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9339A - 펌핑용기 - Google Patents

펌핑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9339A
KR20100029339A KR1020080088084A KR20080088084A KR20100029339A KR 20100029339 A KR20100029339 A KR 20100029339A KR 1020080088084 A KR1020080088084 A KR 1020080088084A KR 20080088084 A KR20080088084 A KR 20080088084A KR 20100029339 A KR20100029339 A KR 20100029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ump
suction port
suction pipe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666B1 (ko
Inventor
최제인
Original Assignee
최제인
최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제인, 최재석 filed Critical 최제인
Priority to KR1020080088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66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9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9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59Components or details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for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28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 B05B11/1032Pumps having a pumping chamber with a deformable wall actuated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allowing operation in any orientation, e.g. discharge in inverted position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샴푸, 린스 및 물비누와 같은 세제 등의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 및 상기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펌프로 구성된 펌핑용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용기는 펌프의 하부 또는 저면에 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펌프의 흡입구로 안내되게 하되, 상기 펌프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게 용기가 세워졌을 때에는 폐쇄되고, 상기 펌프가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게 용기가 세워졌을 때에는 개방되는 상부 밸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펌핑용기는 용기의 수용부에 담긴 내용물을 펌프를 사용하여 대부분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종래와 같이 용기로부터 펌프를 분리시키면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펌핑용기, 펌프, 용기, 흡입관, 상부 밸브, 하부 밸브, 내용물

Description

펌핑용기{PUMPING VESSEL}
본 발명은 샴푸, 린스 및 물비누와 같은 세제 등의 액상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 및 상기 액상의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펌프로 구성된 펌핑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바닥에 펌핑되지 않는 액상의 내용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펌핑용기에 관한 것이다.
로션, 향수, 샴푸, 린스 및 액체 세제 등은 대부분 일정 용기에 담겨 보관되고 필요시에는 용기의 입구를 통해 일정량씩 배출되어 사용된다. 이때 용기는 담기는 내용물의 용도와 화학적인 성질에 따라 합성수지, 금속, 유리 및 세라믹과 같은 재질 중에서 선택되어 제작된다.
이러한 용기에는 내부에 담긴 내용물이 정량씩 배출되도록 펌프가 사용되기도 하며, 이와 같이 펌프가 사용되는 용기를 펌핑용기라 한다.
상기 펌핑용기는 펌프를 1회 누를 때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용물의 불필요한 사용을 막을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내용물을 사용할 때 용기를 개방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용기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휘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용기를 개방함으로 인해 상기 휘발성 물질이 대기중으로 승화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내용물의 성분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그 사용 및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유용한 물품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기존의 펌핑용기(10)는 상부에 개구부(2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부(22)가 형성된 용기(20), 상기 용기(20)의 상부 개구부(21)에 체결되는 펌프(40) 및 상기 펌프(40)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안내하는 흡입관(3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펌핑용기(10)는 펌프(40)의 누름구(41)를 1회 누를 때마다 일정량의 내용물이 펌프(40)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핑용기(10)는 흡입관(30)의 하단부와 용기(20)의 바닥 사이에만 내용물이 남아있을 경우에는 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흡입관(30)의 길이를 길게 한다 하여도 흡입관(30)의 흡입구(31)가 용기 바닥에 닿도록 할 수는 없다. 이는 흡입관(30)의 흡입구(31)와 용기(20) 내부의 바닥면 사이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어야만 흡입관(30)으로 용기(20) 내부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펌핑용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펌핑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펌프(40)에 의해 배출되지 않을 정도로 남아 있게 되면 용기(20)로부터 펌프(40)를 분리시킨 뒤 용기(20)의 개구부(21)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시켜 사용해야했다.
이와 같이 펌프(40)를 용기(20)로부터 분리시켜 사용하는 것은 펌프(40)가 부착되지 않은 용기(20)를 사용하는 것보다 불편한 것은 물론, 용기(20)로부터 분리시킨 펌프(40)의 흡입관(30)에 묻어 있는 내용물이 용기(20) 주변의 다른 물품들에 묻을 수 있으므로 위생상으로도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기의 하부 형상을 변화시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의 한 지점으로 모이게 한 뒤 흡입관의 흡입구를 상기 용기의 한 지점에 위치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내용물의 대부분이 펌프에 의해 배출되게 하는 발명이 제안되어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제안에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186781호 '배출펌프를 갖는 액상물 포장용기' 와 국내 특허출원 제2003-88813호 '내용물이 한 곳으로 모이는 용기' 등이 있으며, 이들 제안된 발명은 모두 용기(20)의 내측 하부면에 용기(20) 내부의 내용물들이 용기(20)의 중앙 또는 일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경사면(23)을 형성시키고 상기 경사면(23)에 의해 형성되는 저점의 한 지점(24)에 흡입관(30)의 흡입구(31)를 위치시켜 용기(20) 내부의 내용물들이 펌프(40)에 의해 대부분 배출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종래 기술에 의한 용기(20)는 소비자로 하여금 판매자가 내용물의 양을 적게 포장하려는 속임수를 쓰고 있는 것으로 오인하게 할 여지가 있고, 실제로도 소비자들 중 일부는 상기 제안된 펌핑용기(10)의 편의성과 실용성보다는 판매자의 상술에 의해 사용되는 속임수로 인식하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판매자들은 소비자의 이러한 불신을 피하기 위해 상기 제안된 용기의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여전히 종래와 같은 펌핑용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펌핑용기는 종래와 같이 일반적인 용기에 펌프가 체결된 형태로 제작되고 있고, 일부 사용자들은 용기에서 펌프를 분리시키는 것이 번거로워 펌프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내용물은 사용하지 않고 버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사용되지 않고 버려지는 내용물로 인해 자원이 낭비되는 것은 물론, 이러한 내용물로 인해 환경이 파괴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 내부의 액상의 내용물을 펌프를 통해 대부분 용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용기의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소비자로부터 판매자가 용량을 속이려 한다는 오해를 받지 않게 하는 펌핑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용기는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의 수용부에 담기 내용물을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담긴 내용물이 흡입되는 제 1 흡입구와 흡입된 내용물을 펌프로 공급하는 배출구로 구성된 흡입관을 포함하는 펌핑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하부 또는 저면에 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펌프의 흡입구로 안내되게 하되, 상기 펌프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게 용기가 세워졌을 때에는 폐쇄되고, 상기 펌프가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게 용기가 세워졌을 때에는 개방되는 상부 밸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배출구에 인접한 측면에 형성된 제 2 흡입구, 상기 제 2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관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 2 흡입구의 상부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 2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제 1 덮개를 포함하는 제 1 상 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덮개에는 상기 흡입관에 형성된 제 2 흡입구와 접하는 면에 연질의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밸브는 상기 펌프의 흡입구와 연통되는 제 3 흡입구, 상기 제 3 흡입구와 접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볼 수용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기 제 1 볼 수용부와 연통되는 제 4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볼 수용부에는 제 3 흡입구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제 1 볼이 구비된 제 2 상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배출구에 인접한 측면에 형성된 제 5 흡입구 및 상기 흡입관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이면서 상기 흡입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5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제 2 덮개로 구성된 제 3 상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펌핑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펌프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상기 펌프가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하부 밸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흡입구 및 상기 제 1 흡입구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펌프가 용기의 저면에 위치되는 경우 중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 1 흡입구를 폐쇄시키는 제 3 덮개를 포함하는 제 1 하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덮개에는 상기 흡입관에 형성된 제 1 흡입구와 접하는 면에 연질의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제 1 흡입구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 단턱, 상기 제 2 단턱의 하부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폐쇄된 제 2 볼 수용부, 상기 제 2 볼 수용부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제 6 흡입구 및 상기 제 2 볼 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펌프가 지면을 향하도록 용기가 세워지는 경우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제 1 흡입구를 폐쇄시키는 제 2 볼로 구성된 제 2 하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하단부 측면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 3 단턱, 상기제 3 단턱과 흡입관의 단부의 사이 측면에 형성된 제 7 흡입구 및 흡입관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이면서 상기 흡입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7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제 7 덮개로 구성된 제 3 하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펌핑용기는 용기의 수용부에 담긴 내용물을 펌프를 사용하여 대부분 배출시킬 수 있게 하여 종래와 같이 용기로부터 펌프를 분리시키면서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펌핑용기는 종래에 사용되던 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로 하여금 판매자가 용량을 속인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핑용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핑용기에 상부 밸브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펌핑용기의 상부 밸브에 제 1 상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a은 도 3에 도시된 펌핑용기의 상부 밸브에 제 2 상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도 3에 도시된 펌핑용기의 상부 밸브에 제 3 상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도 3에 도시된 펌핑용기의 흡입관 하단부에 하부 밸브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a는 도 8a의 펌핑용기의 하부 밸브에 제 1 하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a는 도 8a의 펌핑용기의 하부 밸브에 제 2 하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a는 도 8a의 펌핑용기의 하부 밸브에 제 3 하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핑용기(100)는 용기(200), 펌프(400), 흡입관(300), 상부 밸브(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용기(200)는 종래 사용되는 용기와 동일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개구부(20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내용물이 담길 수 있도록 일정 용적의 수용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펌프(400)는 상기 용기(200)의 개구부(201)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펌프(400)의 누름구(420)를 작동시키면 일정량의 내용물이 용기(200)의 밖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펌프(400)의 작동원리는 종래 사용되던 펌프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펌프(400)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흡입관(300)은 상기 용기(200)의 내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단부에는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이 흡입되는 제 1 흡입구(301)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흡입된 내용물을 펌프(400)의 흡입구(410)로 배출시키는 배출구(302)가 형성된다.
이러한 흡입관(300)은 통상 원형의 관으로 제작되고, 상기 상단부에 형성된 배출구(302)가 상기 펌프(400)의 흡입구(410)에 결합되며 하단부에 형성된 제 1 흡입구(301)는 용기(200)의 내부 저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펌핑용기(100)에는 펌프(400)의 위치에 따라 개방 및 폐쇄되는 상부 밸브(500)가 펌프(400)와 흡입관(300)의 배출구(302)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 밸브(500)는 상기 펌프(400)의 하부 또는 펌프(400)의 저면에 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액상의 내용물이 펌프(400)의 작동에 의해 펌프(400)의 내부로 안내되게 하되, 상기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폐쇄되고, 상기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게 구성된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설명된 상부 밸브(500)의 일 실시예인 제 1 상부 밸브(510)는 상기 흡입관(300)의 상부 측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흡입관(300)의 배출구(302)에 인접한 측면에 형성된 제 2 흡입구(511), 상기 제 2 흡입구(511)가 형성된 흡입관(300)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 1 덮개(5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덮개(513)는 상기 제 2 흡입구(511)의 상부에 피벗결합되어 피벗축(515)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상부 밸브(510)의 제 1 덮개(513)에는 상기 제 2 흡입구(511)와 접하는 면에 연질의 패드(517)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패드(517)는 제 2 흡입구(511)가 사용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흡입구(511)를 통해 용기(200) 내부에 존재하는 내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패드(517)에 의해 제 2 흡입구(511)가 더욱 견고하게 밀폐되게 하여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이 원활하게 펌프(400)로 유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상부 밸브(510)는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면 제 1 덮개(513)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회전되어 제 2 흡입구(511)를 폐쇄시킨다. 이때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펌프(400)의 흡입력에 의해 제 1 덮개(513) 가 제 2 흡입구(511)에 더욱 밀착되어 제 1 상부 밸브(510)는 더욱 견고하게 폐쇄되고,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펌프(400)로 유입된다.
반대로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 1 덮개(513)는 중력에 의해 회전되어 제 2 흡입구(511)로부터 멀어지고 제 2 흡입구(511)는 개방된다. 또한,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중력에 의해 펌프(400)와 인접한 용기(200)의 개구부(201)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된 내용물은 상기 제 1 상부 밸브(510)의 제 2 흡입구(511)의 주변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제 2 흡입구(511)를 통해 펌프(4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밸브(500)의 다른 실시예인 제 2 상부 밸브(520)는 상기 흡입관(3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관(300)의 측면 또는 펌프(400)의 흡입구(410) 측면에 상하로 형성된 제 1 볼 수용부(522), 상기 제 1 볼 수용부(522)와 펌프(400)의 흡입구(410)가 연통되게 형성된 제 3 흡입구(524), 상기 제 1 볼 수용부(522)와 상기 용기(200)의 내부가 연통되게 형성된 제 4 흡입구(526) 및 상기 제 1 볼 수용부(522)의 내부에서 중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제 3 흡입구(524)를 개폐시키는 제 1 볼(52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 상부 밸브(520)는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면 중력에 의해 제 1 볼(528)이 제 1 볼 수용부(522)를 따라 제 3 흡입 구(524)에 접하게 이동되고, 제 1 볼(528)에 의해 제 3 흡입구(524)는 폐쇄된다. 이 경우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제 3 흡입구(524)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들은 흡입관(300)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펌프(400)로 유입된다.
반대로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중력에 의해 제 1 볼(528)은 제 3 흡입구(524)로부터 멀어지고 제 3 흡입구(524)는 개방되며,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중력에 의해 용기(200)의 입구 주변으로 이동되어 제 2 상부 밸브(520)의 제 4 흡입구(526) 주변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제 4 흡입구(526)와 제 3 흡입구(524)를 통해 펌프(400)로 유입되어 용기 외부로 배출된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밸브(500)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 3 상부 밸브(530)는 상기 흡입관(300)의 배출구(302)에 인접한 측면에 형성된 제 5 흡입구(531) 및 상기 흡입관(300)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이며 상기 흡입관(30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5 흡입구(531)를 개폐시키는 제 2 덮개(533)로 구성된다.
상기 제 3 상부 밸브(53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 5 흡입구(531)는 상기 펌프(400)의 저면과 동일 또는 저면에 근접하는 위치에 펌프(400)의 흡입구(410) 내부와 용기(200) 내부가 연통되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 2 덮개(533)는 상기 흡입관(300)을 따라 중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제 5 흡입구(531)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2 덮개(533)는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중력에 의해 상기 제 5 흡입구(531) 아래로 이동되어 제 5 흡입구(531)를 개방시키게 되고, 상기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면 다시금 상기 제 5 흡입구(531)가 형성된 곳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5 흡입구(531)를 폐쇄시킨다.
즉,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면 제 3 상부 밸브(530)는 제 2 덮개(533)가 제 5 흡입구(531)를 덮어 제 3 상부 밸브(530)는 폐쇄된다. 이 경우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펌프(400)로 공급되어 용기(200) 밖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관(300)의 측면에는 제 2 덮개(533)가 제 5 흡입구(531)의 측면의 일정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일정 위치에 제 1 단턱(535)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단턱(535)은 흡입관(300)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경우와 반대로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제 3 상부 밸브(530)는 제 2 덮개(533)가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제 5 흡입구(531)로부터 멀어지게 되므로 제 5 흡입구(531)는 개방되고,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 역시 중력에 의해 용기(200)의 개구부(201)와 상기 제 3 상부 밸브(530)의 제 5 흡입구(531) 부분으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펌프(400)가 작동되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제 3 상부 밸브(530)의 제 5 흡입구(531)를 통해 펌프(400)로 유입되어 용기(200)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상부 밸브(510) 내지 제 3 상부 밸브(530)로 구성 된 상부 밸브(500)는 모두 중력에 의해 작동되어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으로서, 용기(200)의 형상, 크기 및 용기(200)의 내부에 담기는 액상 내용물의 점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 밸브(500)가 사용된 펌핑용기(100)의 사용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펌핑용기(100)는 용기(200)의 수용부(202)에 내용물이 충분히 담겨 있는 경우 용기(200)의 상부에 펌프(400)가 위치되게 한다. 이러한 경우 상부 밸브(500)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모두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유입되어 펌프(400)에 공급된다.
그러나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200)의 하부와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 사이에만 남아 있는 경우에는 용기(200)를 뒤집어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중력에 의해 용기(200)의 개구부(201) 부근으로 이동되고, 상기 상부 밸브(500)는 중력에 의해 개방된다. 따라서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위해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상기 내용물은 상기 상부 밸브(500)를 통해 펌프(400)로 공급되어 용기(2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용기(200)의 개구부(201)가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를 향하게 되면, 상기 개구부(201) 부근 의 경사면으로 인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이 상부 밸브(500)의 주변에 모이기에 더욱 용이하므로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을 대부분 펌프(40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제 1 상부 밸브(510) 내지 제 3 상부 밸브(530)로 구성된 상부 밸브(500)가 구비된 펌핑용기(100)의 내부에는 하부 밸브(6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밸브(600)는 용기(200) 내부의 흡입관(300)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흡입구(30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를 폐쇄시켜 용기(200) 내부에 존재하는 내기가 상기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와 같이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에 하부 밸브(600)를 설치시키는 것은 펌프(400)를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게 한 후 펌프(400)를 작동시켜 상부 밸브(500)를 통해 내용물이 펌프(400)로 공급되게 할 때 용기(200) 내부의 내기가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펌프(4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펌프(400)의 흡입력이 상부 밸브(500)로 집중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하부 밸브(600)는 용기(2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펌프(400)로 안내되게 하되, 상기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상기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폐쇄되게 하여, 펌프(400)가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용기(200) 내부의 내기가 펌프(4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 해 설치된다.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설명된 하부 밸브(600)의 일 실시예인 제 1 하부 밸브(610)는 상기 흡입관(300)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흡입구(301) 및 상기 제 1 흡입구(301)의 측면에서 회전가능하게 피벗결합되어 피벗축(615)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흡입구(301)를 개폐시키는 제 3 덮개(61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하부 밸브(610)의 제 3 덮개(613)는 상기 제 1 흡입구(301)와 접하는 면에 연질의 패드(617)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패드(617)를 설치하는 것은 제1 흡입구(410)가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제 1 흡입구(301)가 더욱 견고하게 밀폐되게 하여 용기 내부의 내기가 상기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하부 밸브(610)는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면 제 3 덮개(613)가 중력에 의해 하부로 회전되어 제 1 흡입구(301)가 개방되고, 상부 밸브(500)는 중력에 의해 폐쇄된다. 이러한 경우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펌프(400)의 흡입력에 의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상기 제 1 하부 밸브(610)를 구성하는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펌프(4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반대로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 3 덮개(613)는 중력에 의해 회전되어 제 1 흡입구(301)를 덮개 되고 제 1 하부 밸브(610)는 폐쇄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밸브(500)는 개방되고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용기(200)의 개구부(201) 방향으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개방 된 상부 밸브(500)를 통해 펌프(400)로 유입되고,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는 제 1 하부 밸브(610)의 제 3 덮개(613)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용기(200) 내부의 내기가 흡입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에서 제 3 덮개(613)의 내부에 설치된 패드(617)는 상기 제 1 흡입구(301)와 제 3 덮개(613)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주고, 이로 인해 용기(200) 내부의 내기가 흡입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밸브(600)의 다른 실시예인 제 2 하부 밸브(620)는 상기 흡입관(3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 단턱(622), 상기 제 2 단턱(622)의 하부로 연장되고 단부가 폐쇄된 제 2 볼 수용부(624), 상기 제 2 볼 수용부(624)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제 6 흡입구(626) 및 상기 제 2 볼 수용부(624)의 내부에 구비되고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제 1 흡입구(301)를 폐쇄시키는 제 2 볼(62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2 하부 밸브(620)의 작동을 살펴보면,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면 중력에 의해 제 2 볼(628)은 제 2 볼 수용부(624) 내부에서 상기 제 6 흡입구(626)의 하부로 이동되고 제 2 하부 밸브(620)의 제 6 흡입구(626) 및 제 1 흡입구(301)는 개방된다. 또한, 흡입관(300)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밸브(500)는 폐쇄된다.
이러한 경우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상기 제 2 하부 밸브(620)의 제 6 흡입구(626) 및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펌프(400)로 유입되어 용기(2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반대로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 2 볼(628)은 중력에 의해 제 1 흡입구(301)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2 단턱(622)에 접하게 되면서 제 1 흡입구(301)를 폐쇄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 밸브(500)는 개방된다.
이와 같은 경우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개방된 상부 밸브(500)를 통해 펌프(400)로 유입되어 용기(200) 외부로 배출되고, 제 2 하부 밸브(620)는 제 1 흡입구(301)가 제 2 볼(628)에 의해 폐쇄되며, 인해 흡입관(300)으로 용기(200) 내부의 내기가 흡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 11a와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하부 밸브(600)의 또 다른 실시예인 제 3 하부 밸브(630)는 하단부가 폐쇄된 흡입관(300)의 측면에 형성된 제 7 흡입구(631) 및 상기 흡입관(300)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이면서 상기 흡입관(300)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7 흡입구(631)를 개폐시키는 제 4 덮개(63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제 4 덮개(633)는 상기 흡입관(300)의 측면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흡입관(300)에는 상기 제 7 흡입구(631)를 경계로 상부에는 제 3 단턱(635)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 4 단턱(63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7 흡입구(631)는 상기 제 3 단턱(635)에 근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4 단턱(637)은 제 4 덮개(633)가 접하게 되었을 때 제 7 흡입 구(631)가 완전히 개방될 정도로 제 7 흡입구(631)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3 하부 밸브(630)의 작동을 설명하면, 펌프(400)가 용기(200)의 상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 3 하부 밸브(630)는 제 4 덮개(633)가 중력에 의해 흡입관(300)의 하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흡입관(300) 단부의 제 4 단턱(637)에 지지되고 제 7 흡입구(631)는 개방된다. 또한, 제 3 하부 밸브(630)가 개방되면 흡입관(300) 상부의 상부 밸브(500)는 중력으로 인해 폐쇄된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흡입관(300) 단부의 제 7 흡입구(631)를 통해 유입되어 펌프(400)로 공급된 뒤 용기(2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반대로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 3 하부 밸브(630)는 제 4 덮개(633)가 중력에 의해 흡입관(300)의 상단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 3 단턱(635)에 지지되어 제 7 흡입구(631)를 덮개 되므로 폐쇄된다. 또한, 제 3 하부 밸브(630)가 폐쇄되면 흡입관(300) 상부의 상부 밸브(500)는 중력으로 인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상부 밸브(500)를 통해 용기(200)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 밸브(500)와 하부 밸브(600)가 구비된 펌핑용기(100)의 사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펌핑용기(100)는 용기(200)의 수용부(202)에 내용물이 충분히 담겨 있는 경우에는 용기(200)의 상부에 펌프(400)가 위치되게 사용된다. 이때 용기(200) 내부에 설치된 상부 밸브(500)는 중력에 의해 폐쇄되고 하부 밸브(600)는 개방된다.
따라서 용기(200) 상부의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개방된 하부 밸브(600)를 통해 흡입되어 펌프(400)로 공급된 뒤 용기(2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반대로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이 용기(200) 하부면과 흡입관(300)의 하단부에 구비된 하부 밸브(600)의 사이에만 위치되는 경우에는 용기(200)를 뒤집어 펌프(400)를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게 한다. 이와 같이 펌프(400)가 용기(200)의 하부에 위치되면 용기(200) 내부의 내용물은 중력에 의해 용기(200)의 개구부(201) 부근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부 밸브(500)는 중력에 의해 개방되고 하부 밸브(600)는 상부 밸브(500)와는 반대로 폐쇄된다. 이러한 경우 펌프(400)를 작동시키면 하부 밸브(600) 주변의 내용물은 상부 밸브(500)를 통해 펌프(400)로 공급되어 배출된다.
상기에서 하부 밸브(600)가 폐쇄되게 한 것은 상부 밸브(500)를 통해 내용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흡입관(300)의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용기(200) 내부의 내기가 펌프(4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같이 내기가 제 1 흡입구(301)를 통해 유입되지 않으므로 상부 밸브(500)를 통해 내용물이 펌프(400)로 용이하게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특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펌핑용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펌핑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핑용기에 상부 밸브가 부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a는 도 3에 도시된 펌핑용기의 상부 밸브에 제 1 상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a은 도 3에 도시된 펌핑용기의 상부 밸브에 제 2 상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도 3에 도시된 펌핑용기의 상부 밸브에 제 3 상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도 3에 도시된 펌핑용기의 흡입관 하단부에 하부 밸브가 구비된 것 을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도 8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a는 도 8a의 펌핑용기의 하부 밸브에 제 1 하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a는 도 8a의 펌핑용기의 하부 밸브에 제 2 하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a는 도 8a의 펌핑용기의 하부 밸브에 제 3 하부 밸브가 사용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펌핑용기가 용기의 하부에 펌프가 위치되게 세워진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펌핑용기 200: 용기
201: 개구부 202: 수용부
300: 흡입관 301: 제 1 흡입구
302: 배출구 400: 펌프
410: 흡입구 420:누름구
500: 상부 밸브 510: 제 1 상부 밸브
511: 제 2 흡입구 513: 제 1 덮개
515: 피벗축 517: 패드
520: 제 2 상부 밸브 522: 제 1 볼 수용부
524: 제 3 흡입구 526: 제 4 흡입구
528: 제 1 볼 530: 제 3 상부 밸브
531: 제 5 흡입구 533: 제 2 덮개
535: 제 1 단턱 600: 하부 밸브
610: 제 1 하부 밸브 613: 제 3 덮개
615: 피벗축 617: 패드
620: 제 2 하부 밸브 622: 제 2 단턱
624: 제 2 볼 수용부 626: 제 6 흡입구
628: 제 2 볼 630: 제 3 하부 밸브
631: 제 7 흡입구 633: 제 4 덮개
635: 제 3 단턱 637: 제 4 단턱

Claims (10)

  1.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액상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부가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체결되고 상기 용기의 수용부에 담기 내용물을 외부로 일정량씩 배출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의 작동에 의해 상기 수용부에 담긴 내용물이 흡입되는 제 1 흡입구와 흡입된 내용물을 펌프로 공급하는 배출구로 구성된 흡입관을 포함하는 펌핑용기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하부 또는 저면에 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상기 펌프의 흡입구로 안내되게 하되, 상기 펌프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게 용기가 세워졌을 때에는 폐쇄되고, 상기 펌프가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게 용기가 세워졌을 때에는 개방되는 상부 밸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배출구에 인접한 측면에 형성된 제 2 흡입구, 상기 제 2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관의 외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 2 흡입구의 상부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 2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제 1 덮개를 포함하는 제 1 상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에는 상기 흡입관에 형성된 제 2 흡입구와 접하는 면에 연질 의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밸브는 상기 펌프의 흡입구와 연통되는 제 3 흡입구, 상기 제 3 흡입구와 접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볼 수용부 및 상기 용기의 내부와 상기 제 1 볼 수용부와 연통되는 제 4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볼 수용부에는 제 3 흡입구를 개폐하는데 사용되는 제 1 볼이 구비된 제 2 상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배출구에 인접한 측면에 형성된 제 5 흡입구 및 상기 흡입관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이면서 상기 흡입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5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제 2 덮개로 구성된 제 3 상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용기 내부에 설치되는 흡입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펌프가 용기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상기 펌프가 용기의 하부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하부 밸브;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하부에 형성된 제 1 흡입구 및 상기 제 1 흡입구의 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펌프가 용기의 저면에 위치되는 경우 중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 1 흡입구를 폐쇄시키는 제 3 덮개를 포함하는 제 1 하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덮개에는 상기 흡입관에 형성된 제 1 흡입구와 접하는 면에 연질의 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제 1 흡입구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 2 단턱, 상기 제 2 단턱의 하부로 연장되고 하단부가 폐쇄된 제 2 볼 수용부, 상기 제 2 볼 수용부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제 6 흡입구 및 상기 제 2 볼 수용부의 내부에 구비되고 펌프가 지면을 향하도록 용기가 세워지는 경우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상기 제 1 흡입구를 폐쇄시키는 제 2 볼로 구성된 제 2 하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밸브는 상기 흡입관의 하단부 측면 외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 3 단턱, 상기제 3 단턱과 흡입관의 단부의 사이 측면에 형성된 제 7 흡입구 및 흡입관의 외부 단면과 동일한 내부 단면을 가진 관 형상이면서 상기 흡입관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7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제 7 덮개로 구성된 제 3 하부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핑용기.
KR1020080088084A 2008-09-08 2008-09-08 펌핑용기 KR100986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084A KR100986666B1 (ko) 2008-09-08 2008-09-08 펌핑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084A KR100986666B1 (ko) 2008-09-08 2008-09-08 펌핑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9339A true KR20100029339A (ko) 2010-03-17
KR100986666B1 KR100986666B1 (ko) 2010-10-13

Family

ID=4217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084A KR100986666B1 (ko) 2008-09-08 2008-09-08 펌핑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6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7210A (ja) * 1993-12-27 1995-07-25 Masanobu Iguchi 液体容器
KR100284813B1 (ko) * 1999-03-17 2001-03-15 이정기 도립시에도 사용할 수 있는 수동식 분사 펌프
JP2000117162A (ja) 1998-10-14 2000-04-25 Akira Matsumoto 簡易型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666B1 (ko)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06718A1 (en) Portable misting device with drinking spout and fan assist
US20120074173A1 (en) Bottle with drinking reservoir and pump
JPH0364122B2 (ko)
RU2013109379A (ru) Емкости и способы смешивания и дозированной выдачи концентратов напитков
JP6663362B2 (ja) カプセル吐出用ポンプ容器
KR101142306B1 (ko) 정량 배출용기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KR100811777B1 (ko) 접이식 노즐이 구비된 펌핑 장치
KR100986666B1 (ko) 펌핑용기
CN110106945A (zh) 洗手阀结构
KR200376734Y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US20050087568A1 (en) Spray bottle
KR20120007393U (ko) 펌프식 용기
KR102325997B1 (ko) 액체 잔량 소비를 위한 양방향 펌핑기
KR102174778B1 (ko) 화장품 용기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RU2005122407A (ru) Составное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жидкого активного вещества для унитаза
JP2010006418A (ja)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及び同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を備えた容器
KR100659786B1 (ko) 재활용액체성펌프용기에 이용되는 원통형리필봉투
JP7244668B2 (ja) 液体残量消費のための双方向ポンピング器
KR200265026Y1 (ko) 세제보관 용기
JP4390156B1 (ja) 液体注出容器
KR20230001941U (ko) 펌핑용기
KR200281554Y1 (ko) 2차 약액 저장실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31863Y1 (ko) 내용물 사용을 쉽게 하는 합성수지 병의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