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584B1 -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5584B1
KR101865584B1 KR1020160148027A KR20160148027A KR101865584B1 KR 101865584 B1 KR101865584 B1 KR 101865584B1 KR 1020160148027 A KR1020160148027 A KR 1020160148027A KR 20160148027 A KR20160148027 A KR 20160148027A KR 101865584 B1 KR101865584 B1 KR 101865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ass
storage space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725A (ko
Inventor
이운재
이은미
Original Assignee
이운재
이은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재, 이은미 filed Critical 이운재
Priority to KR102016014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55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49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with means for discharging mown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52Cutt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차량의 구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대량의 풀을 제초함과 동시에 저장하여 추가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하는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이 가능하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부가 형성되는 작업차량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으로 절단된 풀이 적체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차량의 승강부가 연결되어 승강되는 본체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되며, 바닥의 풀을 절단하여 바닥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초부; 상기 본체부의 후측에 형성되어 본체부 측면에 형성되는 승강체를 통해 본체부와 상측이 힌지로 결합된 상태로 승강되어 저장공간을 개폐시키며, 내부에 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되어 제초부에서 절단되어 유입되는 풀이 저장공간 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로를 형성하며,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의 하판 상측에 형성되어 본체부와 하측이 힌지로 결합되고, 상측이 연결체를 통해 덮개부와 연결되어 덮개부의 개폐에 따라 회동되어 본체부의 저장공간 내의 풀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Apparatus for weeding pickup type of grass drive type power}
본 발명은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차량의 동력 구동을 통해 풀을 제초함과 동시에 저장하여 추가 작업을 하지 않고 제초된 풀을 따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란 지표면을 피복하는 지피식물 중 낮은 깎기와 답압에도 잘 견디며 재생력이 강한 특성을 지닌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초록의 즐거움을 주면서 뛰놀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며, 빗물이나 바람에 의한 먼지의 발생을 억제하고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를 정화시키고 다량의 산소를 생산하는 매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잔디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잔디를 깎아 주므로써 원활한 통풍작용으로 잡초 및 병충해를 방지함은 물론 개화결실을 억제하며, 사용으로 훼손된 피해부위를 제거하여 잔디를 항상 새롭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잔디를 기계적으로 깎아주는 종래의 제초기(MOWER)는 대부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입산 제초기는 별도의 전용 트랙터에 부착하여 휴경농지 및 골프장, 잔디 운동장 등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가격이 매우 고가이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또한 다수의 제초날은 동일 축선상으로 설치되며, 이때 제초날은 상호 충돌됨을 방지하도록 제초날의 사이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을 유지함에 따라 제초작업시 상기 간극부위에 위치하는 잔디나 목초는 제대로 깎여지지 않아 잔디면이 불규칙하므로써 작업의 품질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이었다.
더욱이 제초작업시 깎여진 잔디는 골고루 분산되어 배출되지 않고 국지적으로 집중하여 배출됨에 따라 이를 제거하지 않고 잔디면에 장시간 방치할 경우 잔디를 이용하는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병충해의 발생확률이 높아지며, 깍여진 잔디에 의해 성장과정의 잔디가 눌리면서 죽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풀을 제초할 때 대량으로 할 수 없으며, 제초된 풀을 제초와 동시에 저장할 수 없어 별도로 작업하여 제초된 풀을 모아 버리거나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특허는 대량으로 제초를 하고 한 위치에 제초된 풀이 쌓이지 않도록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칼날을 통해 제초를 하는 트랙터용 제초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는 제초한 풀을 그대로 방치하게 되므로 제초된 풀을 제거해야 하는 장소에서는 별도의 작업을 통해 제초된 풀을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특허 : 한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20-0387593호(2005년06월13일)
본 발명은 작업차량의 구동력을 통해 자동으로 대량의 풀을 제초함과 동시에 저장하여 추가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하는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는, 이동이 가능하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부가 형성되는 작업차량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으로 절단된 풀이 적체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차량의 승강부가 연결되어 승강되는 본체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되며, 바닥의 풀을 절단하여 바닥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본체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초부; 상기 본체부의 후측에 형성되어 본체부 측면에 형성되는 승강체를 통해 본체부와 상측이 힌지로 결합된 상태로 승강되어 저장공간을 개폐시키며, 내부에 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덮개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형성되어 제초부에서 절단되어 유입되는 풀이 저장공간 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로를 형성하며,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의 하판 상측에 형성되어 본체부와 하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상측이 연결체를 통해 덮개부와 연결되어 덮개부의 개폐에 따라 회동되어 본체부의 저장공간 내의 풀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초부는, 상기 작업차량의 구동부와 연결되며, 본체부의 하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결합되어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회전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회전축에 결합되고, 하측단에 날이 형성되어 풀을 절단하는 절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초부를 통해 절단된 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의 타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결합되는 제초부를 통해 절단된 풀이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가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의 하판에 적체될 수 있는 풀을 배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외측에 운송용 바퀴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차량의 구동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초부와 연결되도록하는 연결부재; 상기 작업차량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와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체 및 상기 작업차량의 승강부와 연결되어 승강부를 통해 본체부 전체가 회동체를 중심축으로 회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부는 내부에 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이 본체부와 힌지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본체와 연결되는 승강체를 통해 본체부의 저장공간을 승강 회동을 통해 개폐하고, 내부 상측면에 연결체가 연결 고정되는 고정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초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초부의 회전을 통해 이동되는 풀을 가이드하여 본체부의 저장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 및 상기 본체부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저장공간측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사각도를 가지며, 풀이 저장공간 측으로 유입되기 쉽도록 형성되는 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의 하판 상측에 접촉되도록 하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장공간측 하단이 본체부와 힌지로 결합되며, 제초부측 상측면에 연결체가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의 승강 회동을 통해 당겨져 동시에 회동되는 배출판 및 상기 배출판이 연결체를 통해 회동될 때 회동되어 다시 복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장공간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판의 회동을 방지하는 방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결합되는 장치의 동력 구동이 가능한 작업차량에 제초장치가 결합되어 동력을 통해 제초부를 회전시켜 풀을 제초하고, 이를 수거하므로, 다량의 풀을 쉽게 제초함과 동시에 저장공간에 저장하여 제거하므로, 간편하게 풀을 제초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초되어 저장된 풀을 별도의 조작이 없어도 쉽게 저장공간에서 배출판을 통해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덮개부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배출판과 본체부의 하판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제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제초부에 절단체가 회전축의 결합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하나의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고안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구동부가 구비되는 작업차량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에 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본체부(10), 본체부(1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회전을 통해 풀을 절단하여 본체부(10)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제초부(20), 본체부(10)의 타측에 상단이 힌지로 결합되며, 본체부(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승강체(15)를 통해 승강회동 되어 본체부(10)의 저장공간(s)을 개폐하는 덮개부(30), 본체부(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제초부(20)를 통해 제조되는 풀이 본체부(10)의 저장공간(s) 내로 원할히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 및 본체부(10)의 내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연결체(w)를 통해 덮개부(30)와 연결되어 덮개부(30)의 승강회동을 통해 회동되어 풀을 저장공간(s)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차량은 예를 들어 경운기 또는 트랙터 등의 구동형 작업기계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는 작업차량의 구동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12), 작업차량의 힌지고정부와 연결되어 본체부(10)가 승강 회동되도록 하는 회동체(11), 작업차량의 승강부와 연결되는 승강연결부재(13), 연결부재(12) 및 회동체(11)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 저장공간(s)이 형성되며, 하측에 제초부(20)가 결합되어 절단된 풀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되며, 외측에 운송용 바퀴(14)가 형성되는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는 일측에 연결부재(12), 회동체(11), 승강연결부재(13)가 형성되며, 타측 내부에 저장공간(s)이 형성되어 타측면이 개방되고, 하측에 제초부(20)가 결합되어 풀이 유입되는 유입구(h)가 형성되며, 유입구(h)에 제초부(20)가 결합되어 제초부(20)를 통해 절단되어 유입되는 풀이 저장공간(s)으로 저장되며, 좌우측 양측에 운송용 바퀴(14)가 결합된다.
상기 몸체의 유입구(h)에는 유입부가 형성되어 제초부(20)를 통해 제초된 풀이 유입부를 따라 저장공간(s)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상기 유입부는 제초부(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부(10)의 하측에서 저장공간(s) 측으로 풀이 가이드 되도록 하는 상판(16) 및 본체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제초부(20)를 통해 절단된 풀이 유입될때 본체부(10) 바닥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바닥면을 차단하는 하판(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6)은 유입구(h)의 일측에서부터 몸체의 상측방향으로 원호로 형성되어 풀이 가이드되도록 하여 저장공간(s)으로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하판(17)은 유입구(h)의 타측에서부터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대각선으로 형성되어 제초부(20)를 통해 유입되는 풀이 미끄러져 저장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덮개부가 개방되는 것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배출판과 본체부의 하판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기 하판(17)의 상측에는 배출부가 결합되며, 배출부와 하판(17) 간에 풀이 유입될 경우 풀을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홀(18)이 형성되어 하판(17) 상측에 적체되는 풀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부는 하판(17)의 상측에 형성되며, 하단이 본체부(10)와 힌지로 결합되며, 일측 상측면에 연결체(w)가 연결되어 덮개부(30)와 연결되고, 덮개부(30)의 승강회동에 따라 회동되어 풀을 배출하는 배출판 및 저장공간(s)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판이 필요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체(19)로 구성된다.
상기 배출판이 덮개부(30)의 승강 회동으로 인해 당겨져 회동될 때 배출판의 일측이 저장공간(s)의 타측으로 넘어가서 복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방지체(19)가 본체부(10)의 저장공간(s) 내에 돌출 형성되어 배출판의 회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본체부(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초부(20)는 본체부(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재(12)와 연결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연결부재(12)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며, 회전을 통해 출을 절단하여 본체부(10)의 유입구(h)로 유입시켜 저장공간(s)에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제초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의 제초부에 절단체가 회전축의 결합체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초부(20)는 본체부(10)와 결합되어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회전축(21) 및 회전축(21)에 형성되는 결합체(23)를 통해 결합되어 회전축(21)의 회전을 통해풀을 절단하여 유입구(h) 측으로 이송시키는 절단체(2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21)은 좌측 또는 우측단이 본체부(10)의 연결부재(12)와 연결되어 작업차량의 구동부에서 전달되는 구동력이 회전축(21)으로 전달되고, 이로 인해 회전축(21)이 회전된다.
상기 구동부 및 연결부재(12)는 상호 연계되는 기어축 또는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2)와 회전축(21)은 기어축 또는 벨트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1)의 외주연에는 다수의 결합체(23)가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체(23)에 절단체(22)가 결합된다.
상기 절단체(22)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 끝단은 결합체(23)에 삽입되어 결합 고정되며, 하측 끝단은 수평 방향으로 날이 형성되어 회전축(21)의 회전으로 절단체(22)가 풀을 절단한뒤 절단체(22)의 중단에 풀이 걸려 본체부(10)의 유입구(h)로 유입시킨다.
상기 덮개부(30)는 본체부(1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저장공간(s)을 덮으며 개폐되도록 일측 상단이 본체부(10)의 타측 상단과 힌지로 결합되고, 본체부(1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결합되는 승강체(15)가 측면에 결합되어 승강체(15)의 작동으로 승강 회동된다.
이때, 상기 승강체(15)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덮개부(30)는 내부에 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고, 내부 상측면에 연결체(w)가 연결 고정되는 고정체가 형성되어 연결체(w)를 통해 배출부의 배출판과 연결되어 승강 회동시 배출판을 당겨 회동시킴으로 본체부(10)의 저장공간(s) 내에 잔존하는 풀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결합되는 장치의 동력 구동이 가능한 작업차량에 제초장치가 결합되어 동력을 통해 제초부를 회전시켜 풀을 제초하고, 이를 수거하므로, 다량의 풀을 쉽게 제초함과 동시에 저장공간에 저장하여 제거하므로, 간편하게 풀을 제초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초되어 저장된 풀을 별도의 조작이 없어도 쉽게 저장공간에서 배출판을 통해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s : 저장공간 w : 연결체
h : 유입구
10 : 본체부 11 : 회동체
12 : 연결부재 13 : 승강연결부재
14 : 바퀴 15 : 승강체
16 : 상판 17 : 하판
18 : 배출홀 19 : 방지체
20 : 제초부 21 : 회전축
22 : 절단체 23 : 결합체
30 : 덮개부

Claims (6)

  1. 이동이 가능하며,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부가 형성되는 작업차량에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으로 절단된 풀이 적체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며, 상기 작업차량의 승강부가 연결되어 승강되는 본체부(10);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통해 회전되며, 바닥의 풀을 절단하여 바닥에서 이탈시키고, 상기 본체부(10)의 하측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초부(20);
    상기 본체부(10)의 후측에 형성되어 본체부(10) 측면에 형성되는 승강체(15)를 통해 본체부(10)와 상측이 힌지로 결합된 상태로 승강되어 저장공간(s)을 개폐시키며, 내부에 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덮개부(30);
    상기 본체부(10) 내부에 형성되어 제초부(20)에서 절단되어 유입되는 풀이 저장공간(s) 측으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로를 형성하며, 상판(16)과 하판(17)으로 구성되는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의 하판(17) 상측에 형성되어 본체부(10)와 하단이 힌지로 결합되고, 상측이 연결체(w)를 통해 덮개부(30)와 연결되어 덮개부(30)의 개폐에 따라 회동되어 본체부(10)의 저장공간(s) 내의 풀을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입부의 하판(17) 상측에 접촉되도록 하판(17)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장공간(s)측 하단이 본체부(10)와 힌지로 결합되며, 제초부(20)측 상측면에 연결체(w)가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30)와 연결되어 상기 덮개부(30)의 승강 회동을 통해 당겨져 동시에 회동되는 배출판 및
    상기 배출판이 연결체(w)를 통해 회동될 때 회동되어 다시 복귀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도록 저장공간(s)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판의 회동을 방지하는 방지체(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부(20)는,
    상기 작업차량의 구동부와 연결되며, 본체부(10)의 하측에 길이방향 양단이 결합되어 구동부의 구동을 통해 회전되는 회전축(21) 및
    상기 회전축(21)의 외주연에 결합되며,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회전축(21)에 결합되고, 하측단에 날이 형성되어 풀을 절단하는 절단체(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제초부(20)를 통해 절단된 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의 타측에 형성되고, 하측에 결합되는 제초부(20)를 통해 절단된 풀이 저장공간(s)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부가 결합되며, 상기 유입부의 하판(17)에 적체될 수 있는 풀을 배출시키는 배출홀(18)이 형성되고, 외측에 운송용 바퀴(14)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작업차량의 구동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초부(20)와 연결되도록하는 연결부재(12);
    상기 작업차량에 형성되는 힌지고정부와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동체(11) 및
    상기 작업차량의 승강부와 연결되어 승강부를 통해 본체부(10) 전체가 회동체(11)를 중심축으로 회동되어 승강되도록 하는 승강연결부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는 내부에 풀이 저장되는 저장공간(s)이 형성되고, 상단이 본체부(10)와 힌지로 결합되며, 양측면에 본체와 연결되는 승강체(15)를 통해 본체부(10)의 저장공간(s)을 승강 회동을 통해 개폐하고, 내부 상측면에 연결체(w)가 연결 고정되는 고정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초부(20)의 상측에 형성되어 제초부(20)의 회전을 통해 이동되는 풀을 가이드하여 본체부(10)의 저장공간(s)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16) 및
    상기 본체부(10)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저장공간(s)측으로 점차 낮아지는 경사각도를 가지며, 풀이 저장공간(s) 측으로 유입되기 쉽도록 형성되는 하판(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6. 삭제
KR1020160148027A 2016-11-08 2016-11-08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KR101865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027A KR101865584B1 (ko) 2016-11-08 2016-11-08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027A KR101865584B1 (ko) 2016-11-08 2016-11-08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25A KR20180051725A (ko) 2018-05-17
KR101865584B1 true KR101865584B1 (ko) 2018-06-11

Family

ID=62486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027A KR101865584B1 (ko) 2016-11-08 2016-11-08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55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50Y1 (ko) * 2005-03-11 2005-05-25 김경환 수초 및 경사면 잡초제거용 예취기
KR101029474B1 (ko) * 2008-09-10 2011-04-18 이철호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KR101330266B1 (ko) 2013-01-25 2013-11-15 한동특장(주) 수거형 승용 예초 장치
KR101608616B1 (ko) 2015-02-26 2016-04-01 이시준 트렉터 연결용 제초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593Y1 (ko) 2005-03-31 2005-06-20 대신정공주식회사 트랙터용 제초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250Y1 (ko) * 2005-03-11 2005-05-25 김경환 수초 및 경사면 잡초제거용 예취기
KR101029474B1 (ko) * 2008-09-10 2011-04-18 이철호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KR101330266B1 (ko) 2013-01-25 2013-11-15 한동특장(주) 수거형 승용 예초 장치
KR101608616B1 (ko) 2015-02-26 2016-04-01 이시준 트렉터 연결용 제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25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7433B1 (en) Lawn mowers
DE102017207337A1 (de) Mulchgerät zur Bearbeitung von auf einem Feld stehenden Pflanzenstümpfen
EP2901842B1 (de) An der Frontseite einer eine angetriebene Fahrachse aufweisenden und an Holmen manuell geführten Arbeitsmaschine anbaubare, mit der Arbeitsmachine antriebsverbindbare Fördereinrichtung
DE3130898A1 (de) Motor-rasenmaeher mit steifem gefaess zum auffangen des geschnittenen grases mit einem abnehmbaren eingesetzten sack
US20220232773A1 (en) Structural Chassis for Mounting an Agricultural Machine and Harvester
US3460332A (en) Strawberry picker
US5577375A (en) Lawn de-thatcher
US6658830B2 (en) Self-propelled flail mower and vacuum
KR101865584B1 (ko)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EP1312250A1 (en) Lawn-mower with tipping device for the bin
US8141651B1 (en) Thatch rake with flexible thatching assembly
KR101031516B1 (ko) 다목적 작물 수확기
US20220000032A1 (en) Agricultural device with a cutter bar and a removable collecting device and agricultural machine comprising such a device
KR101029474B1 (ko)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JP2018102238A (ja) 乗用型芝刈機
KR100874135B1 (ko) 예취기용 수집장치
WO2014059379A1 (en) Tractor on top cotton harvester with sightline to picker unit below the tractor
JP5135954B2 (ja) 茎葉収穫機
WO2014059380A1 (en) Tractor on top cotton harvester with rear picker unit lift and tilt mechanism
US20230200302A1 (en) Locking Mechanism for the Suspension Assembly of a Harvester and Agricultural Harvester
JP2900920B2 (ja) 脱穀装置
KR200263921Y1 (ko)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JP2914357B2 (ja) 脱穀装置
JP3225403B2 (ja) 脱穀装置
AU2015264903B2 (en) A conditioner for hay and ot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