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0200A -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0200A
KR20100030200A KR1020080089020A KR20080089020A KR20100030200A KR 20100030200 A KR20100030200 A KR 20100030200A KR 1020080089020 A KR1020080089020 A KR 1020080089020A KR 20080089020 A KR20080089020 A KR 20080089020A KR 20100030200 A KR20100030200 A KR 20100030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llecting
vegetation
mower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9474B1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20080089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94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01D43/077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with auxiliary means, e.g. fans, for transporting the mown cro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3/00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 A01D43/06Mowers combined with apparatus performing additional operations while mowing with means for collecting, gathering or load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집장치의 수집통과 예취기를 후렉시블한 자바라관으로 연결하여 절단된 초목의 수집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수집통을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절반이 후방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하면서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이동시에는 수집통을 예취기와 함께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동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는 트랙터의 후방에 예취기를 연결하여 이의 동력으로 풀이나 어린 나무를 절단토록 하는 농기계를 이용한 예취수단에 있어서, 상기 예취기의 후방에 연결로드(311)로 연결되면서 저면에 바퀴(313)가 설치되어 견인가능토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323)을 갖추어 초목을 수집토록 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수집통(310)과; 상기 수집통(310)의 절반을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되면서도 유압실린더(330)에 의해 상부의 힌지(321)를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되는 도어(320)와; 상기 예취기(200)의 바디(202)와 수집통(310)을 상호 연결하면서 송풍팬(208)의 송풍력에 의해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을 이송안내토록 하는 자바라관(207)과; 상기 예취기의 후방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예취기의 상승작동에 의해 수집통(310)을 지면으로 부터 들어 올리도록 하는 받침대(209);로 구성된 것이다.
Figure P1020080089020
트랙터, 예취기, 수집기, 예취기의 수집통, 트랙터용 예취기, 예취기의 수집장치.

Description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THE MACHINE COLLECTION SYSTEM WHICH CUTS THE GRASS WHICH USES THE POWER OF THE FARM MACHINE}
본 발명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집장치의 수집통과 예취기를 후렉시블한 자바라관으로 연결하여 절단된 초목의 수집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상기 수집통을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절반이 후방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하면서도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의 배출효율을 향상시키며, 또한 이동시에는 수집통을 예취기와 함께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동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취기는 곡식, 풀, 어린 잡목 등의 초목(草木))을 절단하기 위한 기구로서, 이러한 예취기는 사용용도와 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농가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동력을 이 용하는 견인형 예취기도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농기계의 동력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임으로써 별도의 동력이 요구되지 않는 등 사용의 호환성 및 작업에 따른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대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1 에서 보듯이 크게 구분하여 농기계의 트랙터(10)와, 상기 트랙터(10)의 후방에 연결되어 이의 동력으로 초목을 절단토록 하는 예취기(20)와, 상기 예취기(20)의 후방에 역시 견인되어 절단된 초목을 수집토록 하는 수집기(30)로 구성된다.
상기 트랙터(10)는 일반적인 농기구로서 이의 후면에 필요에 따라 예취기(20)를 장착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예취기(20)는 다수의 연결간(21)에 의해 트랙터(10)와 연결되면서도 트랙터의 동력축(22)과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다수의 바퀴(23)에 의해 구름작동되는 함체형상의 바디(24)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24)에는 트랙터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받아 회전구동됨으로써 초목을 예취하는 절단칼(25)이 설치되고, 이의 일측에는 예취된 초목을 수집기(30)로 흡출하기 위한 송풍팬(2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예취기(20)의 후방에는 예취된 초목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기(30)가 설치되는데, 이의 수집기(30)는 첨부된 도면의 도 2 및 도 3에서 보듯이 바퀴에 의해 구름작동되면서 후방의 도어(31)에 의해 개폐되는 수레형의 수집통(32)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수집통(32)은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을 수집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면서 견인바(33)에 의해 예취기(20)와 연결되는 프레임(34)에 안착되어 힌지축(35)을 지지점으로 후방을 향해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상부 전단에는 덕트(36)로서 예취기(20)의 바디(24)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예취기(20)는 트랙터(10)에 의해 견인되면서 초목을 절단하게 되는 것으로, 트랙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구동되는 절단칼(25)에 의해 초목이 원활하게 절단되고, 이렇게 절단되는 초목은 송풍팬(26)의 송풍력에 의해 덕트(36)을 거쳐 수집기(30)의 수집통(32)으로 수집된다.
상기 수집통(32)으로 수집되는 초목은 도 3 에서 보듯이 프레임(34)에 설치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힌지축(35)을 지지점으로 후방을 향해 회동작동됨으로써 도어(31)에 의해 개폐되는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는 농가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트랙터를 효율적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매우 유용한 가치를 가지기는 하지만, 수집기(30)의 구조적인 특성상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는 예취기의 구조에 비하여 수집장치인 수집기(30)의 구조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중량도 많이 나가게 되고, 무게 중심 역시 높게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여러 가지 조건의 다양한 장소에서 작업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수집기(30)는 프레임(34)의 상부에 별도의 수집통(32)이 설치되는 대략 차량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좁은 장소나 비탈진 장소 등 지면이 고르지 못한 장소에서 작업시에는 전복의 위험성이 있는 등 견인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을 수집통(32)으로 수집시에도 수집통이 단순한 함체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덕트(36)를 통해 수집되는 초목이 수집통(32)내의 전체에 걸쳐 고르게 수집되지 않기 때문에 수집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수집된 초목을 배출시에는 수집통(32)을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후방을 들어올린다 하더라도 직각방향으로 들리지 않게 됨으로써 수집통(32)내의 초목을 신속하고도 완전하게 배출하기가 어려운 등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초목에 수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집통(32)을 최대한 회동시켜 기울인다 하더라도 초목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경우 별도의 수작업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트랙터와 같은 농기구를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토록 하면서도 수집된 초목을 배출시에는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배출토록 하고, 또한 이동시에는 수집장치에 따른 수집통이 예취기와 함께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상승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동성 및 견인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 용 수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형태의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수집장치는 트랙터를 이용하는 예취기의 후방에 연결 설치하여 견인가능토록 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절반이 후방으로 개폐되는 도어를 가지는 수집통을 갖추어 구성한 것이다.
상기 수집통은 예취기의 바디와 자바라관으로 연결하여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토록 구성하고, 또한 수집통의 내부 저장공간을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추어 구성하여 수집된 초목을 배출시 도어를 개폐하는 것만으로 내부에 수집된 초목이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배출토록 구성하며, 그리고, 작업을 행하지 않고 이동시에는 예취기의 후방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받침대에 의해 예취기와 함께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만큼 들려질 수 있도록 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트랙터의 후방에 설치되는 예취기에 견인이 가능한 별도의 수집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수집장치는 수집통을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하면서도 저면에는 1열의 바퀴만을 형성함으로써 기동성을 월등히 향상시킴과 동시에, 후렉시블한 자바라관으로서 예취기와 연결함으로써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의 수집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수집통의 내부를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면서도 절반을 후향 개폐되는 도어로 형성함으로써 수집된 초목을 배출시 도어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신속하고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동시에는 예취기의 후방에 형성된 받침대에 의해 예취기와 함께 지면으로 부터 일정높이만큼 들려지게 됨으로써 이동에 따른 기동성도 월등히 향상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이와 더불어 수집통의 상부에 투시창을 형성함으로써 수집되는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수집장치에 따른 구성을 보인 도면이며, 도 7 이하에서는 본 발명 수집장치의 견인 및 작업에 따른 여러 가지 작동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농기계의 트랙터를 표시하고 있고, 부호 200은 트랙터(100)의 후방에 연결되어 이의 동력으로 초목을 절단토록 하는 예취기를 표시하고 있으며, 부호 300은 상기 예취기에 설치되어 절단된 초목을 수집토록 하는 수집장치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트랙터(100)는 통상적인 농기계이고, 상기 예취기(200)는 사각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저면에 다수의 바퀴(201)가 설치되는 바디(202)를 갖추어 구성되고, 이의 전면에는 연결간(203)이 설치되어 트랙터(10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바디(202)의 상부에는 동력축(204)으로서 트랙터(100)의 동력과 연결되는 기어박스(205)가 설치됨과 동시에, 하부에는 기어박스(205)와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이의 동력에 의해 초목을 절단토록 하는 회전 절단칼(206)이 설치된다.
상기 바디(202)의 일측에는 절단칼(206)에 의해 절단된 초목을 수집기(300)로 이송하기 위한 후렉시블한 형태의 자바라관(207)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자바라관(207)으로 송풍력을 제공토록 하는 송풍팬(208)이 설치된다.
상기 바디(200)의 후방 중심측에는 수평으로 돌출되게 받침대(209)가 형성되고, 이 받침대(209)는 후술할 수집장치(300)의 수집통을 들어 올리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집장치(300)는 첨부된 도면의 도 5 및 도 6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을 이루는 수집통(310)을 갖추어 구성되고, 이 수집통(310)은 전면의 연결로드(311)로서 예취기(200)의 바디(202)에 설치된 브라켓트와 축결합되어 이 힌지축(312)을 지지점으로 회동된다.
또 상기 수집통(310)은 하부에 1열의 바퀴(313)가 설치되어 예취기(200)와 함께 견인되도록 구성되고, 전체적으로 중심부가 수직 분할되는 형태로 후방에는 개폐되는 도어(320)가 상부의 힌지(321)를 지지점으로 상향 개폐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내부에는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323)을 갖추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집통(310)의 끝단부에는 도10 에서 보듯이 도어(320)의 개폐작동을 원활히 안내하기 위한 호형의 안내편(324)을 외향 돌출되게 더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도어(320)는 대략 반원형을 이루면서 상부의 힌지(321)를 지지점으로 절반이 개폐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는 수집통(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330)에 의해 개폐작동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수집통(310)의 상부에는 도6에서 보듯이 내부가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의 투시창(340)이 설치됨과 동시에 수집작동시 송풍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안내구(341)가 설치되고, 일측면에는 예취기(200)에서 절단된 초목이 이송되도록 하는 자바라관(207)이 연결된다
상기 자바라관(207)은 수집통(310)이 일정한도내에서 승강작동되더라도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후렉시블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수집통(310)의 저면에는 이송시 수집통(310)을 들어 올리기 위한 예취기(200)의 받침대(209)가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농기계의 트랙터(100)를 이용하여 풀과 어린 나무 등을 절단하는 것으로, 도면에서도 보듯이 트랙터(100)의 후방에 연결간(203)을 이용하여 예취기(200)를 연결설치함과 동시에 동력축(204)을 트랙터 의 동력과 연결하고, 또한 상기 예취기(200)의 후방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집장치(300)를 연결로드(311)로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사용시에는 연결간(203)들을 조절하여 예취기(200)와 수집장치(300)의 수집통(310)이 저면에 닿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트랙터(100)의 동력을 전달하게 되면, 이의 동력은 동력축(204) 및 기어박스(205)를 통하여 예취기의 바디(202)내에 설치되는 절단칼(206)로 전달되어져 이를 고속으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초목을 자동으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절단되는 초목은 절단칼(206)의 원심력에 의해 바디(202)내의 일측으로 모여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작동되는 송풍팬(208)의 송풍력에 의해 자바라관(207)을 거쳐 수집장치(300)의 수집통(310)내로 수집된다.
즉, 상기 송풍팬(208)의 송풍력은 자바라관(207)으로 송풍되어 수집통(310)을 거쳐 안내구(341)로 송풍됨에 따라 바디(202)내의 절단된 초목은 송풍되는 공기와 함께 이동되어 수집통(310)으로 수집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집통(310)으로 수집되는 초목은 수집통(310)내에 차곡차곡 쌓이게 되고, 적정량이 수집되어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폐기처분할 수 있는 장소로 이동한 다음, 수집통(310)의 상부에 설치된 유입실린더(330)를 작동시켜 도어(320)를 개방하게 된다.
첨부된 도면에서 보듯이 유압실린더(330)의 후진작동에 의해 도어(320)가 힌지(321)를 지지점으로 상부를 향해 개방됨으로써 수집통(310)내에 수집된 초목은 자체의 중량에 의해 그 하부로 신속하고도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경우 도어(320)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상부를 향해 개방됨과 동시에 수집통(310)의 내부가 하부를 향해 경사진 경사면(323)을 가지게 됨으로써 도어(320)를 개방하는 것만으로도 신속하게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집통(310)내의 초목을 완전히 배출시킨 후에는 유압실린더(330)를 전진 작동시키게 되면, 도어(320)는 닫히게 됨으로써 모든 것이 원위치되어 다음 작업의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집통(310)과 도어(320)의 끝단부가 접하는 수집통(310)에는 도 10에서 보듯이 호형의 안내편(324)을 더 설치함으로써 도어(320)를 보다 안정되게 개폐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작업장소로 이동시에나 또는 작업을 마치고 복귀할 때와 같이 비작업상태에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예취기(200)와 함께 수집장치(300)를 지면으로 부터 일정 높이만큼 상승시킨 후 트랙터(100)의 본래 속도대로 이동할 수가 있다.
즉, 상기 예취기(200)를 연결한 연결간(203)을 위로 조작하게 되면, 예취기(200)의 전체는 연결간(203)의 조작높이만큼 지면으로 들어 올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예취기(200)의 후방에 일체로 설치된 받침대(209) 역시 상승되면서 수집통(310)의 저면을 받쳐주는 상태로 들어 올리게 된다.
상기 받침대(209)는 도면의 도 7 및 도 8은 물론, 도 9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상태 즉, 예취기(200)와 수집장치(300)가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는 수집통(310)과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수집통(310)의 작동에는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하기 위하여 예취기(200)와 수집장치(300)를 지면으로 부터 이격시키고자 할 경우, 예취기(200)가 상승되면서 받침대(209) 역시 상승되면서 수집통(310)의 저면을 들어 올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예취기(200)와 수집장치(300)가 지면으로 일정한 높이만큼 들려지게 됨으로써 트랙터(100)의 원래 속도대로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기동성을 유지할 수가 있는 것이고, 이동 후 작업시에는 전술한 역순으로 예취기(200)와 수집장치(300)를 지면으로 내려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농기계를 이용한 예취기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도 1에서 수집장치의 구성만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종래 수집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농기계를 이용한 예취기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 4에서 예취기의 일부와 수집장치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 5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로서 작업시의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도 7에서 이동시의 작동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도 8에서 예취기의 받침대가 수집통을 들어올리는 작동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집통내의 초목을 배출시키는 작동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도 10에서 수집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트랙터 200:예취기
201,313:바퀴 202:바디
203:연결간 204:동력축
205:기어박스 206:절단칼
207:자바라관 208:송풍팬
209:받침대 300:수집장치
310:수집통 311:연결로드
312:힌지축 320:도어
321:힌지 323:경사면
324:안내편 330:유압실린더
340:투시창 341:안내구

Claims (3)

  1. 트랙터의 후방에 예취기를 연결하여 이의 동력으로 풀이나 어린 나무를 절단토록 하는 농기계를 이용한 예취수단에 있어서,
    상기 예취기의 후방에 연결로드(311)로 연결되면서 저면에 바퀴(313)가 설치되어 견인가능토록 구성되고, 내부에는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323)을 갖추어 초목을 수집토록 하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수집통(310)과;
    상기 수집통(310)의 절반을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되면서도 유압실린더(330)에 의해 상부의 힌지(321)를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되는 도어(320)와;
    상기 예취기(200)의 바디(202)와 수집통(310)을 상호 연결하면서 송풍팬(208)의 송풍력에 의해 예취기에서 절단된 초목을 이송안내토록 하는 자바라관(207)과;
    상기 예취기의 후방에 수평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예취기의 상승작동에 의해 수집통(310)을 지면으로 부터 들어 올리도록 하는 받침대(20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310)은 상부에 육안으로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체의 투시창(340)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통(310)의 끝단부에 호형의 안내편(324)을 설치하여 도어(320)의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안내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KR1020080089020A 2008-09-10 2008-09-10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KR10102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020A KR101029474B1 (ko) 2008-09-10 2008-09-10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020A KR101029474B1 (ko) 2008-09-10 2008-09-10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200A true KR20100030200A (ko) 2010-03-18
KR101029474B1 KR101029474B1 (ko) 2011-04-18

Family

ID=42180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020A KR101029474B1 (ko) 2008-09-10 2008-09-10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9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992B1 (ko) * 2021-07-19 2022-11-16 이철호 증속 기능을 갖는 예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584B1 (ko) * 2016-11-08 2018-06-11 이운재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50Y1 (ko) 2005-03-11 2005-05-25 김경환 수초 및 경사면 잡초제거용 예취기
KR200404338Y1 (ko) 2005-09-23 2005-12-21 나종권 잔디깎기
KR200426677Y1 (ko) 2006-07-03 2006-09-19 이철호 농기계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의 수집장치
KR100874135B1 (ko) * 2006-11-20 2008-12-15 이철호 예취기용 수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992B1 (ko) * 2021-07-19 2022-11-16 이철호 증속 기능을 갖는 예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9474B1 (ko) 2011-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604E1 (en) Rotary mower conditioner having improved cut crop flow
US20020083694A1 (en) Grass cutting machine with mower unit
US5983613A (en) Vacuum mower
WO2014106855A1 (en) A compact automatic sugarcane harvester
CN113853111B (zh) 用于组装农业机器的结构底盘和收割机
US7047718B2 (en) Lawn-mower with tipping device for the bin
US4314435A (en) Foliage trimmer
KR101029474B1 (ko)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US4838012A (en) Vegetable harvester
US6658830B2 (en) Self-propelled flail mower and vacuum
CN212184231U (zh) 自走式捡拾机
US20200022306A1 (en) Mower apparatus
CN101755532B (zh) 甘蔗收割机
JP6709149B2 (ja) サトウキビ収穫機
CN2497531Y (zh) 一种玉米收割机割台
JP2020120694A (ja) サトウキビ収穫機
CN216673871U (zh) 割草机器人
CN218550663U (zh) 6驱2转向玉米收割机
CN219395561U (zh) 一种割草机的刀盘升降组件
KR101865584B1 (ko)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CN213819500U (zh) 一种农业用捕虫箱
CN211861114U (zh) 轻型举升搂草机
CN218072476U (zh) 一种割草机及其自动卸草装置
CN211861115U (zh) 具有收集功能的割草设备
KR100874135B1 (ko) 예취기용 수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