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373A -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373A
KR20100037373A KR1020080096671A KR20080096671A KR20100037373A KR 20100037373 A KR20100037373 A KR 20100037373A KR 1020080096671 A KR1020080096671 A KR 1020080096671A KR 20080096671 A KR20080096671 A KR 20080096671A KR 20100037373 A KR20100037373 A KR 20100037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final destination
poi
destination
destination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구
Original Assignee
(주)엠앤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앤소프트 filed Critical (주)엠앤소프트
Priority to KR102008009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7373A/ko
Publication of KR20100037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14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through interaction with a road map, e.g. selecting a POI icon on a road ma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38Electronic maps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Updating thereof
    • G01C21/3804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 G01C21/3807Creation or updating of map data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ata
    • G01C21/3811Point data, e.g. Point of Interest [PO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10Map spot or coordinate position indicators; Map reading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항법 장치에 있어서, 특히 목적지 아이콘 등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하여 목적지를 변경하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 항법 장치는, 목적지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이동된 목적지 아이콘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되는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 좌표에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여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 및 상기 탐색된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목적지, 아이콘, 드래그 앤 드롭, 차량 항법 장치, 네비게이션

Description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Method for relocating of destination and Car Navigation System of that}
본 발명은 차량 항법 장치에 있어서, 특히 목적지 아이콘 등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하여 목적지를 변경하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네비게이션 단말기 즉, 차량 항법 장치를 통해 운전자가 목적지를 입력하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산출하여 운전자에게 음성 및 이미지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경로 안내 서비스가 대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경로 안내 서비스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차속 센서, 자이로 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탑재된 차량 항법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데, 차량 운전자가 상기 차량 항법 장치를 이용해 도로정보 제공자에게 현재 위치 및 목적지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도로정보 제공자가 지리정보 및 실시간 교통정보 등을 참조하여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단 혹은 최적 경로 유도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경로 유도 데이터를 다시 차량 항법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한 경로 안내 서비스는 운전자에게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 단 또는 최적의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초행길을 주행하는 운전자를 안전하게 인도할 수 있고, 예측할 수 없는 교통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의 경로 안내 서비스는 처음 설정된 목적지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목적지를 새로 입력하여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목적지를 입력하여 경로를 탐색하는 전 과정을 다시 실시하여야하므로,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목적지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하여 목적지를 간단하게 변경하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목적지의 정확한 지명이나 주소가 주어지지 않았을 경우, 목적지 근처까지의 경로를 안내하는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의 일 특징은, 목적지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이동된 목적지 아이콘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되는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 좌표에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여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와 상기 탐색된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의 일 특징은, 목적지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목적지 아이콘에 드래그 앤 드롭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기 목 적지 아이콘을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동된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 좌표에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여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복수 개의 POI가 존재할 경우, 상기 POI의 특성, 업종 혹은 근접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할 POI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상기 POI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반경 주변에서 가장 근접한 POI를 검색하여 해당 POI 좌표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연동된 POI의 좌표 정보를 함께 변경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된 최종 목적지 데이터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플래쉬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은, 목적지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하여 목적지를 변경함으로써, 키입력을 통하지 않고 간단하게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은, 목적지의 정확한 지명이나 주소가 주어지지 않았을 경우, 변경된 목적지 근처까지의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10)는, 키입력 및 터치입력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목적지를 설정하기 위한 목적지 입력신호 및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목적지는 아이콘 형태로 표현되는 것으로서,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된 목적지 입력신호에 따라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목적지 변경시키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 아이콘의 위치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목적지 아이콘이 이동된 위치에서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 좌표에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여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한다. 이때,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주변에서 가장 근접한 POI를 검색하여 해당 POI 좌표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한다. 한편,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복수 개의 POI가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POI의 특성, 업종 혹은 근접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우선순위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할 POI를 선택하여 매칭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연동된 POI의 좌표 정보를 함께 변경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텍스트, 이미지, 플래쉬 아이콘 등의 형태로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20)는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반경을 조절한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목적지 변경에 따라, 상기 제어부(120)에서 생성된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DB(DataBase) 형태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와 상기 탐색된 최종 목적지까지 경로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40)는 텍스트, 이미지, 플래쉬 아이콘 등의 형태로 상기 목적지 아이콘 및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우선, 목적지 아이콘을 선택한다[S210].
그리고, 상기 선택된 목적지 아이콘에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가 입력되면[S220], 상기 입력된 드래그 앤 드롭 신호에 상응하도록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상기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한다[S230].
이후, 상기 이동된 목적지 아이콘의 위치에서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면[S240], 상기 POI 좌표에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여[S250]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260]. 한편,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주변에서 가장 근접한 POI를 검색하여 해당 POI 좌표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한다. 또한,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복수 개의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의 특성, 업종 혹은 근접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우선순위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할 POI를 선택하여 매칭한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최종 목적지 데이터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여[S270] 디스플레이한다[S280]. 상기 탐색된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데이터에는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이 표시되는데, 이때,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은 텍스트, 이미지, 플래쉬 아이콘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목적지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에 설정된 목적지 아이콘(A)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끌어다 최종 목적지 아이콘(B)으로 위치를 이동한다. 이후, 상기 이동된 최종 목적지 아이콘(B)의 위치 좌표를 검출하여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재탐색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이동된 목적지 아이콘의 위치에서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 좌표에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여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러나,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주변에서 가장 근접한 POI를 검색하여 해당 POI 좌표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한다. 한편,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복수 개의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의 특성, 업종 혹은 근접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우선순위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할 POI를 선택하여 매칭한다.
또한,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위치 좌표뿐만 아니라,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연동된 POI의 좌표 정보도 함께 변경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탐색된 경로를 나타내는 지도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은 텍스트, 이미지, 플래쉬 아이콘 등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처음 입력한 목적지를 다시 변경할 때,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과 같은 방식으로 간편하게 목적지를 드래그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 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 구현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변형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항법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목적지를 변경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화면 예시도.

Claims (14)

  1. 목적지 아이콘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드래그 앤 드롭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이동된 목적지 아이콘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이동되는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 좌표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여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포함하는 지도데이터 및 상기 탐색된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 항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복수 개의 POI가 존재할 경우, 상기 POI의 특성, 업종 혹은 근접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할 POI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상기 POI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반경 주변에서 가장 근접한 POI를 검색하여 해당 POI 좌표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연동된 POI의 좌표 정보를 함께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텍스트, 이미지 또는 플래쉬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를 포함하는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항법 장치.
  8. 목적지 아이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목적지 아이콘에 드래그 앤 드롭 신호가 수신되면, 그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이동하는 단계;
    상기 이동된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POI가 존재하면, 상기 POI 좌표에 상기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여 최종 목적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복수 개의 POI가 존재할 경우, 상기 POI의 특성, 업종 혹은 근접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우선순위를 참조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할 POI를 선택하여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의 일정 반경 내에 상기 POI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반경 주변에서 가장 근접한 POI를 검색하여 해당 POI 좌표에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을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에 연동된 POI의 좌표 정보를 함께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최종 목적지 데이터는 별도의 저장장치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목적지 아이콘은 텍스트, 이미지 또는 플래쉬 아이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의 목적지 변경 방법.
KR1020080096671A 2008-10-01 2008-10-01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 KR20100037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671A KR20100037373A (ko) 2008-10-01 2008-10-01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671A KR20100037373A (ko) 2008-10-01 2008-10-01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373A true KR20100037373A (ko) 2010-04-09

Family

ID=4221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671A KR20100037373A (ko) 2008-10-01 2008-10-01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73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64A1 (ko) * 2012-07-27 2014-0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17764A1 (ko) * 2012-07-27 2014-01-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846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140107917A1 (en) Navigation device, method for displaying icon, and navigation program
JPWO2005093373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探索方法、経路探索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8216205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3162693A (zh) 一种车道信息显示方法及导航设备
JP20092044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014597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31717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8072069A (ja) 地図データ構造、送信装置及び地図表示装置
JP2004294091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923652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37373A (ko) 차량 항법 장치 및 그의 목적지 변경 방법
JP5196319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286585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283395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333668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10075289A (ko)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경로 탐색 방법
JP2015049196A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地図表示方法
US11873002B2 (en) Assistance device for supporting switching between automatic driving mode and manual driving mode
JP5247927B1 (ja) 情報検索装置、及び情報検索プログラム
JP7145712B2 (ja) 地図データの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地図記録装置
JP7381821B2 (ja) 電子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2012137497A (ja) 経路表示装置、経路表示方法、経路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000807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8292395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