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552A - 흉관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흉관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552A
KR20100030552A KR1020090001998A KR20090001998A KR20100030552A KR 20100030552 A KR20100030552 A KR 20100030552A KR 1020090001998 A KR1020090001998 A KR 1020090001998A KR 20090001998 A KR20090001998 A KR 20090001998A KR 20100030552 A KR20100030552 A KR 201000305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chest tube
endoscope
di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희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이준희
이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희, 이용화 filed Critical 이준희
Publication of KR20100030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5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3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panels, and balustrade po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흉관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흉관 삽입장치는 일측에는 흉관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첨상의 흉막 천공용 천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부의 후방쪽 몸체 일측에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의 내측에는 가이드 블럭이 경사지게 설치된 거푸집과, 이 거푸집의 몸체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투명재질의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된 내시경 거푸집 및, 이 내시경 거푸집의 몸체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거푸집의 유출홀을 통해 흉막의 관통여부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 케이블선과 연결된 내시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흉관 삽입장치를 통해 흉관 삽입 시술을 간편하고 안전하며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흉관 삽입 시술을 위생적으로 수행함과 아울러 사용이 편리한 기구를 통해 숙련된 의사가 아니어도 실수없이 시술할 수 있다.
흉관, 삽입, 시술, 흉강, 거푸집, 천공부, 내시경

Description

흉관 삽입장치{An inserting device of a chest tube}
본 발명은 인체의 흉강에 흉관을 삽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술시 흉관(Chest Tube)을 인체의 흉강에 빠르고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숙련된 의사가 아니어도 흉관 삽입시술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흉관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에서 발병하는 기흉, 혈흉, 농흉과 같은 질병의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갈비뼈과 갈비뼈 사이로 흉관(Chest Tube)을 환자의 흉강(Pleural space)에 삽입하여야 한다.
즉, 상기와 같이 흉강에 흉관을 삽입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환자의 기흉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인체의 다섯 번째 갈비뼈 사이 공간중앙 액와선 부위를 통해 시술하는바, 환자가 의식이 있다면 국소 마취 후 주사기로 흉강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흉관(100)이 들어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갈비뼈 사이공간의 아래쪽 갈비뼈 바로 위)에 횡으로 2-3cm 정도 수술용 메스(blade)로 절개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의 기술에 따라 인체의 흉강에 흉관(100)을 삽입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스키토(Mosquito)(200)라는 시술기구를 인체의 절개된 부위에 밀어 넣어 피하조직을 벌리고 난 후, 근육 조직을 박리하고 나서 그 후에 드러나는 흉막(300)을 뚫어 절개 창을 만들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시술자가 롱켈리(Long Kelly)(400)와 손가락을 사용하여 흉막(300)의 관통 창을 넓혀 흉관(100)이 흉강(500)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미리 만들어 준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롱켈리(400)로 흉관(100)의 끝을 물고 흉막(300)의 관통 창 안으로 넣은 후, 상기 흉관(100)을 흉강(500)쪽으로 위치하게 한 다음 롱켈리(400)의 각을 뒤집어서 흉관(100)이 적절한 위치 및 방향을 갖도록 하며, 이후로 상기 흉관(100)을 흉강(500)의 정확한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서 상기 롱켈리(400)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모스키토(200) 기구와 롱켈리(400) 기구를 이용하여 흉관(100)을 흉강(500)에 삽입하는 시술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 흉관(100)을 삽입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흉강(500) 내의 공기가 흉관(100) 삽입 전에 빠져나와 흉관(100)이 흉강(500)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흉관(100)이 적절한 위치 및 방향을 갖도록 유도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흉관(100)이 흉강(500)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원만한 시술을 위하여 관통 창의 크기를 넓게 잡아야 하기 때문에 위생적인 면에서도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숙련된 의사가 아니면 시술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흉관(100)의 삽입시술을 위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흉막(300)을 뚫어 상기 흉관(100)이 들어갈 관통 창을 만들고, 상기 관통 창 내부로 끝부분이 뾰족하고 직선형의 원통 형태로 이루어진 트로카(Troca)(600) 기구에 흉관(100)을 장착시킨 상태로 밀어넣고 난 후, 상기 흉관(100)을 적절한 방향으로 밀어넣으면서 상기 트로카(600) 기구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시술법은 상기 흉관(100)을 흉강(500)으로 삽입할 때 손놀림의 동작에 따라 끝부분이 뾰족한 상기 트로카(600) 기구로 갈비뼈 사이 혈관과 신경줄기 등 다른 장기(특히 심장)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숙련된 의사가 아니면 시술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트로카(600) 기구를 이용한 또 다른 시술법으로서, 흉막(300)을 뚫어 상기 흉관(100)이 들어갈 관통 창을 만들고, 롱켈리(400)와 손가락을 사용하여 관통된 부분을 넓히며, 직선형의 모형으로 형성된 트로카(600) 기구를 관통 창에 삽입한 다음, 트로카(600) 기구의 노즐 내에 흉관(100)을 장착하여 흉관(100)을 흉강(500) 내의 적절한 위치 및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서 트로카(600) 기구를 관통 창에서 제거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시술법은 시술시 흉강(500) 내의 공기가 흉관(100)의 삽입 전에 빠져 나와 흉관(100)이 흉강(500)에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해져 흉관(100)이 흉강(500)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원만한 시술을 위하여 관통 창의 크기를 넓게 잡아야 하기 때문에 위생적인 면에서도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직선형의 모형으로 형성된 상기 트로카(600) 기구가 흉관(100)을 흉강(500) 내의 적절한 위치로 유도하기 어렵기 때문에 숙련된 의사가 아니면 시술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흉관 삽입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술시 흉관을 인체의 흉강에 빠르고 정확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숙련된 의사가 아니어도 흉관 삽입시술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흉관 삽입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는 흉관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첨상의 흉막 천공용 천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부의 후방쪽 몸체 일측에 상기 흉관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의 내측에는 흉관의 외부 유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럭이 경사지게 설치된 거푸집과, 이 거푸집의 몸체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투명재질의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블럭과 일치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내시경 거푸집 및, 이 내시경 거푸집의 몸체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의 유출홀을 통해 흉막의 관통여부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 케이블선과 연결된 내시경을 포함하여 흉관 삽입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내시경 거푸집의 경사면 내측에 반사경이 설치되어, 상기 반사경을 통해 내시경으로 흉강내에 삽입된 거푸집의 유출홀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여 상기 흉관을 흉강내로 출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에 의하면, 인체의 흉막에 형성되는 관통 창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시술 후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흉관 삽입 시술을 간편하고 안전하며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흉관 삽입 시술을 위생적으로 수행함과 아울러 사용이 편리한 기구를 통해 숙련된 의사가 아니어도 실수없이 시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 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도면들을 통해 본 발명의 흉관 삽입장치(1)를 설명하면, 상기 흉관 삽입장치(1)는 크게 거푸집(10)과 내시경 거푸집(20) 및 내시경(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푸집(10)과 내시경 거푸 집(2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며, 상기 거푸집(10)을 통해 흉관(30)이 인체의 흉강(40)으로 유입될 수 있고, 상기 거푸집(10)의 선단에 뾰족한 모양인 첨상의 흉막 천공용 천공부(12)로 흉막(50)을 천공함과 아울러 거푸집(10)이 흉강(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내시경(21)은 모니터를 통해 상기 거푸집(10)이 흉막(50)에 삽입된 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시경(21)이 내시경 거푸집(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거푸집(10)의 유출홀(14)을 통해 흉막(50)의 관통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흉관 삽입장치(1)를 구성하는 거푸집(10)은 그 일측에 상기 흉관(30)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거푸집(10)의 타측에는 첨상의 흉막 천공용 천공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1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몸체(13)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3)에 형성된 천공부(12)의 후방쪽 일측에는 상기 흉관(30)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14)의 내측에는 흉관(30)의 외부 유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럭(15)이 경사지게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거푸집(10)에 첨상의 천공부(12)가 형성된 흉관 삽입장치(1)는 갈비뼈과 갈비뼈 사이를 통해 흉관(30)을 흉강(40)에 빠르고 정확하게 삽입하는 장치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의 거푸집을 도시한 일부 절개도로서, 도 8을 참조로 상기 거푸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푸집(10)은 그 몸체 (13)의 개구부(11)쪽 단부와 흉관(30)을 유출하는 유출홀(14)과 첨상의 천공부(12)로 이루어진 하나의 몸체(13)로 구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거푸집(10)은 천공부(12)를 통해 흉관(30)을 흉강(40) 내의 적절한 위치에 빠르고, 정확하고,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의 내시경 거푸집 및 내시경을 도시한 일부 절개도로서, 도 9를 참조로 상기 내시경 거푸집(20)과 내시경(21)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내시경 거푸집(20)은 원통형 몸체(23)내 일측의 경사면(24)이 설치된 구조로 경사면(24)에 반사경(25)을 설치한 내시경 거푸집(20)에 내시경(21)을 장착하여 흉막 관통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내시경(21)을 통해 시술자는 흉관 삽입장치(1)의 흉관(30)이 삽입될 위치를 파악하여 이것을 기준으로 흉관(30)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홀(14)이 흉막(50)을 관통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흉관(30)을 흉강(40)내로 유출하는 유출홀(14)의 위치가 흉관(30)을 흉강(40)내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1)를 이용하여 인체의 흉막(50)을 천공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장치(1)를 이용하여 흉관(30)이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상기 흉관(30) 삽입장치(1)를 이용한 시술 상태를 설명하면, 환자의 기흉, 혈흉, 농흉 등을 치료하기 위하여 인체의 다섯 번째 갈비뼈 사이 공간의 중앙 액와선 부위를 통해 시술하는바, 환자가 의식이 있다면 국소 마취 후 주사기로 흉강(40)의 위치를 확인한 다음 흉관(30)이 들어갈 위치보다 약간 아래쪽(갈비뼈 사이공간의 아래쪽 갈비뼈 바로 위)에 횡으로 2-3cm 정도 수술용 메스(blade)로 절개하는 것이다.
상기 절개부에 흉관 삽입장치(1)의 거푸집(10)을 삽입하되, 상기 거푸집(10)은 그 몸체(13) 일측에 천공부(12)가 형성됨과 아울러 흉관(30)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홀(14)이 형성되며, 이러한 흉관 삽입장치(1)의 거푸집(10) 개구부(11)로 내시경 거푸집(20)이 삽입되는 바, 상기 내시경 거푸집(20)에는 반사경(25)이 설치되어 있고 내시경 거푸집(20)에 내시경(21)을 삽입 장착한 후, 상기 거푸집(10)을 절개부에 삽입하게 되면 천공부가 흉막(50)을 뚫으며 거푸집(10) 몸체(13)의 흉관(30) 유출홀(14) 부분을 흉막(50)에 밀어 넣어 흉막(50)에 관통창을 만든 다음, 상기 관통창에 삽입된 거푸집(10) 몸체(13) 측면의 흉관(30) 유출홀(14)의 위치를 내시경 거푸집(20)내의 반사경(25)과 내시경(21)을 이용하여 흉관(30)을 흉강(40)내로 출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흉관(30) 유출구가 흉강(40)내의 적정한 위치에 자리 하였는지를 내시경(21)으로 확인하고, 상기 내시경(21)이 장착된 내시경 거푸집(20)을 흉관 삽입장치(1)의 거푸집(10)에서 제거한 후 상기 거푸집(10)의 개구부(11)을 통해 흉관(30)을 흉강(40) 내로 적절이 밀어 넣고 거푸집(10)을 흉관(30)에서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거푸집(10)에 천공부(12)가 일체화된 흉관 삽입장치(1)를 이용하여 흉관(30) 삽입 시술을 수행함으로써 그 시술을 간편하게 수행하고, 숙련된 의사가 아니어도 간편하게 흉관(30) 삽입 시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흉관 삽입술을 통해 흉관이 삽입되는 인체의 부위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모스키토 기구를 이용하여 흉막을 뚫어 절개 창을 만들어주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롱켈리 기구 및 손가락을 사용하여 흉막의 관통 창을 넓혀주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롱켈리 기구로 흉관을 잡아 인체의 흉강으로 흉관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종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트로카 기구를 이용하여 흉관을 인체의 흉강에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의 거푸집 구조를 나타낸 일부 절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이 장착된 내시경 거푸집을 나타낸 일부 절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인체의 흉막을 천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흉관 삽입장치를 이용하여 흉관이 삽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흉관 삽입장치 10 : 거푸집
11 : 개구부 12 : 천공부
13 : 몸체 14 : 유출홀
15 : 가이드 블럭 20 : 내시경 거푸집
21 : 내시경 22 : 개구부
23 : 몸체 24 : 경사면
25 : 반사경 26 : 모니터 케이블선
30 : 흉관 40 : 흉강
50 : 흉막

Claims (2)

  1. 일측에는 흉관(30)이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첨상의 흉막 천공용 천공부(12)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천공부(12)의 후방쪽 몸체(13) 일측에 상기 흉관(30)을 외부로 유출하는 유출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유출홀(14)의 내측에는 흉관(30)의 외부 유출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블럭(15)이 경사지게 설치된 거푸집(10);과
    상기 거푸집(10)의 몸체(13) 내부에 삽입 또는 인출가능하게 설치된 투명재질의 원통형의 몸체(23)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23)의 일측에는 개구부(22)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블럭(15)과 일치되는 경사면(24)이 형성된 내시경 거푸집(20); 및
    상기 내시경 거푸집(20)의 몸체(23) 개구부(22)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경사면(24)에 접촉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거푸집(10)의 유출홀(14)을 통해 흉막(50)의 관통여부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 케이블선(26)과 연결된 내시경(21);을 포함하여 구성된 흉관 삽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거푸집(20)의 경사면(24) 내측에 반사경(25)이 설치되어, 상기 반사경(25)을 통해 내시경(21)으로 흉강(40)내에 삽입된 거푸집(10)의 유출홀(14) 위치와 방향을 파악하여 상기 흉관(30)을 흉강(40)내로 출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관 삽입장치.
KR1020090001998A 2008-09-09 2009-01-09 흉관 삽입장치 KR201000305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88580 2008-09-09
KR1020080088580 2008-09-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552A true KR20100030552A (ko) 2010-03-18

Family

ID=4218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998A KR20100030552A (ko) 2008-09-09 2009-01-09 흉관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05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760A (ko) 2020-10-15 2022-04-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관을 쉽게 삽입하기 위한 다일레이터가 결합된 흉관삽입장치
WO2024043393A1 (ko) * 2022-08-22 2024-02-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강경하 흉관 삽입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760A (ko) 2020-10-15 2022-04-2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관을 쉽게 삽입하기 위한 다일레이터가 결합된 흉관삽입장치
WO2024043393A1 (ko) * 2022-08-22 2024-02-2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흉강경하 흉관 삽입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8773A (en) Device for performing a tracheostomy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US4883474A (en) Thoracic catheter
EP1808134A2 (en) Endoscopic overtube
JPH0263471A (ja) 器具ポートを有するガス吹き込みニードル
KR101615448B1 (ko) 흉부용 카테터
JP2014510551A (ja) 遠位吸引機能付き外科用切削器具
PT701799E (pt) Trocarte de seguranca
US20130090681A1 (en) Dilating device
US20140324000A1 (en) Medical instrument for inserting a chest drainage tube
RU223804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медицинских инструментов
WO2005110187A1 (ja) 内視鏡用処置具
CN209437761U (zh) 一种穿刺置入式腹膜透析管
KR20100030552A (ko) 흉관 삽입장치
US3476113A (en) Pocket-sized crico-thyrotomy set
JP2000325356A (ja) 四分割ピールオフが可能な脳穿刺用套管針
AU2019339565B2 (en) Guide wire joint
JP6504446B2 (ja) 皮下トンネル用穿刺針
JP2015051279A (ja) 套管針
JP2007296280A (ja) 内視鏡用注射具
KR101343926B1 (ko) 의료기 삽입 보조장치
CN216022555U (zh) 经皮气管切开装置
RU149055U1 (ru) Направ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оледохоскопа
KR102476766B1 (ko) 의료용 스네어장치
CN211911686U (zh) 一种腔镜甲状腺手术专用的带排气功能的无损伤拉钩
JPH0332658A (ja) 肝切除手術用マーキング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