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873A -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873A
KR20100029873A KR1020080088554A KR20080088554A KR20100029873A KR 20100029873 A KR20100029873 A KR 20100029873A KR 1020080088554 A KR1020080088554 A KR 1020080088554A KR 20080088554 A KR20080088554 A KR 20080088554A KR 20100029873 A KR20100029873 A KR 20100029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layer
resi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047B1 (ko
Inventor
황승철
이시영
김판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8008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04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8Particular kinds of wallpa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 D21H27/32Multi-ply with materials applied between the sheets
    • D21H27/34Continuous materials, e.g. filaments, sheets, nets
    • D21H27/36Films made from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 Synthetic Leather, Interior Materials Or Flexible Shee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는 입체적 형상 또는 평면적 모양이 인쇄된 인쇄층, 상기 인쇄층 하에 형성되고 수지로 된 수지층, 상기 수지층 하에 형성되고 수지가 함침된 종이로 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 하에 형성되고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된 재부착성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 하에 형성되어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제거되는 이형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는 벽지의 시공 시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초보자라도 용이하게 벽지를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 후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여전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벽지를 편리하게 자주 교체할 수 있다.
벽지, 재부착성 점착제 층, 실리콘 공중합체, 기재층, 수지 함침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Removable And Reattachable Wallpaper}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지의 기재층 하에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된 재부착성 점착제층을 포함함으로써 벽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누구라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재부착이 가능한 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VC 실크벽지 및 합지 벽지와 같은 벽지는 녹말풀이나 수지성 접착제를 벽지에 바른 후 실내의 초배지 위에 부착하는 습식방식으로 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벽지의 시공은 전문인력에 의하여 수행되어야 하며 또한 상당한 공간과 시간이 요구된다.
또 다른 벽지로서, PVC 수지층 하부에 점착제를 도포하여 제조되는 인테리어 필름은 점착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기재가 없기 때문에 내열성 저하로 엠보싱이 어려워서 표면에 입체감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고, 목공, 퍼티(putty), 프라이머(primer), 샌딩(sanding) 등과 같은 사전작업을 필요로 할 뿐 만 아니라 영구적인 점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테리어 필름의 교체가 어려우며, 전문 시공업자에 의한 시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직접 DIY(Do It Yourself) 방식으로 유행하는 패턴의 벽지로 자기만의 공간을 표현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60086호는 착탈이 용이한 인테리어 벽지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출원은 표면벽지의 이면에 접착제층이 마련된 통상의 벽지가 재부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표면벽지와 접착제층 사이에 폴리에스탈 코팅층을 삽입시킴으로써 표면벽지를 보강함에 의해 보호하여 벽지의 탈착시에 표면벽지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는 것이다. 즉, 벽지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초보자도 벽지를 시공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지의 탈·부착이 가능하여 초보자가 용이하게 벽지를 벽에 부착하는 시공을 할 수 있는 DIY형 벽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 시에 여러 번 탈·부착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여전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주 교체할 수 있는 DIY형 벽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는 입체적 형상 또는 평면적 모양이 인쇄된 인쇄층, 상기 인쇄층 하에 형성되고 수지로 된 수지층, 상기 수지층 하에 형성되고 수지가 함침된 종이로 된 기재층, 상기 기재층 하에 형성되고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된 재부착성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 및 상기 점착제층 하에 형성되어 상기 점착제층을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제거되는 이형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재층에 사용되는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기재층에 함침되는 수지의 양은 상기 기재층의 종이의 양에 대하여 0.05 ~ 0.3 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제층은 1,500 N/cm2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N/cm2 이상의 수직 방향 장력으 로는 박리되지 않을 정도로 강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벽지는 벽지의 시공 시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초보자라도 용이하게 벽지를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 후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여전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벽지를 편리하게 자주 교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는 위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인쇄층(10), 수지층(20), 기재층(30), 점착제층(40) 및 이형지(50)가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구조에서 인쇄층(10)은 평면적 문양 또는 입체적 문양을 표현함으로써 벽지의 장식적 미를 더욱 표현하는 것으로서, 표면 상에 인쇄가 가능한 수지 또는 종이로 된 층에 예를 들어, 실크스크린 인쇄에 의하여 문양이 인쇄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쇄층(10)은 통상적인 벽지에 구현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입체적 문양을 위하여 발포제가 인쇄층(10)에 포함되기도 한다.
수지층(20)은 주로 벽지의 기재층(30)과 인쇄층(10)을 결합시키는 바인더 역 할을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지로는 일반적인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30)은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종이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의 재료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알려진 재료 및 방법에 따라 기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기재층(30)에 수지가 함침되어 있다. 기재층(30)에 함침되는 수지로는 다른 수지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히 아크릴계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침되는 양은 기재층의 종이의 양에 대하여 0.05~0.3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기재 100 g/m2에 대하여 5~30 g/m2일 수 있다. 기재층에 함침되는 수지는 기재층(30)이 수지층(20)과 잘 결합되게 할 뿐만 아니라 점착제층(40)과도 잘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벽지에 포함되는 점착제층(40)은 재부착성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표준적인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한 값으로서 그 점착강도가 1.0 내지 3.0 kg/2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표준적인 측정방법은 KS A 1107:1992에 의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 재부착성 점착제층이라 함은 콘크리트 벽면, 기존 벽지의 수지층을 벗겨낸 벽면, 합판 또는 MDF 벽면, 일반적인 PVC실크 벽지 벽면 등 여러 가지 벽면에 부착된 후 일정한 시간(20분)이 경과된 후에도 깨끗하게 탈착/재부착이 가능하여 재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1~2년) 경과 후에도 깔끔한 탈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주 교체할 수 있는 점착제층을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착제층의 성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벽지를 이미 벽에 부착되어 있는 어떤 기재 또는 다른 벽지로부터 탈착시킬 때 이미 벽에 부착되어 있는 그 기재 또는 벽지를 손상시킴이 없이 본 발명의 벽지는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고 또한 다른 기재 또는 벽지 상에 부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재부착성 점착제 조성물은 다른 분야에서 적용되어 왔으나 그것의 점착강도는 일반적으로 벽지에 사용되기에는 너무 약한 것이었다. 재부착성 점착제가 벽지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그 강도가 일정 정도 이상, 통상 1.0 kg/25mm 이상, 즉 벽지에서 요구하는 정도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벽지에 재부착성 점착제층을 형성하려는 시도는 지금까지 거의 없었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적합한 재료를 적절하게 찾지 못하였다.
이에, 이러한 재부착성 점착제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특정 실리콘 공중합체를 10 내지 60 중량%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고안된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따라 기재층(30) 상에 재부착성 점착제층(4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점착제층(40)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 ~ 0.045 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점착제층(40)을 보호하기 위하여 점착제층(40) 하에 이형지(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이형지(50)는 본 발명의 벽지를 시공하기 전에 벗겨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지는 우선적으로, 점착제층이 재부착이 가능한 점착제로 형성됨으로써 그 점착제의 특성에 따라 벽지가 벽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정해진 강도 이상의 힘을 가하면 탈착이 이루어지고 또한 다시 부착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벽지는 탈착 시 피착벽면에 본 발명의 점착제를 남기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벽지는 또한 점착제층(40)은 기재층(30)과 매우 강하게 결합되어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피착벽면과 점착제층 간의 접착력보다 점착제층과 기재층 간의 접착력이 더 크다는 특징을 가진다. 기재층(30)이 수지의 함침 없이 통상적인 조건으로, 즉 펄프로 된 종이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재부착성 점착제층과 결합하는 경우 그것의 수직방향, 즉 z-방향 장력(z-direction tensile strength)이 400 N/cm2 정도로 작용하면 기재층과 점착제층이 박리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지가 함침된 기재층(30)이 재부착성 점착제층(40)과 결합하는 경우 z-방향 장력이 2,000 N/cm2 정도로 작용하여야 기재층(30)과 점착제층(40)이 비로소 박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지에서, 기재층(30)과 점착제층(40)은 1,500 N/cm2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0 N/cm2의 수직 방향 장력으로는 박리되지 않을 정도로 강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재층과 점착제층 간의 접착력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피착벽면과 본 발명의 벽지의 점착제층 간의 접착력보다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지는 탈착할 때 기재층과 점착제층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벽지는 탈착할 때 벽지가 찢어지거나 파괴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이러한 두 가지 특성의 조합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벽지는 피착벽면 의 파괴없이 그리고 본 발명의 벽지의 기재층 또는 인쇄층의 파괴없이 안전하게 탈착이 가능하고 또한 다시 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벽지는 특히, 수지가 함침된 기재층(30)과 특정 물질로 되는 점착제층(40)이 적층되어 형성되는 구조 및 특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벽지가 피착벽면에 오염물질을 남기지 않으면서 그리고 그 피착벽면의 파괴없이 그 피착벽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벽지는 또한 기재층(30)과 점착제층(40)이 매우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벽지의 탈착 시에 기재층(30) 또는 인쇄층(10)이 파괴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지는 벽지의 시공 시에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초보자라도 용이하게 벽지를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시공 후 일정기간 사용 후에도 여전히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벽지를 편리하게 자주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벽지는 최소한 10회 까지는 탈·부착이 가능하며, 그 이상의 회수의 사용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조건을 최적화시킨다면 상당한 회수만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예시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실시예
통상적인 벽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인쇄층, 수지층, 기재층, 점착제층 및 이 형지가 차례로 적층된 벽지를 제조하되, 기재층은 원지 100 g/m2에 함침 수지로서 수성 아크릴 수지를 10 g/m2의 함침량으로 함침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점착제층은 특정 실리콘 공중합체를 10 내지 60 중량%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재부착성 점착제를 두께 0.020~0.045 mm로 코팅하여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벽지는 이형지를 제거한 후, 이미 PVC 실크벽지가 부착된 벽면에 부착하고 탈착하기를 반복하였다. 이러한 반복을 10회 까지 하였는데, 벽지는 이상 없이 재부착이 가능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벽지를 이미 존재하는 실크벽지 벽면에 부착한 후 2~3일 후에 다시 떼어낸 후 다른 벽지 상에 부착하였는데, 이상 없이 재부착이 가능하였다.
또한 기재층과 점착제층 간의 점착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z-방향 장력을 테스트한 결과 2,000 N/m2 이상에서 비로소 두 층 간의 박리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인쇄층, 수지층 및 기재층으로 이루어진 통상적인 종래의 벽지의 기재층 하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재부착성 점착제층을 코팅하여 벽지를 제조하였다. 이 벽지를 기존 PVC 실크 벽지 벽면에 부착한 후 탈착하였다. 이 때, 재부착성 점착제층이 벽에 이미 존재하는 벽지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이 비교예의 벽지의 기재층이 파괴되었으며 이는 기재층의 파괴는 1500 N/cm2 이하의 z-방향 장력에서 발생하였음 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에서 재부착성 점착제층 대신에 일반 아크릴 점착제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벽지를 제조하였다. 이 벽지를 기존 PVC 실크 벽지 벽면에 부착한 후 탈착 시 피착벽면의 벽지가 파괴되었으며, 이 벽지의 점착제층은 피착벽면의 벽지에 의하여 오염되었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크릴 수지가 함침된 기재층과 특정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된 재부착성 점착제층이 라미네이팅되어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벽지는 기재층과 점착제층 간의 강력한 접착 그리고 재부착성 점착제의 특성의 조합에 의하여, 탈착 및 부착이 10회 이상 가능하며 또한 일정기간 후에도 여전히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벽지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1. 입체적 형상 또는 평면적 모양이 인쇄된 인쇄층(10), 상기 인쇄층(10) 하에 형성되고 수지로 된 수지층(20), 상기 수지층 하에 형성되고 수지가 함침된 종이로 된 기재층(30), 상기 기재층(30) 하에 형성되고 실리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로 된 재부착성 점착제로 형성되는 점착제층(40) 및 상기 점착제층(40) 하에 형성되어 상기 점착제층(40)을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제거되는 이형지(50)를 포함하는 벽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30)에 사용되는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30)에 함침되는 수지의 양은 상기 기재층의 종이의 양에 대하여 0.05 ~ 0.3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부착성 점착제로 된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강도는 KS A 1107 표준방법으로 측정 시 1.0 내지 3.0 kg/2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0.02 ~ 0.045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과 상기 점착제층은 1,500 N/cm2 이상의 수직 방향 장력으로는 박리되지 않을 정도로 강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수지는 PVC, PE, PP, PU(Poly Urethane) 및 PLA(Poly Lactic Acid)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종이, 부직포, 복합부직포(종이 및 부직포로 복합된 것)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부착성 점착제는 실리콘 공중합체를 10 내지 60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KR1020080088554A 2008-09-09 2008-09-09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 KR101092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54A KR101092047B1 (ko) 2008-09-09 2008-09-09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54A KR101092047B1 (ko) 2008-09-09 2008-09-09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873A true KR20100029873A (ko) 2010-03-18
KR101092047B1 KR101092047B1 (ko) 2011-12-12

Family

ID=4217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554A KR101092047B1 (ko) 2008-09-09 2008-09-09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0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874A3 (ko) * 2011-05-13 2013-03-21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시트
WO2014046320A1 (ko) * 2012-09-21 2014-03-27 (주)엘지하우시스 점착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CN106222774A (zh) * 2016-08-26 2016-12-14 宜兴润德纺织品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布编织的高韧性纤维及其制备方法
CN109694671A (zh) * 2019-02-10 2019-04-30 温州兴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防霉pvc墙纸及其制备方法
KR20210062366A (ko) * 2019-11-21 2021-05-31 이숙자 기능성 점착벽지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476B1 (ko) 2013-12-05 2014-03-19 에이디케이벽지 주식회사 Diy 퍼즐 벽지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diy 퍼즐 벽지 및 상기 diy 퍼즐 벽지의 도배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57874A3 (ko) * 2011-05-13 2013-03-21 (주)엘지하우시스 생분해성 시트
US8962118B2 (en) 2011-05-13 2015-02-24 Lg Hausys, Ltd. Biodegradable sheets
WO2014046320A1 (ko) * 2012-09-21 2014-03-27 (주)엘지하우시스 점착층을 갖는 생분해성 시트
CN103827239A (zh) * 2012-09-21 2014-05-28 乐金华奥斯有限公司 具有粘结层的生物降解性薄片
US9403348B2 (en) 2012-09-21 2016-08-02 Lg Hausys, Ltd. Biodegradable sheets having adhesive layer
CN106222774A (zh) * 2016-08-26 2016-12-14 宜兴润德纺织品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纺织布编织的高韧性纤维及其制备方法
CN109694671A (zh) * 2019-02-10 2019-04-30 温州兴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防霉pvc墙纸及其制备方法
KR20210062366A (ko) * 2019-11-21 2021-05-31 이숙자 기능성 점착벽지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047B1 (ko) 201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047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벽지
JP6565874B2 (ja) 化粧材シート、シート巻回体、施工方法、壁構造体、および施工セット
JP6123919B2 (ja) 化粧板
CN102031073B (zh) 可粘接/揭开的壁纸
JP5929318B2 (ja) 化粧板
US11819146B2 (en) Flexible hardgoods with enhanced peel removability
JP2018122480A (ja) 化粧材
EP2302134B1 (en) Detachable and reattachable wallpaper
JP6814004B2 (ja) 施工方法および壁構造体
KR101173203B1 (ko) 점착식 보드판의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점착식 보드판
JP2016135613A (ja) 化粧板
JP5447764B2 (ja) 反り防止木質板並びに化粧板
JP6855805B2 (ja) 施工方法および積層体
JP2010095879A (ja) 木質化粧床材および木質化粧床のリフォーム方法
KR101350578B1 (ko) 재부착 용이한 벽지 제조 방법 및 벽지
JP6614390B1 (ja) 化粧材シート、シート巻回体、施工方法、壁構造体、および施工セット
JP7060055B2 (ja) 施工方法
JP7062363B2 (ja) 施行方法
JPH089145Y2 (ja) 両面粘着テープ
JP2020165156A (ja) 化粧材、壁構造体、施工セットおよび施工方法
JP2021073398A (ja) 施工方法および化粧材セット
WO2023163717A1 (en) Flexible adhesive mounting articles including intermittently connected body segments
JP3138391U (ja) 養生マット
JP2019172988A (ja) 建材用粘着シート
JP2020012373A (ja) 施工方法および壁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