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6902A -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 - Google Patents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6902A
KR20100036902A KR1020080102103A KR20080102103A KR20100036902A KR 20100036902 A KR20100036902 A KR 20100036902A KR 1020080102103 A KR1020080102103 A KR 1020080102103A KR 20080102103 A KR20080102103 A KR 20080102103A KR 20100036902 A KR20100036902 A KR 20100036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ink
sewage
fil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8598B1 (ko
Inventor
정광훈
Original Assignee
정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광훈 filed Critical 정광훈
Publication of KR2010003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6Separate partition walls, lids, protecting borders, or the like, f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싱크대는 싱크대 본체; 상기 싱크대 본체 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배수 통; 상기 배수 통 안의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 통 배수관; 상기 배수 통 안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에 위치되는 부유물 여과기; 및 상기 부유물 여과기를 거친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조 오수 배수관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배수 통 사이에 부유물 여과기가 설치되어 배수 통의 물 넘침을 방지하고 식기 세척시 배수 통의 세척수 상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배수 통 배수관이 직관으로 수직 설치되어 그 배수 통 배수관 내부에 오물이 쌓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배수 통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커버를 이용하여 배수 통을 커버링함으로써, 악취 역류를 방지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하여 주방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부유물, 부유물 여과기

Description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WASHING UNIT AND FLOAT MATERIAL FILTE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배수 통의 물 넘침을 방지하고 식기 세척시 배수 통의 세척수 상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의 음식물 조리대에는 싱크대(세정대)가 설치된다. 싱크대의 상부에는 배수 통이 형성되고, 배수 통의 하부에는 플렉시블 배수용 호스를 통해 하수구가 연결된다.
특히, 영업용 식당에 사용되는 싱크대의 경우에는 많은 그릇, 식판, 수저 등(이하, 식기(食器)라 약칭함)을 세척하기 위하여 여러 개의 배수 통이 연이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싱크대의 경우, 각 배수 통에서 식기를 세척하기도 하고, 또 첫 번째 배수 통에서 식기를 일차로 세척하고 그 세척한 식기를 그 다음 배수 통으로 옮겨서 재차 세척하기도 한다.
이 경우 첫 번째 배수 통 안에 있는 세척수 상에 부유물이 뜨고, 이 부유물 은 그 다음 배수 통 안으로 그대로 유입되어 배수 통의 세척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싱크대의 경우에는 배수 통의 하부에 플렉시블 배수용 호스가 수직으로 설치되지 못하고 굽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식기의 세척시 플렉시블 배수용 호스 내부에 오물이 점차 쌓여 플렉시블 배수용 호스가 막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배수 통의 중간에 형성된 격벽이 배수 통의 내측 벽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므로, 한쪽의 배수 통 안에 물이 가득 찰 경우 다른 쪽으로 물이 흐르지 못하고 싱크대 밖으로 넘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 이 경우 배수 통에 있던 오물 및 부유물이 함께 싱크대 밖으로 넘치게 되어 주방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수 통이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여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배수 통에 남아 있는 물기에 의해서 주방이 항상 습하여 세균 번식을 억제하기 힘들고, 하수구에서 발생한 악취가 싱크대의 플렉시블 배수용 호스를 통하여 배수 통으로 역류하여 주방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배수 통의 물 넘침을 방지하고 식기 세척시 배수 통의 세척수 상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싱크대의 부유물 여과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수 통의 오수 배수관이 직관으로 수직 설치되어 그 배수 통 배수관 내부에 오물이 쌓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싱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 통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커버를 이용하여 배수 통의 상부를 커버링함으로써 악취 역류를 방지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하여 주방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싱크대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싱크대는 싱크대 본체; 상기 싱크대 본체 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배수 통; 상기 배수 통 안의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 통 배수관; 상기 배수 통 안에 부유하는 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에 위치되는 부유물 여과기; 및 상기 부유물 여과기를 거친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조 오수 배수관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부유물 여과기는 양단에 걸이 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다수의 오수 배출 홀이 형성되는 바닥 판; 및 상기 바닥 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 여과기는 상기 배수 통의 내측 벽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 통 배수 관과 상기 보조 오수 배수 관은 직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통 배수관 상부에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밸브에는 바가 연결되고, 상기 바의 끝단에는 밸브 작동핸들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싱크대는 싱크대 본체; 상기 싱크대 본체 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배수 통; 상기 배수 통 안의 오물을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 통 배수관; 상기 배수 통 안에 부유하는 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에 위치되는 부유물 여과기; 및 상기 부유물 여과기를 거친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조 오수 배수관을 구비하되, 상기 싱크대 본체 상면에는 상기 싱크대 본체를 덮을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는 상기 싱크대 본체 배면에 설치된 커버 케이스 안에 보관되고, 상기 싱크대 본체를 덮을 때에만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 개의 배수 통 사이에 부 유물 여과기가 설치되어, 배수 통의 물 넘침을 방지하고 식기 세척시 배수 통의 세척수 상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배수 통의 오수 배수관이 직관으로 수직 설치되어, 오수 배수관 내부에 오물이 쌓이지 않도록 하여 배수 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배수 통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커버를 이용하여 배수 통의 상부 커버링함으로써, 악취 역류를 방지하고, 세균 번식을 억제하여 주방을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부유물 여과기를 싱크대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제어밸브, 바, 밸브작동 핸들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제어밸브, 바, 밸브작동 핸들의 변형 예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부유물 여과기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100)는 싱크대 본체(110); 상기 싱크대 본체 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배수 통(120)(130); 상기 배수 통(120)(130) 안의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120)(13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 통 배수관(140); 상기 배수 통(120)(130) 안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120)(130) 사이에 위치되는 부유물 여과기(150); 및 상기 부유물 여과기(120)(130)를 거친 오수를 하수구(1)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120)(13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조 오수 배수관(16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싱크대(100)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싱크대 본체(110)는 그 하부에 네 개의 다리(111)가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복수 개의 배수 통, 예를 들어 제1배수 통(120)과 제2배수 통(130)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배수 통(120)과 제2배수 통(130)의 바닥에는 오물을 여과하는 오물 여과 망(F)이 설치된다.
상기 제1/제2배수 통(120)(130) 안의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120)(130)의 하부에는 각각 배수 통 배수관(140)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수 통 배수 관(140) 및 보조 오수 배수관(160)은 직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수 통 배수관(140) 상부에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141)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밸브(141)에는 바(142)가 연결되고, 상기 바(142)의 끝단에는 밸브 작동핸들(143)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 작동핸들(1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통(120)(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 통(120)(130)의 전면으로 돌출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사용자가 밸브 작동핸들(143)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젖히면, 상기 바(142)에 연결된 상기 제어밸브(141)가 개폐되면서 상기 배수 통 배수 관(140)을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제1배수 통(120)과 제2배수 통(130) 사이에는 보조 배수공간(S)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배수공간(S)의 상부에는 상기 제1배수 통(120)과 제2배수 통(130) 안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여과할 수 있는 부유물 여과기(150)가 설치된다.
상기 부유물 여과기(150)는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스테인레스 재질로 프레스 공정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제조 및 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 여과기(150)는 상기 배수 통(120)(130)의 내측 벽(120a)(130a)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한다.
상기 보조 배수공간(S) 하부, 즉 상기 배수 통(120)(130) 사이에는 상기 부유물 여과기(150)를 거친 오수를 하수구(1)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보조 오수 배수관(160)이 수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부유물 여과기(150)는 그 양단에 걸이 부(153)가 형성되고, 중간에 다수의 오수 배출 홀(152)이 형성되는 바닥 판(151); 및 상기 바닥 판(15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155)로 구성된다(도 7 참조).
여기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싱크대(100)는 모두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어 내구성을 가지며, 녹슬지 않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100) 및 부유물 여과기(150)의 사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밸브 작동핸들(143)을 젖히면, 상기 바(142)에 연결된 상기 제어밸 브(141)가 회동되면서 폐쇄되어, 상기 배수 통 배수관(140)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제1/2배수 통(120)(130) 안에 물을 채우고 식기를 세척한다.
제1배수 통(120)에서 일차적으로 세척을 하고, 제2배수 통(130)에서 재차 세척이나 헹굼을 하기도 한다.
이 경우 제1배수 통(120) 안에 담긴 물 일부가 제2배수 통(130) 안으로 유입되기도 하는 데, 이때 제1배수 통(120) 안에 있는 부유물은 부유물 여과기(150)를 거치면서 걸러지고, 오수는 오수 배출 홀(152)을 통해서 상기 보조 배수공간(S) 안으로 흘러들어 간 후, 보조 오수 배수관(160)을 통해서 하수구(1)로 배수된다.
부유물은 부유물 여과기(150)를 거치면서 걸러지는 과정에서는 오수는 배출 홀(152)을 통해서 빠져나가고 부유물은 배출 홀(152)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여과되는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제1배수 통(120) 안에 담긴 물 일부가 제2배수 통(130) 안으로 유입되는 경우, 제1배수 통(120)에서 부유되는 부유물이 제2배수 통(130) 안으로 유입되지 않기 때문에 부유물이 제거된 깨끗한 물만이 제2배수 통(130) 안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제2배수 통(130)에서 세척 및 헹굼을 좀더 청결하게 할 수 있다.
세척을 완료한 후, 밸브 작동핸들(143)을 원위치시키면, 상기 바(142)에 연결된 상기 제어밸브(141)가 개방되면서 상기 배수 통 배수관(140)을 개방한다. 제1/제2배수 통(120)(130)의 오수는 배수 통 배수관(140)을 통해서 하수구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제2배수 통(120)(130) 안에 남아 있는 오물들을 오물 여과망(F) 을 통해서 여과된다.
이때 배수 통 배수관(140)이 직관 형태로 수직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제2배수 통(120)(130)의 오수 및 오물들이 막힘없이 배수 통 배수관(140)을 통해서 하수구(1)로 신속히 배출된다.
그 다음 부유물 여과기(150)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손잡이(155)를 잡고 부유물 여과기(150)를 들어올린 후 부유물 여과기(150)에 의해 걸러진 부유물을 부유물 여과기(150)로부터 분리 제거한다.
또한 식기 세척시에는 제1/제2배수 통(120)(130) 안에 각각 물을 채우기도 하는데, 제1/제2배수 통(120)(130) 안에 물(세척수)이 어느 정도 차면, 제1/제2배수 통(120)(130) 안의 물이 상기 보조 배수공간(S) 안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1/제2배수 통(120)(130)의 물이 배수 통(120)(130) 밖으로 넘치지 않는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제1배수 통의 커버를 닫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싱크대(200)는 싱크대 본체(210); 상기 싱크대 본체(210) 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배수 통(220)(230); 상기 배수 통(220)(230) 안의 오물을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220)(230)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 통 배수관(240); 상기 배수 통(220)(230) 안에 부유하는 오물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220)(230) 사이에 위치되는 부유물 여과기(250); 및 상기 부유물 여과기(250)를 거친 오수를 하수구(1:도 4 참조)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220)(23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조 오수 배수관(260)을 구비하되, 상기 싱크대 본체(210) 상면에는 상기 싱크대 본체(210)를 덮을 수 있는 커버(27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270)는 제1배수 통의 커버(271)와 제2배수 통의 커버(273)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270)는 상기 싱크대 본체(210) 배면에 설치된 커버 케이스(280) 안에 보관되고, 상기 싱크대 본체(210)를 덮을 때에만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버(270)의 상부에는 손잡이(270a)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270)의 하부에는 자석(270b)이 설치된다.
상기 커버(270)의 끝단에 설치된 자석(270b)은 스테인레스 재질인 싱크대 본체(210) 상면에 부착되어 커버(270)의 움직임 및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200)의 사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식기 세척하는 과정이나 오수를 배출하거나, 또는 오물과 부유물을 여과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200)의 경우에는 싱크대 본체(210)에 커버(270)를 설치함으로써, 세척 종료 이후에 커버(270)를 인출하여 싱크대 본체(210) 상면을 덮어 둠으로써, 싱크대 미관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악취 역류로 인한 주방 오염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270)는 하우징(280) 내부에 보관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손잡이(270a)를 잡고 끌어 당기면(인출하면) 커버가 당겨져 나오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에만 커버(270)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70)는 제1배수 통의 커버(271)와 제2배수 통의 커버(27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6과 같이 제2배수 통(230)에서 세척을 하면서, 제1배수 통의 커버(271)를 닫아놓고 그 위에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배수 통이 2개로 구성된 경우를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이상으로 구성된 싱크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유물 여과기를 싱크대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1의 제어밸브, 바, 밸브작동 핸들의 작동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6은 도 5의 제어밸브, 바, 밸브작동 핸들의 변형 예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도 1의 부유물 여과기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1배수 통의 커버를 닫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설명
100,200: 싱크대
110,210: 싱크대 본체
111: 다리
120: 제1배수 통
120a,130a: 내측 벽
130: 제2배수 통
220,230: 배수 통
140,240: 배수 통 배수관
141: 제어밸브
142: 바
143: 밸브 작동핸들
144: 지지 브래킷
150,250: 부유물 여과기
F: 오물 여과 망
S: 보조 배수공간
151: 바닥 판
153: 걸이 부
155: 손잡이
160,260: 보조 오수 배수관
270: 커버
271: 제1배수 통의 커버
273: 제2배수 통의 커버
280: 커버 케이스
270a: 손잡이
270b: 자석

Claims (8)

  1. 싱크대 본체;
    상기 싱크대 본체 상부에 서로 인접하여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배수 통;
    상기 배수 통 안의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의 하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배수 통 배수관;
    상기 배수 통 안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에 위치되는 부유물 여과기; 및
    상기 부유물 여과기를 거친 오수를 하수구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배수 통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조 오수 배수관;을 포함하는 싱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여과기는 상기 싱크대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양단에 걸이 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다수의 오수 배출 홀이 형성되는 바닥 판; 및
    상기 바닥 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3.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여과기는 상기 배수 통의 내측 벽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되고,
    상기 배수 통 배수 관과 상기 보조 오수 배수 관은 직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통 배수관 상부에는 오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에는 바가 연결되고, 상기 바의 끝단에는 밸브 작동핸들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본체 상면에는 상기 싱크대 본체를 덮을 수 있는 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싱크대 본체 배에는 설치된 커버 케이스 안에 보관되고, 상기 싱크대 본체를 덮을 때에만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8. 양단에 걸이 부가 형성되고, 중간에 다수의 오물수거 홀이 형성되는 바닥 판; 및
    상기 바닥 판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의 부유물 여과기.
KR1020080102103A 2008-09-30 2008-10-17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 KR100968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886 2008-09-30
KR20080095886 2008-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902A true KR20100036902A (ko) 2010-04-08
KR100968598B1 KR100968598B1 (ko) 2010-07-09

Family

ID=42214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103A KR100968598B1 (ko) 2008-09-30 2008-10-17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5497A (zh) * 2013-01-03 2013-04-03 衢州市依科达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节水型双水池洗涤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45B1 (ko) * 2010-08-23 2013-10-15 김영운 음식물오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종합오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2598U (ko) * 1994-01-17 1995-08-18 서순란 싱크대 덮개
JP2003273330A (ja) * 2002-03-15 2003-09-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容量素子の製造方法
KR200374439Y1 (ko) * 2004-11-10 2005-01-28 주식회사 대양에스티 드라이키친용 싱크대의 오버드레인 구조
KR200446470Y1 (ko) * 2007-12-27 2009-10-30 노미화 보조작업판이 구비된 싱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5497A (zh) * 2013-01-03 2013-04-03 衢州市依科达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节水型双水池洗涤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598B1 (ko) 201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5762B2 (ja) 流し台および流し台用器具
KR100968598B1 (ko)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
KR20130040980A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KR101470259B1 (ko)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1057809B1 (ko) 절수구조와 편의성을 제공하는 주방용 싱크대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JP3721469B2 (ja) 排水配管
CN108301467B (zh) 节水型智能清洗池
KR101259177B1 (ko) 위생세척이 용이한 싱크대 배수장치
KR20090033570A (ko) 배수 트랩을 포함하는 싱크대
WO1999043251A1 (en) Washing apparatus
JP7361293B2 (ja) シンクの排水構造及び調理台
JP3988558B2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KR101087758B1 (ko) 다수개의 개수대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수단을 포함하여제공되는 주방용 싱크대
JP5012211B2 (ja) 食器洗い機の排水構造、並びに、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システム
JP4278276B2 (ja) 食器洗浄機
KR200356385Y1 (ko) 배수통
KR200377751Y1 (ko) 절수 및 음식물찌꺼기 제거가 용이한 세척기능을 갖는싱크대
KR101626251B1 (ko) 폐수 재활용 시스템을 갖춘 초음파 세척기
KR20120139304A (ko) 싱크대
GB2495871A (en) Knife Cleaning Apparatus
JP6381177B2 (ja) 食堂用食器洗浄システム
KR20070103170A (ko) 배수통 세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KR890005998Y1 (ko) 다단식 위생 싱크대
JP3067482U (ja) 流し台
TWI591237B (zh) Deodorant c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