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852A -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852A
KR20100030852A KR1020080089797A KR20080089797A KR20100030852A KR 20100030852 A KR20100030852 A KR 20100030852A KR 1020080089797 A KR1020080089797 A KR 1020080089797A KR 20080089797 A KR20080089797 A KR 20080089797A KR 20100030852 A KR20100030852 A KR 20100030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securities
guide cover
sensor uni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옥
Original Assignee
노희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옥 filed Critical 노희옥
Priority to KR102008008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0852A/ko
Publication of KR20100030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3/00Counters with additional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9/00Counting of objects in a stack thereo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폐, 유가증권 등과 함께 유입되는 클립, 동전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2) 상부에 지폐 투입구(3)로 지폐,유가증권을 적층 투입하여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에 의해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8)로 배출하여 적재하되, 상기 본체(2) 내부에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유가증권을 안내하는 안내커버(10)를 분리 구성하여, 본체 프레임 양측에 전방으로 회전 개폐하도록 제공하므로서; 지폐, 유가증권과 함께 클립, 동전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부에 끼임됨을 간단하게 분리 제거하는 사용 편리성은 물론, 상기한 이물질 제거 구조에서 카운테 센서부, 엔코딩센서부 및 안내커버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므로 지폐계수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지폐 계수작동을 원활히 행하도록 제공하므로 사용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지폐, 지폐계수기, 이물질 제거, 가동방법

Description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Paper money counting machine and the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폐, 유가증권 등을 차례로 이송 안내하면서 계수하되, 상기 지폐, 유가증권과 함께 클립, 동전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부에 끼임됨을 간단하게 분리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폐계수기는 지폐, 유가증권 등을 자동으로 계수하도록 널리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지폐계수기는 본체 상부에 지폐 투입구로 지폐 등을 적층 투입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투입롤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 및 송출롤러에 의해 이송 안내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에 의해 지폐를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로 배출하여 적재하도록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폐계수기는 사용자가 지폐 투입구에 지폐 등을 적층 투입하는 과정에서 지폐 이외에 클립, 동전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함께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한 이물질은 본체 내부의 롤러, 특히 이송롤러와 내부 커버 사이에 끼임되어 오작동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경우에 상기 본체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체를 전체적으로 분해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문 a/s에 의해 처리할 수 밖에 없어 사용상의 큰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지폐, 유가증권 등을 이송 안내하며 계수하는 과정중에 상기 지폐, 유가증권과 함께 클립, 동전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부에 끼임됨을 간단하게 분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에서 카운터 센서부, 엔코딩센서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해 개폐사용되는 안내커버의 상태를 점검하므로 오작동을 방지하는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본체 상부에 지폐 투입구로 지폐,유가증권을 적층 투입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에 의해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로 배출하여 적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유가증권을 안내하는 안내커버를 분리 구성하되,
상기 안내커버는 하부 지지부에 설치된 회전축이 본체 프레임 양측에 회전가능케 축설되고, 상부 양측의 스톱부로 본체 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에 착탈하도록 지지 설치하여 상기 안내커버를 전방으로 회전 개폐하면서 지폐 등과 함께 투 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분리 제거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안내커버의 하부 양측 지지부에는 중앙에 구동 롤러와 맞닿아 지폐, 유가증권을 이송하는 안내롤러가 축설되고 일측단에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가 설치되는 지지축을 축설하여 안내커버 회전 개폐시 본체 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상하 장방형의 지지안내홈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안내커버의 스톱부는 내부 탄발스프링에 의해 고정홈에 착탈되는 스톱볼이 탄발 돌출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상기 안내커버의 전방 양측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를 돌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 상부에 지폐 투입구로 지폐,유가증권을 적층 투입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에 의해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로 배출하여 적재하되, 상기 본체 내부에서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유가증권을 안내하는 안내커버를 회전 개폐하면서 지폐, 유가증권 등과 함께 투입된 동전, 클립 등의 각종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
전원 온 작동시 제어부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로 확인하는 단계와,
구동모터에 의해 저속 구동하면서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와 엔코딩 센서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안내커버의 개폐 여부를 점검하는 사전 점검단계;
계수하고자 하는 지폐, 유가증권을 투입함에 의해 제어부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구동모터에 의해 저속 구동하면서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와 엔코딩 센서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와 엔코딩센서부의 가동 여부를 점검하는 가동 점검단계;
구동모터에 의해 정상 구동하면서 지폐를 계수하는 가동단계에 의해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폐, 유가증권 등을 이송 안내하며 계수하는 과정중에 상기 지폐, 유가증권과 함께 클립, 동전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부에 끼임됨을 간단하게 분리 제거하는 구조에 의해 사용 편리성을 우수하게 제공함은 물론, 상기한 이물질 제거 구조에서 카운터 센서부, 엔코딩센서부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해 개폐사용되는 안내커버의 이상 여부를 점검하므로 지폐계수기의 오작동을 방지하며 지폐 계수작동을 원활히 행하도록 제공하므로 사용신뢰도를 우수하게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 지폐계수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1)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 상부에 지폐 투입구(3)로 지폐,유가증권 등을 적층 투입하여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투입롤러(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6) 및 송출롤러(7) 및,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등을 안내하는 안내커버에 의해 이송 안내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에 의해 지폐, 유가증권을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8)로 배출하여 적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2) 내부의 안내커버(10)를 분리 구성하되, 상기 안내커버(10)는 하부 양측 지지부(11)에 설치된 회전축(14)이 본체 프레임 양측에 회전가능케 축설되고, 상부 양측에는 내부 탄발스프링(16)에 의해 스톱볼(17)이 탄발 돌출된 스톱부(15)를 마련하여 상기 스톱볼이 본체 프레임 양측의 고정홈(22)에 탄발적으로 착탈하도록 지지 설치하여 상기 안내커버(10)를 전후로 회전 개폐하면서 지폐, 유가증권 등과 함께 투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안내커버(10)의 하부 양측 지지부(11)에는 중앙에 구동 롤러와 맞닿아 지폐, 유가증권을 이송하는 안내롤러(6-1)가 축설되고 일측단에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가 설치되는 지지축(13)을 축설하여 안내커버 회전개폐시 본체 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상하 장방형의 지지안내홈(21)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구성된다.
또한, 안내커버(10)의 전방 양측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공(32)을 갖는 파지부(30)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 내부와 안내커버(10)에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형성되는 카운터센서부, 상기 송출롤러(7)의 일측 지지원반(8)과 상기 안내커버(10)의 일측 에는 엔코딩 센서(26)와 엔코더(27)로 형성되는 엔코딩센서부(25)를 마련하여 구성된다.
미설명부호로서, 9는 본체 전방의 조작부, 12는 지지베어링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1)를 사용함에 있어 사용자가 지폐, 유가증권 등과 함께 동전, 클립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지폐 투입구(3)로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폐 투입구(3)로 투입되는 지폐, 유가증권 등은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투입롤러(5)에 의해 차례로 투입되어 이송롤러(6), 안내커버(10) 및 송출롤러(7)에 이송 안내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25)에 의해 지폐, 유가증권 등을 계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계수된 지폐 등은 본체 전방의 적재부(8)로 배출되어 적재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지폐, 유가증권 등과 함께 동전, 클립 등과 같은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에 상기 이물질은 이송롤러와 안내커버(10) 사이에 주로 끼임되어 지폐의 이송을 방해하는 고장, 오작동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지폐계수기(1)의 본체 후방을 개방한 후 안내커버(10)를 파지부(30)에 의해 파지한 상태로 후방을 향해 개방하여 내부에 끼임되어 있던 이물질을 간단하게 제거하게 된다.
즉, 상기 안내커버(10)는 상부 양측에 본체(2)의 프레임 양측의 고정홈(22)에 탄발 삽입된 스톱부(15)의 스톱볼(17)이 외력에 의해 탄발스프링(16)을 누르며 탄발 이탈되어 분리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안내커버(10)는 하부 양측 지지부(11)의 회전축(14)이 본체(2) 프레임 양측에 축설된 상태로 전방 회전되어 안내커버를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커버(10)의 하부 양측 지지부(11)에 축설된 지지축(13)이 본체 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상하 장방형의 지지안내홈(21)을 따라 안내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축(13)에 축설된 안내롤러(6-1)가 이송롤러(6)와 충분이 이격되므로 내부에 끼임되는 각종 이물질을 확실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안내커버(10)의 회전 개방시에는 카운터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의 위치가 상호 이탈됨과 함께 지지축(13)의 일측단에 설치된 엔코딩센서부(25)의 엔코더(27)가 엔코팅 센서(26)와의 위치가 상호 이탈되면서 제어부에 의해 지폐계수 작동이 중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내커버(10)에 끼임된 이물질을 분리 제거한 후에는 상기 안내커버(10)를 원위치 회전시켜 폐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안내커버(10)를 원위치 회전 복귀시켜 상기 안내커버의 스톱부(15)가 다시 본체 프레임 양측의 고정홈(22)에 탄발 삽입되어 고정되게 원위치 결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카운터센서부와 엔코딩센서부(25)의 정상 작동을 점검한 후 제어부에 의해 지폐 계수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 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1)는 카운터센서부와 엔코딩센서부 및 상기 안전커버(10)의 개폐상태를 점검하는 제어 작동후에 지폐 계수 작동을 행하도록 가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 지폐계수기(1)의 가동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본체(2) 상부에 지폐 투입구(3)로 지폐 등을 적층 투입하여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투입롤러(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6) 및 송출롤러(7) 및,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등을 안내하는 안내커버에 의해 이송 안내하면서 본체와 안내커버에 대응 설치된 발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카운터센서부 및 안내커버의 측방에 고정 설치된 엔코더(27)와 상기 엔코더를 감지하는 엔코딩 센서(26)를 갖는 엔코딩센서부(25)에 의해 지폐를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8)로 배출하여 적재하되, 상기 안내커버를 회전 개폐하면서 지폐 등과 함께 투입된 동전, 클립 등의 각종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
전원 온 작동시 제어부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로 확인하는 단계와,
구동모터에 의해 저속 구동하면서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와 엔코딩 센서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안내커버의 개폐 여부를 점검하는 사전 점검단계;
계수하고자 하는 지폐, 유가증권을 투입함에 의해 제어부에 의해 카운터 센 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구동모터에 의해 저속 구동하면서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와 엔코딩 센서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와 엔코딩센서부의 가동 여부를 점검하는 가동 점검단계;
구동모터에 의해 정상 구동하면서 지폐를 계수하는 가동단계에 의해 가동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가동방법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을 온작동하면 사전 점검단계를 행하게 된다.
이는 제어부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모터에 의해 저속 구동하면서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와 엔코딩 센서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사전 점검단계에서는 안전커버(10)의 개방 여부를 점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안전커버의 상부가 조립위치에 정확히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카운터 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를 확인하게 되고, 또한 상기 안전커버의 하부가 조립위치에 정확히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안전커버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엔코더의 위치가 변위되면서 엔코더 센서와 엔코더에 의한 작동 이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이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전 점검단계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지폐계수기(1)는 대기 모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지폐, 유가증권 등을 지폐 투입구로 공급하면, 다시 제어부에 의해 가동 점검단계를 행하게 된다.
이는 제어부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모터에 의해 저속 구동하면서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와 엔코딩 센서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가동 점검단계에서는 카운터 센서부와 엔코딩센서부의 가동 이상 여부를 점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동 점검단계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지폐계수기(1)의 구동모터가 정상 구동하면서 지폐, 유가증권 등을 차례로 이송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에 의해 지폐를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로 배출하여 적재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안전 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발췌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동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3: 지폐 투입구
5: 투입롤러 6: 이송롤러
7: 송출롤러 8: 적재부
10: 안내커버 11: 지지부
13: 지지축 21: 지지안내홈
15: 스톱부 22: 고정홈
16: 탄발스프링 17: 스톱볼
30: 파지부 25: 엔코딩센서부

Claims (5)

  1. 본체(2) 상부에 지폐 투입구(3)로 지폐,유가증권을 적층 투입하여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에 의해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8)로 배출하여 적재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2) 내부에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유가증권을 안내하는 안내커버(10)를 분리 구성하되,
    상기 안내커버(10)는 하부 양측 지지부(11)에 설치된 회전축(14)이 본체 프레임 양측에 회전가능케 축설되고,
    상부 양측에 스톱부(15)를 마련하여 본체 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22)에 착탈하도록 지지 설치하여 상기 안내커버(10)를 전후 회전 개폐하면서 지폐 등과 함께 투입되는 각종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0)의 하부 양측 지지부(11)에는 중앙에 구동 롤러와 맞닿아 지폐, 유가증권을 이송하는 안내롤러(6-1)가 축설되고 일측단에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가 설치되는 지지축(13)을 축설하여 안내커버 회전개폐시 본체 프레임 양측에 형성된 상하 장방형의 지지안내홈(21)을 따라 안내되도록 설치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0)의 스톱부(15)는 내부 탄발스프링(16)에 의해 고정홈에 착탈되는 스톱볼(17)이 탄발 돌출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커버(10)의 전방 양측에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공(32)을 갖는 파지부(30)를 돌출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5. 본체(2) 상부에 지폐 투입구(3)로 지폐,유가증권을 적층 투입하여 구동모터(M)에 의해 구동하는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하면서 카운터센서부 및 엔코딩센서부(25)에 의해 계수한 후 전방의 적재부(8)로 배출하여 적재하되, 상기 본체 내부에서 다수의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유가증권을 안내하는 안내커버(10)를 회전 개폐하면서 지폐, 유가증권 등과 함께 투입된 동전, 클립 등의 각종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는 지폐계수기에 있어,
    전원 온 작동시 제어부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로 확인하는 단계와,
    구동모터에 의해 저속 구동하면서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와 엔코딩 센서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안내커버의 개폐 여부를 점검하는 사전 점검단계;
    계수하고자 하는 지폐, 유가증권을 투입함에 의해 제어부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의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와,
    구동모터에 의해 저속 구동하면서 엔코딩센서부의 엔코더와 엔코딩 센서에 의한 작동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에 의해 카운터 센서부와 엔코딩센서부의 가동 여부를 점검하는 가동 점검단계;
    구동모터에 의해 정상 구동하면서 지폐, 유가증권을 계수하는 가동단계에 의해 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
KR1020080089797A 2008-09-11 2008-09-11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 KR20100030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797A KR20100030852A (ko) 2008-09-11 2008-09-11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797A KR20100030852A (ko) 2008-09-11 2008-09-11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852A true KR20100030852A (ko) 2010-03-19

Family

ID=4218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797A KR20100030852A (ko) 2008-09-11 2008-09-11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08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9965A (zh) * 2011-09-15 2013-03-27 黄腾玉 动力分离金融事务机
CN103679923A (zh) * 2013-12-26 2014-03-26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分机通道打开结构
KR20190036901A (ko) * 2017-09-28 2019-04-05 (주)넥스빌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9965A (zh) * 2011-09-15 2013-03-27 黄腾玉 动力分离金融事务机
CN103679923A (zh) * 2013-12-26 2014-03-26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清分机通道打开结构
KR20190036901A (ko) * 2017-09-28 2019-04-05 (주)넥스빌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4943A1 (en) Medium handling device
JP4454023B2 (ja) 紙幣処理装置
JP4988748B2 (ja) 硬貨収納投出装置
KR20100030852A (ko) 이물질 제거 구조를 갖는 지폐계수기 및 그 지폐계수기의 가동방법
ES2580203T3 (es) Dispositivo de manipulación de hojas de papel
JP5615391B2 (ja) 紙葉還流庫
JP6089693B2 (ja) 取込繰出装置、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扱装置
KR200459093Y1 (ko) 계수기 커버 개폐장치
JP6664245B2 (ja) 自動釣銭入出金機
JP5274303B2 (ja) 紙葉類取扱装置
JP2007156781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980438B1 (ko) 지폐 방출 장치
JP5329259B2 (ja) 紙葉類取扱装置
CN108665607B (zh) 纸币集积分离装置及纸币处理装置
JP3751519B2 (ja) 紙幣処理装置
JP6823450B2 (ja) 紙幣識別収納装置
WO2008049135A1 (en) A method of receiving and paying out bills
JPH0755652Y2 (ja) 紙幣識別装置
CN211979754U (zh) 入币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GB2402801A (en) Bank-note authentication apparatus accommodating notes of different widths
KR101077317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리젝트 박스
JP3980291B2 (ja) 紙葉類搬送装置
KR20190003261A (ko)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81802B1 (ko) 수직이송장치
JP6301093B2 (ja) 紙葉類集積装置および紙葉類集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