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528A - 아릴 디케토산(adk)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릴 디케토산(adk)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528A
KR20100029528A KR1020080088348A KR20080088348A KR20100029528A KR 20100029528 A KR20100029528 A KR 20100029528A KR 1020080088348 A KR1020080088348 A KR 1020080088348A KR 20080088348 A KR20080088348 A KR 20080088348A KR 20100029528 A KR20100029528 A KR 20100029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sars coronavirus
compound
phenyl
corona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5985B1 (ko
Inventor
정유훈
정용주
이채운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8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5985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5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릴디케토산 (aryl diketoacid, ADK)유도체를 포함하는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SARS)을 유발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 (SARS-coronavirus helicase, SCV Hel)에 대한 저해제 및/또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 아릴디케토산

Description

아릴 디케토산(ADK)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nhibiting SARS Coronavirus comprising aryl diketoacid derivatives}
본 발명은 아릴디케토산 (aryl diketoacid, ADK)유도체를 포함하는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SARS)을 유발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 (SARS-coronavirus helicase, SCV Hel)에 대한 저해제 및/또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사스)은 2002년 11월부터 중국 광동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하여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으며 발열과 기침, 호흡곤란, 비정형 폐렴 등 증상을 보이는 증후군이다. 아직까지는 치료법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없으며 일부 항균제나 항바이러스제와 함께 투여하여 치료를 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만족할 만하지 못하고 사망률이 높아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강력한 급성호흡기증후군의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하다.
일반적으로 코로노비리다에(Coronoviridae)는 외부에 엔빌로프(envelope)를 지닌 특유한 곤봉-모양 페플로머를 갖는 60-220nm 직경의 불규칙한 모양의 입자를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의 족으로서, 이 외부 엔빌로프가 바이러스에 왕관 같은 외형을 부여하며 이로부터 족명이 유래된다. 코로노비리다에는 코로나바이러스 및 토로바이러스 속을 포함한다. 코로나바이러스 속은 조류 감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 소과 코로나바이러스, 개과 코로나바이러스, 사람 코로나바이러스 299E, 사람 코로나바이러스 OC43, 뮤린 간염 바이러스, 래트 코로나바이러스, 돼지 적혈구응집 뇌척수염 바이러스 등을 포함하며; 토로바이러스 속은 Berne 바이러스 및 Breda 바이러스를 포함한다. 코로나비리다에 족의 일원들은 포유동물 및 새들을 광범하게 감염시키며, 호흡기 감염 및 장의 감염과 같은 질환을 야기한다.
최근에, 세계보건기구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중증 급성호흡기증후군이라고 명명한 비정형 바이러스 폐렴의 일종인 새로운 호흡기 질병에 대해 경고했다. 이 질병은 일반적으로 38℃ 이상의 열과 함께 시작되는데, 이것은 이따금 오한이나 두통, 권태감 또는 몸의 통증을 포함하는 다른 증상들을 수반하기도 한다. 마침내 감염된 개체는 건성의 비 생산성 기침을 나타낼 수 있으며, 감염된 사람은 호흡곤란을 경험할 수 있다. 지금까지 10-20%의 사례에서 환자들이 기계적 호흡을 필요로 했다. 대략 1,600명의 질환 사례 중에서 약 60명이 사망했다.
바이러스 헬리카제는 NTP를 가수분해하고 이 때 얻어지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핵산 이중 가닥을 푸는 활성을 보이며 이미 헤르페스 바이러스 (HSV) 및 C형 간염 바이러스 (HCV)의 헬리카제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후보물질들이 개발되어 임상 실험 중에 있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는 100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시스테인-리치 N-말단 메탈 결합 도메인(MBD), 힌지 도메인 그리고 NTPase/헬리케이즈 도메인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그 중에서 SCV 헬리카제 MBD에 Zn2 + 이온이 결합하는 것은 바이러스의 활성에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NTPase/helicase domain의 NTP 결합자리를 타깃으로 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제의 연구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지만, 지금까지 타깃의 3차원 구조조차 알려지지 않았을 정도로 많은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은 bismuth complexes (3.0~11.0 mM)[Chem. Comm. 2007, 4413-4415], HE602 (6.0 mM)[Chem . Biol . 2004, 11, 1293] 정도로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 저해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6366699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이고, R2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6-(CH2)n-R7 이며, R6는 O 또는 NH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6-(CH2)n-R7 이며, R6는 NH이고, n은 1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 바람직하고, 상기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 는 -R6-(CH2)n-R7 이고, R3는 수소이며, R4 및 R5는 수소이고, 여기서 R6는 NH이고, n은 1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6366699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이고, R2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6-(CH2)n-R7 이며, R6는 O 또는 NH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6-(CH2)n-R7 이며, R6는 NH이고, n은 1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 는 -R6-(CH2)n-R7 이고, R3는 수소이며, R4 및 R5는 수소이고, 여기서 R6는 NH이고, n은 1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할로겐"이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말하며, 염은 당업계에서 알려져 있는 다양한 유기 및 무기 반대 이온으로부터 유도되고, 단지 예의 방법으로써,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암모늄 및 테트라알킬암모늄을 포함하고; 분자가 염기성 기능기를 함유할 때,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타트타르산염,메실산염, 아세트산염, 말레산염 및 옥살산염와 같은 유기 또는 무기산의 염이 사용된다[Stahl and Wermuth,eds., "Handbook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2002), Verlag Helvetica Chimica Acta, Zurich,Switzerland, for an extensive discussion of pharmaceutical salts, their selection, preparation, and use] 참조.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질병의 "저해" 또는 "저해하는"이란 용어는 질병에 걸리기 쉽거나 질병의 증상이 아직 나타나지 않은 환자에서 질병이 발생하는 것으로부터 예방하는 것; 2) 질병을 억제 또는 그것의 진행을 저지하는 것; 또는 3) 질병을 완화 또는 퇴보를 야기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코로나바이러스'는 코로노비리다에 족의 어떤 일원을 포함하며, 제한은 없지만 코로나바이러스 속의 어떤 일원 및 토로바이러스 속의 어떤 일원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용어 '코로나바이러스'는 자연발생(예를 들어, 야생형) 코로나바이러스; 자연발생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체;및 선택에 의해 발생된 변이체, 화학적 변형에 의해 발생된 변이체, 및 유전적으로 변형된 변이체(예를 들어, 실험실에서 재조합 DNA 방법에 의해 변형된 코로나바이러스)를 포함하여 실험실에서 발생된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합물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또는 이들의 조성물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통상 전신적 또는 국소적으로, 경구 또는 비경구 형태로 투여된다.
투여량은, 연령, 체중, 증상, 치료 효과, 투여 방법 또는 처리 시간 등에 따라 다르다. 통상, 성인 1인당, 1회에 약 1㎎-1000㎎의 범위에서 1일 1회 내지 수회 경구 투여되거나, 또는 1회에 약 1㎎-100㎎의 범위에서 1일 1회 내지 수회 비경구 투여되거나, 또는 1일 1시간 내지 24시간의 범위에서 정맥 내에 지속 투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여량은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투여량보다 적은 양으로 충분한 경우도 있고, 또한 범위를 초과하여 필요한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된 개체(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체와 접촉한 개체)에서 바이러스 로드를 줄이거나, 및/또는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시간을 줄이거나, 및/또는 질병률이나 사망률을 줄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 후 약 1시간 내지 약 24시간,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약 48시간 내지 약 3일, 약 3일 내지 약 4일, 약 4일 내지 약 7일, 약 7일 내지 약 10일, 또는 약 10일 내지 약 14일에 시작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된 개체(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개체와 접촉한 개체)에서 임상적 휴유증(예를 들어, 사스)을 갖는 병적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할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는 노출 후 약 1시간 내지 약 45일에, 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 후 약 1시간 내지 약 24시간, 약 24시간 내지 약 48시간, 약 48시간 내지 약 3일, 약 3일 내지 약 4일, 약 4일 내지 약 7일, 약 7일 내지 약 10일, 약 10일 내지 약 14일, 약 14일 내지 약 21일, 또는 약 21일 내지 약 35일에 시작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을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되었된 개체에서, 바이러스 로드를 줄이거나, 및/또는 바이러스 클리어런스 시간을 줄이거나, 및/또는 질병률이 나 사망률을 줄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코로나바이러스에 노출 후 24시간 이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화합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 액제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 외용제, 좌제, 점안제,흡입제 등으로서 투여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에는, 정제, 알약, 캡슐제, 산제, 과립제 등이 포함된다.
캡슐제에는 하드 캡슐 및 소프트 캡슐이 포함된다.
이러한 고형제에 있어서, 1종 이상의 활성 물질(들)을 그 상태로, 또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락토스, 만니톨, 글루코오스,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전분 등), 결합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등), 붕해제 (글리콜산칼슘 셀룰로오스, 카르멜로오스,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등), 윤활제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등), 안정화제 또는 용해보조제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등) 등과 혼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제화한다. 필요에 따라서 코팅제 (백당, 젤라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등) 로 코팅하거나, 또는 이의 2 이상의 층으로 코팅할 수 있다. 그 밖에, 고형제를 젤라틴과 같이 흡수성 물질로 캡슐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제는, 약제적으로 허용되는 수제, 현탁제, 유제, 시럽제 또는 엘릭시르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제에 있어서는,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 (예, 정제수, 에탄올 또는 그의 혼합액 등) 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된다. 또 이 액제는, 습윤제 (글리세린, D-소르비톨, 프로필 렌글리콜 등), 현탁화제 (아라비아 고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포비돈 등), 유화제 (폴리소르베이트 80 등), 감미제 (과당, 포도당, 심플 시럽, 백당 등), 풍미제, 방향제, 보존제 (벤조산, 벤조산나트륨 등) 또는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아세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등)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주사제로는, 예컨대 용액, 현탁액, 유탁액 또는 사용시 용해 또는 현탁하여 사용하는 고형의 주사제를 포함한다. 주사제는, 하나 이상의 활성 물질을 가용제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시켜서 제조된다. 가용제로서, 예를 들어 주사용 증류수, 생리식염수, 식물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류 및 그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또, 이 주사제는, 안정화제 (에데트산나트륨, 티오글리콜산 등), 용해보조제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산, 폴리소르베이트 80, 프로필렌글리콜 등), 현탁화제 (아라비아 고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포비돈 등), 유화제 (폴리소르베이트 80 등), 무통화제 (벤질알코올 등), 등장화제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농축 글리세린, 만니톨 등),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아세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등) 또는 보존제 (클로로부탄올 등)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은 최종 공정에서 멸균되거나 무균조작법에 의해 조제된다. 또한 무균의 고형제, 예컨대 동결건조품을 제조하고, 사용 전에 무균화 또는 무균의 주사용 증류수 또는 다른 용제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흡입제로는 에어로졸제, 흡입용 분말제 또는 흡입용 액 제가 포함되고, 해당 흡입용 액제는 사용시에 물 또는 다른 적당한 매체에 용해 또는 현탁시킬 수 있다.
이들 흡입제는 공지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어, 흡입용 액제의 경우에는, 방부제 (염화벤잘코늄, 파라벤류 등), 착색제,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아세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붕산, 붕사 등), 등장화제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농축 글리세린, 만니톨 등), 증점제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등), 흡수촉진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흡입용 분말제의 경우에는, 윤활제 (스테아르산 및 그 염 등), 결합제 (전분, 덱스트린 등), 부형제 (유당, 셀룰로오스 등), 착색제, 방부제 (염화벤잘코늄, 파라벤류 등), 흡수촉진제 등의 하나 이상의 제제(들)을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다.
흡입용 액제를 투여할 때에는 통상 분무기 (예를 들어, 아토마이저, 네블라이저 등) 가 사용되고, 흡입용 분말제를 투여할 때에는 통상 분말약제용 흡입 투여기가 사용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그 밖의 제제로는, 외용액제, 연고제, 도포제, 스프레이제, 좌제, 질내 투여를 위한 페서리 등이 포함된다.
스프레이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희석제 이외에 안정화제 (아황산수소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에데트산나트륨 등), 완충제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 아세트산나트륨, 인산수소나트륨, 붕산, 붕사 등) 또는 등장화제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농축 글리세린, 만니톨 등)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스프레이제의 제조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2,868,691호 및 동 제3,095,355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NTP나 pyrophosphate의 bioisostere를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 저해제의 후보물질로 찾고자 하였고, pyrophosphate의 유사체로 잘 알려진 아릴 디케토산 (ADK)을 선정하였다. 아릴 디케토산 (ADK)은 활성자리 금속의 sequestration을 통해 HIV-1 integrase 와 HCV RdRp의 활성을 저해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도 1의 몇 가지 유도체에서 강력한 HCV RdRp 활성 저해능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발명자들은 아릴 디케토산 (ADK) 유도체들이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NTP 결합자리에 유사한 결합 구조를 가질 것이라 예상하고 그 저해능력을 직접 검증하기로 하였다.
본 발명은 HCV RdRp 의 저해제 [Bioorg . Med . Chem . Lett . 2008, In press; J.Med.Chem. 2004, 47, 14; J. Proc . Natl , Acad . Sci .U.S.A. 2002, 99, 6661; J.Clin.Virol. 2004, 30, 115; J. Med . Chem . 2005, 48, 6304]로 공지된 아릴 디케토산 (aryl diketoacid, ADK)유도체에 의한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의 저해도 측정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릴 디케토산 유도체들은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아세토피논으로 부터 세 단계에 걸친 통상적인 방법[Bioorg . Med . Chem . Lett . 2008, In press; J. Med . Chem. 2004, 47, 14]에 의해 합성된다.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클로닝과 정제는 공지된 방법[Angew . Chem . Int. Ed . 2007, 46, 6464]을 따랐으며 아릴 디케토산 유도체들의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 저해능력은 형광 공명 에너지 전달 현상에 기반을 둔 assay (FRET-based assay)[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8, 366, 738]에 의해 측정되었다.
아릴 디케토산 유도체들의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에 대한 저해능력을 검증한 결과 화합물 56은 100 mM 농도에서도 저해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화합물 4 (68 mM)와 9 (72 mM)의 저해 능력 역시 매우 낮았다. 화합물 11 (12 mM), 10 (19 mM) 그리고 7 (24 mM)은 실험에 이용한 화합물 중에서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3]. 화합물 6-9에서는 벤질기의 염소 유무에 따라 저해능력에 큰 차이가 보였다.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적절한 치환기를 도입한 아릴 디케토산 유도체들에 의한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 저해능을 나타내고,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하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O- benzylacetophenones (2, X=O, 도 2) N- benzylacetophenones (2, X=NH, 도 2)의 제조: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물질인 화합물 1(아세토페논;시그마알드리치, 미국)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녹인 후 탄산칼륨과 벤질브로미드 또는 4-클로로벤질브로미드를 가하여 60 ℃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물을 여과지에 걸러낸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실리카겔 관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정제한다.
실시예 2. 화합물 3 (도 2)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화합물 2와 소듐메톡시드를 테트라히드로퓨란에 녹여 상온에서 30분간 교반한 후 옥살산 디메틸 (dimethyl oxalate)을 천천히 가한다. 혼합물을 세 시간 동안 교반한 후에 1N 염산으로 산화시키고 아세트산에틸(EtOAc)로 추출해낸다. 추출해 낸 유기 층을 감압 농축하여 화합물 3을 얻는다.
실시예 3. 화합물 4-11 (도 2)의 제조:
상기 화합물 3을 물과 메탄올 1:1 혼합액에 녹인 후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여 세 시간동안 교반한다. 반응물을 ether로 씻어내고 1N 염산으로 산화시킨 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해낸다. 추출액을 감압 농축한 후 재결정시켜 화합물 4-11을 얻었다;
화합물 4 1H NMR (400 MHz, Acetone-d6) d 5.33 (s, 2H), 7.16 (s, 1H), 7.26 (d, J = 9.0 Hz, 2H), 7.40-7.49 (m, 3H), 7.56 (d, J = 7.4 Hz, 2H), 8.16 (d, J = 9.0 Hz, 2H);
5 1H NMR (400 MHz, MeOD) d 5.15 (s, 2H), 7.08 (d, J = 8.8 Hz, 2H), 7.37 (q, J = 8.5 Hz, 4H), 7.56 (s, 1H), 7.99 (d, J = 8.8 Hz, 2H);
6 1H NMR (400 MHz, CDCl3) d 5.14 (s, 2H), 7.15 (s, 1H), 7.24 (d, J = 2.5 Hz, 1H), 7.34-7.47 (m, 6H), 7.61 (dd, J = 4.3, 2.3 Hz, 2H);
7 1H NMR (400 MHz, CDDCl3) d 5.04 (s, 2H), 7.14 (d, J = 8.8 Hz, 1H), 7.30-7.35 (m, 5H), 7.53 (d, J = 7.2 Hz, 2H);
8 1H NMR (400 MHz, CDCl3) d 5.24 (s, 2H), 7.08-7.11 (m, 2H), 7.37 (d, J = 7.2 Hz, 1H), 7.42 (t, J = 7.1 Hz, 2H), 7.48-7.55 (m, 3H), 7.60 (s, 1H), 8.00 (dd, J = 8.1, 1.8 Hz, 1H);
9 1H NMR (400 MHz, Acetone-d6) d 5.35 (s, 2H), 7.15 (t, J = 7.4 Hz, 1H), 7.34 (d, J = 8.5 Hz, 1H), 7.44 (d, J = 9.3 Hz, 3H), 7.58-7.65 (m, 3H), 7.93 (dd, J = 7.8, 1.7 Hz, 1H);
10 1H NMR (400 MHz, Acetone-d6) d 4.44 (s, 2H), 6.97 (d, J = 6.1 Hz, 1H), 7.24-7.43 (m, 8H);
11 1H NMR (400 MHz, Acetone-d6) d 4.87 (s, 2H), 7.41-7.57 (m, 8H).
실시예 4. 아릴 디케토산 유도체의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 저해능력의 검증:
말단이 형광으로 표지된 두 개의 올리고 DNA를 합성(25개의 상보적인 염기쌍을 가지고 5번 말단의 20개 염기는 단일가닥 임)하고 PAGE 정제법으로 분리하였다: 5′-20T25Tam (5′-TTTTTTTTTTTTTTTTTTTTGAGCGGATTACTATACTACATTAGA (TAMRA)-3′;서열번호 1), 3′-0T25Flu (5′-(Fluorescein)TCTAATGTAGTATAGTAATCCGCTC-3′;서열번호 2). 이중가닥 DNA 기질을 준비하기위해 두개의 올리고 DNA는 1.2 : 1의 비율 (5′-20T25Tam : 3′-0T25Flu, 3′-0T25Flu의 농도가 5.0 mM)로 혼합하여 95 ℃로 가열하고 37 ℃로 한 시간 동안 식히는 어닐링 과정을 거친다. 이중 가닥 DNA의 풀어헤침 반응은 상온에서 80 ml의 혼합물(150 nM SCV Hel, 1 mM MgCl2, 9 mM ATP, 5 mM DTT, 다양한 농도의 합성 화합물, 20 mM HEPES(pH 7.4))을 만드는 것으로 시작된다. 반응 혼합액을 10분 동안 배양시킨 후 20 nM 이중가닥 DNA 기질(20 ml)을 첨가한다. 반응 용액을 37 ℃에서 2분간 반응시킨 후 100 ml의 반응정제용액(0.1 M EDTA, 0.4 mM trap DNA, 20mM HEPES (pH 7.4))으로 정제하였다. 형광광도계(Ex = 485 nm / Em = 535 nm)를 이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 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아릴 디케토산(ADK)과 UTP (uridine 5'-triphosphate)가 HCV RdRp의 활성화 자리에 결합된 분자 모델링 연구 결과를 설명한다.
도 2는 아릴 디케토산 유도체의 HCV RdRp 활성 저해능을 설명한다.
도 3은 화합물 4-11의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 저해능력을 설명한다.
도 4는 화합물 4-11에 의한 IC50 수치를 표로 나타내었다.
<110> Konkuk University Industrial Cooperation Corp. <120> Composition for inhibiting SARS Coronavirus comprising aryl diketoacid derivatives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4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0T25Tam <400> 1 tttttttttt tttttttttt gagcggatta ctatactaca ttaga 45 <210> 2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0T25Flu <400> 2 tctaatgtag tatagtaatc cgctc 25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 저해제;
    [화학식 1]
    Figure 112008063666997-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이고, R2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6-(CH2)n-R7 이며, R6는 O 또는 NH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6-(CH2)n-R7 이며, R6는 NH이고, n은 1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 의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 저해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 는 -R6-(CH2)n-R7 이고, R3는 수소이며, R4 및 R5는 수소이고, 여기서 R6는 NH이고, n은 1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헬리카제의 DNA 이중가닥 풀림 활성 저해제.
  4.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63666997-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이고, R2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6-(CH2)n-R7 이며, R6는 O 또는 NH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 내지 R5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R6-(CH2)n-R7 이며, R6는 NH이고, n은 1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R1은 수소이고, R2 는 -R6-(CH2)n-R7 이고, R3는 수소이며, R4 및 R5는 수소이고, 여기서 R6는 NH이고, n은 1이며, R7은 페닐 또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스 코로나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KR1020080088348A 2008-09-08 2008-09-08 아릴 디케토산(adk)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KR101045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48A KR101045985B1 (ko) 2008-09-08 2008-09-08 아릴 디케토산(adk)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348A KR101045985B1 (ko) 2008-09-08 2008-09-08 아릴 디케토산(adk)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528A true KR20100029528A (ko) 2010-03-17
KR101045985B1 KR101045985B1 (ko) 2011-07-04

Family

ID=42179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348A KR101045985B1 (ko) 2008-09-08 2008-09-08 아릴 디케토산(adk)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59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753A (ko) 2021-10-31 2023-05-09 박성현 한 병의 막걸리로 5가지 맛을 즐길 수 있는 막걸리 샘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132B1 (ko) 2021-02-23 2022-09-29 (주) 칼리시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연구된 헬리케이즈 (Helicase, NSP13) 억제 활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753A (ko) 2021-10-31 2023-05-09 박성현 한 병의 막걸리로 5가지 맛을 즐길 수 있는 막걸리 샘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5985B1 (ko) 201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85340A1 (en) Hepatitis c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30199503A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prevention of flavivirus infections
US20050261251A1 (en) Antiviral agents and methods of treating viral infections
CA2761130A1 (en) Anti-inflammatory agents as virostatic compounds
US8765941B2 (en) Aniline derivative having anti-RNA viral activity
KR20000067954A (ko) 인플루엔자를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
KR101045985B1 (ko) 아릴 디케토산(adk)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 저해용 조성물
KR100356443B1 (ko) 페스티바이러스감염증및이와관련된질병의예방및치료방법
IL237119A (en) Heterocyclic carboxamides for the treatment of viral diseases
EP1220848B1 (en) N-arymethylthioanilide compounds useful for the inhibition of the replication of hiv
JP2014532636A (ja) ウイルス感染の処置のためのヌクレオシドアナログおよび該処置に対する感受性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
EP3050871B1 (en) Novel bis-amide derivative and use thereof
WO2001014368A1 (en)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influenza
JP5374685B2 (ja) 新規hcvエントリー阻害剤
AU2013219202B2 (en) Hepatitis C antivir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20080058714A (ko) 사스 코로나 바이러스의 rna 유사매듭구조에 결합하여 리보솜 틀 이동을 억제하는 호모피페라진계 화합물
KR20130139199A (ko) C형 간염 바이러스의 게놈 복제의 선택적 저해 활성을 갖는 인돌계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33956A1 (en) Ezetimibe for treating enveloped virus infections
JP2023128167A (ja) 抗ウイルス剤
EP1844776A1 (en) Agent for prevention/treatment of disease caused by acyclovir-resistant herpesvirus
JPH03236366A (ja) グアニジノベンゼン誘導体
JP2005060362A (ja) セスキテルペン誘導体を含有する抗HIV剤、抗BVDV剤、抗HCV剤又は抗CoV剤
JPH09508150A (ja) B型肝炎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チオケテン誘導体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