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638A - 개선된 개섬 특성을 갖는 파이버필 섬유, 이와 같은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개선된 개섬 특성을 갖는 파이버필 섬유, 이와 같은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638A
KR20100031638A KR1020107002894A KR20107002894A KR20100031638A KR 20100031638 A KR20100031638 A KR 20100031638A KR 1020107002894 A KR1020107002894 A KR 1020107002894A KR 20107002894 A KR20107002894 A KR 20107002894A KR 20100031638 A KR20100031638 A KR 20100031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bers
fiberfill
softener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620B1 (ko
Inventor
요한 멘너
수잔느 야리
데니차 이바노프
피터 돕슨
마르쿠스 하거
하인리히 피르고
Original Assignee
렌찡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렌찡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렌찡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00031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stuffer box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2/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Manufactur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1/00Loose filling materials for upholstery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2Preparation of spinning solu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4Dry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6Wet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6Formation of staple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06M15/643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amino group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6Bed line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04Staple length fiber
    • Y10T428/2907Staple length fiber with coating or impreg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2Nonlinear [e.g., crimped, coiled, etc.]
    • Y10T428/2924Compo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개섬 특성으로 인해 깃털, 특히 다운과의 혼합에 매우 적합한 셀룰로오스 섬유, 특히 리오셀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이와 같은 파이버필 섬유, 그리고 이와 같은 파이버필 섬유를 침구류 및 의류용 혼합물들에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개섬 특성을 갖는 파이버필 섬유, 이와 같은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용도{FIBREFILL FIBRE HAVING IMPROVED OPENING CHARACTERISTICS, PRODUC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개선된 개섬(opening) 특성으로 인해 깃털, 특히 다운과의 혼합에 매우 적합한 셀룰로오스 섬유, 특히 리오셀(lyocell)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이와 같은 파이버필 섬유(fibrefill fibre), 그리고 이와 같은 파이버필 섬유를 혼합물들에 사용하는 용도, 그리고 이와 같은 혼합물들로 채워지는 침구류 및 의류에 관한 것이다.
다운 및 깃털과의 혼합에 사용되는 파이버필 섬유들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유산(polylactic acid) 등과 같은 용융 압출된 합성 폴리머들로 이루어진 단섬유들(short staple fibre)이 공지되어 있으며 현재에도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셀룰로오스 섬유, 특히 BISFA(The International Bureau for the Standardisation of Man Made Fibres)에 의해서 리오셀이라는 일반 명칭으로 명명된 용매 방사 섬유는 오래전부터 공지되어 있던 것이며 과거 수년 동안 상업적 스케일로 제조되고 있다. 리오셀 섬유의 제조시에는 제 3차 아민옥사이드, 특히 N-메틸모르폴린-N-옥사이드(NMMO)가 용매로 사용된다. 또한, 적합한 용매로는 이온 액체들이 있다.
상기 공정들에서 셀룰로오스 용액은 주로 성형 도구에 의해 압출과 동시에 성형된다. 성형된 용액은 예컨대 소위 건/습식 방사방법에서 공기 갭(air gap)을 통해 침전욕으로 들어가고, 그곳에서 상기 용액을 침전시킴으로써 성형체가 수득된다. 상기 성형체는 세정되고, 경우에 따라 추가의 처리 단계들을 거친 후 건조된다. 리오셀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예컨대 US 4,246,221호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이미 제안된 방식에 따르면, 리오셀 섬유는 누비이불에 채워지는 부직포 형태의 파이버필 섬유로 그리고 쿠션에 채워지는 작고 둥근 모양의 파이버볼(fibreball)로 사용된다. 예컨대 WO 99/16705호에는 적합한 파이버필 섬유 타입으로 부직포 및 파이버볼용으로 크림핑된 리오셀 스테이플 섬유가 기술된다. 그러나 상기 간행물은 섬유 데니어, 섬유의 절단 길이 또는 표면 처리들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또한, WO 99/16705호는 섬유의 개섬 특성 및 그로 인해 초래되는 문제들에 대해서도 개시하지 않는다.
WO 2004/070093 A2호에는 6.7 dtex 데니어 및 11mm의 절단 길이를 갖는 리오셀 섬유가 깃털 및 다운의 혼합 파트너로 제안된다. 리오셀 및 깃털 또는 다운의 혼합은 습식 혼합 방법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WO 2004/070093 A2호 역시 리오셀 섬유의 개섬 특성 및 그와 연관된 문제점들에 대해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는다.
그 외에, WO 2004/023943호에는 순수 리오셀로 이루어진 또는 다른 인조 섬유, 바람직하게는 생물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인조 섬유와의 혼합물들로도 이루어진 일회용 누비이불들의 충진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데니어 범위가 0.7 내지 8.0 dtex이고 절단 길이가 5 내지 100mm인 리오셀 섬유가 상세하게 기술된다. 깃털 및 다운의 혼합 파트너로서 리오셀은 그와 연관된 가공 상의 문제점들 대해 상세하게 언급하거나 또는 심지어 그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함 없이 약식으로만 제안된다.
WO 2005/007945호에는 이불, 쿠션, 베개, 매트리스 또는 가구용 쿠션의 부직포로 사용되는 절단 길이(mm)에 대한 데니어(dtex)의 비율이 0.10 이상의 값을 갖는 리오셀 스테이플 섬유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간행물에는 다른 섬유 타입의 섬유와 혼합 또는 다운 및 깃털과의 혼합에 사용되는 상기와 같은 섬유의 용도도 기술되어 있다.
다운 혼합물들을 위해 종래 기술에서 공지된 섬유의 제조는 예컨대 EP 797 696호에 따라 실행되며, 이때 방사된 필라멘트들은 방적 직후 젖은 상태에서 스테이플 섬유로 절단되고 이어서 부직포로서 연속되는 후처리 공정에 공급된다. 섬유는 잔류 NMMO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및 유연 가공을 거친 후 건조되어 프레스에서 파이버볼로 포장되며, 이때 220 bar이하의 압력이 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섬유 제조, 후처리 및 패키징은 얀(yarn) 또는 부직포(nonwoven)에 적용하기 위해 추후에 삽입되는 유사 섬유의 제조 공정과 상응한다. 비교적 약한 가압은 실질적이고 경제적인 제조 과정상의 이유로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다운 및 깃털을 가공하는 가공업자들은 보통 직물 제조시 사용되는 추가적인 개섬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는다.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대개 혼합 섬유로 사용된 합성 섬유는 쉽게 개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섬유 가공을 위해서는 섬유를 파괴하는 어떠한 개섬 장치들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다운 및 깃털은 건조한 상태에서 가공되며, 이 경우 개섬, 혼합 및 운반하기 위한 냉각팬들 및 블로 라인들(Blow-line)이 개섬 장치로 사용된다. 전술한 방법에 따라 공지된 리오셀 섬유가 혼합 파트너로 사용될 경우, 파이버볼 내에 강한 가압으로 인해 섬유의 개섬 결함이 발생된다. 동시에 의도치 않은 응결로 인해 비교적 크게 형성된 섬유 구조물들이 연속되는 가공 기계들에 유입되어 상기 기계들의 민감한 부분들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들로 인해 다운 및 깃털과의 균일한 혼합이 가능하지 않다. 상기 WO 2005/007945호 또한 다운 가공시 사용되는 장치들에 의해 통상의 방식으로 압축된 파이버볼의 불충분한 개섬력에 대한 문제점을 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종래 기술과 달리 섬유 산업에서 사용되는 개섬장치들을 적용하지 않고서도 개섬되며 이어서 다운 및 깃털과의 균일한 혼합물로 가공될 수 있는 섬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목적은 섬유 산업에서 사용되는 개섬장치들을 적용하지 않고서도 개섬되며 이어서 다운 및 깃털과의 균일한 혼합물로 가공될 수 있는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개개의 섬유가 0.7 내지 6.0 dtex, 바람직하게 0.8 내지 3.0 dtex의 데니어를 갖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에 의해 달성될 수 있었으며, 상기 파이버필 섬유는 10cm 당 적어도 18개 밴드(bend) 빈도수를 갖는, 압축 챔버에서 형성된 크림프 및 유연제 코팅(부)(avivage coating)을 포함한다. 이러한 섬유들은 간단한 장치들을 이용해 통상의 파이버볼 내에 강한 가압을 가한 후에도 뛰어난 개섬 특성을 가지며, 이는 소위 실제 블로우박스(Blowbox) 테스트 시 확인될 수 있다.
0.7 dtex보다 현저히 적은 개별 섬유 데니어를 갖는 섬유는 파이버필 섬유로 목적한 바와 같이 사용하기에는 너무 가는데, 그 이유는 상기 섬유가 예컨대 만족할 만큼의 부풀음성(fluffability)을 갖지 않기 때문이다. 6.0 dtex보다 훨씬 큰 개별 섬유 데니어를 갖는 섬유는 너무 두껍고 강성이어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다운 및/또는 깃털이 포함된 제품의 충진재와 같은 소프트한 충진재로 형성되지 않는다.
압축 챔버 크림핑은 WO 95/24520호에 기술되는 방법에 따라 이루어진다. 예상 밖에 발견에 따르면, 이러한 섬유들은 전술한 부직포 후처리 공정에 의해 생산된 리오셀 섬유보다 더 나은 개섬 특성을 갖는다. 특히 놀라운 점은 압축 챔버에서 크림핑된 섬유가 부직포 후처리 공정에서 크림핑된 섬유보다 훨씬 더 쉽게 개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에서 특히 강조되어야 할 점은 압축 챔버에서 크림핑된 섬유가 부직포 후처리 공정에서 크림핑된 섬유와 뚜렷하게 구별된다는 것이다. 예컨대 EP 797 696호에 따라 부직포에서 크림핑된 섬유에는 분극 현미경에서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는 영구적인 핀칭 위치들(pinching point)이 존재한다. 그 밖의 상이한 직물 적용들을 위해 상기와 같은 부직포 크림프가 바람직한 반면, 상기 부직포 크림프는 본 발명의 범주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개섬 특성을 단점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필 섬유는 바람직하게 10cm 당 18개 내지 50개 밴드, 특히 바람직하게는 10cm당 18개 내지 40개 밴드 빈도수를 갖는다. 상대적으로 적은 밴드 빈도수는 파이버필 섬유의 매우 낮은 부풀음성으로 나타나는 반면, 언급한 빈도수보다 높은 밴드 빈도수는 개섬 특성을 재차 약화시키는데, 그 이유는 개별 섬유들 간의 더 많은 겹침(interlocking)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파이버필 섬유는 바람직하게 유연 가공된 섬유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3.0 중량%의 유연제 코팅을 갖는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유연제 코팅이 상대적으로 약화된 평활도(smoothness) 및 상대적으로 약화된 개섬 특성을 초래하는 반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유연제 코팅은 비교적 많은 양의 화학약품 소비로 인해 비용이 비싸지고, 너무 습하거나 또는 미끄러운 섬유 태(handle)를 남기며 마찬가지로 개섬 특성 및 부가 처리 특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파이버필 섬유의 유연제로는 아미노 작용기화된 유연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연제에 사용되는 아미노기들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필 섬유에 있어 중요한 평활도를 조절하는데 기여하며, 상기 평활도는 우수한 개섬 특성 및 필수적인 부풀음성을 실현한다. 이러한 유형의 작용기화는 유연제의 기본 물질로서 평활도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
유연제의 기본 물질로는 이를 위해 공지된 모든 화학적 화합물, 예컨대 실리콘 오일 또는 지방산을 기재로 하는 유연제가 적합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상기 실리콘 오일이 가장 우수한 내구성을 갖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내구성이란 예컨대 여러 번의 세척 과정 후에도 최대한 오랫동안 섬유의 형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특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스테이플 섬유의 길이 뿐만 아니라 절단 길이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필 섬유의 우수한 개섬율 및 후처리 요건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상외로 6 내지 20mm의 스테이플 섬유 길이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필 섬유가 가장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너무 긴 스테이플 섬유 길이는 다수의 겹침 현상 및 그로 인한 개섬 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압축 챔버에서 크림핑된 섬유 케이블은 연장된 상태, 즉 응력하에 절단 길이가 사전에 고정된 통상의 절단기들에 의해 절단된다.
의외로 밝혀진 사실에 따르면, 우수한 개섬 특성을 갖는 파이버필 섬유로서 사용이 매우 적합한 섬유인지의 여부는 소위 블로우박스 테스트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제품의 질을 보장함에 있어 그 의미가 크다. 낮은 개섬 특성은 고객 불만을 초래하는데, 그 이유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섬유 가공시 사용되는 장치들에 의해서는 파이버볼이 전혀 개섬되지 않거나 또는 불충분하게 개섬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공급된 섬유는 자신의 낮은 개섬 특성으로 인해 가공될 수 없다. 낮은 개섬율을 갖는 섬유는 파이버필 섬유 가공업자들의 민감한 부가 처리 기계들의 손상 및 그로 인한 섬유 제조업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로도 이어질 수 있다.
블로우박스 높이 비가 크면 클수록, 섬유는 파이버필 섬유 가공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연결장치들에 의해 더 쉽게 개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파이버필 섬유는 바람직하게 4 내지 15, 특히 바람직하게 6 내지 14의 블로우박스 높이비를 갖는다.
상기 추가의 목적은 0.7 내지 6.0 dtex, 바람직하게 0.8 내지 3.0 dtex의 개별 섬유 데니어를 갖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섬유 케이블에 상기 방사 용액을 방사하는 단계,
c. 세척, 건조, 크림핑 및 유연 가공 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후처리 단계,
이때, 상기 케이블은 압축 챔버 내에서 10cm당 적어도 18개 밴드 빈도수로 크림핑된 후 절단되며, 상기 절단된 파이버필 섬유는 4 내지 15, 바람직하게 6 내지 14의 블로우 박스 높이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바람직하게 아미노 작용기화된 유연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된 상기 유연제는 실리콘 오일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이버필 섬유의 개섬 특성 및 부가 처리 특성들을 위해서는 상기 파이버필 섬유의 유연제 코팅이 중요하다. 상기 파이버필 섬유의 유연제 코팅은 유연 가공된 섬유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섬유는 건/습식 방사방법, 예컨대 공지된 리오셀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에서 셀룰로오스를 용해하는 용매로서 수계 아민옥사이드 또는 이온 액체들을 이용하여 방사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0.7 내지 6.0 dtex, 바람직하게 0.8 내지 3.0 dtex의 개별 섬유 데니어를 갖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며, 상기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는 침구류 및 의류에 사용되는 충진 재료로서 10cm당 적어도 18개 밴드 빈도수를 갖는, 압축 챔버에서 형성된 크림프 및 유연제 코팅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이 목적을 위해 사용된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는 4 내지 15, 바람직하게 6 내지 14의 블로우박스 높이비를 갖는다.
상기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는 다운 및/또는 깃털과의 혼합물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유산 및/또는 폴리프로필렌과의 혼합물에 사용될 수 있다. 케이폭(kapok) 또는 코튼우드 트리 솜털(cottonwood tree fluff)과 같은 천연 섬유와의 혼합물에도 사용 가능하다.
밴드 수 측정:
밴드 수는 WO 95/24520호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측정된다.
블로우박스 테스트:
다운 및 깃털과의 혼합물에 사용되는 파이버필 섬유로 사용하기 위한 실시예에 관련된 개섬 특성들은 이하에 기술된 방법, 소위 블로우박스 테스트에 의해 실험기준에 맞게 검사될 수 있다:
상기 블로우박스는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은 통기성 여과망으로 덮여있는 직사각형 금속 용기이다. 블로우박스의 사이즈는 20 x 15 x 20cm(길이 x 폭 x 높이, 즉 6L 용적)이다. 표면적에는 약 0.8mm 크기의 그물코를 구비한 통기성 금속 여과망이 위치한다.
노즐에 의해 일정한 양의 에어 젯(air jet)이 상기 여과망을 통과하여 반입되며, 상기 에어 젯은 섬유가 소용돌이 방식으로 날아오르게 한다. 과잉 공기 역시 상기 여과망을 통과하여 누출된다.
개섬 특성 검출은 이하와 같이 실시되며, 이 경우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항상 각각 2가지 실험의 평균값이 도출된다:
초기 높이 측정:
가압된 파이버볼로부터 손으로 뽑아낸, 정확히 말하자면 기계적으로 개섬하지 않은 5g의 섬유를 먼저 BISFA 규정(BISFA 소책자 "Testing methods viscose, modal, lyocell and acetate, staple fibres and tows" 2004년 발행)에 따라 표준 환경(20℃, 65% 상대 습도)에 맞게 설정한 다음 지름이 14.5cm인 3000ml 비커로 조심스럽게 옮기고 충전 높이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섬유를 블로우박스에 넣었다. 4mm의 횡단면을 갖는 노즐을 통해(상기 노즐의 헤드는 오른쪽 가장자리로부터 블로우박스 가운데 방향으로 6cm 떨어져서 45°정도의 경사도로 설정됨(도 2)) 상기 여과망 상에서 1cm 간격으로 공기를 불어넣음으로써, 섬유가 날아올라 개섬되었다. 압축 공기 배출량은 8.4Nm3/h로 설정하였다; 노즐 횡단면은 4mm이여야 한다. 적용 예당 송풍시간은 60초이다.
블로우박스 높이비 산출:
그 다음 블로우박스에 의해 사전에 개섬된 섬유를 지름이 14.5cm인 3000ml 비커로 조심스럽게 다시 옮기고 충진 높이를 새로 측정하였다(도 3).
블로우박스 높이비 측정:
상기 블로우박스 높이비는 블로우박스 높이를 초기 높이로 나눈 값(quotient)이다
추가적으로 섬유의 개섬 품질을 이하의 기준에 따라 점수로 나타내어 평가하였다:
1점: 개섬 안됨
5점: 섬유의 절반이 개섬됨
10점: 전체 섬유가 개섬됨
도 4는 예컨대 개섬 품질이 9점인 섬유를 도시한다.
<실시예 1(비교)>
1.7 dtex 개별 섬유 데니어를 갖는 리오셀 섬유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계 아민옥사이드에서 용해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압출에 의해 성형하고, 건/습식 방사방법으로 응결시켜 선행 기술에 따라 부직포 후처리 공정에서 절단, 세척, 건조과정을 거친 후 실리콘 오일로 유연 가공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리오셀 섬유는 0.8 내지 1.2 중량%의 유연제 코팅을 가졌다. 하나의 수치를 상기 파라미터에 특정할 수 없으며, 그 이유는 신중을 요하는 유연제의 도포시에도 섬유 부직포의 유연제는 정해진 경계부들 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이다. 상기 섬유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Autefa사의 발링 프레스(baling press)에서 제조 기준에 맞게 파이버볼로 가압하였다. 이어서 전술한 방식에 따라 샘플들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및 실시예 3>
1.7 dtex 개별 섬유 데니어를 갖는 리오셀 섬유를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계 아만옥사이드에서 용해되는 셀룰로오스 용액의 압출에 의해 성형하고, 건/습식 방사방법으로 응결시켜 케이블 후처리 공정에서 세척, 건조, 압축 챔버에서의 크림핑 과정을 거친 후 아미노 작용기화된 실리콘 오일(Wacker사의 finish CT96E)로 유연 가공하였으며, 그 결과 상기 리오셀 섬유는 0.7 내지 0.9 중량%의 유연제 코팅을 가졌다. 그런 다음 먼저 케이블을 절단하였다. 상기 섬유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Autefa사의 발링 프레스에서 제조 기준에 맞게 파이버볼로 가압하였다. 이어서 전술한 방식에 따라 샘플들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한 섬유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조한 섬유보다 현저히 개선된 개섬 특성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Claims (16)

  1. 개별 섬유당 0.7 dtex 내지 6.0 dtex 데니어를 갖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로서,
    상기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가 10cm당 18개 이상의 밴드 빈도수를 갖는 압축 챔버에서 형성된 크림프 및 유연제 코팅(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필 섬유가 10cm당 18개 내지 50개 밴드 빈도수, 바람직하게 10cm당 18개 내지 40개 밴드 빈도수를 갖는, 파이버필 섬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필 섬유가 유연제 처리된 섬유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0.3 중량% 내지 3.0 중량%의 유연제 코팅(부)을 갖는, 파이버필 섬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가 아미노 작용기화된 유연제인, 파이버필 섬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가 실리콘 오일인, 파이버필 섬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필 섬유가 6 내지 20mm의 스테이플 섬유 길이를 갖는, 파이버필 섬유.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필 섬유가 4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4의 블로우박스 높이비를 갖는, 파이버필 섬유.
  8. 개별 섬유당 0.7 내지 6.0 dtex 데니어를 갖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a.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방사 용액을 섬유 케이블에 방사하는 단계,
    c. 세척, 건조, 크림핑 및 유연 가공을 거치는 케이블 후처리 공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압축 챔버에서 10cm당 18개 이상의 밴드 빈도수로 크림핑된 후 절단되며, 상기 절단된 파이버필 섬유는 4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4의 블로우박스 높이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가 아미노 작용기화된 유연제인,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제가 실리콘 오일인,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가 상기 유연 가공된 섬유의 전체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3.0 중량%의 유연 코팅(부)을 갖는,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들이 건/습식 방사방법에서 방사되는,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13. 개별 섬유당 0.7 내지 6.0 dtex 데니어를 갖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의 용도로서,
    상기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가 침구류 및 의류에 사용되는 충진 재료로서 10cm당 18개 이상의 밴드 빈도수를 갖는, 압축 챔버에서 형성된 크림프 및 유연제 코팅(부)을 갖는,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의 용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파이버필 섬유가 4 내지 15, 바람직하게 6 내지 14의 블로우 박스 높이비를 갖는, 파이버필 섬유의 용도.
  15. 제 13 항에 있어서,
    다운 및/또는 깃털과의 혼합물에 사용되는, 파이버필 섬유의 용도.
  16. 제 13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유산, 폴리프로필렌, 케이폭 및/또는 코튼우드 트리 솜털로 이루어진 섬유들과의 혼합물에 사용되는, 파이버필 섬유의 용도.
KR1020107002894A 2007-07-11 2008-06-27 개선된 개섬 특성을 갖는 필링 섬유, 이와 같은 필링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495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082/2007 2007-07-11
ATA1082/2007A AT505511B1 (de) 2007-07-11 2007-07-11 Füllfaser mit verbessertem öffnungsverhal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PCT/AT2008/000237 WO2009006656A1 (de) 2007-07-11 2008-06-27 Füllfaser mit verbessertem öffnungsverhal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638A true KR20100031638A (ko) 2010-03-23
KR101495620B1 KR101495620B1 (ko) 2015-02-25

Family

ID=39760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894A KR101495620B1 (ko) 2007-07-11 2008-06-27 개선된 개섬 특성을 갖는 필링 섬유, 이와 같은 필링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00281662A1 (ko)
EP (1) EP2173931B1 (ko)
JP (1) JP2010532827A (ko)
KR (1) KR101495620B1 (ko)
CN (1) CN101743347B (ko)
AT (2) AT505511B1 (ko)
BR (1) BRPI0814221A2 (ko)
DK (1) DK2173931T3 (ko)
ES (1) ES2383290T3 (ko)
PL (1) PL2173931T3 (ko)
TW (1) TWI495768B (ko)
WO (1) WO2009006656A1 (ko)
ZA (1) ZA2010001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109961A1 (de) 2011-08-11 2013-02-14 Peter Kohl Nachfolger Franz Kohl KG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Regeneratfasern
CN103031664B (zh) * 2011-10-09 2015-11-18 上海南方寝饰用品有限公司 一种聚酯纤维和莱赛尔纤维混合的家纺填充物及其制备方法
KR101455002B1 (ko) * 2013-06-28 2014-11-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담배필터용 라이오셀 소재 및 그 제조방법
EP3141647A4 (en) * 2014-05-08 2017-05-17 Mitsubishi Rayon Co., Ltd. Wadding
KR102211219B1 (ko) 2014-06-30 2021-02-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담배필터용 이형단면 라이오셀 소재 및 그 제조방법
AT515930B1 (de) * 2014-08-20 2016-01-15 Lenzing Akiengesellschaft Saugfähiger Artikel und seine Verwendung
WO2016052998A1 (ko) * 2014-09-30 2016-04-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라이오셀 크림프 섬유
KR102157887B1 (ko) * 2014-09-30 2020-09-1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라이오셀 크림프 섬유
KR102211186B1 (ko) 2014-12-31 2021-02-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담배필터용 라이오셀 소재 및 그 제조방법
JP6417497B1 (ja) * 2015-09-29 2018-11-07 プリマロフト,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吹き込み可能な綿状物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DK3325703T3 (da) 2016-08-02 2019-10-28 Fitesa Germany Gmbh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ikke-vævede polymælkesyrestoffer
US11441251B2 (en) 2016-08-16 2022-09-13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s comprising polylactic acid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toughness
TWI687460B (zh) * 2018-07-20 2020-03-11 光隆實業股份有限公司 化纖棉絮填充材料及其製造方法
KR200493547Y1 (ko) 2019-11-19 2021-04-20 주식회사 경동엔지니어링 부직포 제조용 필링슈트 머신
KR200493914Y1 (ko) 2019-11-19 2021-06-28 주식회사 경동엔지니어링 부직포 제품을 금형에서 직접 성형하기 위한 필링인 유닛
KR102569613B1 (ko) * 2021-01-20 2023-08-22 항주 초이스 임포트앤엑스포트 코 엘티 깃털을 이용한 다운 파이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다운 파이버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28600A (en) * 1940-06-28 1943-09-07 Celanese Corp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s
JPS5137996B2 (ko) * 1973-04-26 1976-10-19
JPS5319716B2 (ko) * 1974-02-12 1978-06-22
US4246221A (en) * 1979-03-02 1981-01-20 Akzona Incorporated Process for shaped cellulose article prepared from a solution containing cellulose dissolved in a tertiary amine N-oxide solvent
JPH01272874A (ja) * 1988-04-20 1989-10-31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綿糸紡績用処理剤
JPH0533265A (ja) * 1991-07-19 1993-02-09 Unitika Ltd 親水性を有する抗菌抗カビ防臭性短繊維
MY131648A (en) 1993-05-24 2007-08-30 Courtaulds Fibres Holdings Ltd Manufacture of crimped solvent-spun cellulose fibre
US5409620A (en) * 1993-12-30 1995-04-25 Dow Corning Corporation Fiber treatment compositions containing organofunctional siloxane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GB9404547D0 (en) 1994-03-09 1994-04-20 Courtaulds Fibres Holdings Ltd Fibre production process
DK9400143U3 (da) * 1994-03-18 1994-07-22 P Schultz & Co As Beslag til synkron regulering af sæde og ryg i stole
AT402741B (de) * 1995-10-13 1997-08-25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cellulosischer fasern
GB9720436D0 (en) * 1997-09-26 1997-11-26 Fibretech Limi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olyester fibre filling
US6114299A (en) * 1997-12-23 2000-09-05 Wacker Silicones Corporation Textile tre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n-functional organopolysiloxanes and polyisobutylene polymers, and process of using same
JP2000119972A (ja) * 1998-10-12 2000-04-2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新規な処理剤を付着してなる人工毛髪用繊維及び頭飾製品
GB2368342A (en) * 2000-10-12 2002-05-01 Tencel Ltd Lyocell fibre and its production
JP2003301336A (ja) * 2002-04-05 2003-10-24 Toray Ind Inc 炭素繊維の製造方法
AT411863B (de) * 2002-09-16 2004-07-26 Chemiefaser Lenzing Ag Decke, vorzugsweise steppdecke
DE10314878A1 (de) * 2003-04-01 2004-10-28 Zimm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nachverstreckter Cellulose-Spinnfäden
AT501327B1 (de) * 2003-07-21 2007-01-15 Chemiefaser Lenzing Ag Verwendung einer cellulosischen stapelfaser der gattung lyocell
JP4907953B2 (ja) * 2005-11-02 2012-04-0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中綿および繊維製品
CN100569127C (zh) * 2006-11-30 2009-12-16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香烟过滤嘴丝束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43347A (zh) 2010-06-16
CN101743347B (zh) 2014-12-17
ZA201000184B (en) 2011-03-30
DK2173931T3 (da) 2012-05-07
BRPI0814221A2 (pt) 2015-01-06
PL2173931T3 (pl) 2012-07-31
ATE543929T1 (de) 2012-02-15
TW200938668A (en) 2009-09-16
EP2173931A1 (de) 2010-04-14
JP2010532827A (ja) 2010-10-14
ES2383290T3 (es) 2012-06-20
AT505511A1 (de) 2009-01-15
US20100281662A1 (en) 2010-11-11
KR101495620B1 (ko) 2015-02-25
TWI495768B (zh) 2015-08-11
EP2173931B1 (de) 2012-02-01
WO2009006656A1 (de) 2009-01-15
AT505511B1 (de) 201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31638A (ko) 개선된 개섬 특성을 갖는 파이버필 섬유, 이와 같은 파이버필 섬유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A2589461C (en) Cellulosic staple fiber and its use as a filling material
US5234720A (en) Process of preparing lubricant-impregnated fibers
KR20200126398A (ko) 방적된 얀을 위한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슬리버
JP2022510173A (ja) カポック繊維紡績方法
JP2023510798A (ja) 個別化靭皮繊維を含む柔軟なソフトワイプ
JP2017528616A (ja) リヨセルクリンプ繊維
WO2020254931A1 (en) Curled shortcut fibres for non-woven fabric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16209799A (zh) 用于绝热的可洗涤乙酸纤维素纤维共混物
WO2021050266A1 (en) Improving pilling resistance in fabrics using cellulose acetate staple fibers
JP2007517993A (ja) リヨセル系セルロース繊維
JP2009197344A (ja) 低捲縮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97345A (ja) 低捲縮ポリエステル繊維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