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232A - 오물수거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오물수거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232A
KR20100032232A KR20080091290A KR20080091290A KR20100032232A KR 20100032232 A KR20100032232 A KR 20100032232A KR 20080091290 A KR20080091290 A KR 20080091290A KR 20080091290 A KR20080091290 A KR 20080091290A KR 20100032232 A KR20100032232 A KR 2010003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llection
information
waste
central contro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91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애
김병배
이건호
김영현
Original Assignee
(주)이컴앤드시스템
김영현
김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컴앤드시스템, 김영현, 김정수 filed Critical (주)이컴앤드시스템
Priority to KR20080091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232A/ko
Publication of KR2010003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2Solar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물수거함을 관리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물수거함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마련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측에서 상기의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뚜껑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함에 의하여 오물수거함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오물수거함, 쓰레기수거, 쓰레기관리

Description

오물수거관리장치{GARBAGE COLLECTION MANAGEMENT EUQIPMENT}
본 발명은 오물수거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구증가와 생활습관의 변화에 따라 날로 급증하는 일반 생활쓰레기 및 음식물쓰레기등은 기존 각 쓰레기 봉투(종량제 비닐봉투)에 넣어 배출하는 방식으로서 최종처리는 소각 또는 매립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종량제 비닐봉투를 사용하여 쓰레기를 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각 가정이 매일 비닐봉투를 1장씩 사용한다면 그 숫자는 약 180억장으로 상상을 초월한다. 또한, 1회용품에 대한 사용규제로 판매매장 등에서는 1회용 비닐봉투를 무상지급에 대한 단속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며, 1회용 비닐봉투 및 종량제 비닐봉투가 쓰레기로 처리될 경우 소각시 유해가스가 배출되고, 매립시에는 자연적으로 분해되기에는 너무나도 긴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따라서, 종량제 비닐봉투가 아닌 각 가정에서 쓰레기통에 분리수거된 쓰레기를 오물수거함에 담고, 이 오물수거함을 회수하여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이 아파트단지 등과 같은 거주밀집지역에서 쓰레기처리방법으로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쓰레기 수거방식은 각 가정에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에 상관없이 월별로 일률적인 비용을 지불하게 되어 있어서 불합리한 점이 많았으며, 특히 쓰레기수거비용을 정당하게 납부하지 않고, 몰래 오물수거함으로 버려지는 쓰레기에 대한 단속이 어려워 쓰레기처리에 있어서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오물수거함의 이용을 관리할 수 있는 오물수거관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는 오물수거함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마련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측에서 상기의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뚜껑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에는 상기 오물수거함을 시건할 수 있는 시건장치가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부에는 이웃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바코드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바코드리더기(bar code reader)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는 무선주파수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무선주파수식별리더기(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들을 외부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제어부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출력수단은 외부에서 상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어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출력수단은 외부에서 상기의 정보를 음성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물수거함에 수납된 오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측으로 오물의 무게정보를 전달하는 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물수거함에 수납된 오물의 부피를 측정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측으로 오물의 부피정보를 전달하는 부피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는 중앙제어부를 통하여 오물수거함의 이용을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쓰레기수거비용 납부율이 향상되고, 오물수거 및 오물수 거함관리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들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는 케이스부(10), 입력부(30), 중앙제어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부(10)는 오물수거관리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고 있다. 오물수거함(40)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12)을 형성한다. 케이스부(10)는 박스처럼 밀폐형공간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나머지 후면 및 측면이 막혀있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케이스부(10)에는 개폐될 수 있는 뚜껑(18)이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부(10)에 마련되는 뚜껑(18)은 오물수거함(40)에 구비된 뚜껑(미도시) 과 연계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케이스부(10)의 뚜껑이 열리면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이 드러나고,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을 열 수 있도록 마련된다. 혹은 케이스부(10)의 뚜껑(18)과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이 사슬이나 끈 등으로 연결되어 케이스부(10)의 뚜껑(18)이 열리면서 오물수거함(40)의 뚜껑도 같이 열리는 형태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물수거함(40)을 케이스부(10)의 밖으로 꺼내야할 경우에는 사슬이나 끈을 케이스부(10)의 뚜껑(18)에서 연결해제 시킬 수 있다.
케이스부(10)에 마련되는 뚜껑(18)은 자동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예로서 뚜껑(18)의 일측이 케이스부(10)에 힌지결합(미도시)되어 있고, 힌지결합된 부분에 탄성력 있는 스프링(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으며, 뚜껑의 타측에 형성된 걸림구멍(미도시)에 걸리기 위한 걸음쇠(미도시)가 케이스부(10)에 마련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의 걸음쇠가 상기 걸림구멍에 걸린 상태가 중앙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해제되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이 열리게 된다.
통상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은 오물수거함(40)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케이스부(10)에 마련되는 뚜껑(18) 또한 케이스부(10)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부(10)에는 수납된 오물수거함(40)이 케이스부(10)의 외부로 꺼내지지 않도록 단속하기 위해서 수납문(미도시)이나 쇠사슬(15)과 같은 단속수단이 마련된다.
쇠사슬(15)이 마련된 경우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쇠사슬(15)의 일측이 케이스부(10)의 일부분에 용접되어 있고 쇠사슬(15)의 타측은 자물쇠(14)와 같은 시건장치(14)를 통해 케이스부(10)의 다른 일부분에 형성된 고리(13)와 체결되도록 한다. 시건장치를 열어서 쇠사슬을 풀어 내어 오물수거함(40)을 케이스부(10)의 내부공간(12)에 비치한 후 다시 쇠사슬(15)을 시건장치(14)를 통해 걸어잠금으로써 오물수거함(40)이 무단으로 케이스부(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납문이 마련된 경우에는 수납문을 열어서 오물수거함(40)을 케이스부(10)의 내부공간(12)으로 넣고 수납문을 닫고 시건장치등으로 수납문을 걸어잠글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아무나 함부로 수납문을 열어서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를 버릴 수 없게 된다.
케이스부(10)에는 이웃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17,171)이 마련된다. 오물수거관리장치간의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연결수단으로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을 수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것 처럼, 한 쪽은 돌출된 부분(17)이 있고, 다른 쪽에는 돌출된 부분에 상응하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된 부분(171)이 구비되어 돌출된 부분과 오목 들어간 부분이 서로 끼워지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수단(17,171)에 의해서 오물수거관리장치는 다수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수개가 연결된 오물수거관리장치들은 하나의 오물수거관리장치에 있는 중앙제어부(20)에 의해 중앙제어된다.
입력부(30)는 케이스부(10)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는 다. 입력부(30)의 예로서, 소정의 정보가 기록된 바코드(미도시)를 읽어서 입력받는 바코드리더기(30)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정상적으로 발행된 것으로서 오물수거함(40)을 이용할 수 있는 것임을 중앙제어부(20)가 판단할 수 있는 정보가 상기 소정의 정보에 포함된다.
바코드리더기(30)로 입력된 상기 소정의 정보는 중앙제어부(20)측으로 전달된다.
입력부(30)의 다른 예로서, RF ID 리더기가 있을 수 있다. RF ID 카드(예를 들면, 버스카드나 신용카드)를 입력부(30)에 갖다대면 입력부(30)의 RF ID 리더기가 이를 인식하고 중앙제어부(20)으로 RF ID 정보를 전달한다. 중앙제어부(20)는 RF ID 정보에서 대금결재 및 케이스부(10)의 뚜껑이 열리도록 제어하게 된다.
중앙제어부(20)는 입력부(30)로 입력된 정보를 입력부(30)측으로부터 전달받고 이를 판단하여 케이스부(10)의 뚜껑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바코드리더기(30)와 같은 입력부(30)로 입력된 정보를 전달받은 중앙제어부(20)는 올바른 바코드정보인지 여부나 이미 사용된 바코드인지 여부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20)는 사용자(쓰레기를 오물수거함에 넣고자 하는 사람을 말한다.)가 오물수거함(40)을 이용할 수 있도록 케이스부(10)의 뚜껑(18)이 열리도록 제어한다. 또한, 액정디스플레이어(25)나 스피커(미도시)와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안내메세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제어한다.
중앙제어부(20)는 입력부(30)측으로부터 전달받은 바코드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오물수거함(40)의 쓰레기를 수거하러 온 쓰레기수거자의 PDA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미도시)에 오물수거관리장치의 사용내역, 사용된 바코드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중앙제어부(20) 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출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는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출력수단으로 액정디스플레이어(LCD)(25)와 같이 시각적으로 정보를 보여줄 수 있는 것 또는 스피커(미도시)와 같이 소리를 발생시키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오물수거관리장치를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안내메세지가 중앙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액정디스플레이어(25)나 스피커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오물수거함(40)에 수납된 오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중앙제어부(20)측으로 오물의 무게정보를 전달하는 무게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무게측정부의 예로서 전자저울을 들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물수거함(4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오물수거함(40)에 수납된 오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무게측정부가 중앙제어부(20)측으로 전달하면 중앙제어부(20)에서는 현재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가 가득차 있는지 아니면 쓰레기를 좀 더 수용할 수 있는 여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중앙제어부(20)는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가 가득 차 있다고 판단이 되면, 다른 오물수거장치의 이용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오물수거함(40)에 수납된 오물의 부피를 측정하여 상기 중앙제어부(20)측으로 오물의 부피정보를 전달하는 부피측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피측정부는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오물수거함(40)에 수납된 오물의 부피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부피측정부가 중앙제어부(20)측으로 전달한다.
부피측정부의 간단한 형태로서 접촉에 의하여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을 닫을 때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의 내측에 부착된 부피측정부와 오물과의 접촉이 이루어지면, 부피측정부가 신호를 중앙제어부(20)측으로 보낸다. 부피측정부측으로부터 오는 신호를 전달받은 중앙제어부(20)에서는 현재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가 가득차 있는지 아니면 쓰레기를 좀 더 수용할 수 있는 여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중앙제어부(20)는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가 가득 차 있다고 판단이 되면, 다른 오물수거장치의 이용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중앙제어부(20)에 전력을 공급하여주기 위하여 태양전지부(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태양전지부에서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축적하고 전기에너지를 중앙제어부(20)로 공급하여 중앙제어부(20)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태양전지부가 없는 경우에 중앙제어부(20)에는 중앙제어부(20)가 작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여주는 전원장치(예를 들면 배터리박스)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 다.
도면부호 19 와 191은 오물수거관리장치의 전원스위치를 나타낸다. 전원스위치(19,191)를 오프(off)시키어 중앙제어부(20)를 통하지 않고 수동으로 오물수거관리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오물수거관리장치의 이용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를 버리기 위하여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기에 갖다 대면, 바코드 리더기는 바코드를 읽어들여서 바코드에 담긴 정보를 중앙제어부(20)로 전송한다. 이때 디스플레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어에는 “현재 바코드를 읽고 있습니다. 잠시만 기다려주세요.”와 같은 메세지가 전시될 수 있다. 음성출력장치인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음성안내메세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바코드리더기측으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은 중앙제어부(20)는 바코드에 담겨있는 정보를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 즉, 바코드리더기로 읽어들인 바코드정보가 유효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바코드정보인지 여부나 이미 사용된 적이 있는 바코드정보인지 여부 등을 판단한다. 그리고 중앙제어부(20)는 현재 오물수거함(40)에 담겨있는 쓰레기의 양을 고려하여 쓰레기를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 등을 판단한다.
올바른 바코드가 아니거나, 이미 사용된 적이 있는 바코드인 경우에는 중앙제어부(20)의 제어를 통해 디스플레이어로 안내문이 전시된다. 예를 들어, “사용될 수 없는 바코드 입니다.” 또는 “이미 사용하신 바코드입니다.” 와 같은 안내 문이 전시되며, 스피커를 통해 음성안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가 가득 차 있어서 더 이상의 쓰레기 수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 죄송합니다. 현재 쓰레기를 더 받을 수 없습니다. 다른 오물수거함(40)을 이용하여 주세요.”와 같은 안내메세지가 제공된다.
올바른 바코드(정상적으로 판매 및 구매된 쓰레기수거용 바코드)이고, 현재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를 받아들일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면 중앙제어부(20)는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뚜껑이 열리도록 한다. 뚜껑이 열리면서 “오물수거함(40)에 쓰레기를 넣어주세요.”와 같은 안내메세지가 제공될 수 있다.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뚜껑이 열리면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이 외부에서 보이게 된다. 사용자는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뚜껑이 열림으로서 노출된 공간을 통해 오물수거함(40)의 뚜껑을 열고 쓰레기를 오물수거함(40)에 담을 수 있다. 여기서 응용되어 오물수거함(40)의 뚜껑과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뚜껑이 사슬이나 끈 등으로 연결되어 있어 함께 열리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응용은 당업자가 충분히 변형실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쓰레기를 오물수거함(40)에 다 넣은 후에는 오물수거함(40)의 뚜껑 및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뚜껑을 닫는다.
둘 이상의 오물수거관리장치가 연결수단(17,170,171)을 이용하여 연결되면 하나의 오물수거관리장치의 중앙제어부(20)을 통하여 둘 이상의 오물수거관리장치가 제어된다.
도 3을 주로 참조하면, 오물수거관리장치(A, 도3 참조)의 오물수거함에 쓰레기가 가득 찬 경우에 오물수거함이 가득차서 쓰레기를 받을 수 없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세지가 오물수거관리장치(A)의 디스플레이어(25)에 전시된다. 또한, 오물수거관리장치(A)의 뚜껑(18)은 열리지 않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어(25)에 다른 오물수거관리장치를 이용해 줄것을 안내하는 안내메세지가 전시된다. 바코드(미도시)를 옆에 연결된 오물수거관리장치(B)의 바코드리더기(301)에 갖다대어 바코드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면, 오물수거관리장치(A)에 있는 중앙제어부(20)이 정보를 전달받고 오물수거관리장치(B)의 오물수거함(미도시)에 쓰레기가 담길 여유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오물오물수거관리장치(B)의 오물수거함에 쓰레기가 담길 여유가 있으면 디스플레이어(251)에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안내메세지가 전시되고 오물수거관리장치(B)의 뚜껑이 열리게 된다.
한편, 오물수거함(40)의 쓰레기가 가득차게 되면 오물수거함(40)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쓰레기담당자가 오물수거관리장치에서 오물수거함(40)을 꺼낸다. 이 때, 오물수거관리장치에 있는 시건장치를 풀고 오물수거함(40)을 오물수거관리장치에서 꺼낸다.
오물수거함(40)의 쓰레기를 회수하면서 쓰레기 담당자는 PDA와 같은 이동통신수단을 조작하여 이동통신수단이 오물수거관리장치의 중앙제어부(20)와 연결되도록 한다.
오물수거관리장치의 중앙제어부(20)와 연결된 이동통신수단은 중앙제어 부(20)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여기서 데이터는 오물수거관리장치를 이용한 바코드의 정보들이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 데이터들은 구청과 같은 담당관공서의 DB에 기록 저장된다. 그리고, 새로운 바코드 발급시 기 사용된 바코드와 동일하게 발습되지 않도록 참고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물수거관리장치들이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스부 20 : 중앙제어부
30 : 입력부 25 : 디스플레이어
18 : 뚜껑 40 : 오물수거함

Claims (12)

  1. 오물수거함을 수납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개폐될 수 있는 뚜껑이 마련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측에서 상기의 정보를 전달받고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뚜껑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는 상기 오물수거함을 시건할 수 있는 시건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는 이웃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바코드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바코드리더기(bar code rea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무선주파수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받는 무선주파수식별리더기(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ea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받은 정보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들을 외부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측으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외부에서 상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외부에서 상기의 정보를 음성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함에 수납된 오물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측으로 오물의 무게정보를 전달하는 무게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수거함에 수납된 오물의 부피를 측정하여 상기 중앙제어부측으로 오물의 부피정보를 전달하는 부피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전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물수거관리장치.
KR20080091290A 2008-09-17 2008-09-17 오물수거관리장치 KR201000322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1290A KR20100032232A (ko) 2008-09-17 2008-09-17 오물수거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1290A KR20100032232A (ko) 2008-09-17 2008-09-17 오물수거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32A true KR20100032232A (ko) 2010-03-25

Family

ID=4218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91290A KR20100032232A (ko) 2008-09-17 2008-09-17 오물수거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22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9075A (zh) * 2013-08-19 2013-12-18 苏州张扬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分类垃圾箱
CN108416451A (zh) * 2018-03-05 2018-08-17 苏州江赛纺织科技有限公司 餐具回收系统及餐具回收的商业方法
CN108792360A (zh) * 2018-07-20 2018-11-13 北京瑞华康源科技有限公司 一种污物回收系统及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9075A (zh) * 2013-08-19 2013-12-18 苏州张扬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分类垃圾箱
CN108416451A (zh) * 2018-03-05 2018-08-17 苏州江赛纺织科技有限公司 餐具回收系统及餐具回收的商业方法
WO2019169852A1 (zh) * 2018-03-05 2019-09-12 苏州江赛纺织科技有限公司 餐具回收系统及餐具回收的商业方法
CN108792360A (zh) * 2018-07-20 2018-11-13 北京瑞华康源科技有限公司 一种污物回收系统及方法
CN108792360B (zh) * 2018-07-20 2023-09-26 北京瑞华康源科技有限公司 一种污物回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23252U (zh) 一种垃圾桶及基于互联网的垃圾回收管理系统
CN104609060B (zh) 一种智能垃圾回收方法
CN206255468U (zh) 智能垃圾投放装置
KR200408385Y1 (ko) 쓰레기 수거장치
CN109867059A (zh) 垃圾分类智能投放系统
KR100886969B1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KR100993983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CN104609061B (zh) 一种智能垃圾回收装置
CN109878933B (zh) 智能分类垃圾站控制系统
CN205187031U (zh) 智能垃圾分类回收系统
WO2018031332A1 (en) Smart waste receptacle providing use-incentive
KR20110034340A (ko)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KR20100032232A (ko) 오물수거관리장치
CN105772176A (zh) 一种智能废纸回收系统
KR100990456B1 (ko)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JP2002104607A (ja) ゴミ収集システム
KR20060041658A (ko)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48953B1 (ko) 친환경 배출물 집합 수거장치
CN113203459A (zh) 医疗废物管理手持一体机
CN204110687U (zh) 垃圾桶
KR101732372B1 (ko) Ble 기술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20110124593A (ko)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장치
CN204528265U (zh) 一种垃圾回收柜
KR101474359B1 (ko) 배터리를 사용한 저전력 소모방식의 음식물류 폐기물 수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류 폐기물 수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