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795A -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795A
KR20140010795A KR1020120077768A KR20120077768A KR20140010795A KR 20140010795 A KR20140010795 A KR 20140010795A KR 1020120077768 A KR1020120077768 A KR 1020120077768A KR 20120077768 A KR20120077768 A KR 20120077768A KR 20140010795 A KR20140010795 A KR 20140010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ller
sliding
pneumatic cylinder
cylind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1020120077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795A/ko
Publication of KR2014001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78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balls or floating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문틀의 상판과 하판에 설치된 도어 레일에 지지되는 도어 브라켓이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흡기 또는 배기되는 공간이 형성된 공압 실린더 몸체와, 상기 공압 실린더 몸체의 내부 공간을 왕복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서 연장된 피스톤 로드의 끝단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와 공압 실린더 몸체를 연결하여 연결고리를 공압 실린더 몸체로 끌어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고리의 양측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공압 실린더 몸체가 고정되는 실린더 케이스 및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 설치된 도어 레일에서 활주하는 롤러가 구비되고 도어 브라켓이 고정되는 롤러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가 개시된다. 이로부터, 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장치와 도어 레일에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완충장치의 노후 내지 롤러가 마모되어 완충장치 또는 롤러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도어 레일과 도어 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SLIDING DOOR OF BUMPER}
본 발명은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장치와 도어 레일에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완충장치의 노후 내지 롤러가 마모되어 완충장치 또는 롤러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도어 레일과 도어 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옷이나 침구를 수납하기 위한 장롱 또는 서가로 사용되는 책장, 수납장 등 대부분의 가구는 실내의 층고 높이로 제작되고, 가구의 정면에는 수납된 물품이 노출될때 발생되는 미관의 저하와 물품이 손실되는 우려를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 공간의 정면을 가릴 수 있는 도어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구의 정면에 설치되는 도어는 힌지를 축으로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방식과 레일에서 슬라이딩시켜 개폐하게 된 미닫이 방식이 있으며, 상기 여닫이 도어의 경우에는 개폐 동작시 도어의 회전반경 만큼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미닫이 방식은 레일과 롤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만 힘을 강하게 하여 열더라도 빠른 속도로 도어가 이동되면서 도어가 문틀에 충동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레일과 롤러가 적용되는 미닫이 방식은 레일을 따라 롤러가 구르면서 도어가 열리므로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조금만 강하게 도어를 밀게 되면 도어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되면서 도어가 문틀에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등록실용신안 20-0452763)"를 개발하였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며, 도 2 도 1의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중 공압실린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는 문틀과, 외측도어(100)와, 외측도어용 롤러(111) 및 외측도어 결합용 브라켓(112)을 포함하는 외측도어 구동수단(110)과, 문틀의 전면 및 외측도어용 롤러(111)를 통해 설치되는 외측도어 슬라이딩 이동수단(300)과, 내측도어(200)와, 내측도어용 롤러(211) 및 내측도어 결합용 브라켓(212)을 포함하는 내측도어 구동수단(210)과, 문틀의 전면 및 외측도어용 롤러(111)를 통해 설치되는 내측도어 슬라이딩 이동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측도어 슬라이딩 이동수단(300)은, 외측도어용 롤러(1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외측도어용 브라켓(310)과, 상기 외측도어용 브라켓(310)에 연결되는 외측도어용 연결핀(320)과, 상기 외측도어용 연결핀(320) 위치부분의 문틀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피스톤 연결고리(334)가 외측도어용 연결핀(320)에 임시결합되는 외측도어용 공압실린더장치(3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측도어용 공압실린더장치(330)는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공압실린더(331)와, 공압실린더(331)의 일측에 결합되어 공압실린더(331)의 내부를 왕복하는 피스톤(332)과, 피스톤(332)의 끝단에 설치되며 힌지핀(333)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유동가능한 피스톤 연결고리(334)와, 문틀에 고정되고, 공압실린더(331)를 안착하며, 피스톤 연결고리(334)의 이송경로에 수평 가이드홈(335)을 형성하고, 끝단부에 연결핀이 삽입되도록 수직 가이드홈(336)을 형성한 공압실린더 지지수단(3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외측도어용 공압실린더장치(330)는 문틀에 고정된 외측도어용 레일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도어(100)의 이동에 따라서 외측도어용 브라켓(310)에 설치된 외측도어용 연결핀(320)이 외측도어용 공압실린더장치(330)의 피스톤 연결고리(334)에 임시결합되어 도어의 슬라이딩 시 피스톤(332)이 공압실린더(331)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동작에 의해 외측도어(100)가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문틀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는, 문틀에 공압실린더장치(330)가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공압실린더장치(330)의 노후에 의한 교체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된다.
부연하자면, 노후된 공압실린더장치(330)를 교체하기 위해서 먼저 외측도어(100)를 문틀에서 분리하게 된다. 이때, 문틀에 고정된 외측도어용 레일(113)에 안치된 외측도어용 롤러(111)를 분리한 후에 외측도어용 레일(113)의 내부에 설치된 노후된 공압실린더장치(330)를 최종적으로 분리해야 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수의 증가로 인해 노후된 공압실린더장치(330)의 교체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외측도어(100)에 고정된 외측도어 결합용 브라켓(112)에 외측도어용 롤러(111)가 설치되며, 상기 외측도어 결합용 브라켓(112)에 외측도어용 연결핀(320)이 형성된 외측도어용 브라켓(310)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외측도어용 롤러(111)와 이를 외측도어 결합용 브라켓(112)에 회전가능토록 지지하는 회전축이 도어와 문틀 사이의 공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게 되어 결국 도어가 문틀의 정면으로 돌출되어 공간 활용에 제한이 따르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763호(2011.3.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후된 공압실린더장치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외측도어 결합용 브라켓과 문틀에 고정된 외측도어용 레일 각각에 설치된 롤러와 공압실린더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도어와 문틀 사이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문틀의 상판과 하판에 설치된 도어 레일에 지지되는 도어 브라켓이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흡기 또는 배기되는 공간이 형성된 공압 실린더 몸체와, 상기 공압 실린더 몸체의 내부 공간을 왕복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서 연장된 피스톤 로드의 끝단에 힌지핀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하는 연결고리와, 상기 연결고리와 공압 실린더 몸체를 연결하여 연결고리를 공압 실린더 몸체로 끌어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연결고리의 양측면에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며 공압 실린더 몸체가 고정되는 실린더 케이스 및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 설치된 도어 레일에서 활주하는 롤러가 구비되고 도어 브라켓이 고정되는 롤러 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케이스는 상부와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타측에 공압 실린더 몸체가 안치되는 안치부가 마련되고, 일측으로 연결고리가 활주하는 활주부가 마련되며 연결고리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이 양 측면에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고 너트가 매립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삽입 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연결고리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를 수평하게 안내하는 수평 안내부 및 상기 수평 안내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수평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를 수직하게 안내하는 수직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 서포터는 상기 실린더 케이스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 편이 끼워지는 삽입 홀이 형성된 서포터 몸체 및 상기 서포터 몸체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편의 함몰부에 매립된 너트에 고정부재가 도어 브라켓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는, 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장치와 도어 레일에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완충장치의 노후 내지 롤러가 마모되어 완충장치 또는 롤러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도어 레일과 도어 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에 의하면 완충장치와 롤러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도어와 문틀 사이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도 1의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중 공압실린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가 도어 브라켓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가 도어 브라켓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는 내부에 공기가 흡기 또는 배기되는 공간이 형성된 공압 실린더 몸체(10)와, 상기 공압 실린더 몸체(10)의 내부 공간을 왕복하는 피스톤(20)과, 상기 피스톤(20)에서 연장된 피스톤 로드(22)의 끝단에 힌지핀(24)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하는 연결고리(30)와, 상기 연결고리(30)와 공압 실린더 몸체(10)를 연결하여 연결고리(30)를 공압 실린더 몸체(10)로 끌어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와, 상기 연결고리(30)의 양측면에 가이드 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32)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53)이 형성되며 공압 실린더 몸체(10)가 고정되는 실린더 케이스(50) 및 상기 실린더 케이스(50)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 설치된 도어 레일(113)에서 활주하는 롤러(64)가 구비되고 도어 브라켓(112)이 고정되는 롤러 서포터(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는 도어(100)와 연결된 도어 브라켓(112)의 끝단에 설치되고, 도어 브라켓(112)에 설치된 완충장치는 문틀의 상판과 하판(P)에 각각 설치된 도어 레일(113)에 안치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완충장치가 설치되는 도어(100)는 문틀의 정면에서 절반에 해당하는 크기를 갖는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로 이루어져 각 도어가 펼쳐졌을 때 문틀의 정면을 폐쇄하게 되며 좌측 도어 또는 우측 도어가 어느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문틀의 정면 중 어느 일측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는 그 슬라이딩 방향만 다를 뿐 그 구조는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를 구분하여 설명하지 않고 좌측 도어 또는 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의 도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완충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0)에 구비되는 도어 브라켓(112)에 설치되는데, 특히 본 발명의 완충장치는 도어(100)가 슬라이딩될 때 함께 이동하며 도어(100)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즉, 문틀의 상판과 하판(P)에는 각각 도어 레일(113)이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정면에는 도어(10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10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도어 브라켓(112)이 설치되며, 상기 도어 브라켓(112)에 본 발명의 완충장치가 고정된다.
이렇게, 도어 브라켓(112)에 설치된 본 발명의 완충장치는 도어 레일(113)에 안치되어 도어(100)의 슬라이딩과 함께 이동하며 도어(100)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게 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공압 실린더 몸체(10)는 내부에 공기가 흡기 또는 배기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가 중공된 대략 원통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공압 실린더 몸체(10)의 내부 공간에는 피스톤(20)이 설치되어 상기 공압 실린더 몸체(10)의 내부 공간에서 피스톤(20)이 활주하여 공압 실린더 몸체(10)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거나 이와는 반대로 외부의 공기가 공압 실린더 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도어(100)의 슬라이딩에 따른 이동속도를 감속시켜 부드럽게 도어(100)가 슬라이딩할 수 있게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공압 실린더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20)은 공압 실린더 몸체(10)의 일측으로 연장된 피스톤 로드(22)와 연결되며, 상기 피스톤 로드(22)의 끝단에는 힌지핀(24)에 의해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며 도어 레일(113)에 설치된 터치 바(90)(도 5 내지 도 7참조)와 걸림되는 연결고리(3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터치 바(90)가 설치되는 도어 레일(113)은 내측으로 단턱(113a)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113a)은 도어 레일(113)의 내측면에 수평하게 돌출되고 도어 레일(113)의 천장면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 바(90)는 단턱(113a)과 도어 레일(113)의 천장면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편(92)과, 상기 지지편(92)의 저면에 형성되어 도어 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실린더 케이스(50)에 설치된 연결고리(30)가 걸림되는 걸림 돌기(94) 및 상기 지지편(92)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며 끝단이 도어 레일(113)의 천장면을 압박하는 볼트(96)로 구성되어 볼트(96)의 조임과 풀림에 따라 도어 레일(113)에서의 지지편(92)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 레일(113)에 설치된 터치 바(90)와 걸림되는 연결고리(30)는 실린더 케이스(50)에 설치되는데, 상기 실린더 케이스(50)는 그 단면이 대략 "∪"와 같은 형상을 갖고 상기 실린더 케이스(50)의 내부에 앞서 설명한 공압 실린더 몸체(10), 피스톤 로드(22), 연결고리(30)가 설치된다.
즉, 상기 실린더 케이스(50)는 상부와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격벽(52)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52)을 중심으로 타측에 공압 실린더 몸체(10)가 안치되는 안치부(50a)가 마련되고, 일측으로 연결고리(30)가 활주하는 활주부(50b)가 마련되며 연결고리(30)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53)이 양 측면에 형성된 하우징(54) 및 상기 하우징(54)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고 너트(70)가 매립되는 함몰부(58)가 형성된 삽입 편(5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30)를 안내하도록 하우징(54)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53)은 크게 수평 안내부(53a) 및 수직 안내부(53b)로 이루어져 연결고리(3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가 상기 수평 안내부(53a)에서 수직 안내부(53b)로 이동하여 연결고리(30)를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슬롯(53)은 상기 연결고리(3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를 수평하게 안내하는 수평 안내부(53a)와 상기 수평 안내부(53a)의 끝단에 형성되어 수평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32)를 수직하게 안내하는 수직 안내부(53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 안내부(53a)와 수직 안내부(53b)가 만나는 부분은 가이드 돌기(32)가 수평 안내부(53a)에서 수직 안내부(53b)로 또는 수직 안내부(53b)에서 수평 안내부(53a)로 완만하게 이동할 수 있게 굴곡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고리(30)가 실린더 케이스(50) 내에서 활주하게 될 때 굴곡지도록 형성된 부분에서 힌지핀(24)을 중심으로 연결고리(30)가 회동하여 수직 안내부(53b)에 가이드 돌기(32)가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 케이스(50)에 형성된 안치부(50a)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40)의 일측단을 고정하는 고정 홈(55)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홈(55)에 탄성부재(40)의 일측단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의 타측단은 연결고리(3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 턱(34)에 고정되어 공압 실린더 몸체(10)로부터 피스톤 로드(22)가 인출되었을 때 연결고리(30)를 공압 실린더 몸체(10)로 끌어당기는 탄성력이 탄성부재(40)로부터 발휘된다.
한편, 상기 롤러 서포터(60)는 실린더 케이스(50)의 양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롤러 서포터(60)에는 도어 레일(113)에서 활주하는 롤러(64)가 설치된다. 부연하자면, 상기 롤러 서포터(60)는 상기 실린더 케이스(50)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 편(56)이 끼워지는 삽입 홀(66)이 형성된 서포터 몸체(62)와, 상기 서포터 몸체(62)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롤러(6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 편(56)에는 너트(70)가 매립되는 함몰부(58)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 편(56)이 서포터 몸체(62)에 형성된 삽입 홀(66)에 끼워진 상태에서 서포터 몸체(62)의 저면에 도어 브라켓(112)이 위치한 상태에서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80)가 도어 브라켓(112)과 서포터 몸체(62)를 관통하여 삽입 편(56)에 마련된 너트(70)에 나사 체결됨으로써 실린더 케이스(50)가 도어(100)와 일체로 슬라이딩 될 수 있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서포터 몸체(62)는 문틀의 상판과 하판(P)에 각각 설치된 도어 레일(113)에 안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 레일(113)은 대략 사각 틀의 형상을 갖되 상판 또는 하판(P)과 접하는 면과 대응하는 면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면을 통해 도어(100)와 연결된 도어 브라켓(112)이 실린더 케이스(50)와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도어 레일(113)은 그 내측면에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서포터 몸체(62)의 양 측면에 설치된 롤러(64)가 안치되어 구름 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의 작동을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문틀의 상판과 하판(P)에 설치된 도어 레일(113)에 안치된 상태로 슬라이딩하여 도어(1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도어(100)를 개방하기 위해 도어(100)를 밀게 되면 도어(100)의 이동과 함께 도어 레일(113)에 안치된 본 발명의 완충장치가 도어 레일(11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도어(100)의 슬라이딩에 따라 도어 레일(113)에서 완충장치가 슬라이딩하게 될 때 도어 레일(113)에 설치된 터치 바(90)에 연결고리(30)가 걸리기 때문에 피스톤 로드(22)가 공압 실린더 몸체(10)에서 인출된다.
이때, 도어(100)의 슬라이딩 속도가 급격하더라도 공압 실린더 몸체(10)와 피스톤(20)의 작용에 의해 도어(100)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22)가 공압 실린더 몸체(10)에서 완전히 인출된 경우 연결고리(30)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가 하우징(54)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53)의 수평 안내부(53a)에서 수직 안내부(53b)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32)가 수직 안내부(53b)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연결고리(30)의 가이드 돌기(32)가 수직 안내부(53b)에 걸림된 상태에서는 도어(100)에 외력(미는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피스톤 로드(22)가 공압 실린더 몸체(10)로부터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고리(30)의 가이드 돌기(32)가 실린더 케이스(50)의 수직 안내부(53b)에 위치하지 않고 가이드 돌기(32)가 수평 안내부(53a) 상에 위치하게 되면 연결고리(30)와 실린더 케이스(50)에 설치된 탄성부재(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 로드(22)가 공압 실린더 몸체(10)로 인입됨으로써, 실린더 케이스(50)가 도어 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되고, 실린더 케이스(50)와 도어(100)가 도어 브라켓(11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어(100) 역시 실린더 케이스(5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는 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키는 완충장치와 도어 레일(113)에서 구름 운동하는 롤러(64)가 일체로 설치됨으로써, 도어(100)의 슬라이딩과 함께 완충장치가 함께 이동하여 도어(100)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장치와 롤러가 일체화됨으로써, 완충장치의 노후 내지 롤러가 마모되어 완충장치 또는 롤러의 수리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 신속하고 간편하게 도어 레일과 도어 브라켓(112)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에 의하면 완충장치와 롤러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켜 도어(100)와 문틀 사이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공압 실린더 몸체 20 : 피스톤
22 : 피스톤 로드 24 : 힌지핀
30 : 연결고리 32 : 가이드 돌기
34 : 걸림 턱 40 : 탄성부재
50 : 실린더 케이스 50a : 안치부
50b : 활주부 52 : 격벽
53 : 가이드 슬롯 53a : 수평 안내부
53b : 수직 안내부 54 : 하우징
55 : 고정 홈 56 : 삽입 편
58 : 함몰부 60 : 롤러 서포터
62 : 서포터 몸체 64 : 롤러
66 : 삽입 홀 70 : 너트
80 : 고정부재 90 : 터치 바
92 : 지지편 94 : 걸림 돌기
96 : 볼트 100 : 도어
112 : 도어 브라켓 113 : 도어 레일
113a : 단턱 P : 상판 또는 하판

Claims (4)

  1. 문틀의 상판과 하판(P)에 설치된 도어 레일(113)에 지지되는 도어 브라켓(112)이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가 흡기 또는 배기되는 공간이 형성된 공압 실린더 몸체(10);
    상기 공압 실린더 몸체(10)의 내부 공간을 왕복하는 피스톤(20);
    상기 피스톤(20)에서 연장된 피스톤 로드(22)의 끝단에 힌지핀(24)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하는 연결고리(30);
    상기 연결고리(30)와 공압 실린더 몸체(10)를 연결하여 연결고리(30)를 공압 실린더 몸체(10)로 끌어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
    상기 연결고리(30)의 양측면에 가이드 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32)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53)이 형성되며 공압 실린더 몸체(10)가 고정되는 실린더 케이스(50); 및
    상기 실린더 케이스(50)의 양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문틀에 설치된 도어 레일(113)에서 활주하는 롤러(64)가 구비되고 도어 브라켓(112)이 고정되는 롤러 서포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케이스(50)는,
    상부와 일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격벽(52)이 형성되어 상기 격벽(52)을 중심으로 타측에 공압 실린더 몸체(10)가 안치되는 안치부(50a)가 마련되고, 일측으로 연결고리(30)가 활주하는 활주부(50b)가 마련되며 연결고리(30)를 안내하는 가이드 슬롯(53)이 양 측면에 형성된 하우징(54); 및
    상기 하우징(54)의 양 끝단에 돌출 형성되고 너트(70)가 매립되는 함몰부(58)가 형성된 삽입 편(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53)은,
    상기 연결고리(3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32)를 수평하게 안내하는 수평 안내부(53a); 및
    상기 수평 안내부(53a)의 끝단에 형성되어 수평하게 안내되는 가이드 돌기(32)를 수직하게 안내하는 수직 안내부(5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롤러 서포터(60)는,
    상기 실린더 케이스(50)의 끝단에 형성된 삽입 편이 끼워지는 삽입 홀(66)이 형성된 서포터 몸체(62); 및
    상기 서포터 몸체(62)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롤러(64);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편(56)의 함몰부(58)에 매립된 너트(70)에 고정부재(80)가 도어 브라켓(112)을 관통하여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KR1020120077768A 2012-07-17 2012-07-17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KR20140010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768A KR20140010795A (ko) 2012-07-17 2012-07-17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768A KR20140010795A (ko) 2012-07-17 2012-07-17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95A true KR20140010795A (ko) 2014-01-27

Family

ID=5014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768A KR20140010795A (ko) 2012-07-17 2012-07-17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079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59B1 (ko) * 2016-01-11 2017-03-21 신정철 슬라이딩도어의 자동닫힘장치
CN108661512A (zh) * 2018-05-14 2018-10-16 潍坊护理职业学院 一种用于放射科专用防挤电动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659B1 (ko) * 2016-01-11 2017-03-21 신정철 슬라이딩도어의 자동닫힘장치
CN108661512A (zh) * 2018-05-14 2018-10-16 潍坊护理职业学院 一种用于放射科专用防挤电动门
CN108661512B (zh) * 2018-05-14 2020-07-31 陈学春 一种用于放射科专用防挤电动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7865B1 (ko) 욕실 수납장의 레일 어셈블리
US20070001562A1 (en) Self closing device for a slide and slide having this
JP6258344B2 (ja) 引戸の開閉装置
KR101127639B1 (ko) 개폐구용 완충장치
RU2687630C2 (ru) Демпфирующее или возвр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ворок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ли для выдвижных ящиков
JP7434184B2 (ja) ドア用スライド移動装置
RU2712413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ольжения и торможения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и ставней
KR20100049791A (ko) 매립형 가구용 손잡이
CN204552407U (zh) 一种缓冲器
KR20140010795A (ko) 롤러가 마련된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KR100987123B1 (ko) 미닫이식 도어의 개폐장치
US10787850B2 (en) Sliding apparatus for sliding door
KR102184819B1 (ko) 미닫이용 완충장치
CN205625163U (zh) 一种带有连动式拉篮结构的转角伸入柜
CN208184501U (zh) 一种集成式双向阻尼器
KR200452763Y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완충장치
CN109363524A (zh) 用于电烤箱的滑移门机构及电烤箱
KR101778747B1 (ko) 욕실 수납장 슬라이드 도어의 하부레일 완충장치
JPH0532549B2 (ko)
KR20180007863A (ko) 폴딩도어의 롤러유닛 구조
KR101704586B1 (ko) 슬라이딩 도어 정위치장치
KR102122167B1 (ko) 싱크대 수납장
KR101563076B1 (ko) 서랍용 충격 완화장치
KR20110032904A (ko) 미닫이 도어 조립체
CN209403810U (zh) 一种便于更改容积的迷你机手提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