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864A - 세탁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864A
KR20100031864A KR1020080090707A KR20080090707A KR20100031864A KR 20100031864 A KR20100031864 A KR 20100031864A KR 1020080090707 A KR1020080090707 A KR 1020080090707A KR 20080090707 A KR20080090707 A KR 20080090707A KR 20100031864 A KR20100031864 A KR 20100031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controlling
heater
temperature
eq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864A/ko
Publication of KR20100031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8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할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온도 및 송풍 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할 신발을 수납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구비된 열풍공급유닛과,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와, 상기 열풍공급유닛 및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건조 행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건조할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온도 및 송풍 조건을 적용할 수 있어 신발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건조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세탁기, 드로워, 리프레셔, 열풍공급유닛, 송풍팬, 히터, 습도 센서, 제어부

Description

세탁기의 제어 방법{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할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온도 및 송풍 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는 의류 등을 세탁하는 장치로 최근에는 건조 기능이 부가되거나, 스팀 공급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의류 등의 구김 및 냄새, 정전기 등을 제거하는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갖춘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장치 중 건조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세탁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연풍에 의해 세탁물을 건조하거나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해야 했다. 따라서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기 위한 소비자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건조 기능이 구비된 세탁장치나 별도의 건조기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소량의 세탁물을 건조할 때 이용하기에는 에너지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특히 운동화 등의 신발을 건조할 때에는 건조 시간이 오래 걸려 에너지 낭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세탁장치의 하부에 신발을 건조할 수 있는 보조건조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세탁장치의 지지 및 신발의 건조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조건조장치는 신발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건조 기능이 제어되고 있어 각각의 신발에 따른 최적화된 건조 성능을 제공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할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온도 및 송풍 조건을 적용할 수 있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할 신발을 수납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구비된 열풍공급유닛과,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와, 상기 열풍공급유닛 및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온도가 감소되도록 건조 행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기설정된 습도 이하가 되면 상기 히터의 온도를 소정 온도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의 제어 온도를 제1 설정 온도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의 제어 온도를 제2 설정 온도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 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의 온도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할 신발을 수납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구비된 열풍공급유닛과,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와, 상기 열풍공급유닛 및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건조 행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기설정된 습도 이하가 되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소정 속도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1 설정 속도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2 설정 속도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 할 신발을 수납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구비된 열풍공급유닛과,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와, 상기 열풍공급유닛 및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건조 행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행정의 제어시 상기 히터를 ON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히터의 온도를 고온으로 제어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는 신발 온도 상승 단계; 및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저온으로 제어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제어하는 가열 대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행정의 제어시 상기 히터를 OFF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고속으로 제어하는 대류 단계; 및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는 쿨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행정의 제어시 상기 신발 온도 상승 단계, 가열 대류 단계, 대류 단계, 및 쿨링 단계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은 건조할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온도 및 송풍 조건을 적용할 수 있어 신발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건조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최적의 건조 조건을 제공하므로 고온의 건조 온도에 따른 신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드로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열풍공급유닛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열풍공급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기능 선택을 할 수 있는 조작부(미도시)가 구비된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미도시)와, 터브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20)과, 캐비넷(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드럼(120)의 내측으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드럼(120)을 개폐하는 도어(110)로 구성된다.
또한, 캐비닛(100)의 하측에는 신발을 수납하여 건조시키는 드로워(150)가 결합되며, 캐비닛(100)의 내측에는 드로워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유닛(140)이 설치된다. 캐비닛(100)의 내부에는 드럼(120)의 하측에 격벽(130)이 형성되어 드로워(150)의 설치 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열풍공급유닛(140)이 설치될 설치면을 제공한다.
터브의 내측에는 세탁수가 수용되며, 이 세탁수가 드럼(120)에 공급된다. 드럼(120)은 모터와 같은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이러한 드럼(120)의 회전에 의해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이 수행된다.
조작부는 캐비넷(100)의 전면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세탁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조작부에는 드로워(150)에 수납된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히터(146)의 온도 및 송풍팬(144)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160)가 구비된다.
격벽(130)은 캐비닛(1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격벽(130)의 상부 공간에는 터브 및 드럼(120)이 설치되고, 격벽(130)의 하부 공간에는 드로워(15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공급유닛(140)은 상대적으로 공간의 여유가 있는 격벽(130)의 상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드로워(150)의 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열풍공급유닛(140)은 캐비닛(100)의 내부 공기를 가열하거나 캐비닛(100)의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가열함으로써 드로워(150)에 열풍을 공급한다. 도면에 도시 하지는 않았으나, 이를 위해 캐비닛(100)의 외부에서 열풍공급유닛(14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 유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열풍공급유닛(140)은 크게 송풍유로(미도시)를 형성하는 하우징(142)과, 공기를 하우징(142) 내부로 유입시키는 송풍팬(144)과,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46)로 구성된다.
하우징(142)은 상부 하우징(142a) 및 하부 하우징(142b)로 구성되며, 상부 하우징(142a)과 하부 하우징(142b)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내부 공간이 송풍된 공기가 유동하는 송풍유로가 된다.
송풍팬(144) 및 히터(146)는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른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를 받아 온도 및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이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열풍공급유닛(140)에서 발생된 열풍은 드로워(150)로 공급되어 신발을 건조하는데 사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를 위해 열풍공급유닛(140)과 드로워(150)를 연결하는 연결 유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15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여 신발을 수납하며, 캐비닛(100)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드로워(150)의 내측에는 습도 센서(152)가 설치되어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를 감지한다.
습도 센서(152)는 제어부(160)에 습도 센싱 값을 전달하며, 제어부(160)에서 이값을 바탕으로 열풍공급유닛(140)을 제어하게 된다.
드로워(150)는 세탁후 건조가 필요한 신발을 수납하여 이를 건조시키는 역할 을 하지만, 사용자가 신던 신발을 수납하여 송풍 및 건조함으로써 냄새 제거 및 신발에 밴 땀이나 수분 등을 제거하는 리프레셔(Refresher) 역할도 겸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세탁기에 있어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히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송풍팬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히터 및 송풍팬의 제어 조건을 도시한 표이다.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건조될 신발의 건조 정도에 따라 열풍공급유닛(140)의 송풍팬(144)의 회전 속도 및 히터(146)의 온도를 제어한다. 즉, 건조 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히터(146)의 온도 및 송풍팬(144)의 속도를 감소시켜 과도한 건조 조건에 따른 신발의 손상을 방지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히터(146)의 제어에 관해 살펴보면, 제어부(160)는 습도 센서(152)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기설정된 습도 값 이하가 되면 히터(146)의 온도를 소정 온도 이하로 제어하여 건조 행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기설정된 습도 값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 값을 3단계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제어부(160)는 드로워(150)에 설치된 습도 센서(152)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고(S100), 측정된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이면 신발이 어느 정도 건조되기 시작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히터(146)의 제어 온도를 제1 설정 온도로 제어하게 된다(S110).
습도 센서(152)에서는 지속적으로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므로, 제어부에서는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여(S120), 측정된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이면 히터(146)의 제어 온도를 제2 설정 온도로 제어한다(S130).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여(S140), 측정된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이면 신발의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이후 히터(146)의 온도 제어를 종료하여(S150) 건조 행정이 종료된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신발의 건조를 시작할 때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 값이 80%라고 가정하면, 제1 설정 습도는 60%, 제2 설정 습도는 30%, 제3 설정 습도는 10%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설정 온도는 60℃, 제2 설정 온도는 40℃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 값은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송풍팬(144)의 제어에 관해 살펴보면, 제어부(160)는 습도 센서(152)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기설정된 습도 값 이하가 되면 송풍팬(144)의 회전 속도를 소정 속도 이하로 제어하여 건조 행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기설정된 습도 값은 여러 단계로 나누어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 값을 히터(146)의 제어에서와 마찬가지로 3단계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제어부(160)는 드로워(150)에 설치된 습도 센서(152)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고(S200), 측정된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이면 신발이 어느 정도 건조되기 시작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송풍팬(144)의 회전 속도를 제1 설정 속도로 제어하게 된다(S210).
습도 센서(152)에서는 지속적으로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므로, 제어부에서는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여(S220), 측정된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이면 송풍팬(144)의 회전 속도를 제2 설정 속도로 제어한다(S230).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여(S240), 측정된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이면 신발의 건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이후 송풍팬(144)의 회전 속도 제어를 종료하여(S250) 건조 행정이 종료된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신발의 건조를 시작할 때 드로워(150) 내부의 습도 값이 80%라고 가정하면, 제1 설정 습도는 60%, 제2 설정 습도는 30%, 제3 설정 습도는 10%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설정 속도 및 제2 설정 속도 역시 적정 RPM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정 값은 변경이 가능하다.
제어부(160)는 히터(146)와 송풍팬(144)을 각각 제어하며, 히터(146)만 구동시키거나 송풍팬(144)만 구동시켜 건조 행정을 진행할 수도 있고, 히터(146) 및 송풍팬(144)을 모두 작동하여 건조 행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46)를 ON한 상태에서 히터(146)의 온도와 송풍팬(144)의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고, 히터(146)를 OFf한 상태에서 송풍팬(144)의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단계들을 조합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히터(146)를 ON 시킨 상태에서 히터(146)의 온도는 고온(high) 또는 저온(low)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송풍팬(144)의 속도 역시 고속(high) 또는 저속(low)으로 제어될 수 있다.
히터(146)의 온도가 고온일 때 송풍팬(144)의 속도가 낮게 제어되는 경우는 신발의 건조를 돕기 위해 온도를 상승시키는 신발 온도 상승 단계이고, 히터(146)의 온도가 저온일 때 송풍팬(144)의 속도가 높게 제어되는 경우는 신발을 가열하면서 열풍을 순환시키는 가열 대류 단계이다.
히터(146)를 OFF 시킨 상태에서 송풍팬(144)의 회전 속도가 고속으로 제어되는 경우는 건조 막바지에 다른 신발을 건조하기 위해 공기를 순환시키는 대류 단계이고, 송풍팬(144)의 회전 속도가 저속으로 제어되는 경우는 마지막 건조 작업을 위한 쿨링 단계이다.
제어부(160)는 건조 행정의 수행 시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신발 온도 상승 단계, 가열 대류 단계, 대류 단계, 쿨링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단계들 중 몇 가지만을 취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미도시)에 별도의 기능 버튼이 마련된다면, 자동으로 신발의 건조를 진행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신발의 건조 행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방법을 적용하면, 건 조할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온도 및 송풍 조건을 적용할 수 있어 신발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건조 성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신발의 건조 상태에 따라 최적의 건조 조건을 제공하므로 고온의 건조 온도에 따른 신발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드로워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열풍공급유닛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열풍공급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히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송풍팬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세탁기에 따른 히터 및 송풍팬의 제어 조건을 도시한 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캐비넷 110 : 도어
120 : 드럼 130 : 격벽
140 : 열풍공급유닛 142 : 하우징
144 : 송풍팬 146 : 히터
150 : 드로워 152 : 습도 센서
160 : 제어부

Claims (12)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할 신발을 수납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구비된 열풍공급유닛과,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와, 상기 열풍공급유닛 및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온도가 감소되도록 건조 행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기설정된 습도 이하가 되면 상기 히터의 온도를 소정 온도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의 제어 온도를 제1 설정 온도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의 제어 온도를 제2 설정 온도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히터의 온도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4.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할 신발을 수납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구비된 열풍공급유닛과,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와, 상기 열풍공급유닛 및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건조 행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기설정된 습도 이하가 되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소정 속도 이하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습도 값이 제1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1 설정 속도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습도 값이 제2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2 설정 속도로 제어하는 단계;
    상기 습도 센서에서 감지한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습도 값이 제3 설정 습도 이하이면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 제어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7.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일측에 설치되어 건조할 신발을 수납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로 열풍을 공급하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구비된 열풍공급유닛과, 상기 드로워에 설치되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와, 상기 열풍공 급유닛 및 습도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된 세탁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 히터의 온도 및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여 건조 행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행정의 제어시 상기 히터를 ON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히터의 온도를 고온으로 제어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는 신발 온도 상승 단계; 및 상기 히터의 온도를 저온으로 제어하고, 상기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고속으로 제어하는 가열 대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행정의 제어시 상기 히터를 OFF한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저속 또는 고속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행정은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고속으로 제어하는 대류 단계; 및 상기 송풍팬의 속도를 저속으로 제어하는 쿨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12.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 행정의 제어시 상기 신발 온도 상승 단계, 가열 대류 단계, 대류 단계, 및 쿨링 단계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건조 행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20080090707A 2008-09-16 2008-09-16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1000318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707A KR20100031864A (ko) 2008-09-16 2008-09-16 세탁기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707A KR20100031864A (ko) 2008-09-16 2008-09-16 세탁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864A true KR20100031864A (ko) 2010-03-25

Family

ID=4218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707A KR20100031864A (ko) 2008-09-16 2008-09-16 세탁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18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068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drying method thereof
KR100857799B1 (ko) 보조건조기
EP210715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US20160138208A1 (en)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with enhanced operation flexibility
KR20090115058A (ko) 의류처리장치
JP6486037B2 (ja) 洗濯乾燥機
KR20080017790A (ko) 피티시 히터를 이용하는 페데스탈 건조기
US202302655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rying laundry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20070023887A (ko) 세탁 장치의 운전 방법
JP4377576B2 (ja) 洗濯乾燥機
KR20110000083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253628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JP6460308B2 (ja) 洗濯乾燥機
JP7173719B2 (ja) 衣類乾燥機
KR100813050B1 (ko) 리프레쉬 장치 및 그의 운전 제어 방법
KR20100031864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4197619B2 (ja) 洗濯乾燥機
US8347437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082577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JP6910771B2 (ja) 衣類乾燥機
JP200612269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19037896A (ja) 洗濯乾燥機
JP7198100B2 (ja) 洗濯乾燥機
JP7370528B2 (ja) 衣類乾燥機
JP6199554B2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