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655A -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655A
KR20100029655A KR1020080088506A KR20080088506A KR20100029655A KR 20100029655 A KR20100029655 A KR 20100029655A KR 1020080088506 A KR1020080088506 A KR 1020080088506A KR 20080088506 A KR20080088506 A KR 20080088506A KR 20100029655 A KR20100029655 A KR 2010002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slider
elastic member
coupling
roll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8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9655A/ko
Publication of KR2010002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78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일단에 슬라이더의 결합부가 끼워지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삽입부 및 결합부를 결합하는 연결핀, 상기 삽입부와 결합부의 대응면 사이에 구비되고 완충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차체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된 연결 브라켓의 대응면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탄성부재를 통해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어 슬라이더로 고하중이 전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롤러의 변형 및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의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CENTER ROLLER STRUCTURE OF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에서 슬라이딩되면서 개폐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러의 변형 및 이음발생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고 등과 같은 승합차는 좁은 공간에서도 문을 열고 쉽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승합차는 차체 측면에서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센터롤러 구조를 포함한다.
도 1은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는 차체 측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이드레일(미도시), 상기 가이드레일에 일단이 삽입됨과 아울러 롤러(11)에 의해 수직 하중을 견디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에 'ㄷ'자 형상의 결합부(12)가 형성된 슬라이더(10), 일단에 상기 결합부(12)가 끼워지도록 삽입부(21)가 형성되 고 타단에 슬라이딩 도어가 결합되는 연결 브라켓(20), 및 상기 삽입부(21)와 결합부(12)를 결합하는 연결핀(3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는 연결 브라켓(20)에 슬라이드 도어(미도시)가 장착되고,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더(10)가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10)와 연결 브라켓(20)은 결합부(12)와 삽입부(21)를 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도어를 차체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2)와 삽입부(21)는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연결핀(30)을 통해 결합되는데, 이 결합부(12)와 삽입부(21)의 결합부분이 슬라이딩 도어에 걸리는 하중을 견디게 된다.
그러나 슬라이딩 도어에 대략 70Kgf 이상의 고하중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결합부(12)와 삽입부(21)의 결합부분을 통해 슬라이더(10)의 롤러(11)에 하중이 전가되면서 롤러(11)의 접촉면에 플랫(flat) 등의 변형이 발생되며, 상기 플랫 등의 변형에 의해 롤러(11)가 가이드레일에 구름접촉을 하지 못함으로써 이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불어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 개폐감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더(10) 내부에 연결핀(30)을 감싸는 형태로 스프링(40)을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4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결합부(12) 및 삽입부(21)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로부터 전달되는 고하중을 감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슬라이더(10)에 설치되는 스프링(40)의 위치상 슬라이딩 도어 로부터 전달되는 고하중을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롤러(11)의 변형이 다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더와 연결 브라켓의 결합부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에 걸리는 하중을 흡수하여 슬라이더에 구비된 롤러의 변형, 마모 및 이음 발생을 방지하고, 더불어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는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일단에 슬라이더의 결합부가 끼워지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삽입부 및 결합부를 결합하는 연결핀, 상기 삽입부와 결합부의 대응면 사이에 구비되고 완충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삽입부와 결합부 사이의 대응면에 각각 지지되는 제1 및 제2 지지판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연결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삽입부와 제1 지지판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한 후 제2 지지판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지지판과 결합부의 대응면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의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딩 도어에 설치된 연결 브라켓의 대응면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탄성부재를 통해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어 슬라이더로 고하중이 전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롤러의 변형 및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의 품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측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미도시)에 슬라이딩 도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슬라이딩 도어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에 롤러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100), 상기 슬라이더에 슬라이딩 도어(미도시)를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200), 상기 슬라이더(100)와 연결 브라켓(200)의 대응면을 연결하는 연결핀(300), 및 상기 슬라이더(100)와 연결 브라켓(200)의 대응면 사이에 구비되고 연결 브라켓(200)에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를 포함한다.
슬라이더(100)는 차체의 측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미도시)에 슬라이딩 도어 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사각형상의 가이드레일에 걸려서 지지되고 다수개의 롤러(110)에 의해 수직 하중을 견디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에는 'ㄷ'자 형상의 결합부(120)가 형성된다.
즉, 가이드레일에 면접촉하는 상기 슬라이더(100)의 일단에 다수개의 롤러(110)를 설치하여 구름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더(100)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며, 타단의 상부와 하부에 결합부(120)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후술되는 연결 브라켓(200)과의 견고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다.
연결 브라켓(200)은 슬라이딩 도어를 슬라이더(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단에는 상기 결합부(120)가 끼워지도록 'ㄷ'자 형상의 삽입부(2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슬라이딩 도어(미도시)가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브라켓(200)의 연결부(210)에 결합부(120)를 끼워서 결합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도어와 슬라이더(100)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핀(300)은 결합부(120)와 삽입부(210)의 결합부위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삽입부(210)와 결합부(120)의 결합부위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삽입부(210)와 결합부(120)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상기 연결핀(300)은 삽입부(210)와 결합부(120)를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딩 도어 개폐시 연결 브라켓(200)이 슬라이더(100)를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연결핀(30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차체의 측면에 최대한 밀착시킨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400)는 슬라이딩 도어로부터 전가되는 하중을 흡수하여 슬라이 더(100)의 롤러(110)로 전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탄성 복원력을 가지며, 상기 삽입부(210)와 결합부(120)의 대응면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210) 및 결합부(120)를 탄성 지지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통해 연결 브라켓(200)으로 전가되는 하중을 완충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400)를 통해 연결 브라켓(200)의 하중을 완충함으로써 슬라이더(100)로 전가되는 하중이 크게 감쇄시킬 수 있어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는 롤러(110)의 접촉면에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400)는 인장력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부재(400)의 양단이 지지되는 삽입부(210)와 결합부(120)의 대응면에는 제1 및 제2 지지판(410)(420)이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410)(420)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중앙에는 연결핀(3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홀(411)(4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411)(421)을 통해 제1 및 제2 지지판(410)(420)을 연결핀(300)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을 삽입부(210)와 결합부(120)에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지지판(410)(420)은 탄성부재(400)의 양단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탄성부재(400)에 의해 삽입부(210) 및 결합부(120)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슬라이더(100) 및 연결 브라켓(200)의 사용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0)는 고정볼트(430)에 의해 제1 및 제2 지지판(410)(420)의 대응면 사이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볼트(430)는 탄성부재(400)를 위치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나사부가 삽입부(210)와 제1 지지판(41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하고 탄성부재(440)의 중앙을 관통한 다음, 제2 지지판(420)에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도어에 의해 연결 브라켓(200)에 하중이 전가될 경우 삽입부(210)가 연결핀(300)을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삽입부(210)와 연동하여 제1 지지판(410)이 하향 이동하면서 탄성부재(400)를 압축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400)는 고정볼트(430)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원활한 완충력을 얻을 수 있고, 그에 따라 슬라이딩 도어를 효과적으로 완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지지판(420)과 결합부(120)의 대응면 사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을 2차로 완충하기 위한 완충부재(4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완충부재(440)는 신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제2 지지판(420)의 저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중앙에는 연결핀(300)에 끼움 결합되도록 관통홀(44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440)를 통해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을 2차로 완충하는 한편, 제2 지지판과 결합부(120)의 밀착력에 의한 마모 및 이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라이딩 도어를 닫힘 상태 또는 개방 상태로 유지하면,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이 연결 브라켓(200)에 전가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200)에 전가된 하중은 삽입부(210)와 결합부(120)를 통해 슬라이더(100)로 전가되는데, 이때 삽입부(210)와 결합부(120)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흡수장치(30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을 흡수하여 감쇄시킨 상태로 슬라이더(100)로 전가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100)의 롤러(110)에 전가되는 하중이 적어 롤러(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라이딩 도어의 하중에 의해 연결 브라켓(200)이 하부방향으로 하강하며, 상기 연결 브라켓(200)의 하강과 연동하여 제1 지지판(410)이 하강하고, 제1 지지판(410)이 하강하면서 탄성부재(430)의 고정볼트(431)에 결합된 스프링(432)이 압축되어 연결 브라켓(200)에 전가된 하중을 흡수하며, 이에 따라 하중을 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감쇄된 하중은 슬라이더(100)의 롤러(110)로 전가되지만, 하중이 크지 않아 롤러(1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슬라이딩 도어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면, 슬라이딩 도어와 연동하여 연결 브라켓(200) 및 슬라이더(100)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이때 슬라이더(100)의 롤러(110)에 적은 하중이 걸려 있어 원활한 구름운동을 유도할 수 있어 안정된 개폐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슬라이더 110 : 롤러
120 : 결합부 200 : 연결 브라켓
210 : 삽입부 300 : 연결핀
400 : 탄성부재 410 : 제1 지지판
420 : 제2 지지판 430 : 고정볼트
440 : 완충부재

Claims (5)

  1.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일단에 슬라이더의 결합부가 끼워지도록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단에 슬라이딩 도어가 설치되는 연결 브라켓,
    상기 삽입부 및 결합부를 결합하는 연결핀,
    상기 삽입부와 결합부의 대응면 사이에 구비되고 완충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삽입부와 결합부 사이의 대응면에 각각 지지되는 제1 및 제2 지지판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지지판은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연결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삽입부와 제1 지지판을 이동가능하게 관통한 후 제2 지지판 에 결합되는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판과 결합부의 대응면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KR1020080088506A 2008-09-08 2008-09-08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KR20100029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06A KR20100029655A (ko) 2008-09-08 2008-09-08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506A KR20100029655A (ko) 2008-09-08 2008-09-08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655A true KR20100029655A (ko) 2010-03-17

Family

ID=4217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506A KR20100029655A (ko) 2008-09-08 2008-09-08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96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7626B2 (en) 2012-10-19 2014-08-19 Hyundai Motor Company Linear type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7626B2 (en) 2012-10-19 2014-08-19 Hyundai Motor Company Linear type center rail link structure of sliding door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4478B1 (ko) 자동 폐쇄 장치가 설치된 하부 장착형 슬라이딩 장치
US20120019012A1 (en) Latch device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JP2010525904A (ja) 引出ガイド構造体
KR101659845B1 (ko) 반자동 연동형 도어 시스템
KR101704356B1 (ko) 3중(三重) 미닫이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장치
KR101746737B1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200489028Y1 (ko)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KR20100029655A (ko) 슬라이딩 도어의 센터롤러 구조
KR101488976B1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톱퍼
KR200489027Y1 (ko)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CN102985720A (zh) 缓冲装置
KR101089783B1 (ko)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KR100940102B1 (ko) 미닫이 도어의 완충장치
KR200174449Y1 (ko) 창문용 호차
KR20080088731A (ko) 힌지 및 충격 완충 댐퍼
KR20130000586U (ko) 미닫이창문용 호차
KR101179417B1 (ko) 엘리베이터칸 도어장치
KR102160362B1 (ko) 슬라이딩 도어 완충장치
KR102611208B1 (ko) 가구 서랍용 풀아웃 가이드
JP5557241B2 (ja) 建具
CN209915432U (zh) 一种双拉簧家具抽屉滑轨缓冲阻尼器
US20220307305A1 (en) Guide device for guiding a furniture part
KR101488975B1 (ko) 미닫이 창호용 완충 스톱퍼
KR20140010795A (ko)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