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028Y1 -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028Y1
KR200489028Y1 KR2020170004312U KR20170004312U KR200489028Y1 KR 200489028 Y1 KR200489028 Y1 KR 200489028Y1 KR 2020170004312 U KR2020170004312 U KR 2020170004312U KR 20170004312 U KR20170004312 U KR 20170004312U KR 200489028 Y1 KR200489028 Y1 KR 200489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late
door
upper portion
movable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491U (ko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2020170004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028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4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0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17/002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wings which lie one behind the other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08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7/00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 E05F2017/005Special devices for shifting a plurality of wings operated simultaneously for sliding wings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레일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 기존의 상부레일에 완충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기존의 상부레일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완충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모든 연동 도어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2,3가동판(110)(120)(130); 제1가동판(110)의 상부 양측으로 배치되어 와이어(4)가 연결된 풀리(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재(200); 제2,3가동판(120)(130)의 상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연동부재(300); 제2가동판(120)의 일측과 제3가동판(130)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300)에 고정되어 와이어(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 상기 가동부재(200)와 연동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레일(10)의 제1,2,3레일(11)(12)(13)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500); 상기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중앙,전면도어(1)(2)의 개폐작동시 완충기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610)와 실린더(620) 및 연결고리(630)와 인장스프링(640)을 구비하는 댐퍼(600); 상기 댐퍼(600)의 연결고리(630)를 작동시키도록 제2레일(12)의 타측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A shock absorber of interlocking type door}
본 고안은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상부레일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 기존의 상부레일에 완충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기존의 상부레일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완충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모든 연동 도어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거실 및 현관 그리고 발코니 등에 설치되는 도어의 형식은 횡축 방향으로 밀고 당겨서 여닫는 슬라이딩 도어 형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의 특징은 회전 반경이 필요 없기 때문에, 도어를 여닫는 작동 공간이 불필요하고, 평면적으로 이동하여 넓은 면적에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면, 넓은 면적의 거실을 칸으로 분리하거나 또는 자유롭게 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분하는 데에는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 형식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딩 도어를 받쳐주고 여닫힘이 가능하도록 바닥과 천장에 문틀을 설치하고, 그 문틀에 레일을 깔아 도어 프레임 트랙이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여닫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 설치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예로는, 바닥 문틀을 최대로 낮추고 상부 천장에는 상부레일을 설치하여 이것을 지지부로 하여 몇 개로 중첩된 다중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상기 천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의 장점은 도어를 받쳐주는 하부레일을 바닥에 설치하지 않거나 또는 최대로 낮추고 천장에서 슬라이딩 도어를 지지 고정하고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서 하부레일 주변에 쌓이는 먼지나 오염물질의 적층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레일에 의해 형성되는 턱을 없애 실내 출입과 청소 등이 편리하고 슬라이딩 도어의 설치 형식을 다양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설치 외관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 중 도어 본체를 두 개 이상 중첩되도록 설치하고, 상호 연동시켜서 순차적으로 여닫히는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는 고정측 도어 본체가 있고, 그 고정측 도어 본체를 따라 여닫히는 이동측 도어 본체로 구성되어 이동측 도어 본체가 순차적으로 여닫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동형 슬라이딩 도어는 이동측 도어를 닫을 시 조금만 힘을 줘도 빠른 속도로 이동하므로 문틀과 도어의 충돌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고, 또 상기 충돌로 인한 문틀과 도어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630300호에는 제2안내부에 삽입되도록 레일부에 설치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부는 제2안내부에 형성된 보강리브와 설치판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삽입되어 설치판부에 고정되고, 전면도어가 이동할 때 제2슬라이더에 고정된 고정핀이 실린더부에 체결되어 전면도어를 유압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공개특허 제10-2017-0054590호에는 상부 문틀과 도어의 사이에 도어를 연동하기 위한 연동프레임을 구비하되, 상부 문틀의 제3 레일의 끝단부에 댐퍼가 내장되도록 설치되고 연동프레임 중 제3 연동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댐퍼와 걸림 및 해제가 이루어지는 걸림편이 돌출 형성되어 도어의 개폐시 도어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고, 이로 인해 도어의 부드러운 이송이 가능하여 도어와 문틀의 충돌 및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충돌에 따른 소음을 차단하도록 하는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상부레일의 상부에 실린더부 또는 댐퍼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설치된 상부레일에는 실린더부 또는 댐퍼를 설치할 수 없어 새로운 상부레일을 제작하여 실린더부 또는 댐퍼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린더부 또는 댐퍼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해야 하므로 상부레일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현장에서 기존의 상부레일을 떼어내고 천장의 일부를 파괴하여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며, 이러한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비용의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1630300호(등록일자 : 2016.06.08) 특허문헌 2 : 공개특허 제10-2017-0054590호(공개일자 : 2017.05.18)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상부레일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 기존의 상부레일에 완충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상부레일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완충장치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여 모든 연동 도어에 편리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도어가 부드럽게 서서히 열리고 닫히도록 상부레일에 완충기능을 부여하여 충격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중앙,전면,후면도어의 상부에 제1,2,3가동판을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1가동판의 상부 양측으로 와이어가 연결된 풀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재를 각각 배치하며, 상기 제2,3가동판의 상부 양측으로 연동부재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2가동판의 일측과 제3가동판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에 와이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가동부재와 연동부재의 상부에 상부레일의 제1,2,3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중앙,전면도어의 개폐작동시 완충기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와 실린더 및 연결고리와 인장스프링이 구비된 댐퍼를 제2가동판의 상부에 고정하며, 상기 댐퍼의 연결고리를 작동시키도록 제2레일의 타측 상부에 연결부재를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케이스의 양측에는 나사가 끼워지는 나사공을 수직으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의 양측으로 형성된 나사공은 제2가동판의 상부에 나사체결로 고정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2레일의 상부에 형성된 핀가이드에 끼워져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단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형으로 형성되어 연결고리의 양측 걸림부 사이로 끼워지는 연결부로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개폐작동시 완충기능을 부여하는 댐퍼가 제2가동판의 상부에 고정되고, 댐퍼를 작동시키는 연결부재가 제2레일의 타측 상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상부레일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 기존의 상부레일(10)에 완충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상부레일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완충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모든 연동 도어에 편리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상부레일을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도어가 부드럽게 서서히 열리고 닫히도록 상부레일에 완충기능을 부여하여 충격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a,4b,4c는 본 고안의 작용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a,6b,6c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와 연결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7a,7b,7c는 본 고안에 따른 댐퍼에서 걸림부의 작용을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는 도 1 내지 도 7a,7b,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2,3가동판(110)(120)(130); 상기 제1가동판(110)의 상부 양측으로 배치되어 와이어(4)가 연결된 풀리(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재(200); 상기 제2,3가동판(120)(130)의 상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연동부재(300); 상기 제2가동판(120)의 일측과 제3가동판(130)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300)에 고정되어 와이어(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 상기 가동부재(200)와 연동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레일(10)의 제1,2,3레일(11)(12)(13)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500); 상기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중앙,전면도어(1)(2)의 개폐작동시 완충기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610)와 실린더(620) 및 연결고리(630)와 인장스프링(640)을 구비하는 댐퍼(600); 상기 댐퍼(600)의 연결고리(630)를 작동시키도록 제2레일(12)의 타측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7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는 상부레일(10)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 기존의 상부레일(10)에 완충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중앙,전면도어(1)(2)의 개폐작동시 완충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는 제1,2,3가동판(110)(120)(130), 가동부재(200), 연동부재(300), 지지부재(400), 슬라이더(500), 댐퍼(600) 및 연결부재(700)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는 다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다수의 도어는 중앙도어(1)와 전면도어(2) 및 후면도어(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2,3가동판(110)(120)(130)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2,3가동판(110)(120)(130)은 도 1에서와 같이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2,3가동판(110)(120)(130)은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부재(200)는 제1가동판(11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동부재(200)는 와이어(4)가 연결된 풀리(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4)는 양측 가동부재(200)에 각각 설치된 양측 풀리(5)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동부재(300)는 제2,3가동판(120)(130)의 상부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나사체결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동부재(300)의 저면에는 지지부재(400)를 고정하기 위한 홈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재(400)는 제2가동판(120)의 일측과 제3가동판(130)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300)의 홈에 끼워진 상태로 각각 고정되어 와이어(4)를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지지부재(400)는 중앙,전면도어(1)(2)의 개폐시 제1,2가동판(110)(120)을 연동시킨다.
상기 슬라이더(500)는 가동부재(200)와 연동부재(30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슬라이더(500)는 상부레일(10)의 제1,2,3레일(11)(12)(13)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500)의 전,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댐퍼(600)는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댐퍼(600)는 중앙,전면도어(1)(2)의 개폐작동시 중앙,전면도어(1)(2)가 부드럽게 서서히 열리고 닫히도록 완충기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댐퍼(600)에는 완충기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610)와 실린더(620) 및 연결고리(630)와 인장스프링(640)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610)의 양측에는 나사(S1)가 끼워지는 나사공(611)이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10)의 양측으로 형성된 나사공(611)은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나사(S1)체결로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가동판(120)의 상부 양측에는 나사(S1)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공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댐퍼(600)는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수평안내홈(612)과 수직안내홈(613)을 구비하는 케이스(610), 상기 케이스(610)에 설치되어 피스톤로드(621)의 단부가 수평안내홈(612)에 힌지핀(622)으로 연결되는 실린더(620), 상기 연결부재(700)가 끼워지는 양측 걸림부(631)(632) 및 수평안내홈(612)과 수직안내홈(613)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633)과 힌지핀(622)에 연결되는 연결부(634)를 구비하는 연결고리(630), 상기 연결고리(630)와 케이스(610)의 타측에 양단이 고정되는 인장스프링(6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610)는 댐퍼(60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케이스(610)는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어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되고, 케이스(610)의 양측에는 제2가동판(120)에 나사(S1)체결로 고정되는 나사공(611)이 형성되며, 케이스(610)에는 서로 연결되는 수평안내홈(612)과 수직안내홈(613)이 형성되고, 수평안내홈(612)이 형성된 케이스(410)의 반대측에는 실린더(420)가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620)는 케이스(6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실린더(620)의 피스톤로드(621)에는 힌지핀(622)이 구비되고, 힌지핀(622)은 수평안내홈(612)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고리(630)는 힌지핀(6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고리(630)에는 연결부재(700)가 끼워지도록 케이스(610)의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부(631)(632)가 구비되고, 또한 연결고리(630)에는 수평안내홈(612)과 수직안내홈(613)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핀(633)이 구비되고, 또한 연결고리(630)에는 힌지핀(62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6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634)는 연결고리(630)의 몸체를 구성한다.
상기 인장스프링(640)은 연결고리(630)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이러한 인장스프링(640)의 양단은 연결고리(630)와 케이스(610)의 타측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연결부재(700)는 댐퍼(600)의 연결고리(6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부재(700)는 제2레일(12)의 타측 상부에 고정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700)는 제2레일(12)의 상부에 형성된 핀가이드(12a)에 끼워져 나사(S2)체결로 고정되는 고정부(710)와, 상기 고정부(710)의 일단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형으로 형성되어 연결고리(630)의 양측 걸림부(631)(632) 사이로 끼워지는 연결부(7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710)에는 나사(S2)가 체결되는 나사체결공이 형성된다.
한편, 도 7a,7b,7c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630)의 걸림부(631)는 연결부(634)에 스프링(S)의 탄력을 받도록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634)에는 수직으로 장공(634a)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631)에는 장공(634a)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핀(631a)이 구비된다. 이때, 도어의 개폐시 의도치 않게 도 7a에서와 같이 연결부재(700)의 연결부(720)가 걸림부(631)로부터 빠져나올 경우, 도 7b에서와 같이 연결부(720)를 걸림부(631)측으로 밀면 걸림부(631)가 스프링(S)을 압축하면서 하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도 7c에서와 같이 연결부(720)를 걸림부(631)와 걸림부(632) 사이로 다시 끼울 수 있고, 이후 도 7c에서와 같이 걸림부(631)는 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도 1,4a에서와 같이 제1가동판(110)과 제2가동판(120) 및 제3가동판(130)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두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도 6a에서와 같이 댐퍼(600)의 가이드핀(633)은 수직안내홈(613)에 위치하게 되고, 이에 의해 연결고리(630)의 걸림부(631)는 연결부재(700)의 연결부(720)에 걸리지 않도록 하부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실린더(620)의 피스톤로드(621)와 인장스프링(640)은 인출되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4a에서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를 닫기 위해 전면도어(2)를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된 양측 연동부재(300)가 닫히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이때 좌측 연동부재(300)에는 지지부재(400)를 통해 와이어(4)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동부재(300)의 이동과 함께 와이어(4)도 연동하여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와이어(4)가 이동함에 따라 제1가동판(110)도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3가동판(130)은 좌측 연동부재(300)에 설치된 임시고정핀이 상부레일(6)에 설치된 임시고정홀더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3가동판(130)은 이동하지 않고 제1가동판(110)만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 제2가동판(120)에 고정된 댐퍼(600)의 걸림부(632)가 도 6b에서와 같이 연결부재(700)의 연결부(720)에 접촉되면, 이때부터는 걸림부(632)가 같이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피스톤로드(621)가 서서히 인입되면서 압축되므로 중앙,전면도어(1)(2)는 부드럽게 서서히 닫히게 된다. 이때, 연결부(634)에 연결된 힌지핀(622)이 수평안내홈(612)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수직안내홈(613)에 위치한 가이드핀(633)이 수직안내홈(613)으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도 6b에서와 같이 수평안내홈(612)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또한 이에 의해 하부로 회동된 연결고리(630)의 걸림부(631)는 상부로 회전하면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연결부재(700)의 연결부(720)는 양측 걸림부(631)(632)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인장스프링(640)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632)가 닫히는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기 때문에, 중앙,전면도어(1)(2)는 탄력적으로 완전히 닫혀지므로, 결과적으로 전면도어(2)를 끝까지 닫지 않아도 인장스프링(640)의 복원력에 의해 중앙,전면도어(1)(2)는 완전히 닫혀지게 된다.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도 4c에서와 같이 제2가동판(120)은 우측에 위치하게 되고, 제1가동판(110)은 중앙에 위치하게 되며, 제3가동판(130)은 좌측에 위치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 4c에서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도어를 열기 위해 전면도어(2)를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된 양측 연동부재(300)가 열리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좌측 연동부재(300)에는 지지부재(400)를 통해 와이어(4)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동부재(300)의 이동과 함께 와이어(4)도 연동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와이어(4)가 이동함에 따라 제1가동판(110)도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도 1,4a에서와 같이 제1가동판(110)과 제2가동판(120) 및 제3가동판(130)은 한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모두 중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를 열기 위해 전면도어(2)를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된 댐퍼(600)의 걸림부(631)가 연결부재(700)의 연결부(720)에 걸린 상태에서 댐퍼(600)가 서서히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피스톤로드(621)가 서서히 인출됨과 동시에 인장스프링(640)이 팽창되면서 중앙,전면도어(1)(2)가 열리게 된다. 이때, 힌지핀(622)과 가이드핀(633)은 수평안내홈(61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하면서 가이드핀(633)이 수직안내홈(613)에 도달하게 되면, 이때부터는 가이드핀(633)이 수평안내홈(612)에서 벗어나면서 수직안내홈(613)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걸림부(632)는 연결부(720)에 걸리지 않도록 하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연결고리(630)와 피스톤로드(621) 및 힌지핀(622)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2가동판(120)과 댐퍼(600)는 일측으로 계속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작동시 완충기능을 부여하는 댐퍼(600)가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되고, 댐퍼(600)를 작동시키는 연결부재(700)가 제2레일(12)의 타측 상부에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상부레일(10)의 높이를 높이지 않고 기존의 상부레일(10)에 완충장치를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고안은 기존의 상부레일(10)에 별도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고 완충장치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모든 연동 도어에 편리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기존에 설치된 상부레일(10)을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도어가 부드럽게 서서히 열리고 닫히도록 상부레일(10)에 완충기능을 부여하여 충격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중앙도어 2 : 전면도어
3 : 후면도어 4 : 와이어
5 : 풀리 10 : 상부레일
11 : 제1레일 12 : 제2레일
12a : 핀가이드 13 : 제3레일
20 : 고정판 110 : 제1가동판
120 : 제2가동판 130 : 제3가동판
200 : 가동부재 300 : 연동부재
400 : 지지부재 500 : 슬라이더
600 : 댐퍼 610 : 케이스
611 : 나사공 620 : 실린더
630 : 연결고리 631 : 걸림부
632 : 걸림부 640 : 인장스프링
700 : 연결부재 710 : 고정부
720 : 연결부

Claims (3)

  1. 중앙,전면,후면도어(1)(2)(3)의 상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2,3가동판(110)(120)(130);
    상기 제1가동판(110)의 상부 양측으로 배치되어 와이어(4)가 연결된 풀리(5)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가동부재(200);
    상기 제2,3가동판(120)(130)의 상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연동부재(300);
    상기 제2가동판(120)의 일측과 제3가동판(130)의 타측으로 배치된 연동부재(300)에 고정되어 와이어(4)를 지지하는 지지부재(400);
    상기 가동부재(200)와 연동부재(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레일(10)의 제1,2,3레일(11)(12)(13)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500);
    상기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중앙,전면도어(1)(2)의 개폐작동시 완충기능을 부여하도록 케이스(610)와 실린더(620) 및 연결고리(630)와 인장스프링(640)을 구비하는 댐퍼(600);
    상기 댐퍼(600)의 연결고리(630)를 작동시키도록 제2레일(12)의 타측 상부에 고정되는 연결부재(70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700)는 제2레일(12)의 상부에 형성된 핀가이드(12a)에 끼워져 나사(S2)체결로 고정되는 고정부(710)와, 상기 고정부(710)의 일단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형으로 형성되어 연결고리(630)의 양측 걸림부(631)(632) 사이로 끼워지는 연결부(7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610)의 양측에는 나사(S1)가 끼워지는 나사공(611)이 수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610)의 양측으로 형성된 나사공(611)은 제2가동판(120)의 상부에 나사(S1)체결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3. 삭제
KR2020170004312U 2017-08-14 2017-08-14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KR200489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12U KR200489028Y1 (ko) 2017-08-14 2017-08-14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312U KR200489028Y1 (ko) 2017-08-14 2017-08-14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91U KR20190000491U (ko) 2019-02-22
KR200489028Y1 true KR200489028Y1 (ko) 2019-04-18

Family

ID=6551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312U KR200489028Y1 (ko) 2017-08-14 2017-08-14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0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941B1 (ko) * 2019-03-19 2020-12-22 김솔 3중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 가이더 어셈블리
KR102168868B1 (ko) * 2020-07-27 2020-10-22 (주)세한프레시젼 3중 연동도어 장치
KR20230155694A (ko) 2022-05-04 2023-11-13 주식회사 아린엠에이치씨 3연동 도어 반자동 개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10B1 (ko) *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7075A (en) * 1989-04-11 1990-01-30 Beckman Instruments, Inc. Centrifuge drive hub
JP3647117B2 (ja) * 1996-01-11 2005-05-11 三菱樹脂株式会社 引戸用ストッパー
KR101728078B1 (ko) * 2015-08-20 2017-04-18 안중식 3도어 접철문의 슬라이드식 연동장치
KR101630300B1 (ko) 2015-11-06 2016-06-17 이녹하 3중 슬라이딩 도어의 연동장치
KR20170054590A (ko) 2015-11-09 2017-05-18 김건 댐퍼 내장형 3연동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10B1 (ko) * 2015-08-20 2016-07-25 김용갑 미는 힘이 덜 드는 속도조절용 다중 슬라이드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91U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028Y1 (ko)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KR200489027Y1 (ko)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RU2434112C2 (ru) Раздвижной механизм,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раздвижных ворот или раздвижных дверей, передвижной элемент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вышеуказанным раздвижным механизмом и опорный ст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KR100872183B1 (ko) 중장비용 운전실
KR102168868B1 (ko) 3중 연동도어 장치
US20130020813A1 (en) Door latch assembly with movable lock plate
WO2018137885A1 (en) Sliding and braking device for sliding doors and shutters
KR101333053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200461010Y1 (ko)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창문 스테이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KR100753579B1 (ko) 시스템창호 개폐장치
JP2016138372A (ja) 防水シャッター
KR101717573B1 (ko) 반자동 미닫이문 구조체
KR101206755B1 (ko) 창호용 이탈방지 모듈
KR10133305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KR101347292B1 (ko)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더 장착장치
JP5097509B2 (ja) 折畳戸のロック装置
US20080202698A1 (en) Dual overhead door system, kit and method
KR20230015015A (ko) 창호의 방풍 기능 향상을 위한 차폐기구와 미닫이 타입의 창문
FI69909B (fi) Taetningsanordning foer troeskelloesa doerrar
JP5154257B2 (ja) 移動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ドア付間仕切りパネル
KR102682356B1 (ko) 도어용 댐퍼 고정 및 스토퍼 고정부
JP2019035203A (ja) 引き戸装置および引き戸装置の組み込み方法
KR102682357B1 (ko) 도어 연동장치 분리형 댐퍼걸이부
KR101898912B1 (ko)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