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980A - 불꽃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폴리올 - Google Patents

불꽃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폴리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980A
KR20100031980A KR1020080090897A KR20080090897A KR20100031980A KR 20100031980 A KR20100031980 A KR 20100031980A KR 1020080090897 A KR1020080090897 A KR 1020080090897A KR 20080090897 A KR20080090897 A KR 20080090897A KR 20100031980 A KR20100031980 A KR 20100031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ol
weight
poly
polyether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전구
최종렬
김혜민
허승무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980A/ko
Publication of KR20100031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98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29Polyethers contain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2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20Compositions for hot melt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60Compositions for foaming; Foamed or intumescent adhes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질 폴리우레탄 폼에 사용되는 flame bonding이 우수한 폴리올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 폴리올을 적용한 복합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비가 1:0.9~1:1.2이 되도록 조절된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면 flame bonding 특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꽃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폴리올{POLYESTER-PLOYETHER HYBRIDE POLYOL FOR POLYURETHANE FOAM WITH HIGN FLAME BONDING ABILITY}
본 발명은 연질 폴리우레탄 폼에 사용되는 flame bonding이 우수한 폴리올의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장재, 헤드라이너, 도어 판넬, 시트 덥개등의 산업재 분야에는 섬유원단(fabric)과 폼의 접착된 형태의 제품을 주로 사용한다. 이런 섬유원단과 폴리우레탄 폼의 접착방법은 접착제를 도입하여 붙이거나, 양면테이프와 같은 접착 필름을 붙여 접합하는 방식도 있으나, 현재에는 대부분 섬유원단과 폴리우레탄 폼을 flame에 의해 접합하는 flame bonding 방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flame bonding을 하는 주요한 이유는 접합 전과 접합후의 치수적인 변화가 거의 없이 매우 안정되고 그리스에 대한 저항이나 구김성이 좋다. 또한 통기성 및 투습성, 유연성 및 폼의 탄성의 변화 없이 치수적으로 매우 안정된 섬유원단과 폴리우레탄 폼이 접착된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flame bonding법은 일반적으로 연질 폴리우레탄 슬라 브스톡 폼을 필름 형태로 절단하여 가공한 연질 폴리우레탄 폼 sheet를 사용하여 섬유원단과 접착하여 가공하는 방식으로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우선 film 형태로 된 폴리우레탄 폼의 표면을 일정하고 균일한 고온의 flame으로 처리한다. 이때 flame에 의해서 폴리우레탄 폼의 표면이 녹으면서 접착층을 형성하고 이 접착층으로 인해서 다른 물질의 표면과 접착을 할 수가 있게 된다. flame에 의해 용융된 접착층은 다시 수초나 수분 뒤 다시 고형화되어 견고한 접착을 형성한다.
초기에 Flame bonding법은 미국, 유럽, 일본등에서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시작하였으며, Flame bonding법을 이용하여 초기에는 자동차 내장재 분야에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폼을 사용하여 적용 되어왔다. 폴리에스테르 연질 우레탄 폼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접착력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자동차 내장재 분야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폴리에스테르 연질 우레탄 폼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내 가수분해성이 매우 취약하다는 치명적인 단점으로 인해서 사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그 외 폴리에스테르 연질 우레탄 폼은 폴리에테르 연질 우레탄 폼에 비해서 가격, 내 가수분해성, flexibility, Cell 오픈성 등의 물성이 떨어진다. 게다가 폴리에스테르 폼을 제조하기 위한 원재료인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도 폴리에테르 폴리올보다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 연질 우레탄 폼에 비해서 내 가수분해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폴리에테르 연질우레탄 폼이 가격 및 물성면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연질 우레탄 폼보다 우수함으로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에스테르 연 질 우레탄폼에 비해서 폴리에테르 우레탄폼은 flame bonding성, 즉 flame에 의해서 표면이 녹은 뒤 고화되어 붙는 접착력이 매우 떨어지며, 폴리에테르 연질 우레탄폼의 접착력 자체도 폴리에스테르 우레탄폼의 접착력에 비해서 매우 약하다.
그러므로,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 연질 우레탄폼은 폴리에스테르 연질 우레탄폼에 비해서 flame bonding성이 매우 떨어지므로, flame bonding 성을 상승시키기 위한 특별한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폼 처방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 연질우레탄폼의 flame bonding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특별한 접착 보조제가 사용된다. 이 접착 보조제는 폴리에테르폼과 피접착층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실 예로, Bayer사의 Desmophen PU3175제품은 화학적으로 변형된 폴리올을 포함하고 있으며 폴리에테르 연질 슬라브스톡 폼 발포시 3~20pt 사용시 폴리에테르 연질폼의 flame bonding성을 증가 향상시킨다.
미합중국 특허 3,304,273에서는 filler가 포함된 폴리올 이나 filler가 포함된 폴리올과 일반적인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혼합물로부터 폴리우레탄 폼의 flame bonding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filler 포함 폴리올은 특히 폴리머 폴리올을 의미하며 폴리에테르 폴리올을 분산매로 하고 반응성 비닐모노머를 자유공중합을 통해서 제조된 폴리올 분산체이다.
미합중국 특허 5,897,928은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폴리머 폴리올에 디올을 첨가시켜 폴리에테르 연질 폼의 flame bonding 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EP-A 25 549에서는 네오펜틸 글리콜 하이드록시피발레이트 에스테르를 폴리 우레탄 폼생산시 도입하였다. 그 결과 매우 좋은 접착력이 나타났다.
하지만 상기에 제시된 방법인 폴리머 폴리올을 도입함에 따른 연질 폴리우레탄 폼의 flame bonding성의 향상은 크게 증가하지 않고 에스테르 첨가제의 경우 특성상 소량 첨가되기 때문에 flame bonding 특성이 만족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폴리에테르 연질폼의 flame bonding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적용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혼용성이 매우 낮으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초 혹은 수분 뒤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층과 폴리에테르 폴리올 층의 분리가 일어난다. 따라서 원료 혼합시 균일도가 매우 떨어짐에 따라서 생산의 불량을 초래할 수 있으며, Cell형태도 매우 조잡해져 기계적 물성 저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단일 분자 구조 내에 폴리에테르 폴리올 구조와 폴리에스테르구조를 동시에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을 제조하여 이의 복합 폴리올을 가지고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flame-bonding성이 우수한 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폼이 갖고 있는 장점인 flame-bonding의 우수성과 폴리에테르폼이 갖고 있는 장점인 가격, 내 가수분해성, flexiblity, 오픈셀성등이 우수성 이 두가지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폴리올 구조에 폴리에테르 부분과 폴리에스테르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존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의 우수한 상용성으로 인하여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물성 저하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로 폴리우레탄 연질폼을 제조할시 폴리올 부분에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을 100중량%에서 3중량%까지 적용하여도 연질 우레탄폼의 flame bonding 성이 우수하게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 접착성이 우수하면서도 가격 및 폼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하이브리드 폴리올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 접착성이 우수하면서도 가격 및 폼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하이브리드 폴리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 접착성과 가격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새로운 폴리우레탄 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 접착성과 가격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새로운 폴리우레탄 폼이 가열 접착된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혼성폴리올은 디카르복실산 5~50 중량%,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올 45~95 중량%, 디올 0~10 중량%, 다관능성 화합물 0~5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면 프탈산류, 나프탈렌 카르 복실산류, 디카르복실벤젠 설포산나트륨, 아디픽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지방족 사이클로 11 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등이 사용될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아디픽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5-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과의 상용성이 저하되며, 폴리올 점도가 매우 높아 작업성에 지장이 있으며, 지나치게 적을 경우에는 Flame bonding 특성이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은 2개이상의 활성구조가 존재하는 유기화합물과 알킬렌옥사이드의 부가중합반응에 의하여 제조되게 되는데, 이때 2개 이상의 활성수소원자가 존재하는 초기물질로서는 예를들면,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에틸렌디아민 및 솔비톨등이 있으며, 알킬렌옥사이드로서는 예를들면,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스트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및 에피클로히드린등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은 일예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올, 폴리(부틸렌에틸렌옥사이드)폴리올, 폴리(스트렌 옥사이드)폴리올, 폴리(에피클로히드린옥사이드)폴리올이나 이들의 혼합물들이다.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다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은 45-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의 함량이 적을 경우에는 다른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떨어지며, 폴리올의 점도가 매우 높아 작업성에 지장을 주며, 폴리올의 양이 많아질 경우에는 타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과의 상용성이 증가하나, Flame bonding력 향상이 미비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디올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부탄디올, 네오펜틸렌글리콜, 1,4-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멘탄올, 디에틸렌글리콜, 1,5-펜탄디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등을 들 수 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디올성분은 폴리올의 물리적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투입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하로 투입되는 것이 좋다. 상기 디올 성분의 양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폴리올의 물리적인 특성은 증가하나, 점도가 증가하여 사용시 작업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은 3이상의 관능성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의 화학적 가교 결합을 유도하여 최종 중합체의 열안정성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은 일예로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에테르, 솔비톨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등과 같은 솔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에폭시프로필 이 소시아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등과 같은 글리시딜 에테르 말단을 포함하는 화합물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 말단과의 반응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최종 중합체의 물성면에서도 유리한 글리시딜에테르 말단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관능성 화합물은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의 산성분에 대하여 0-5.0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접착성 이외에 최종 폼의 열적안정성과 기계적 물성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도록, 0.1-5.0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을 0.1 중량%이하로 첨가하게 되면 원하는 열적안정성과 물성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없게 되며, 5.0 중량% 이상을 첨가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폴리올의 점도가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가공성이 매우 나빠지고 또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폴리올은 에스테르로 디카르복실과, 에테르로 다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을 선택적으로 디올성분 및/또는 다관능화합물과 혼합시켜 최종 폴리올 조성물 내에서 디카르복실산의 함량이 5~50 wt%가 되도록 축합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테트라알킬 티타네이트를 사용하거나 마그네슘 또는 칼슘아세테이트와 혼용할 수도 있으며, 그밖에도 알카리토금속의 알콜사이드화합물과 티타네이트의 에스테르 화합물로부터 생 성된 Mg[HTi(OR)5]2 와 같은 티타네이트계 착화합물이나 티타늄티타네이트와 같은 무기티타네이트계 화합물, 칼슘아세테이트와 안티몬니트리옥사이드의 혼합물, 리튬 또는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유기주석화합물, 또는 유기주석화합물과 유기티타늄화합물의 혼합물 등도 중합촉매로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의 제조는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을 포함한 중합성분 및 촉매, 반응조제를 동시에 투입하여 반응시키는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성 성능이 더욱 우수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하도록 다음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알킬렌옥사이드)글리콜 성분과 디카르복실산, 및 글리시딜에테르 말단을 포함하는 다관능성 화합물을 반응조에 우선 투입하고 가압 상태하여서 190℃의 온도로 4시간 반응시킨 다음, 반응 촉매제를 투입하여 반응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게 되면, 다관능성 성분이 디카르복실산과 반응하여 폴리올의 유연성과 탄성을 증가시켜줄 뿐 아니라, 미량의 화학적 가교결합으로 인해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을 제조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스테르화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결한 후, 약 1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공을 0.7mmHg 이하까지 걸며서 반응관의 온도를 200내지 220℃로 가열하여 적당한 교반력을 유지하에 반응을 중단시킨 다음, 토출시켜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을 얻는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결정화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흐름성이 매우 좋지 않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폴리올은 결정화도가 극히 낮고 흐름성이 높은 폴리에테르 성분으로 인하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단독보다 결정화도와 점도가 매우 낮다. 또한 화학적 가교결합이 미량 유도될 경우에도 결정화도와 점도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단독보다 상승하는 추세가 매우 낮다.
또한 폴리올 구조에 폴리에테르 부분과 폴리에스테르 부분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폴리에테르 폴리올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의 상용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기존의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의 매우 우수한 상용성을 나타내어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발포시켜 제조되며, 가열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프리믹스는 디카르복실산 5~40 중량%,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올 45~95 중량%, 디올 0~10 중량%, 다관능성 화합물 0~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성 폴리올을 3-100 중량% 포함하는 폴리올, 촉매, 및 정포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이 가열 접착된 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은 디카르복실과 다가 폴리(알킬렌옥사이드)폴리올을 혼합시켜 최종 폴리올 조성물내에 디카르복실산의 함량이 5~50 wt%가 되도록 축합반응을 시켜서 제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혼성 폴리올로 폴리우레탄 연질폼을 제조시 flame bonding 성이 우수면서도 폼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연질 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레탄 폼은 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여 가열 접착성이 좋으면서도, 가수분해성 양호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flame bonding 성이 좋은 폴리우레탄을 제공하는 새로운 폴리올과 프리믹스가 제공되었으며, 폴리우레탄 폼과 천이 불꽃 가열 접착된 부재들이 제공되었다.
*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의 제조
[ 제조예1 .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A)]
3관능성 폴리프로필렌 글리콜(Mw:600, 관능기;3) 1800g 과 아디픽산 512g 과 디에틸렌글리콜 10.5g 및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를 1g의 상기 혼합물을 혼합시켜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은 후, 190℃로 반응온도를 상승시켜 축중합을 통해서 반응을 시켰다.
합성된 폴리올은 수산기값이 56이며, 산가는 0.7이고 점도는 2,000 cps/25℃ 이며 외관은 연노랑 투명 액체이다.
[ 제조예2 .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B)]
폴리프로필렌 글리콜(Mw:400, 관능기;2) 1800g 과 아디픽산 526g 과 트리메틸올프로판 18g 및 테트라부틸 티타네이트를 1g의 상기 혼합물을 혼합시켜서 이루어진 혼합물을 반응 플라스크에 넣은 후, 190℃로 반응온도를 상승시켜 축중합을 통해서 반응을 시켰다.
합성된 폴리올은 수산기값이 56이며, 산가는 0.7이고 점도는 2,500 cps/25℃ 이며 외관은 연노랑 투명 액체이다.
[ 실시예 1~4 및 비교실시예1 ]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 3관능성 폴리프로필렌 폴리올, 촉매, 정포제, 물을 다음 표 1에 나타낸 조성으로 혼합하여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올 (A)~(F)까지 변화하면서 레진 프리믹스를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20±1℃로 조절된 레진 프리믹스 700g과 20±1℃로 조절된 트리메틸이소시아네이트를 인덱스 100내지 105가 되게 중량비를 계산하여 합계 1000g이 되도록 혼합하여 5~7초간 격렬하게 교반한 후, 300mm*300mm*300mm 알루미늄 몰드에 주입하여 반응성과 발포체의 외관 및 형상을 확인하고, 1일 경과후 경도, 인장강도, 신율, 인열,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표1]
Figure 112008065303469-PAT00001

Claims (11)

  1. 디카르복실산 5~40 중량%,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올 45~95 중량%, 디올 0~10 중량%, 다관능성 화합물 0~5중량%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은 0.1-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폴리올.
  3. 제1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올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올,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올, 폴리(부틸렌에틸렌옥사이드)폴리올, 폴리(스트렌 옥사이드)폴리올, 폴리(에피클로히드린옥사이드)폴리올. 및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화합물은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디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에테르, 솔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에폭시프로필 이소시아누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은 프탈산, 나프탈렌 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벤젠 설포산나트륨,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바스산, 지방족 사이클로 11 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
  6.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을 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발포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상기 혼성 폴리올을 3-1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성 폴리올은 디카르복실산 성분이 5~40 중량%,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올이 45~95 중량%, 디올 0~10 중량%, 다관능성 화합물 0~5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폼.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은 가열 접착용인 폴리우레탄 폼.
  10. 디카르복실산 5~40 중량%, 폴리(알킬렌옥사이드) 폴리올 45~95 중량%, 디올 0~10 중량%, 다관능성 화합물 0.1~5중량%로 이루어지는 혼성 폴리올을 3-100 중량% 포함하는 폴리올, 촉매, 및 정포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프리믹스.
  11.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혼성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트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폴리우레탄 폼이 가열 접착된 부재.
KR1020080090897A 2008-09-17 2008-09-17 불꽃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폴리올 KR20100031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97A KR20100031980A (ko) 2008-09-17 2008-09-17 불꽃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폴리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897A KR20100031980A (ko) 2008-09-17 2008-09-17 불꽃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폴리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980A true KR20100031980A (ko) 2010-03-25

Family

ID=4218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897A KR20100031980A (ko) 2008-09-17 2008-09-17 불꽃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폴리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98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3324B1 (en) 2017-10-24 2019-05-07 Applied Materials, Inc. Oxygen treatment for nitride etching
CN115572384A (zh) * 2021-06-21 2023-01-06 万华化学(宁波)容威聚氨酯有限公司 一种聚酯醚多元醇及制备方法、一种聚氨酯硬泡及制备方法和应用
CN116333250A (zh) * 2021-12-22 2023-06-27 长华化学科技股份有限公司 聚氨酯软质泡沫塑料、制备方法及其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3324B1 (en) 2017-10-24 2019-05-07 Applied Materials, Inc. Oxygen treatment for nitride etching
CN115572384A (zh) * 2021-06-21 2023-01-06 万华化学(宁波)容威聚氨酯有限公司 一种聚酯醚多元醇及制备方法、一种聚氨酯硬泡及制备方法和应用
CN116333250A (zh) * 2021-12-22 2023-06-27 长华化学科技股份有限公司 聚氨酯软质泡沫塑料、制备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48702B (zh) 具有好的粘附性的湿气固化热熔性粘合剂
KR101971677B1 (ko) 푸란다이카복실산 또는 이의 에스터 및 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터 조성물
EP1220875B1 (en) Copolyesters having improved retained adhesion
JP4497245B2 (ja) アルコール可溶型ウレタ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ポリウレタン多孔体及び透湿性フィルム
WO1990013588A1 (en) Production of polyether ester polyol and polyurethane
JPH06293826A (ja) 熱可塑性生分解性樹脂及びその製造方法
PH12015501618B1 (en) Adhesive composition, and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722791B1 (ko) 플라스틱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부가 생성물을 포함하는 접착 복합체용의 접착 촉진제
WO2011091130A1 (en) Biodegradable starch-containing blend
KR20100031980A (ko) 불꽃 접착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폴리에스테르-폴리에테르 혼성폴리올
JP5354475B2 (ja) ポリウレタン樹脂形成性組成物、シール材及び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101972774B1 (ko) 비팽창 특성을 가지는 반응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코팅원단의 제조방법
KR101819723B1 (ko) 친환경 핫멜트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CA2551714A1 (en) Pur-polyester flexible foams based on polyetheresterpolyols
JP3950411B2 (ja) 制振板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制振板
KR101690082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생분해성 필름
KR20170077891A (ko) 내한굴곡성 및 접착력이 우수한 핫멜트접착필름
KR20180051167A (ko) 폴리에스테르 발포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천정재
KR20090123714A (ko)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저비중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JP4420375B2 (ja) ラミネートフィルム積層体
TWI742035B (zh) 包含除水劑之可撓性聚乳酸樹脂組成物
KR101321576B1 (ko) 우수한 불꽃 라미네이션 특성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폼 및 이의 제조용 폴리올
KR100743130B1 (ko) 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 그로 제조된저융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바인더 섬유 및 그의 용도
JPH07179559A (ja) ロジン骨格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および該ポリウレタンを含有してなるポリウレタン系接着剤
KR20110100382A (ko)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이용한 작용기가 증가된 폴리에스터폴리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