 알킬아미노-치환된 케톤, 예컨대 미클러(Michler's) 케톤, 퍼옥시 화합물, 디니트릴 화합물, 할로겐화된 아세토페논, 페닐글리옥실레이트, 이량체성 페닐글리옥살레이트, 벤조페논, 옥심 및 옥심 에스테르, 티옥산톤, 쿠마린, 페로센, 티타노센, 오늄 염, 술포늄 염, 요오도늄 염, 디아조늄 염, 보레이트, 트리아진, 비스이미다졸, 폴리실란 및 염료. 또한, 상기 언급한 부류의 화합물로부터의 화합물들 서로의 조합물 및 상응하는 공개시제 시스템 및/또는 증감제와의 조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합 완료 후, 휘발 성분, 주로 물은 입자의 응집 없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중합체 입자는 원한다면 쉽게 재분산될 수 있다.
휘발 성분의 증발은 표준 방법, 예를 들어 분무 건조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은 특히 인간 및 동물의 피부 및 모발을 UV 방사선의 유해 효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어서 UV 필터, 즉 자외선-감응성 유기 물질로서 특히 적합하다.
따라서, 이러한 분산액은 미용, 제약 및 수의학적 의료 제제에서의 선스크린제로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a) 청구항 제1항에 따른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 및
(b) 미용상 허용가능한 담체
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제제 또는 제약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1종 또는 1종 초과의 추가의 UV 필터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Figure pct00042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인간 모발 또는 피부를 UV 방사선의 유해 효과로부터 예방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미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성 환경/매질/제제 중에서
- 일광 차단 지수 (SPF)의 개선,
- UV 필터의 양 증가, 및
- 내수성의 개선
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미용 또는 제약 제제는 예를 들어 크림제, 겔제, 로션제, 알콜성 및 수성/알콜성 용액제, 에멀젼제, 왁스/지방 조성물, 스틱형 제제, 산제 또는 연고제일 수 있다. 상기 미용 또는 제약 제제는 상기 언급한 UV 필터에 추가하여 하기하는 바와 같은 추가의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물- 및 오일-함유 에멀젼제 (예를 들어 W/O, O/W, O/W/O 및 W/O/W 에멀젼제 또는 마이크로에멀젼제)로서의 상기 제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중합체 분산액을 예를 들어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 특히 0.5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종 이상의 오일 성분을 1 내지 60 중량%, 특히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로 함유하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종 이상의 유화제를 0 내지 30 중량%, 특히 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고,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물을 10 내지 90 중량%, 특히 30 내지 90 중량%로 함유하며,
추가의 미용상 허용가능한 보조제를 0 내지 88.9 중량%, 특히 1 내지 50 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또는 제약 조성물/제제는 SPF 상승제로서 1종 이상의 추가의 화합물, 예컨대 지방 알콜, 지방산의 에스테르, 천연 또는 합성 트리글리세리드, 예컨대 글리세릴 에스테르 및 유도체, 펄 광택의 왁스, 탄화수소 오일, 실리콘 또는 실록산 (유기치환된 폴리실록산), 플루오르화 또는 퍼플루오르화 오일, 유화제, 보조제 및 첨가제, 과지방제(super-fatting agent), 계면활성제, 점조도 조절제/증점제 및 레올로지 개질제, 중합체, 생물성 활성 성분, 탈취 활성 성분, 비듬 방지제, 항-산화제, 하이드로트로피제(hydrotropic agent), 보존제, 세균-억제제, 방향유, 착색제, 중합체 비드 또는 중공구를 함유할 수도 있다.
미용 또는 제약 제제
미용 또는 제약 제제는 광범위하게 다양한 미용 제제에 함유된다. 예를 들어, 특히 하기 제제가 고려된다: 피부 관리 제제, 목욕 제제, 개인 미용 관리 제제, 발 관리 제제, 광-보호성 제제, 피부-태닝(tanning) 제제, 탈색 제제, 곤충-퇴치제, 방취제, 땀억제제, 손상된(blemished) 피부의 클렌징 및 관리를 위한 제제, 화학적 형태의 모발-제거 제제 (제모제), 면도 제제, 향료 제제, 미용 모발-트리트먼트 제제.
제공 형태
기재된 최종 제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광범위하게 다양한 제공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 W/O, O/W, O/W/O, W/O/W 또는 PIT 에멀젼 및 모든 종류의 마이크로에멀젼으로서의 액체 제제의 형태,
- 겔제의 형태,
- 오일제, 크림제, 밀크제 또는 로션제의 형태,
- 산제, 래커제, 정제 또는 메이크업제 형태,
- 스틱제의 형태,
- 분무제 (추진 기체를 함유하는 분무제 또는 펌프-작용의 분무제) 또는 에어로졸제의 형태,
- 발포제의 형태, 또는
- 페이스트제의 형태.
피부용 미용 제제로서 특히 중요한 것은, 광-보호성 제제, 예컨대 선 밀크제, 로션제, 크림제, 오일제, 선블록제 또는 트로피칼, 프리태닝(pretanning) 제제 또는 애프터-선 제제, 또한 피부-태닝 제제, 예를 들어 셀프-태닝 크림제이다. 특히 관심이 있는 것은 일광 차단 크림제, 일광 차단 로션제, 일광 차단 밀크제 및 분무제 형태의 일광 차단 제제이다.
모발용 미용 제제로서 특히 중요한 것은, 모발 트리트먼트용으로 상기 언급한 제제, 특히 샴푸 형태의 모발-세척 제제, 모발 컨디셔너, 모발 관리 제제, 예를 들어 트리트먼트전 제제, 모발 토닉제, 스타일링 크림제, 스타일링 겔제, 포마드제, 모발 린스제, 트리트먼트 팩, 집중 모발 트리트먼트제, 모발-스트레이팅 제제, 액체 모발-셋팅 제제, 모발 발포제 및 모발 분무제이다. 특히 관심이 있는 것은 샴푸 형태의 모발-세척 제제이다.
이러한 제제에서의 기타 전형적인 성분은 보존제, 살균제 및 정균제, 방향제, 염료, 안료, 증점제, 보습제, 습윤제, 지방, 오일, 왁스 또는 미용 및 개인 위생 제제의 기타 전형적인 성분, 예컨대 알콜, 폴리알콜, 중합체, 전해질, 유기 용매, 규소 유도체, 연화제, 유화제 또는 유화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분산제, 항-산화제, 항-자극제 및 소염제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제제는 일광의 손상 효과로부터 인간 피부를 우수하게 보호하는 것으로서 구별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한다.
A. 제조 실시예
하기하는 지용성 UV 흡수제를 선스크린 제품에서의 효율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Figure pct00046
Figure pct00047
실시예 A1: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65 부,
화합물 (102) 10 부, 및
화합물 (103) 25 부
로 구성된 혼합물 (UV-Mix1)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20 g,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1.6 g 및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BDDA) 0.06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56.5 g 중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 1.6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3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06 g, 탈이온수 0.5 g 중에 희석한 H2O2 0.25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 (RT)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41 nm였다.
화합물 (101), (102) 및 (103)의 지용성 UV 흡수제 혼합물의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2: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65 부,
화합물 (102) 10 부, 및
화합물 (103) 25 부
로 구성된 혼합물 (UV-Mix1)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16 g,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1.6 g 및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BDDA) 0.05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56.5 g 중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 1.6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3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08 g, 탈이온수 0.5 g 중에 희석한 H2O2 0.32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82 nm였다.
화합물 (101), (102) 및 (103)의 지용성 UV 흡수제 혼합물의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4 중량%였다.
실시예 A3: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65 부,
화합물 (102) 10 부, 및
화합물 (103) 25 부
로 구성된 혼합물 (UV-Mix1)을 에틸 아크릴레이트 (EA) 20 g,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1.6 g 및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BDDA) 0.06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56.5 g 중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 1.6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3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06 g, 탈이온수 0.5 g 중에 희석한 H2O2 0.25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56 nm였다.
화합물 (101), (102) 및 (103)의 지용성 UV 흡수제 혼합물의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4: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65 부,
화합물 (102) 10 부, 및
화합물 (103) 25 부
로 구성된 혼합물 (UV-Mix1)을 에틸 아크릴레이트 (EA) 16 g,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1.6 g 및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BDDA) 0.05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56.5 g 중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 1.6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3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08 g, 탈이온수 0.5 g 중에 희석한 H2O2 0.32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99 nm였다.
화합물 (101), (102) 및 (103)의 지용성 UV 흡수제 혼합물의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4 중량%였다.
실시예 A5: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65 부,
화합물 (102) 10 부, 및
화합물 (103) 25 부
로 구성된 혼합물 (UV-Mix1)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40 g,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4.8 g 및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BDDA) 0.12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115 g 중 디스포닐(Disponil)® FES 32 IS (31 중량% 활성,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Cognis Deutschland GmbH & Co. KG)) 10.3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3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2 g, 탈이온수 2.0 g 중에 희석한 H2O2 0.81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70 nm였다.
화합물 (101), (102) 및 (103)의 지용성 UV 흡수제 혼합물의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6:
11%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5% 비닐 톨루올, 15%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28%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31%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 (Mix I)을 사용하여 하기 샘플을 제조하였다.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65 부,
화합물 (102) 10 부, 및
화합물 (103) 25 부
로 구성된 혼합물 (UV-Mix1)을 Mix I 40 g,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3.2 g 및 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BDDA) 0.12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110 g 중 디스포닐® FES 32 IS (31 중량% 활성,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 10.3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5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2 g, 탈이온수 5.0 g 중에 희석한 H2O2 0.81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98 nm였다. 화합물 (101), (102) 및 (103)의 지용성 UV 흡수제 혼합물의 최종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7: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65 부,
화합물 (102) 10 부, 및
화합물 (103) 25 부
로 구성된 혼합물 (UV-Mix1)을 Mix I 40 g 및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3.2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110 g 중 디스포닐® FES 32 IS (31 중량% 활성,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 10.3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5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2 g, 탈이온수 5.0 g 중에 희석한 H2O2 0.81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98 nm였다.
화합물 (101), (102) 및 (103)의 지용성 UV 흡수제 혼합물의 최종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8: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65 부,
화합물 (102) 10 부, 및
화합물 (103) 25 부
로 구성된 혼합물 (UV-Mix1)을 Mix I 40 g,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3.2 g 및 도데실 머캅탄 (DDM) 0.06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110 g 중 디스포닐® FES 32 IS (31 중량% 활성,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 10.3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5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2 g, 탈이온수 5.0 g 중에 희석한 H2O2 0.81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98 nm였다.
화합물 (101), (102) 및 (103)의 지용성 UV 흡수제 혼합물의 최종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1 내지 A8과 유사하게, 하기하는 지용성 UV 필터 또는 지용성 UV 필터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안정적인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048
Figure pct00049
실시예 A1 내지 A104와 유사하게, 상기 언급한 지용성 UV 필터 [화합물 (101) 내지 (106)] 및 또한 그의 혼합물 [(UV-Mix1) 내지 (UV-Mix10)]을 사용하여 하기하는 제조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었다:
실시예 A97 내지 A112: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내지 (106)]으로부터 선택한 지용성 UV 필터, 또는
[(UV-Mix1) 내지 (UV-Mix10)]으로부터 선택한 지용성 UV 필터의 혼합물
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34.2 g, 스테아릴 메타크릴레이트 (SMA) 3.04 g, 메틸 아크릴산 (MAA) 0.76 g 및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BDDA) 0.11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110 g 중 디스포닐® FES 32 IS (31 중량% 활성,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 10.3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5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2 g, 탈이온수 5.0 g 중에 희석한 H2O2 0.81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98 nm였다.
지용성 UV 흡수제의 최종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113 내지 A128: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내지 (106)]으로부터 선택한 지용성 UV 필터, 또는
[(UV-Mix1) 내지 (UV-Mix10)]으로부터 선택한 지용성 UV 필터의 혼합물
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76 g 및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BDDA) 0.11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110 g 중 디스포닐® FES 32 IS (31 중량% 활성,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 10.3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5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2 g, 탈이온수 5.0 g 중에 희석한 H2O2 0.81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98 nm였다.
지용성 UV 흡수제의 최종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129 내지 A144: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내지 (106)]으로부터 선택한 지용성 UV 필터, 또는
[(UV-Mix1) 내지 (UV-Mix10)]으로부터 선택한 지용성 UV 필터의 혼합물
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76 g 및 부탄디올 디아크릴레이트 (BDDA) 1.14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110 g 중 디스포닐® FES 32 IS (31 중량% 활성,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 10.3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5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2 g, 탈이온수 5.0 g 중에 희석한 H2O2 0.81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98 nm였다.
지용성 UV 흡수제의 최종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실시예 A145 내지 A160:
안정적인 유/수 에멀젼의 제조를 위해서,
[화합물 (101) 내지 (106)]으로부터 선택한 지용성 UV 필터, 또는
[(UV-Mix1) 내지 (UV-Mix10)]으로부터 선택한 지용성 UV 필터의 혼합물
을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MMA) 76 g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TMPTA) 1.14 g 중에 용해하였다. 유상을 탈이온수 110 g 중 디스포닐® FES 32 IS (31 중량% 활성, 코그니스 도이칠랜드 게엠베하 앤드 컴퍼니. 카게) 10.3 g의 교반 용액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초음파 처리로 전환시킨 후, 평균 소적 크기가 250 nm 미만인 역학적으로 안정적인 에멀젼이 수득되었다. 상기 에멀젼을 최대 55℃로 가열한 후에 산화환원 개시제 (탈이온수 5 g 중에 용해한 아스코르브산 0.2 g, 탈이온수 5.0 g 중에 희석한 H2O2 0.81 mL (35%))를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기계적 교반기로 계속 교반하고, 5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에 실온으로 냉각시켜 20 ㎛ 필터로 여과하였다.
생성된 입도 DINT는 198 nm였다.
지용성 UV 흡수제의 최종 활성 함량은 에멀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 중량%였다.
B. 적용 실시예
UV 흡수 PMMA 중합체를 교반하에 미용 제제의 수성 상에 혼입하였다:
기재 제제 1:
SPF8 (5% OCR, 0.9% BMDBM, 0.8% 티노소르브 S(Tinosorb S))
Figure pct00050
- 실시예 B1: 제조 실시예 A1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1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2: 1.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5%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및 0.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1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 실시예 B3: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 제제 1 (참조 실시예)
B1, B2 및 B3 각각의 성분들을 30℃ 내지 4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1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ed)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Helioscience)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Atlas)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Optometrics)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51
기재 제제 2:
O/W 음이온성 SPF10 (5% OCR, 2.5% BMDBM, 1.7% 티노소르브 S)
Figure pct00052
- 실시예 B4: 제조 실시예 A1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2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5: 1.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5%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및 0.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2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 실시예 B6: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 제제 2 (참조 실시예)
B4, B5 및 B6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2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53
기재 제제 3:
O/W 음이온성 SPF25 (10% OCR, 2.6% BMDBM, 2.5% 티노소르브 S, 1.6% TiO2)
Figure pct00054
- 실시예 B7: 제조 실시예 A1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3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8: 1.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5%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및 0.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3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 실시예 B9: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 제제 3 (참조 실시예)
B7, B8 및 B9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3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55
시험관내 SPF 지속 내수성 (VWR) 평가를 비트로-스킨(VITRO-SKIN)® N-19를 기질로서 사용하여 아이엠에스, 인크.(IMS, Inc.)의 시험관내 지속 내수성 시험 프로토콜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56
기재 제제 4:
W/O SPF10 (5% OCR, 2.5% BMDBM, 1.7% 티노소르브 S)
Figure pct00057
- 실시예 B10: 제조 실시예 A1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4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11: 1.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5%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및 0.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4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 실시예 B12: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 제제 4 (참조 실시예)
B10, B11 및 B12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4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58
기재 제제 5:
W/O SPF25 (10% OCR, 2.6% BMDBM, 2.5% 티노소르브 S, 1.6% TiO2)
Figure pct00059
- 실시예 B13: 제조 실시예 A1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5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14: 1.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5%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및 0.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5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 실시예 B15: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 제제 5 (참조 실시예)
B13, B14 및 B15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5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60
샘플을 국제 일광 차단 지수 (SPF) 시험 방법 (콜리파(COLIPA), 2006년 5월) (스크리닝) 및 콜리파 권장 번호 11 (SPF 분류/상한, 콜리파, 2002년 6월)에 따라 생체내 시험하였다.
Figure pct00061
기재 제제 6:
O/W 비-이온성 SPF10 (5% OCR, 2.5% BMDBM, 1.7% 티노소르브 S)
Figure pct00062
- 실시예 B16: 제조 실시예 A1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6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17: 1.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5%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및 0.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6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 실시예 B18: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 제제 6 (참조 실시예)
B16, B17 및 B18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6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63
기재 제제 7:
O/W 비-이온성 SPF25 (10% OCR, 2.6% BMDBM, 2.5% 티노소르브 S, 1.6% TiO2)
Figure pct00064
- 실시예 B19: 제조 실시예 A1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7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20: 1.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5%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및 0.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7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 실시예 B21: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 제제 7 (참조 실시예)
B19, B20 및 B21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7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65
기재 제제 8:
O/W 겔제 SPF10 (5% OCR, 2.5% BMDBM, 1.7% 티노소르브 S)
Figure pct00066
- 실시예 B22: 제조 실시예 A1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8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23: 1.3%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0.5%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및 0.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8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 실시예 B24: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지 않는 기재 제제 8 (참조 실시예)
B22, B23 및 B24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8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67
기재 제제 9:
물/규소
Figure pct00068
- 실시예 B25: 제조 실시예 A106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9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26: 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9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B25 및 B26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9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69
기재 제제 10:
O/W 음이온성 (10% OCR, 2.6% BMDBM, 0.5% 티노소르브 S. 1.6% TiO2)
Figure pct00070
- 실시예 B27: 제조 실시예 A106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10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28: 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10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B27 및 B28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10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71
기재 제제 11:
W/O (10% OCR, 2.6% BMDBM, 0.5% 티노소르브 S, 1.6% TiO2)
Figure pct00072
- 실시예 B29: 제조 실시예 A106에 따른 10% PMMA 중합체를 기재 제제 11의 수상에 첨가함
- 실시예 B30: 2%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을 기재 제제 11의 유상에 첨가함 (비교 실시예)
B29 및 B30 각각의 성분들을 50℃ 내지 60℃에서 교반하에 기재 제제 11에 혼입하였다.
상기 샘플을 샌드 블라스트 PMMA 플레이트 (프랑스 마르세유 소재의 헬리오사이언스 제공)에 1.4 mg/cm2의 농도로 적용하여 아틀라스 CPS+ 조사기로 조사하고, 옵토메트릭스 SPF 290 분석기에서 시험하였다. 시험 절차는 DIN 67502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SPF의 산출은 문헌 [M. Wloka et al., Proceedings of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 Royal Society, London, Paper 12]에 따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073
기재 제제 12:
Figure pct00074
Figure pct00075
기재 제제 13:

Claims (21)

  1. UV 방사선의 손상 효과로부터 인간 및 동물의 모발 및 피부를 보호하는데 있어서
    (b)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유도체, 디페닐 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벤조푸란 유도체, 1개 이상의 유기규소 라디칼을 포함하는 중합체 UV 흡수제, 신남산 유도체, 캄포르 유도체, s-트리아진 유도체, 트리아닐리노-s-트리아진 유도체, 멘틸 안트라닐레이트 및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의 부류로부터 선택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의 존재하에
    (a)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불균일상 라디칼 중합으로 제조된 중합체 담체
    를 포함하고, 중합체 담체 (a)에 대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의 중량비가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 부 초과인, 평균 입도 1000 nm 미만의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평균 입도가 500 nm 미만인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분산액 중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를 함유하는 중합체 담체의 농도가 20% 내지 60% b.w.인 용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이온성,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용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합체 담체 (a)에 대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의 중량비가 100 부 당 80 부 이상인 용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가 (b1) 화학식 (1)
    Figure pct00077
    의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 (b2) 화학식 (2)
    Figure pct00078
    의 비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b3) 화학식 (3)
    Figure pct00079
    의 벤조트리아졸릴 도데실 p-크레졸, (b4) 화학식 (4)
    Figure pct00080
    의 부틸 메톡시디벤조일 메탄, (b5) 화학식 (5)
    Figure pct00081
    의 2-시안-3,3-디페닐아크릴산 (2-에틸헥실에스테르), (b6) 화학식 (6)
    Figure pct00082
    의 트리스-에틸헥실옥시페놀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b7) 화학식 (7)
    Figure pct00083
    의 벤조페논-3, (b8) 화학식 (8)
    Figure pct00084
    의 벤조페논-4, (b9) 화학식 (9)
    Figure pct00085
    의 폴리실리콘-15, (b10) 화학식 (10)
    Figure pct00086
    의 디에틸아미노 히드록시 벤조일 헥실 벤조에이트, (b11) 화학식 (11)
    Figure pct00087
    의 디에틸헥실 부타미도 트리아존, (b12) 화학식 (12)
    Figure pct00088
    의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 (b13) 화학식 (13)
    Figure pct00089
    의 에틸헥실 디메틸 PABA, (b14) 화학식 (14)
    Figure pct00090
    의 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b15) 화학식 (15)
    Figure pct00091
    의 에틸헥실 트리아존, (b16) 화학식 (16)
    Figure pct00092
    의 호모살레이트, (b17) 화학식 (17)
    Figure pct00093
    의 이소아밀 p-메톡시신나메이트, (b18) 화학식 (18)
    Figure pct00094
    의 4-메틸벤질리덴 캄포르, 또는 (b1) 내지 (b18)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용도.
  7. 제6항에 있어서, UV 흡수제 (b2)가 사용되는 용도.
  8.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1), (2) 및 (3)의 UV 흡수제 (b1), (b2) 및 (b3)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용도.
  9.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4) 및 (5)의 UV 흡수제 (b4) 및 (b5)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용도.
  10.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1) 및 (2)의 UV 흡수제 (b1) 및 (b2)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용도.
  11.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2) 및 (6)의 UV 흡수제 (b2) 및 (b6)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용도.
  12.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2) 및 (3)의 UV 흡수제 (b2) 및 (b3)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용도.
  13. 제6항에 있어서, 화학식 (2), (3) 및 (6)의 UV 흡수제 (b2), (b3) 및 (b6)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용도.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UV 흡수제 (b)의 수용해도가 실온 및 대기압에서 1 중량% 미만인 용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가 C1-C18아크릴레이트, C1-C18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트)아크릴산, 스티렌, 비닐톨루엔, 히드록시-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알콕실화 알콜로부터 유래된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인 용도.
  16. (i)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를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a) 중에 용해하거나 유화시키거나 분산시키는 단계,
    (ii)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a) 중에 용해되거나 유화되거나 분산된 상기 UV 흡수제 (b)의 통상의 o/w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통상의 에멀젼을 유기 상의 소적이 1000 nm 미만의 평균 직경을 갖는 미니에멀젼으로 균질화하는 단계, 및
    (iv)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상기 미니에멀젼을 중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이때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부터 형성된 중합체 담체 (a)에 대한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 (b)의 중량비가 중합체 담체 100 부 당 UV 흡수제 50 부 초과인, 제1항에 따른 농축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의 제조 방법.
  17. (a) 제1항에 따른 수성 중합체 분산액, 및
    (b) 미용상 허용가능한 담체
    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18. 수성 환경/매질/제제 중 제17항에 따른 미용 조성물의 용도.
  19. 일광 차단 지수 (SPF)를 개선하는데 있어서 제17항에 따른 미용 조성물의 용도.
  20. UV 필터의 양을 증가시키는데 있어서 제17항에 따른 미용 조성물의 용도.
  21. 내수성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제17항에 따른 미용 조성물의 용도.
KR1020107002757A 2007-07-09 2008-06-30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수계 농축 생성물 형태 KR20100039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12033 2007-07-09
EP07112033.1 2007-07-09
EP07118883.3 2007-10-19
EP07118883 2007-10-19
EP08152378 2008-03-06
EP08152378.9 2008-03-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9395A true KR20100039395A (ko) 2010-04-15

Family

ID=3965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757A KR20100039395A (ko) 2007-07-09 2008-06-30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수계 농축 생성물 형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103733B2 (ko)
EP (1) EP2162113B1 (ko)
JP (1) JP5507455B2 (ko)
KR (1) KR20100039395A (ko)
CN (2) CN101686909A (ko)
AU (1) AU2008274380B2 (ko)
BR (1) BRPI0814502B1 (ko)
ES (1) ES2646273T3 (ko)
GB (1) GB2453195A (ko)
MX (1) MX2010000042A (ko)
TW (1) TWI436780B (ko)
WO (1) WO200900726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38A1 (ko) * 2016-03-30 2017-10-05 선진뷰티사이언스(주) 다량의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고분자 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4772B2 (en) 2008-06-30 2011-03-29 Conopco, Inc. Sunscreen composite particles dispersed in water-in-oil cosmetic compositions
US7892524B2 (en) 2008-06-30 2011-02-22 Conopco, Inc. Sunscreen composite particles
US8119698B2 (en) 2008-06-30 2012-02-21 Conopco, Inc. Sunscreen formula vanishing cream
US8206730B2 (en) 2008-06-30 2012-06-26 Conopco, Inc. Sunscreen composite particles and porous particles in cosmetic compostions
BRPI0805854A2 (pt) 2008-10-10 2010-08-24 Biolab Sanus Farmaceutica Ltda sistema nanoparticulado, processo de preparaÇço do mesmo, uso do mesmo, composiÇço fotoproterora, processo de preparaÇço da mesma, mÉtodo de prevenÇço de doenÇas e distérbios da pele
BRPI1000919A2 (pt) * 2010-03-19 2011-11-08 Inst Pesquisas Tech Sao Paulo agente de proteção solar nanoestruturado e processo
JP5058352B2 (ja) 2010-04-13 2012-10-24 株式会社 資生堂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5058351B2 (ja) 2010-04-13 2012-10-2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058353B2 (ja) * 2010-04-13 2012-10-24 株式会社 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291729B2 (ja) 2011-02-07 2013-09-18 株式会社 資生堂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2201664A (ja) * 2011-03-28 2012-10-22 Shiseido Co Ltd 日焼け止め化粧料
US20140219942A1 (en) * 2011-06-08 2014-08-07 Dsm Ip Assets B.V. Sunscreens
EP2717839A2 (en) * 2011-06-08 2014-04-16 DSM IP Assets B.V. Cosmetic compositions
BR112013031538A2 (pt) * 2011-06-08 2017-03-21 Dsm Ip Assets Bv protetores solares
BR112013031220A2 (pt) * 2011-06-08 2016-09-06 Dsm Ip Assets Bv composição tópica
CN103998102A (zh) 2011-10-19 2014-08-20 罗门哈斯公司 个人护理活性成分的包封
US9295622B2 (en) 2011-12-06 2016-03-29 Mary Kay Inc. Substantive sunscreen formulation
US9549891B2 (en) 2012-03-19 2017-01-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s and sunscreen actives for use in skin care compositions
JP6462667B2 (ja) * 2013-05-10 2019-01-30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多量のuv安定剤を含む剤
WO2016210044A1 (en) * 2015-06-24 2016-12-29 Rohm And Haas Company Particles containing ultraviolet absorber
US10285926B2 (en) 2015-06-29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perabsorbent polymers and starch powders for use in skin care compositions
BR102015032894A2 (pt) * 2015-12-29 2017-07-04 Natura Cosméticos S.A. Composition of butyl methoxidibenzoylmethane, dietilamino hydroxybenzoyl hexylbenzoate, ethyl hexyl salicylate, homosalate and nanoocapylene nanoencapsulated in non-structure of polymeric minimum film
CN107177318A (zh) * 2017-06-08 2017-09-19 合肥华盖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光伏eva胶膜及其制备方法
KR20200047619A (ko) * 2017-09-01 2020-05-07 바스프 에스이 오일-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수계 농축 생성물 형태
CN113583298B (zh) * 2021-07-31 2022-08-12 华南理工大学 一种基于纳米氧化锌的低光催化活性紫外屏蔽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129A (ja) 1974-07-01 1976-01-19 Hitchiner Manufacturing Co Kinzokuchuzo
US4724240A (en) * 1981-03-23 1988-02-09 Wickhen Products, Inc. Lattice-entrapped emollient-moisturizer composition
JP2607401B2 (ja) * 1991-03-22 1997-05-07 株式会社資生堂 日焼け防止化粧料の日焼け防止力改善方法
JP3539008B2 (ja) * 1995-10-25 2004-06-14 綜研化学株式会社 樹脂粒子の製造方法
DE19810268A1 (de) * 1998-03-10 1999-09-16 Basf Ag Stabilisatoren enthaltende Polymerdispersionen oder Polymerlösungen und daraus erhältliche Polymerpräparationen
NO20002309L (no) * 1999-05-12 2000-11-13 Hoffmann La Roche Fotostabile kosmetiske lysavskjermende sammensetninger
DE50115609D1 (de) * 2000-02-17 2010-10-14 Basf Se Wässrige Dispersion wasserunlöslicher organischer UV-Filtersubstanzen
DE10046927A1 (de) * 2000-09-21 2002-04-25 Basf Ag Farbmittelhaltige wässrige Polymerdispersion
DE10213957A1 (de) * 2002-03-28 2003-10-09 Beiersdorf Ag Vernetzte kosmetische oder pharmazeutische phospholipidhaltige Gele und Emulsionen auf der Basis von ethylenoxidhaltigen oder propylenoxidhaltigen Emulgatoren
EP1371355B1 (en) * 2002-06-03 2006-08-02 Ciba SC Holding AG UV-protection formulations
US6926887B2 (en) * 2002-09-17 2005-08-09 The C.P. Hall Company Photostabilizers, UV absorbers, and methods of photostabilizing a sunscreen composition
KR101133459B1 (ko) * 2003-09-11 2012-04-12 시바 홀딩 인크 헤테로상 중합 기술로 제조한 광 안정화제의 농축된 수계 생성물
DE102004012576A1 (de) * 2004-03-12 2005-09-29 Basf Ag Effektstoffe enthaltende wässrige Polymerdispersion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R053126A1 (es) * 2005-02-09 2007-04-25 Basf Ag Composiciones polimericas y su uso para la preparacion de composiciones de principios activos o compuestos eficaces
US20080146448A1 (en) * 2005-03-10 2008-06-19 Basf Aktiengesellschaft Aqueous Polymer Dispersions Comprising Effect Substanc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Their Use
JP5238924B2 (ja) 2006-11-09 2013-07-17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単結晶基板及び窒化物半導体単結晶の製造方法
US20100266517A1 (en) * 2006-12-28 2010-10-21 Avon Products. Inc. Two-Coat Cosmetic Compositions
JP2010523519A (ja) * 2007-04-05 2010-07-15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選択されたコポリマーを含んでいる日焼け止め剤及び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138A1 (ko) * 2016-03-30 2017-10-05 선진뷰티사이언스(주) 다량의 유기계 자외선 차단제를 함유하는 고분자 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04476A (en) 2009-02-01
GB2453195A (en) 2009-04-01
JP2010532812A (ja) 2010-10-14
JP5507455B2 (ja) 2014-05-28
EP2162113A2 (en) 2010-03-17
CN101686909A (zh) 2010-03-31
US20100284950A1 (en) 2010-11-11
TWI436780B (zh) 2014-05-11
BRPI0814502B1 (pt) 2021-10-19
WO2009007264A3 (en) 2009-09-03
ES2646273T3 (es) 2017-12-13
CN104800098A (zh) 2015-07-29
BRPI0814502A2 (pt) 2019-05-07
AU2008274380B2 (en) 2013-04-04
US11103733B2 (en) 2021-08-31
WO2009007264A2 (en) 2009-01-15
GB0812024D0 (en) 2008-08-06
EP2162113B1 (en) 2017-08-09
MX2010000042A (en) 2010-02-28
AU2008274380A1 (en)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9395A (ko) 지용성 유기 uv 흡수제의 수계 농축 생성물 형태
JP7267260B2 (ja) 油溶性有機uv吸収剤の水性濃縮生成物形態
US9789049B2 (en) Water resistant personal care polymers
JP4546443B2 (ja) 疎水性部分を含み、スルホン基を含む少なくとも一のエチレン性不飽和モノマーの両親媒性ポリマーをベースとした光保護用組成物
JP2010523519A (ja) 選択されたコポリマーを含んでいる日焼け止め剤及び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2012102339A (ja) ポリマー分散液組成物、その調製及びその使用
CN109310890B (zh) 含有乳胶粒子和uv吸收剂的组合物
EP1709093A1 (de) Acrylat-polymerisate auf basis von tert.-butylacrylat zur verwendung in sprayformulierungen
CA2583343A1 (en) Cosmetic preparations containing copolymers of ethyl methacrylate and at least one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
WO2018144298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latex particles and uv absorbers
WO2002055052A1 (fr) Compositions autobronzantes a base de polymeres amphiphiles d'au moins un monomere a insaturation ethylenique a groupement sulfonique et comportant une partie hydrophobe
BR112020003552B1 (pt) Dispersão aquosa de polímero, composição cosmética, usos da composição cosmética e da dispersão aquosa de polímero
WO2020067559A1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562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925

Effective date: 20170228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301010268;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229

Effective date: 2018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