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921Y1 -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 Google Patents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921Y1
KR200263921Y1 KR2020010033259U KR20010033259U KR200263921Y1 KR 200263921 Y1 KR200263921 Y1 KR 200263921Y1 KR 2020010033259 U KR2020010033259 U KR 2020010033259U KR 20010033259 U KR20010033259 U KR 20010033259U KR 200263921 Y1 KR200263921 Y1 KR 200263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ans
grass
discharged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2020010033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9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921Y1/ko

Link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단된 목초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농기계용 예취기에 있어서, 상부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가운데 내부로 소정의 저장공간부를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는 몸체와; 몸체의 하단 양측에 절첩부재로 구비된 가운데 복수개의 제 1힌지를 갖는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몸체의 양측면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된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 1플랜지를 갖는 유입구와; 상기 개폐수단의 하부 일측에 지면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휠부와; 상기 개폐수단을 갖는 측벽의 절곡되는 전면으로 구비된 예인로드와; 절단된 목초가 배출되는 예취기의 일측에 구비된 제 2플랜지와; 상기 제 1,2플랜지를 연결하는 굽힘이 자유로운 덕트로 구성되어져 절단된 목초들이 덕트를 통해 함체의 저장공간부에 일시적으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예취과정에서 발생된 절단된 목초가 외부로 배출되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함체에 일정량 이상의 목초가 저장되었을 경우, 특정한 장소에 용이하게 모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The machine collection system which cuts the grass which uses the power of the farm machine}
본 고안은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취기를 통해 절단된 목초가 내부 공간을 갖는 함체에 일시적으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예취과정에서 발생된 절단된 목초가 외부로 흐트러지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함체내에 절단된 목초가 일정량 이상 수집되었을 경우, 외부의 특정한 장소나 이동수단으로 배출되도록 예취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취기(reaper, 刈取機)는 곡식·풀·잡목 등을 베는 기계로서 그 작업 대상에 따라 미맥용(米麥用)·목초용(牧草用)·잡목용(雜木用) 등이 있고, 예취폭(刈取幅)에 따라서 전용형과 부속작업기형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보통 작물의 예취상태에 따라서 인력견인형 예취기와 인력압진형 예취기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예취기는 농기계의 동력으로 절단날을 회전시켜 목초를 자르도록 한 것으로서, 통상 절단날은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일렬로 배열시켜 사용하였으나, 절단날의 회전반경 이내의 목초들만 절단될 뿐 절단날 사이에 있는 목초가 절단되지 않음으로써, 다시 절단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1-16634호(2001,6.4)의 농기계용 예취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농기계용 예취기는 기어박스, 구동부, 절단부, 견인부 및 다수개의바퀴가 설치된 다리부로 구성된 예취기에 있어서, 절단부를 이루는 다수의 절단날을 배출구가 구비된 보호구내에 일직선이 되도록 설치하되, 절단부가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배열하여 잔디 및 목초를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절단날의 내, 외측으로 내, 외부안내판을 구비하여 절단된 목초가 일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농기계용 예취기는 절단날에 의해 절단된 목초가 절단작업이 끝난 목초 위에 뿌려지는 형태로 배출됨으로써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흩어진 목초를 별도의 도구나 수집장치를 이용하여 다시 모으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예취기를 통해 절단된 목초가 유연성을 갖는 덕트를 통해 소정의 공간을 갖는 함체내에 일시적으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예취과정에서 발생된 절단된 목초가 외부로 흐트러지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예취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아울러 함체에 절단된 목초가 일정량 이상 모였을 경우, 외부의 특정한 장소로 배출시키도록 하여 절단된 목초의 수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출구를 갖는 보호구의 내부로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다수의 절단날을 구비하고, 절단날의 내,외측에 내,외부안내판을 구비하여 절단된 목초들이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농기계용 예취기에 있어서, 상부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가운데 내부로 소정의 저장공간부를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는 몸체와; 몸체의 하단 양측에 절첩부재로 구비된 가운데 복수개의 제 1힌지를 갖는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몸체의 양측면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된 개폐수단과; 상기 개폐수단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 1플랜지를 갖는 유입구와; 상기 개폐수단의 하부 일측에 지면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휠부와; 상기 개폐수단을 갖는 측벽과 절곡되도록 연계된 전면에 구비된 예인로드와; 절단된 목초가 배출되는 예취기의 일측에 구비된 제 2플랜지와; 상기 제 1,2플랜지를 연결하는 굽힘이 자유로운 덕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그 목적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취기용 수집장치가 예취기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취기용 수집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취기용 수집장치에 연결되는 보호구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예취기용 수집장치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예취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몸체 12:저장공간부 14:배출공
16,16a,16b:절첩부재 20:개폐 플레이트 22,24:제 1힌지
30:개폐수단 40:유입구 42:제 1플랜지
50:휠부 60:예인로드 70:제 2플랜지
80:덕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예취기용 수집장치를 설명하기에 앞서, 농기계용 예취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취기는 트랙터 등의 농기계 (100)에 구비된 견인바(112)를 갖는 견인부(110)에 연결된 상태로 다수개의 바퀴(122)를 갖는 다리부(120)에 의해 절단부(130)의 높이가 조절되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이동하는 가운데 농기계(100)의 동력은 구동부(140)의 자유관절축(142)과 기어박스(144) 및 커플링(146)을 통해 보호구 (150)의 하단에 구비된 절단날(148)을 회전시켜 초목을 절단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회전하는 절단날(148)에 의해 절단된 초목은 보호구(150)의 일측에 구비된 것으로, 후술하는 제 2플랜지(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인 예취기용 수집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기계(100)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절단날(148)에 의해 절단된 초목이 보호구(150)의 외측으로 배출되는 가운데 배출된 초목을 일시적으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보호구(150)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구(152)에 예인로드(60)가 연결된 상태로 예취기와 함께 이동하면서 예취기로 부터 배출되는 절단된 초목을 후술하는 덕트(80)를 통해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부 (12)를 갖는 몸체(10)와, 저장공간부(12)에 일정량 이상의 목초가 수납되면 몸체 (10)의 하단에 구비된 개폐 플레이트(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외부의 특정한 장소 또는 운반수단에 배출시켜 적재할 수 있도록 공압과 유압을 이용한 개폐수단 (30)과, 몸체(10)의 일측에 지면으로 부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휠부(5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10)는 상광하협으로 그 하단 중앙이 하부로 볼록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 것으로, 후술하는 유입구(40)를 통해 절단된 초목과 같이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원할한 수집이 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면에 다수의 배출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0)의 하단 양측에는 다수의 절첩부재(16,16a,16b)로 구비된 개폐 플레이트(20)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개폐 플레이트(20)는 가장자리 양측에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형태를 갖는 제 1힌지(22,24)가 구비되어 있어 후술하는 개폐수단(30)을 이루는 제 1,2링크(35,36)의 하단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힌지(22)의 단부에 나사부(22a)가 형성되어 있고, 제 1,2링크 (35,36)의 하단 양측면에 와셔(22b)를 개재하여 너트(22c)로 고정하도록 구비되어 있어 제 1힌지(22,24)와 제 1,2링크(35,36)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절첩부재(16,16a,16b)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20)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양측의 개폐 플레이트(20)가 맞닿는 부위는 일측면이 다른 내측면에 소정의 길이로 겹쳐지도록 함으로써 내부에 채워진 절단된 초목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체(10)의 양측면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된 개폐수단(30)은 몸체(10)의 상부 중앙에 구비된 고정 브라켓(31)과, 힌지단(32)이 구비된 로드(33)를 갖는 실린더(34)가 고정 브라켓(31)의 하단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힌지단(32)에는 복수개의 제 1,2링크(35,36)가 제 2힌지(37)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제 1,2링크(35,36)의 하단은 상기한 개폐 플레이트(20)의 양측에 구비된 제 1힌지(22,2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34)의 작동에 필요한 유압을 제공하는 오일펌프(38)와 파이프 라인(39)로 구성되고, 상기 오일펌프(38)는 작업 여건에 따라 공압펌프로 대체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폐수단(30)이 구비된 상부 일측에는 제 1플랜지(42)를 갖는 유입구(40)가 구비되어 있어, 덕트(80)의 양단에 구비된 연결용 플랜지(82,84)와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휠부(5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나사축(52)이 휠(54)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몸체(10)의 일측면 하단 양측에 구비된 복수개의 휠고정 브라켓(56)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예인로드(60)는 자유단측에 연결공(62)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몸체 (10)의 전면 양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어 보호구(150)에 연결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예취기의 일측에는 연결용 플랜지(84)를 갖는 덕트(80)와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 2플랜지(70)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 1,2플랜지(42,70)를 연결하는 덕트(80)는 절단된 목초의 원활한 배출과 수집을 위해 제 2플랜지(70)는 넓게 하고, 제 1플랜지(42)를 좁게 구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린더(34)를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작동력은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하여 오일펌프나 별도의 에어펌프를 가동시켜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몸체의 전면 상단 중앙으로 걸고리를 구비하고, 걸고리와 견인바에 체인이나 와이어를 연결시켜 몸체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내부에 채워진 목초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농기계(100)를 이용하여 로드(112)에 연결된 예취기를 이동시키는 가운데 동력이 구동부(140)의 자유관절축(142)과 기어박스(144) 및 플랜지(146)를 통해 보호구(150)의 하단에 구비된 절단날(148)을 고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초목이 절단된다.
절단된 초목은 절단날(148)의 원심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한 후 보호구 (150)의 제 2플랜지(70)를 통해 공기와 같이 배출된다.
공기와 같이 배출되는 절단된 초목은 연결용 플랜지(82,84)로 양단이 연결된 덕트(80)를 따라 이동한 후 예취기의 뒤를 따르던 몸체(10)내의 저장공간부(12)로 유입된다.
저장공간부(12)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공기는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 (14)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됨으로써 절단된 초목이 원활하게 유입되어 저장공간부(12)의 하부에 쌓이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면과의 높낮이는 몸체(10)의 양측면에 구비된 휠부(50)의 나사축(5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동하는 가운데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개폐 플레이트(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저장공간부(12)에 절단된 초목이 일정량 이상 수집되었을 경우, 몸체(10)를 특정한 장소나 운반수단에 있는 곳으로 이동시킨 다음 농기계에 구비된 오일펌프(38)를 구동시킨다.
오일펌프(38)의 가동으로 발생된 압력은 미도시한 파이프 라인을 통해 실린더(34)로 공급됨에 따라 실린더(34)의 하단에 구비된 로드(33)가 개폐 플레이트 (20)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힌지단(32)에 제 2힌지(37)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제 1,2링크(35,36)가 양측으로 확장되면서 몸체(10)의 하단 양측에 절첩부재 (16,16a,16b)로 고정되어 있던 개폐 플레이트(20)가 제 1힌지(22,24)를 통해 오픈됨으로써 내부의 저장공간부(12)에 채워진 절단된 목초를 특정 장소나 운반수단에 모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공간부(12)를 비운 다음 실린더(34)로 공급되는 오일의 방향으로 역으로 전환시키게 되면 로드(33)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오픈되어 있던 개폐 플레이트(20)가 닫히게 됨으로써 연속해서 목초를 절단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하여 예취기를 가동시키는 가운데 절단된 목초들이 덕트를 통해 내부공간을 갖는 함체에 일시적으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예취과정에서 발생된 절단된 목초가 외부로 흐트러지면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예취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고, 아울러 함체에 절단된 목초가 일정량 이상 모였을 경우, 외부의 특정한 장소에 배출되도록 하여 절단된 목초의 수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배출구를 갖는 보호구의 내부로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다수의 절단날을 구비하고, 절단날의 내,외측에 내,외부안내판을 구비하여 절단된 목초들이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비된 농기계용 예취기에 있어서,
    상부면에 다수의 배출공(14)이 형성된 가운데 내부로 소정의 저장공간부(12)를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상광하협의 형태를 갖는 몸체(10)와;
    몸체(10)의 하단 양측에 절첩부재(16,16a,16b)로 구비된 가운데 복수개의 제 1힌지(22,24)를 갖는 개폐 플레이트(20)와;
    상기 개폐 플레이트(20)를 선택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몸체(10)의 양측면 중앙에 수직으로 구비된 개폐수단(30)과;
    상기 개폐수단(3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 1플랜지(42)를 갖는 유입구(40)와;
    상기 개폐수단(30)의 하부 일측에 지면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휠부(50)와;
    상기 개폐수단(30)을 갖는 측벽과 절곡되도록 연계된 전면에 구비된 예인로드(60)와;
    절단된 목초가 배출되는 예취기에 구비된 제 2플랜지(70)와;
    상기 제 1,2플랜지(42,70)를 연결하는 굽힙이 자유로운 덕트(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30)은 몸체(10)의 양측면 중앙에 구비된 고정 브라켓(31)과;
    고정 브라켓(31)의 하단에 고정된 힌지단(32)이 구비된 로드(33)를 갖는 실린더(34)와;
    힌지단(32)에 제 2힌지(37)로 고정된 복수개의 제 1,2링크(35,36)와;
    제 1,2링크(35,36)의 자유단이 상기 개폐 플레이트(20)의 양측에 구비된 제 1힌지(22,24)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34)를 작동시키는 오일펌프(3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KR2020010033259U 2001-10-31 2001-10-31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KR200263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259U KR200263921Y1 (ko) 2001-10-31 2001-10-31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259U KR200263921Y1 (ko) 2001-10-31 2001-10-31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921Y1 true KR200263921Y1 (ko) 2002-02-19

Family

ID=73082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259U KR200263921Y1 (ko) 2001-10-31 2001-10-31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9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1602A (en) Crop harvesting machine with flexible cutter bar
CA2429091C (en) Agricultural bi-mower with cantilever beam suspension
CN102656989B (zh) 普通型联合收割机
HU193965B (en) Mower
CN103369954B (zh) 普通型联合收割机
US6658830B2 (en) Self-propelled flail mower and vacuum
US5560188A (en) Lawn tractor having a blower unit and a grass clippings transport duct
US4314435A (en) Foliage trimmer
KR200263921Y1 (ko)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KR101031516B1 (ko) 다목적 작물 수확기
KR101084317B1 (ko) 자주식 원형 베일러
CN105900544A (zh) 一种履带自走式打捆旋耕机
KR101865584B1 (ko) 동력 구동형 풀 수거형 제초장치
RU2028035C1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й уборочный агрегат
KR100874135B1 (ko) 예취기용 수집장치
CN211861115U (zh) 具有收集功能的割草设备
KR102466992B1 (ko) 증속 기능을 갖는 예초장치
KR100578421B1 (ko) 적재함이 구비된 중경제초기
WO2023120362A1 (ja) 収穫機
CN214628217U (zh) 落地棉捡拾装置
JP2004236631A (ja) 刈取り装置
AU2010101159A4 (en) Turf mower
KR200214979Y1 (ko) 목초 수확기
KR20100030200A (ko) 농기계의 동력을 이용한 예취기용 수집장치
KR200373939Y1 (ko) 적재함이 구비된 중경제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