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2211A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2211A
KR20100032211A KR1020080091257A KR20080091257A KR20100032211A KR 20100032211 A KR20100032211 A KR 20100032211A KR 1020080091257 A KR1020080091257 A KR 1020080091257A KR 20080091257 A KR20080091257 A KR 20080091257A KR 20100032211 A KR20100032211 A KR 20100032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pillar
gate electrode
sidewall
control gat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필
박윤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2211A/ko
Priority to US12/493,935 priority patent/US8064254B2/en
Publication of KR2010003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6Auxiliary circuits, e.g. for writing into memory
    • G11C16/10Programming or data inpu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4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onductor-insulator-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4011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 H01L29/4011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for data storage electrodes the electrodes comprising a charge-trapp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01L29/42328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gate other than the floating gate and the control gate, e.g. program gate, erase gate or select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 H01L29/4234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with at least one additional gate, e.g. program gate, erase gate or select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25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833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with a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01L29/7881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 H01L29/7883Programmable transistors with only two possible levels of programmation charging by tunnelling of carriers, e.g. Fowler-Nordheim tunne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92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charge trapping gate insulator, e.g. MNOS-memory transistors
    • H01L29/7926Vertical transistors, i.e. transistors having source and drain not in the same horizontal pla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2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1/23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1/27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3/0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 H10B43/20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 H10B43/23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 H10B43/27EEPROM devices comprising charge-trapping gate insulators characterised by three-dimensional arrangements, e.g. with cells on different height levels with source and drain on different levels, e.g. with sloping channels the channels comprising vertical portions, e.g. U-shaped chann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3/0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 H10B63/30Resistance change memory devices, e.g. resistive RAM [ReRAM] devices comprising selection components having three or more electrodes, e.g.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 상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상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하 저장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제공된다.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Non-volatile memory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에 관한 것이고, 특히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품은 그 부피가 점점 작아지면서도 고용량의 데이터 처리를 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반도체 제품에 사용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반도체층을 이용한 적층 구조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스케일링 다운에 따라서 그 동작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동작 신뢰성이 높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이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 상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상에 제공된다. 적어도 하나의 전하 저장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터널링 절연층이 더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 저장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절연층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절연층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은 매트릭스로 배열된 복수의 반도체 기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기둥들의 제 1 측벽들 상의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기둥들의 제 2 측벽들 상의 복수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 가운데 같은 층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들에 공유로 결합된 공통 게이트 라인이 더 제공되고, 상기 복수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 가운데 같은 층에 배치된 제어 게이트 전극들에 공유로 결합된 공통 제어 게이트 라인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제공된다.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이 제공된다.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 상에 제공된다. 복수의 메모리셀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상에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에 대향 배치된다. 복수의 보조 라인들은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에 각각 결합된다. 복수의 워드 라인들은 상기 복수 의 메모리셀들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 가운데 선택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프로그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단계 동안,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 가운데 상기 선택 메모리셀을 제외한 비선택 메모리셀들은 턴-오프(turn-off)되고, 상기 비선택 메모리셀들에 대향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 중 비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들은 턴-온(turn-on) 될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선택 메모리셀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읽는 단계 동안,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 가운데 상기 선택 메모리셀을 제외한 비선택 메모리셀들은 턴-오프(turn-off)되고, 상기 비선택 메모리셀들에 대향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 중 비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들은 턴-온(turn-on)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따르면, 반도체 기둥을 기준으로 메모리셀들에 대향되게 보조 트랜지스터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트랜지스터들을 턴-온 시킴으로써 메모리셀들을 턴-온 시키지 않고 반도체 기둥 내에 채널 또는 인버젼(inversion) 영역을 형성할 수 잇다.
따라서, 하나의 메모리셀의 프로그램 동작 동안, 다른 메모리셀들 내 전하의 변동으로 인한 프로그램 교란(program disturbance)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메모리셀의 읽기 동작 동안, 다른 메모리셀 내 전하의 변동으로 인한 읽기 교 란(reading disturbance)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가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는 최소한 하나, 즉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를 의미하며, 하나 또는 복수와도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II-II'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측벽(102) 및 제 2 측벽(104)을 갖는 반도체 기둥(110)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벽(102) 및 제 2 측벽(104)은 서로 반대되는 측벽들을 지칭할 수 있다. 반도체 기둥(110)은 전하의 도전 채널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둥(110)은 반도체 에피택셜층(epitaxial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에피택셜층은 단결정 구조의 반도체 박막을 지칭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1 측벽(102) 상에 제공될 수 있 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120)은 반도체 기둥(110)을 가로질러 신장될 수 있고, 나아가 게이트 전극(120)과 반도체 기둥(110)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15)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1 측벽(102)과 게이트 전극(12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절연층(115)은 반도체 기둥(110)과 게이트 전극(120)의 교차 부분에 개재될 수 있다. 나아가, 게이트 절연층(115)은 반도체 기둥(110) 및/또는 게이트 전극(120)을 따라서 신장될 수도 있다.
제어 게이트 전극(140)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2 측벽(10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게이트 전극(140)은 반도체 기둥(110)을 기준으로 게이트 전극(120)과 서로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게이트 전극(140)은 반도체 기둥(110)을 가로질러 신장하고, 나아가 반도체 기둥(110)과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어 게이트 전극(140)은 게이트 전극(120)과 평행하게 신장될 수 있다.
전하 저장층(130)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2 측벽(104) 및 제어 게이트 전극(140)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터널링 절연층(125)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2 측벽(104) 및 전하 저장층(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블로킹 절연층(135)은 전하 저장층(130) 및 제어 게이트 전극(1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널링 절연층(125), 전하 저장층(130) 및 블로킹 절연층(135)은 반도체 기둥(110)과 제어 게이트 전극(140)의 교차 부분에 개재될 수 있고, 나아가 반도체 기둥(110) 및/또는 제어 게이트 전극(140)을 따라서 신장될 수도 있다.
전하 저장층(130)은 전하 저장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하 저장 층(130)은 전하 저장 방식에 따라서 플로팅 타입 또는 트랩 타입을 포함할 수 있다. 플로팅 타입의 경우, 전하 저장층(130)은 도전 물질, 예컨대 금속 또는 폴리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랩 타입의 경우, 전하 저장층(130)은 실리콘 질화층, 양자 도트(quantum dots) 또는 나노크리스탈(nanocrystals)을 포함할 수 있다. 양자 도트 또는 나노크리스탈은 도전체, 예컨대 금속 또는 반도체의 미세 입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터널링 절연층(125)은 반도체 기둥(110)과 전하 저장층(130) 사이에서 전하의 터널링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블로킹 절연층(135)은 전하 저장층(130)과 제어 게이트 전극(140) 사이의 전하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터널링 절연층(125) 및 블로킹 절연층(135)은 적절한 절연 물질, 예컨대, 산화물, 질화물 및 고유전율 물질 가운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적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고유전율 물질은 산화물 및 질화물 보다 높은 유전 상수를 갖는 유전 물질을 지칭할 수 있다.
반도체 기둥(110)은 제어 게이트 전극(140) 또는 게이트 전극(120)에 의해서 공통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게이트 전극(140)을 이용하지 않고, 게이트 전극(120)을 이용하여 반도체 기둥(110)에 채널로 기능하는 인버젼(inversion)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동안, 제어 게이트 전극(140)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는 회수를 크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전하 저장층(130) 내의 전하에 인가되는 전압 스트레스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하 저장층(130) 내의 전하의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같이 참조하면, 반도체 기둥(110)은 비트 라인(BL)에 결합될 수 있다. 반도체 기둥(110) 및 그 제 1 측벽(102) 상의 구조물은 보조 트랜지스터(TA)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트랜지스터(TA)는 모스(MOS)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반도체 기둥(110) 및 그 제 2 측벽(104) 상의 구조물은 메모리셀(TM)을 형성할 수 있다. 메모리셀(TM)은 전하-기초(charge based)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단위셀을 구성할 수 있다. 보조 트랜지스터(TA)의 게이트 전극(120)은 보조 라인(AL)에 결합될 수 있다. 메모리셀(TM)의 제어 게이트 전극(140)은 워드 라인(WL)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트랜지스터(TA) 및 메모리셀(TM) 가운데 어느 하나가 턴-온(turn-on) 되면, 반도체 기둥(110)에는 전하의 이동 통로가 되는 채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트랜지스터(TA) 및 메모리셀(TM)은 채널을 공유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도 1 내지 도 3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것이고,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120)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1 측 벽(10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전극들(120)은 반도체 기둥(110)을 따라서 제 1 측벽(102) 상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게이트 절연층들(115)은 반도체 기둥(110) 및 게이트 전극들(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들(115)은 반도체 기둥(110)을 따라서 신장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2 측벽(10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은 반도체 기둥(110)을 따라서 제 2 측벽(104) 상에 이격 배치되고, 반도체 기둥(110)을 중심으로 게이트 전극들(120)에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터널링 절연층들(125), 복수의 전하 저장층들(130) 및 복수의 블로킹 절연층들(135)의 적층 구조는 반도체 기둥(110) 및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복수의 터널링 절연층들(125), 복수의 전하 저장층들(130) 및 복수의 블로킹 절연층들(135)의 적층 구조는 반도체 기둥(110)을 따라서 신장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120) 및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의 수는 예시적으로 도시되었고,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용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같이 참조하면,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TA)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1 측벽(10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셀들(TM)은 반도체 기둥(110)의 제 2 측벽(104) 상에 보조 트랜지스터들(TA)에 대향되게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보조 라인들(AL1, AL2, AL3, AL4)은 보조 트랜지스터들(TA)의 게이트 전 극들(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워드 라인들(WL1, WL2, WL3, WL4)은 메모리셀들(TM)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셀들(TM)은 낸드-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비트 라인(BL)의 신호는 메모리셀들(TM)뿐만 아니라 보조 트랜지스터들(TA)을 제어하여 제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소자의 프로그램 동작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읽기 동작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표 1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조건을 나타낸다.
프로그램 읽기 소거
SEL_WL Vpgm Vref 0V
USL_WL 0V/FT 0V/FT 0V
SEL_AL 0V/FT 0V/FT FT
USL_AL Vpass Vread FT
BL 0V Vcc FT
BD 0V 0V Vers
선택 워드 라인(SEL_WL)은 워드 라인들(...WLn-3, WLn-2, WLn-1, WLn...) 가운데 선택된 하나를 나타내고, 비선택 워드 라인들(USL_WL)은 선택 워드 라인(SEL_WL)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칭한다. 선택 보조 라인(SEL_AL)은 보조 라인들(...ALn-3, ALn-2, ALn-1, ALn...) 가운데 선택된 하나를 나타내고, 비선택 보조 라인들(USL_AL)은 선택 보조 라인(SEL_AL)을 제외한 나머지를 지칭한다. 선택 워드 라인(SEL_WL)과 선택 보조 라인(SEL_AL)은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바디(BD)는 메모리셀들(TM)의 바디를 지칭하고, 도 4에서 반도체 기둥(110)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워드 라인(WLn-1)이 선택 워드 라인(SEL_WL)이고, 보조 라인(ALn-1)이 선택 보조 라인(SEL_AL)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이에 따르면, 선택 워드 라인(SEL_WL)은 선택 메모리셀(TM2)에 결합되고, 선택 보조 라인(SEL_AL)은 선택 보조 트랜지스터(TA2)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 메모리셀(TM2)과 선택 보조 트랜지스터(TA2)는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비선택 워드 라인들(USL_WL)은 비선택 메모리셀들(TM1)에 결합되고, 비선택 보조 라인들(USL_AL)은 비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들(TA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메모리셀(TM2)에 데이터를 프로그램하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램 동작 동안, 선택 워드 라인(SEL_WL)에는 프로그램 전압(Vpgm)을 인가하고, 비선택 보조 라인들(USL_AL)에는 패스 전압(Vpass)을 인가할 수 있다. 비트 라인(BL), 비선택 워드 라인들(USL_WL) 및 선택 보조 라인(SEL_AL)은 접지되거나("0V"로 표시) 또는 플로팅될 수 있다("FT"로 표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동작 동안, 비선택 메모리셀들(TM1) 및 선택 보조 트랜지스터(TA2)는 턴-오프 되고, 대신 비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들(TA1)이 턴-온 된다. 선택 메모리셀(TM2)에는 F-N 터널링에 의해서 전하가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비선택 메모리셀들(TM1)에 전압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도, 비선택 메모리셀들(TM1) 아래의 반도체 기둥(도 4의 110)에 채널(또는 인버젼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동작 동안, 비선택 메모리셀들(TM1) 내 전하의 변동으로 인한 프로그램 교란(program disturbance)이 방지될 수 있다.
선택 메모리셀(TM2)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읽기 동작 동안, 비트 라인(BL)에 동작 전압(Vcc)을 인가하고, 선택 워드 라인(SEL_WL)에 참조 전압(Vref)을 인가하고, 비선택 보조 라인들(USL_AL)에 읽기 전압(Vread)을 인가할 수 있다. 나아가, 비선택 워드 라인들(USL_WL) 및 선택 보조 라인(SEL_AL)은 접지되거나("0V"로 표시) 또는 플로팅될 수 있다("FT"로 표시). 읽기 전압(Vread)은 비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들(TA1)을 턴-온 시키는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패스 전압(Vpass)보다 작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읽기 동작 동안, 비선택 메모리셀들(TM1) 및 선택 보조 트랜지스터(TA2)는 턴-오프 되고, 대신 비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들(TA1)이 턴-온 된다. 선택 메모리셀(TM2)은 전하 저장 여부에 따라서 턴-온 또는 턴-오프 된다. 따라서, 비선택 메모리셀들(TM1)에 전압 스트레스를 주지 않으면서도, 비선택 메모리셀들(TM1) 아래의 반도체 기둥(도 4의 110)에 채널(또는 인버젼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읽기 동작 동안, 비선택 메모리셀들(TM1) 내 전하의 변동으로 인한 읽기 교란(reading disturbance)이 방지될 수 있다.
메모리셀(TM1, TM2)의 데이터를 일시에 지우는 블록 소거 단계가 제공될 수 있다. 소거 동작 동안, 선택 워드 라인(SEL_WL) 및 비선택 워드 라인들(USL_WL)에 0V를 인가하고, 바디(BD)에는 소거 전압(Vers)을 인가할 수 있다. 선택 보조 라인(SEL_AL) 및 비선택 보조 라인들(USL_AL)은 플로팅 될 수 있다("FT"로 표시).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도 4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것이고,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반도체 기둥들(110)이 행과 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120)은 반도체 기둥들(110)의 제 1 측벽(10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은 반도체 기둥들(110)의 제 2 측벽(10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들(120) 및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은 반도체 기둥들(110)의 제 1 및 제 2 측벽들(102, 104)을 따라서 이격 배치되고, 나아가 반도체 기둥들(110)을 가로질러 신장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 전극들(120) 및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은 3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같은 행에 배열된 반도체 기둥들(110)은 제 1 측벽들(102)이 서로 마주보고 제 2 측벽들(104)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될 수 있다. 같은 열에 배열된 반도체 기둥들(110)은 게이트 전극들(120) 및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 사이에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반도체 기둥들(110), 게이트 전극들(120) 및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의 수는 예시적으로 도시되었고,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용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도체 기둥들(110)은 기판(101) 상에 수직으로 신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낸드 구조의 스트링들은 기판에 수직으로 신장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실시예는 이러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반도체 기둥들(110)은 기판(10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8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일부분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예를 들어, 도 9는 도 8의 구조에서 2층 2행 구조, 즉 4 x 2 x 2 구조만을 예시적으로 도시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같이 참조하면, 메모리셀들(TM) 및 보조 트랜지스터들(TA)은 3차원으로 적층될 수 있다. 제 1 층의 메모리셀들(TM)은 워드 라인들(WL11, WL12, WL13)에 결합되고, 제 1 층의 보조 트랜지스터들(TA)은 보조 라인들(AL11, AL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2 층의 메모리셀들(TM)은 워드 라인들(WL21, WL22, WL23)에 결합되고, 제 2 층의 보조 트랜지스터들(TA)은 보조 라인들(AL21, AL2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층의 메모리셀들(TM)과 제 2 층의 메모리셀들(TM)은 낸드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도 8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일부 구성을 추가한 것이고,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각 층의 게이트 전극들(120)은 각 층의 공통 게이트 라인(160)에 결합될 수 있다. 각 층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140)은 각 층의 공통 제어 게이트 라인(170)에 결합될 수 있다. 각 층의 게이트 전극들(120)이 서로 결합되고 각 층의 공통 제어 게이트 라인(170)이 서로 결합되어도, 반도체 기둥들(110)이 서로 분리되어 선택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셀들은 분리되어 동작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일부분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워드 라인들(WL11, WL12, WL13)은 공통 워드 라인(CWL1)에 공유로 결합되고, 워드 라인들(WL21, WL22, WL23)은 공통 워드 라인(CWL2)에 공유로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라인들(AL11, AL12)은 공통 보조 라인(CAL1)에 공유로 결합되고, 보조 라인들(AL21, AL22)은 공통 보조 라인(CAL2)에 공유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칩(300)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메모리셀 어레이(310)는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들 가운데 어느 하나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셀 어레이(310)는 X-버퍼 & 로우 디코더(320) 및 Y-버퍼 & 칼럼 디코더(330)와 신호를 주고받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셀 어레이(310)의 워드 라인들이 X-버퍼 & 로우 디코더(3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셀 어레이(310)의 비트 라인이 Y-버퍼 & 칼럼 디코더(3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로직(340)은 X-버퍼 & 로우 디코더(320) 및 Y-버퍼 & 칼럼 디코더(330)에 결합되어,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500)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기(510)와 메모리(520)는 전기적인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510)의 명령에 따라서, 메모리(520)와 제어기(510)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카드(500)는 메모리(52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또는 메모리(520)로부터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20)는 도 12에서 설명한 반도체 칩(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 카드(500)는 다양한 휴대용 기기의 데이터 저장 매체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500)는 멀티미디어 카드(multi media card; MMC) 또는 보안 디지털(secure digital card; SD)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600)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610), 입/출력 장치(630) 및 메모리(620)는 버스(bus, 640)를 이용하여 서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시스템(6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630)는 시스템(600)의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시스템(600)은 입/출력 장치(630)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10)의 동작을 위한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20)는 도 12에서 설명한 반도체 칩(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시스템(600)은 메모리(620)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전자 제어 장치를 구성할 수 있고, 예컨대 모바일 폰(mobile phone),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navigation), 고상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또는 가전 제품(household appliances)에 이용될 수 있다.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을 목적으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들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등 여러 가지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II-II'선에서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등가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소자의 프로그램 동작을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읽기 동작을 보여주는 회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일부분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일부분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칩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Claims (20)

  1.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 상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에 대향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전하 저장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 저장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의 적어도 교차 부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및 상기 적 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터널링 절연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하 저장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블로킹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 사이의 복수의 반도체 기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은 매트릭스로 배열된 복수의 반도체 기둥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기둥들의 제 1 측벽들 상의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 게이트 전극은 상기 복수의 반도체 기둥들의 제 2 측벽들 상의 복수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게이트 전극들 가운데 같은 층에 배치된 게이트 전극들에 공유로 결합된 공통 게이트 라인; 및
    상기 복수의 제어 게이트 전극들 가운데 같은 층에 배치된 제어 게이트 전극들에 공유로 결합된 공통 제어 게이트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은 기판 상에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3. 제 1 측벽 및 제 2 측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1 측벽 상의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상에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에 대향 배치된 복수의 메모리셀들;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보조 라인들; 및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워드 라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은 낸드-구조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 각각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반도체 기둥의 제 2 측벽 상의 터널링 절연층;
    상기 터널링 절연층 상의 전하 저장층;
    상기 전하 저장층 상의 블로킹 절연층; 및
    상기 블로킹 절연층 상의 제어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16. 제 13 항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 가운데 선택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프로그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단계 동안,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 가운데 상기 선택 메모리셀을 제외한 비선택 메모리셀들은 턴-오프(turn-off)되고, 상기 비선택 메모리셀들에 대향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 중 비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들은 턴-온(turn-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단계 동안, 상기 선택 메모리셀에 대향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 중 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는 턴-오프(tur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단계 동안, 상기 선택 메모리셀에 결합된 상기 복수의 워드 라인들 중 선택 워드 라인에는 프로그램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메모리셀의 데이터를 읽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읽는 단계 동안, 상기 복수의 메모리셀들 가운데 상기 선택 메모리셀을 제외한 비선택 메모리셀들은 턴-오프(turn-off)되고, 상기 비선택 메모리셀들에 대향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 중 비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들은 턴- 온(turn-on)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읽는 단계 동안, 상기 선택 메모리셀에 대향 배치된 상기 복수의 보조 트랜지스터들 중 선택 보조 트랜지스터는 턴-오프(turn-off)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KR1020080091257A 2008-09-17 2008-09-17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32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57A KR20100032211A (ko) 2008-09-17 2008-09-17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US12/493,935 US8064254B2 (en) 2008-09-17 2009-06-29 Columnar non-volatile memory devices with auxiliary transistor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257A KR20100032211A (ko) 2008-09-17 2008-09-17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211A true KR20100032211A (ko) 2010-03-25

Family

ID=4200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257A KR20100032211A (ko) 2008-09-17 2008-09-17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64254B2 (ko)
KR (1) KR201000322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827A (ko) * 2012-05-01 2013-11-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저항체 및 저항형 메모리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714B1 (ko) * 2008-09-16 2015-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52873B1 (ko) * 2010-02-18 2016-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반도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357970B2 (en) * 2010-04-09 2013-01-22 Micron Technology, Inc. Multi-level charge storage transistors and associated methods
KR20140063147A (ko) * 2012-11-16 2014-05-2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478557B1 (en) * 2014-09-24 2016-10-25 Sandisk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3D NAND memory with socketed floating gate cells
US10290642B2 (en) * 2017-09-30 2019-05-14 Intel Corporation Flash memory devices incorporating a polydielectric layer
KR102051308B1 (ko) * 2018-09-12 2019-12-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iGe 양자우물 구조를 갖는 지능형 반도체소자
US20230031362A1 (en) * 2021-07-28 2023-02-02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device having memory cell strings and separate read and write control gat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3083A (ja) 1996-09-18 1998-04-10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406419B (en) 1998-01-15 2000-09-21 Siemens Ag Memory-cells arrangement and its production method
US6888750B2 (en) * 2000-04-28 2005-05-03 Matrix Semiconductor, Inc. Nonvolatile memory on SOI and compound semiconductor substrates and method of fabrication
EP2323164B1 (en) * 2000-08-14 2015-11-25 SanDisk 3D LLC Multilevel memory array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4822841B2 (ja) 2005-12-28 2011-11-24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827A (ko) * 2012-05-01 2013-11-11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저항체 및 저항형 메모리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7301A1 (en) 2010-03-18
US8064254B2 (en) 201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4730B2 (en) Multi-deck memory device with access line and data line segregation between deck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7187281B2 (ja) 不揮発性メモリ装置
US8823078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stacked structure, and memory card and electronic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738533B1 (ko) 적층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792280B2 (en) Strings of memory cells having string select gates, memory devices incorporating such strings, and methods of accessing and forming the same
CN110520990B (zh) 具有增大的存储密度的三维闪存器件
KR20100032211A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동작 방법
US10971238B2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US11348910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960120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605588B2 (en) Memory device including data lines on multiple device levels
JP2004326965A (ja)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1739059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US20200411107A1 (en) Memor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30345730A1 (en) Memory device including different dielectric structures between blocks
JP2011192827A (ja) Nand型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1691094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20230395501A1 (en) Memory device including source structure having conductive islands of different widths
US11972809B2 (en) Selective inhibit bitline voltage to cells with worse program disturb
KR102672972B1 (ko) 증가된 저장 밀도를 갖는 3차원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US20120146120A1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KR100886859B1 (ko) 비휘발성 반도체 기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