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912B1 -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 Google Patents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912B1
KR101898912B1 KR1020180026073A KR20180026073A KR101898912B1 KR 101898912 B1 KR101898912 B1 KR 101898912B1 KR 1020180026073 A KR1020180026073 A KR 1020180026073A KR 20180026073 A KR20180026073 A KR 20180026073A KR 101898912 B1 KR101898912 B1 KR 101898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reinforcing
fixing ba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태민
Original Assignee
남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태민 filed Critical 남태민
Priority to KR1020180026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4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supported on arms movable in vertical p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틀고정바와 창고정바 간을 연결하는 보강구동암이 다수개로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간에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암조립체의 보강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창의 폐쇄시에는 안정적으로 완충되어 폐쇄되도록 하며 개방시에는 완충수단의 복원력을 작용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암조립체는 창틀프레임에 고정되는 틀고정바와; 창문프레임 일측에 고정되는 창고정바와; 상기 틀고정바와 창고정바 간의 상, 하부 중 어느 일측을 연결하는 링크암과; 상기 틀고정바와 창고정바 간의 상, 하부 중 상기 링크암이 연결되지 않은 측을 연결하며 창문프레임의 개폐시 틀고정바와 연결되는 틀연결단이 틀고정바 상에서 이동하고, 복수개가 상, 하 단차 및 길이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보강구동암과; 상기 틀고정바의 이동홈로 상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보강구동암 각각에 결합되어 창문프레임의 개폐시 보강구동암의 위치이동에 따라 이동홈로 상에서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홈로 상에 상, 하 단차를 두고 설치되는 이동체 간에 설치되어 이동체 간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완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arm assembly of the project window with improved opening and closing stability and durability}
본 발명은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틀고정바와 창고정바 간을 연결하는 보강구동암이 다수개로 구성됨과 동시에 이들 간에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암조립체의 보강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창의 폐쇄시에는 안정적으로 완충되어 폐쇄되도록 하며 개방시에는 완충수단의 복원력을 작용하여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건물에는 자연채광을 위해 적절한 창(window)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창에는 실내의 환기 등을 위해 필요에 따라 개방시킬 수 있는 창문이 함께 설치된다.
창문은 구조에 따라 슬라이딩 개폐되는 미닫이형과, 힌지(hinge)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여닫이형 및 아암 조립체에 의해 회전 개폐되는 아암형으로 대별된다. 이중, 아암형 창문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D)의 양측이 아암 조립체(A)에 의해 창(W)의 창틀(F)에 피봇(pivot) 지지되어 그 한쪽 변을 축으로 하여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만 회전 개방되는 창문이다.
이에 따라 아암형 창문은 실내환기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면서 빗물 유입방지와 추락방지 및 외관향상 등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어, 주로 빌딩의 커튼월 창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아암형 창문에 사용되는 아암 조립체는, 아암을 통해 창문에 힌지 연결된 슬라이드바(slide bar)가 창틀에 구비되는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면서 창문의 개폐를 허용하는 슬라이드 방식과, 복수개의 링크(link)에 의해 창문을 창틀에 직접 연결한 링크 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슬라이드 방식은 창문이 설정된 개방각도까지 완전 개방되는데 반해, 링크 방식은 창문을 허용 개방각도 내에서 원하는 임의의 각도만큼만 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어 최근 링크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서, 도 2 및 도 3에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져 회전 개폐되는 창문의 측면도 및 힌지 작동부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이것은 창틀(F)에 스크류(screw:7)로 체결되는 판상의 제1고정바(fixing bar:1)와, 창문(D)에 스크류(7)로 체결되는 제2고정바(2) 및 양단이 제1,2고정바(1)(2)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1,2링크아암(3)(4)을 구비하여 창문의 전체적인 회전 힌지점이 하측에 위치하여 주로 실내측으로 개폐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창문을 창틀에 연결 고정시키는 부재인 상기 제1링크아암(3)은 제1고정바(1)의 상단과 제2고정바(2)의 중간에 플라스틱 와셔(5)를 개재하여 힌지리벳(hinge rivet:6a)으로 체결되고, 제2링크아암(4)은 제1링크아암(3)보다 짧은 길이로 구성되어 제1고정바(1)의 중간하부와 제2고정바(2)의 하단에 플라스틱 와셔(5)를 개재하여 힌지리벳(6b)으로 체결되어, 창틀(F)에 고정된 제1고정바(1)의 상하 2개의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힌지점에 의하여 창문(D)을 지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창문(D)을 당기면 제1,2링크아암(3)(4)이 제1고정바(1)에 대해 힌지리벳(6a,6b)을 통하여 창문의 전체적인 힌지점인 하측을 중심으로 선회함으로써 창문(D)이 열리게 되고, 이후 제2링크아암(4)이 제1고정바(1)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1a)에 걸려 멈춤으로써 일정 각도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창문(D)을 완전히 열지 않고 그 개방각도 범위 내에서 임의의 위치까지만 열어도 제1,2링크아암(3)(4)이 갖는 역학적 작동구조와 플라스틱 와셔(5)의 마찰력에 의해 창문(D)은 해당위치에서 정지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힌지리벳(6a,6b)들에 의해 제1,2고정바(1)(2) 및 제1,2링크아암(3)(4)의 4개의 바(bar)가 서로 연결된 링크 구조를 통상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라고 불리우며, 4개의 바(bar)들이 연결되는 각각의 힌지점들이 모두 고정단으로 구성되고, 창틀의 좌우 양측에서 상하측 2개소의 위치에서 창문을 지지하는 형태로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는 주로 창문의 크기가 크지 않은 경하중용 창에 적용된다.
한편, 창문의 크기가 큰 중하중용 창에는 창틀에 고정되는 창문의 지지력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바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가 적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는 길이가 긴 제1,2고정바(21)(22)의 사이에 제1,2,3링크아암(23)(24)(25)의 각각의 양단이 플라스틱 와셔(미도시됨)가 개재된 힌지점들이 모두 고정단으로 구성되어 힌지리벳(26a,26b,26c)들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로서, 창틀(F)의 좌우 양측에 고정된 제1고정바(21)의 상중하 3개소의 위치에서 창문(D)을 지지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는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에 비해 창틀에 장착된 창문의 지지력을 높여주기는 하나, 크기가 비교적 큰 크기로 제작됨으로써 제작원가가 더 소요되어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4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나 5B 링크 방식 아암 조립체는 모두 창문개폐 시 개폐력이 모두 고정단으로 직접 전달되는 형태로 창문을 열고 닫을 때 부드럽지 못하고 뻑뻑해 큰 힘이 요구됨으로써 창문 개폐 사용의 번거로움 및 불편을 초래함은 물론, 힘이 약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창문의 개폐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폐가 용이하고 비교적 작은 창문에도 적용가능하며 암조립체의 보강력을 향상시켜 창문의 지지력을 증대시킴에 따라 창문의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창틀프레임과 창문프레임 간을 연결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암조립체는 창틀프레임에 고정되는 틀고정바와; 창문프레임 일측에 고정되는 창고정바와; 상기 틀고정바와 창고정바 간의 상, 하부 중 어느 일측을 연결하는 링크암과; 상기 틀고정바와 창고정바 간의 상, 하부 중 상기 링크암이 연결되지 않은 측을 연결하며 창문프레임의 개폐시 틀고정바와 연결되는 틀연결단이 틀고정바 상에서 이동하고, 복수개가 상, 하 단차 및 길이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보강구동암과; 상기 틀고정바의 이동홈로 상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보강구동암 각각에 결합되어 창문프레임의 개폐시 보강구동암의 위치이동에 따라 이동홈로 상에서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체와; 상기 이동홈로 상에 상, 하 단차를 두고 설치되는 이동체 간에 설치되어 이동체 간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완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보강구동암은 상기 틀고정바의 이동체와 연결되는 틀연결단과, 창고정바와 연결되는 창연결단이 각각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구동암은 상, 하 단차를 두고 길이를 달리하며 복수개가 형성되되,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보강구동암과, 상기 제1보강구동암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창고정바와의 교각이 상기 제1보강구동암의 교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2보강구동암과, 상기 제2보강구동암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창고정바와의 교각이 상기 제2보강구동암의 교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3보강구동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체는 상기 제1보강구동암와 힌지결합되는 제1이동체와, 상기 제1이동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보강구동암와 힌지결합되는 제2이동체와, 상기 제2이동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보강구동암와 힌지결합되는 제3이동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이동체와 제2이동체 간, 상기 제2이동체와 제3이동체 간 및 상기 제3이동체와 상기 이동홈로의 하부 벽면 간에는 상기 완충수단가 설치되되,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제1이동체, 제2이동체 및 제3이동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완충재삽입홈에 삽입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구동암이 다수개로 구성됨에 따라 암조립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와 동시에 보강구동암의 이동체 간에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개폐시에 완충력 및 복원력이 작용됨에 따라 개폐용이성이 증대됨은 물론 이동체 간의 충격량을 현격히 감소시켜 이동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보강구동암의 다수개 구비와 이들 간 완충수단을 통해 개별적으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개폐용이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아닌 이들 간 유기적 결합으로 내구성 향상과 개폐용이성이 동시에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빌딩용 창문의 일례를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의 일례를 나타낸 개방상태의 정면도와, 힌지부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 창문 개폐용 아암 조립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개방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창이 폐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조립체의 폐쇄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와 완충수단의 결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체의 수평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창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창이 폐쇄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조립체의 폐쇄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아울러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체와 완충수단의 결합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이동체의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100)는 창틀프레임(F)에 고정되는 틀고정바(30)와, 창문프레임(D) 일측에 고정되는 창고정바(40)와, 상기 틀고정바(30)와 창고정바(40) 간의 상, 하부 중 어느 일측을 연결하는 링크암(50)과, 상기 틀고정바(30)와 창고정바(40) 간의 상, 하부 중 상기 링크암(50)이 연결되지 않은 측을 연결하며 창문프레임(D)의 개폐시 틀고정바(30)와 연결되는 틀연결단(60a)이 틀고정바(30) 상에서 이동하고, 복수개가 상, 하 단차 및 길이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보강구동암(60)과, 상기 틀고정바(30)의 이동홈로(31) 상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보강구동암(60) 각각에 결합되어 창문프레임(D)의 개폐시 보강구동암(60)의 위치이동에 따라 이동홈로(31) 상에서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체(70)와, 상기 이동홈로(31) 상에 상, 하 단차를 두고 설치되는 이동체(70) 간에 설치되어 이동체(70) 간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완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완충수단(8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틀고정바(30)는 창틀프레임(F)의 내측에 고정되는 암조립체(100)의 구성부분으로서 창틀프레임(F)과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창고정바(40)는 창틀프레임(F)에 일정 각도 힌지 회전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창문프레임(D)의 양측 또는 일측에 고정결합되어 창문프레임(D)의 개폐시 창틀프레임(F)에 지지될 수 있도록 그 기능을 한다.
물론 상기 창고정바(40)가 창문프레임(D)을 창틀프레임(F)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틀고정바(30)와 링크암(50) 및 보강구동암(60)을 통해 연결되며 이러한 링크암(50) 및 보강구동암(60)은 창고정바(40)와 틀고정바(30)를 연결 지지하되 창고정바(40)가 틀고정바(30)로부터 위치이동함에 따라 창문프레임(D)이 개폐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구동암(60)은 이러한 창고정바(40)와 틀고정바(30)의 연결 지지시 지지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보강구동암(60)이 복수개 구비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보강구동암(60)과 힌지결합되어 틀고정바(30) 상에 이동하는 이동체(70) 간에 완충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창문프레임(D)의 개폐시 이동체(70) 간의 충격을 완화하여 이동체(70)의 내구력을 증대시킴은 물론 폐쇄시 이동체(70)의 이동홈로(31) 일측 내벽면과 완충이 이루어져 강한 충격으로 창문프레임(D)이 닫혀지지 않도록 하며 개방시에 완충수단의 복원력을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힘으로도 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기 보강구동암(60)은 상기 틀고정바(30)의 이동체(70)와 연결되는 틀연결단(60a)과, 창고정바(40)와 연결되는 창연결단(60b)이 각 각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보강구동암(60)은 상, 하 단차를 두고 길이를 달리하며 복수개가 형성되되,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보강구동암(61)과, 상기 제1보강구동암(61)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창고정바(40)와의 교각이 상기 제1보강구동암(61)의 교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2보강구동암(62)과, 상기 제2보강구동암(62)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창고정바(40)와의 교각이 상기 제2보강구동암(62)의 교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3보강구동암(6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강구동암(60)을 3개소로 구성한 것은 일실시예에 따른 것이며, 필요에 따라 2개소 또는 4개소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보강구동암(60)의 다수 개소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암조립체(100)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켜 프로젝트창의 개방시 발생될 수 있는 암조립체(100)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강구동암(60)의 틀연결단(60a)과 힌지결합되는 이동체(70)는 틀고정바(30)의 이동홈로(31) 상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다수개가 구성되며, 제1 내지 제3보강구동암(61, 62, 63)에 각각 제1 내지 제3이동체(71, 72, 73)이 힌지결합된다.
이와 같이 각 보강구동암에 힌지 결합되는 이동체는 창문프레임(D)의 개폐에 따라 이동홈로(31) 상에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시 각 이동체 간 충돌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폐쇄시 이동홈로(31) 일측으로 이동체(70)들이 이동할 때 완충작용이 부여될 수 있도록 이동체(70)들 간에는 완충수단(80)이 개재된다.
이와 같은 완충수단(80) 스프링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수단(80)의 각 이동체(71, 72, 73)의 완충재삽입홈(71a, 72a, 73a)에 일정 부분 내입되어 수용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수축 및 이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제1이동체(71)의 하부측에 완충재삽입홈(71a)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1이동체(71)의 상부측에 완충재삽입홈(71a)이 형성되고 상부측에도 완충수단(80)이 일정 부분 내입 수용됨에 따라 개방시 이동홈로(31)의 상부측 내벽면에 완충수단(80)이 수축되면서 개방을 위한 보강구동암(60)의 이동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이동체(73)에는 완충수단(80)이 상부 및 하부에 모두 결합되는데, 상기 제3이동체(73)의 하부에 결합되는 완충수단(80)은 창문프레임(D)이 폐쇄시 이동홈로(31)의 하부측으로 제3이동체(73)가 이동할 때 수축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폐쇄시에 강한 충격으로 폐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 : 틀고정바 40 : 창고정바
50 : 링크암 60 : 보강구동암
70 : 이동체 80 : 완충수단
100 : 암조립체

Claims (5)

  1. 창틀프레임(F)과 창문프레임(D) 간을 연결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100)에 있어서,
    상기 암조립체(100)는
    창틀프레임(F)에 고정되는 틀고정바(30)와;
    창문프레임(D) 일측에 고정되는 창고정바(40)와;
    상기 틀고정바(30)와 창고정바(40) 간의 상, 하부 중 어느 일측을 연결하는 링크암(50)과;
    상기 틀고정바(30)와 창고정바(40) 간의 상, 하부 중 상기 링크암(50)이 연결되지 않은 측을 연결하며 창문프레임(D)의 개폐시 틀고정바(30)와 연결되는 틀연결단(60a)이 틀고정바(30) 상에서 이동하고, 복수개가 상, 하 단차 및 길이를 달리하며 설치되는 보강구동암(60)과;
    상기 틀고정바(30)의 이동홈로(31) 상에 설치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복수개의 보강구동암(60) 각각에 결합되어 창문프레임(D)의 개폐시 보강구동암(60)의 위치이동에 따라 이동홈로(31) 상에서 이동하는 복수개의 이동체(70)와;
    상기 이동홈로(31) 상에 상, 하 단차를 두고 설치되는 이동체(70) 간에 설치되어 이동체(70) 간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시 완충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완충수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동암(60)은
    상기 틀고정바(30)의 이동체(70)와 연결되는 틀연결단(60a)과, 창고정바(40)와 연결되는 창연결단(60b)이 각각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구동암(60)은
    상, 하 단차를 두고 길이를 달리하며 복수개가 형성되되,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보강구동암(61)과, 상기 제1보강구동암(61)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창고정바(40)와의 교각이 상기 제1보강구동암(61)의 교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2보강구동암(62)과, 상기 제2보강구동암(62)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창고정바(40)와의 교각이 상기 제2보강구동암(62)의 교각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제3보강구동암(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70)는
    상기 제1보강구동암(61)와 힌지결합되는 제1이동체(71)와, 상기 제1이동체(71)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보강구동암(62)와 힌지결합되는 제2이동체(72)와, 상기 제2이동체(72)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3보강구동암(63)와 힌지결합되는 제3이동체(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체(71)와 제2이동체(72) 간, 상기 제2이동체(72)와 제3이동체(73) 간 및 상기 제3이동체(73)와 상기 이동홈로(31)의 하부 벽면 간에는 상기 완충수단(80)가 설치되되,
    상기 완충수단(80)은 상기 제1이동체(71), 제2이동체(72) 및 제3이동체(73)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완충재삽입홈(71a, 72a, 73a)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KR1020180026073A 2018-03-06 2018-03-06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KR101898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73A KR101898912B1 (ko) 2018-03-06 2018-03-06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73A KR101898912B1 (ko) 2018-03-06 2018-03-06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912B1 true KR101898912B1 (ko) 2018-09-14

Family

ID=6359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73A KR101898912B1 (ko) 2018-03-06 2018-03-06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9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17U (ko) * 2007-03-16 2008-09-19 주식회사 대현상공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창문 스테이
JP2008308928A (ja) * 2007-06-15 2008-12-25 Nikken Sekkei Ltd 障子引寄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017U (ko) * 2007-03-16 2008-09-19 주식회사 대현상공 각도조절 기능을 갖는 창문 스테이
JP2008308928A (ja) * 2007-06-15 2008-12-25 Nikken Sekkei Ltd 障子引寄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3967A (ko) 완충기능을 가진 도어 힌지
EP4293186A2 (en) Snap-acting hinge with damped closure and opening angle of more than 90°
US6386613B1 (en) Truck rear door opening mechanism
KR102168868B1 (ko) 3중 연동도어 장치
JP2014517886A (ja) 特に家具等のための、扉を面一の閉状態にスライドさせる装置
RU2600922C2 (ru) Фурнитура для створки окна или двери, отставляемой в положении,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приближённом к параллельному, и горизонтально перемещаемой в этом параллельно-отставленном положении
US20050264144A1 (en) Cabinet door support mechanism
KR101898912B1 (ko) 개폐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되는 프로젝트창의 암조립체
KR200489028Y1 (ko)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KR200449560Y1 (ko) 개폐성능이 향상된 폴딩 도어
JPH035583A (ja) ドア、或いは、フラップを家具本体の支持壁にヒンジ止めするためのヒンジ
KR20200141357A (ko) 공용스토퍼를 구비한 미닫이문 완충구조
KR200489027Y1 (ko) 연동 도어용 완충장치
WO2022028528A1 (zh) 一种闭门器
US3224494A (en) Door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WO2021253569A1 (zh) 一种同步滑动机构、侧隐门系统及具有该侧隐门系统的柜体
KR102184819B1 (ko) 미닫이용 완충장치
JP4195464B2 (ja) 折戸システム
CN109838165B (zh) 一种上翻门铰链用的缓冲装置
IT1306463B1 (it) Dispositivo di azionamento di serramenti ad ante articolate, inparticolare di serramenti oscuranti esterni.
KR200361241Y1 (ko) 도어 완충기
CA2320649C (en) Truck rear door opening mechanism
CN217461813U (zh) 一种铰链及锁紧装置
CN215717985U (zh) 一种防火门窗的温控撑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