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998Y1 - 다단식 위생 싱크대 - Google Patents

다단식 위생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998Y1
KR890005998Y1 KR2019860008905U KR860008905U KR890005998Y1 KR 890005998 Y1 KR890005998 Y1 KR 890005998Y1 KR 2019860008905 U KR2019860008905 U KR 2019860008905U KR 860008905 U KR860008905 U KR 860008905U KR 890005998 Y1 KR890005998 Y1 KR 8900059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rinsing
water
dishes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240U (ko
Inventor
최장덕
Original Assignee
최장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장덕 filed Critical 최장덕
Priority to KR2019860008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998Y1/ko
Publication of KR880000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9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9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단식 위생 싱크대
제1도는 본 고안의 다단식 위생 싱크대의 전체 외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단식 위생 싱크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대 1,2,3 : 헹굼통
1',2',3' : 간막이 4 : 세정통
5 : 배수구 5' : 걸름판
6 : 간막이의 높이차
본 고안은 싱크대에 세정통과 헹굼통으로 구획하되 이 사이에 배수구를 형성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도록 된 다단식 위생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싱크대에는 동일크기의 싱크통을 다수개 배설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 각각의 싱크통을 구분됨이 없이 사용하는 관계로 예컨대, 수도전이 상부에 설치된 싱크통만 집중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다수의 싱크통을 능률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페단이 있으며, 이에 따라 물의 소모량에 비하여 식기류등을 청결하게 세정하지 못하는 결점을 가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싱크대(출원번호 86-7578호)를 인출한 바 있으나, 이는 식기류등을 일차적으로 세정하는 싱크통에 세제를 투입하여 식기류등을 닦게 되는 것이며, 이때에 이 싱크통에 채워진 물이 항시 넘쳐 흐르도록 된 것이어서 세제의 낭비를 초래하는 단점을 가진 것이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선출한 싱크대를 개량하여 본 고안을 안출하게 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식기류등을 일차적으로 세정하는 세정통과 이를 다시 청결하게 닦으면서 헹구는 헹굼통으로 구획하여 배설하고 이 사이에 배수구를 설치하여 구성된 다단식 위생 싱크대를 제공하여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시키는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단식 위생 싱크대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싱크대에 다수의 싱크통이 배설된 것에 있어서, 걸름판이 삽착된 배수구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세정통을 배설하고, 타측에는 다수의 헹굼통을 그 크기의 차이를 둠과 동시에 각각의 간막이의 높이차를 두고 배설되어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은 세정통에 세제를 풀고 일차적으로 식기류등을 넣고 세정하여 식기류등에 부착된 음식물과 기름끼등을 제거시키고, 이를 헹굼통으로 옮겨서 수회에 거쳐섬 헹굼통에 청결하게 흐르는 물로서 세정 및 헹굼을 행하는 것으로 식기류등을 위생적이며, 능률적으로 세정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로 대형 음식점등과 같은 주방에서 많은 양의 식기류등을 청결하게 세정하는데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싱크대(10)에 다수의 싱크통을 배설한 것에 있어서, 이 싱크대(10)의 일측(제2도에서 좌측)에 세정통(4)을 배설하고, 이 세정통(4)의 간막이(4')를 두고 있어서 배수구(5)를 형성시킨다.
상기한 세정통(4)의 간막이(4')의 상단면에는 상기한 배수구(5)측으로 만곡부(8)를 형성시키고, 또한 상기한 배수구(5)에는 걸름판(5')을 삽착시킨다.
상기한 배수구(5)의 일측(제2도에서 우측으로)으로 다수의 헹굼통(1)(2)(3)을 배설시키되 이 각각의 헹굼통(1)(2)(3)의 간막이(1')(2')(3')를 형성시키며, 이 간막이(1')(2')(3')의 높이차(6)를 두면서 상기한 헹굼통(1)을 제일 높은 위치에 배설하고, 나머지 간막이(2')(3')의 각각의 상단부는 상기한 높이차(6)만큼 낮아지게 되면서 순차적으로 헹굼통(2)(3)을 배설한다.
또한 상기한 간막이(1')(2')(3')의 상단면에는 상기한 배수구(5)측으로 만곡부(7)를 각각 형성시킨다.
상기한 각각의 헹굼통(1)(2)(3)의 크기는 중간 헹굼통(2)을 제일 크게하고, 제일 낮은 헹굼통(3)을 제일 작게 형성시키고, 제일높은 헹굼통(1)을 이들의 중간정도 크기로 형성시킨다.
또한 세정통(4)과 각 헹굼통(1)(2)(3) 및 배수구(5)의 주위에 연하여 요홈(9)을 요설하고, 배수구(5)가 위치되는 요홈(9)의 내측에 안내요홈(9')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수도전(11)은 세정통(4)과 제일 높은 헹굼통(1)의 상부에 설치하며, 부호 12는 각각의 세정통(4), 헹굼통(1)(2)(3) 및 배수구(5)의 배출공이며, 부호 13은 배출관이다.
다음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세정통(4)의 상부에 설치된 수도전(11)을 틀고 이 세정통(4)에 물을 채우고, 여기에 세제를 투입한 후에 사용된 식기류등을 넣고 부착된 음식물 및 기름끼를 제거시킨다.
다음에 제일 높은 헹굼통(1)의 상부에 서리된 수도전(11)을 틀면 물은 이 헹굼통(1)에 채워진 후에 간막이(1')(2')(3')의 높이차(6)로 인하여 순차적으로 다음에 헹굼통(2)(3)에 채워지고, 이때에 수도전(11)을 조절하여 유출되는 물의 양을 적당량으로 조절하여 놓으면 이 물의 양 만큼 각 헹굼통(1)(2)(3)을 통과하여 배수구(5)로 배출된다.
이어서 상기한 세정통(4)에서 세제와 물로서 세정된 식기류등을 제일 낮은 헹굼통(3)에서 식기류등에 묻어 있는 세제등을 헹구도, 다음에 제일 큰 중간 헹굼통(2)에서는 식기류등을 맑은 물로서 다시 한번 닦으면서 헹굼을 행하고, 마지막으로 제일 높은 헹굼통(1)에서 깨꿋하게 헹굼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헹굼통(1)(2)(3)의 크기에 차이를 두게 된 것이며, 또한 각각의 간막이(1')(2')(3')의 높이차(6)로 인하여 물은 연속적으로 흐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세정통(4)이 가장 빨리 오염되기 때문에 이에 채워진 물의 배출 및 새로운 물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분하여 배설된 것이며, 특히 식기류등에 묻어 있는 음식물등이 이 세정통(4)의 일측의 간막이(4')를 타고 넘어서 배수구(5)로 떨어지게 되어 집적되어 있을시에는 이 걸름판(5')을 들어내서 오물등을 제거시킨 후에 다시 삽착시키면 되는 것이어서 오물처리가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싱크대(10)의 표면에 떨어진 물은 요홈(9)으로 모여져서 안내요홈(9')을 거쳐서 배수구(5)로 들어가게 되어 싱크대(10)의 표면이 청결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효과는 식기류등을 일차적으로 세정통(4)에서 세정하여 이 세정통(4)만 자주 물을 갈아 줌으로서 전체의 싱크통의 물을 갈아줄 필요가 없는 동시에 이 세정통(4)의 일측에 배수구(5)가 설치되어서 식기류등을 세정할시에 넘치는 물로 곧바로 배수구(5)로 배출되어 편리함을 주고 도한 이차적으로 식기류등을 다수의 헹굼통(1)(2)(3)에서 단계적으로 흐르는 물로 여러번 닦고, 헹굼으로서 식기류들을 위생적으로 세정할 수 있는 동시에 많은 식기류등을 단시간내에 능률적으로 세정할 수 있어서 대형 음식점등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것이다.

Claims (1)

  1. 싱크대(10)에 다수의 싱크통(1)(2)(3)이 배설된 것에 있어서 걸름판(5')이 삽착된 배수구(5)를 사이에 두고 일측에는 세정통(4)을 배설하고, 타측에는 다수의 헹굼통(1)(2)(3)을 그 크기의 차이에 둠과 동시에 각각의 간막이(1')(2')(3')는 높이차(6)를 두고 배설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위생 싱크대.
KR2019860008905U 1986-06-24 1986-06-24 다단식 위생 싱크대 KR8900059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905U KR890005998Y1 (ko) 1986-06-24 1986-06-24 다단식 위생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905U KR890005998Y1 (ko) 1986-06-24 1986-06-24 다단식 위생 싱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240U KR880000240U (ko) 1988-02-17
KR890005998Y1 true KR890005998Y1 (ko) 1989-09-09

Family

ID=19252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905U KR890005998Y1 (ko) 1986-06-24 1986-06-24 다단식 위생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9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240U (ko) 198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359A (en) Under counter glass washer
US4624020A (en) Sink unit particularly household kitchen sink unit
KR890005998Y1 (ko) 다단식 위생 싱크대
CN108240019A (zh) 多功能智能清洗池
KR20040095833A (ko) 업소용 식기세척방법 및 그 장치
CN211559998U (zh) 隐形多功能厨事智能洗洁机
KR100968598B1 (ko) 싱크대 및 그의 부유물 여과기
KR890005997Y1 (ko) 다단식 위생 싱크대
CN208501812U (zh) 一种厨房用洗菜水过滤回收处理水池
WO1999043251A1 (en) Washing apparatus
CN212248527U (zh) 一种具有沥水功能的水槽
CN112438672A (zh) 隐形多功能厨事智能洗洁机
KR20020063077A (ko) 세척물의 재사용이 가능한 절수용 씽크대
CN208640653U (zh) 一种多功能清洗盆
CN218960658U (zh) 一种商用超声波洗碗机浮油残渣去除系统
CN213114827U (zh) 耐刮擦不锈钢水槽
JP3067482U (ja) 流し台
KR200311287Y1 (ko) 절수구조를 가진 싱크
KR200215852Y1 (ko) 씽크대 물 재활용장치
KR200371534Y1 (ko) 아낌싱크
CN219364801U (zh) 一种厨房用的多功能单星水池
CN216475389U (zh) 一种多功能洗涤盆
EP0121513A1 (en) Procedure for dishwashing and dishwashing machine for the said procedure
CN205577044U (zh) 隔油一体式洗碗池
SU1666057A1 (ru) Бытова посудомоечна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