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7646A -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7646A
KR20100027646A KR1020080086646A KR20080086646A KR20100027646A KR 20100027646 A KR20100027646 A KR 20100027646A KR 1020080086646 A KR1020080086646 A KR 1020080086646A KR 20080086646 A KR20080086646 A KR 20080086646A KR 20100027646 A KR20100027646 A KR 2010002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b
main
sect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80086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7646A/ko
Publication of KR2010002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영상기기에서는, 주/부화면 재생 기능을 통해서 주화면 상의 소정 영역에 부화면 영역을 확보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주화면 상의 정보들, 예를 들면 주화면 상의 현재 시각, 자막의 일부, 정지화면 상의 주요 부분 등이 가려질 수 있으며, 이렇게 가려지는 시청 장해요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는 부화면 재생을 중지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주화면 상의 일부 영역에서 재생되는 부화면을 섹터(sector)별로 구분하고, 각 섹터별로 구분되는 부화면의 위치를 섹터 이동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안을 마련코자 한다.
PIP, 주화면, 부화면, 섹터

Description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IP IN IMAGE PROCESSOR}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부화면 위치 이동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튜너를 통해 선국되는 복수 방송채널의 영상신호를 주/부화면을 통해 동시에 재생시키는 경우에 부화면의 재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영상기기에서는 복수의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중에 희망하는 단일 채널의 방송신호를 단일의 튜너를 통해 동조받아 영상신호 처리 및 음성신호 처리한 결과로, 그 복합영상신호가 하나의 화면을 재현하는 장치,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 장치를 통해 영상 출력되도록 하고, 그 음성신호가 단일 채널의 음성을 재현하는 스피커를 통해 음성 출력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채널의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면 현재 시청하던 채널의 방송의 시청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에는 상술한 불리함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 에 재현되는 주화면(메인 화면) 상에 다화면으로 이루어진 부화면(서브 화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PIP(Picture In Picture) 기능이 채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PIP 기능을 갖춘 다화면 영상기기 내에 다수 개로 내장된 튜너를 통해 다수 채널의 방송신호를 동조 및 신호 처리하여 각 지정화면을 통해 영상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화면 영상기기에 의한 주/부화면 재생기능을 통해 복수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 동시적인 채널 선국을 행하여 화면 재생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방송 채널에 대한 시간적/공간적인 동시성을 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다화면 영상기기에서는, 주/부화면 재생 기능을 통해서 주화면 상의 소정 영역에 부화면 영역을 확보하여 재생하는 경우에, 주화면 상의 정보들, 예를 들면 주화면 상의 현재 시각, 자막의 일부, 정지화면 상의 주요 부분 등이 가려질 수 있으며, 이렇게 가려지는 시청 장해요인을 해소하고자 사용자는 부화면 재생을 중지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주화면 상의 일부 영역에서 재생되는 부화면을 섹터(sector)별로 구분하고, 각 섹터별로 구분되는 부화면의 위치를 섹터 이동시킴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안을 마련코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화면 및 부화면 재생이 가능한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에 주화면을 재생하는 과정과, 부화면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주화면 재생 영역의 제 1 섹터 영역에 부화면을 합성하여 재생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부화면의 위치 이동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섹터 영역에서 재생 중인 부화면을 제 2 섹터 영역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위치 이동되는 제 2 섹터 영역의 부화면을 상기 주화면 재생 영역에 합성하여 재생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영상기기 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기기의 주화면 상에서 재생되는 부화면을 섹터별로 이동시킴으로써, 주화면 재생에 장해를 주지 않으면서 부화면 재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바, 영상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기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제 1 튜너(10), 제 2 튜너(12), 제 1 영상 IF부(20), 제 2 영상 IF부(22), 모드 절환부(30), 제 1 영상 처리부(40), 제 2 영상 처리부(42), 화면 합성부(50), 영상 출력부(60), 제어부(70), 키 입력부(80)를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튜너(10) 및 제 2 튜너(12)는 후술하는 제어부(70)로부터의 다화면 재생 모드에 따른 복수의 채널 선국 데이터를 각각 인가받아 해당 방송채널을 동시에 선국함과 더불어, 그 각각의 채널 선국 데이터에 의해 생성되는 국부발진주파수 신호와 혼합하여 중간주파수 신호로서 출력한다.
제 1 영상 IF부(20) 및 제 2 영상 IF부(22)는 상기 제 1 튜너(10) 및 제 2 튜너(12)를 통해 각각 선국된 방송신호를 중간주파 증폭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모드 절환부(30)는 다화면 재생모드에 따라 제 1 영상 IF부(20) 및 제 2 영상 IF부(22)를 통한 복수 방송채널의 방송신호에 대한 2화면상의 주/부화면 재생상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경로를 제공한다.
제 1 영상 처리부(40)는 모드 절환부(30)를 통해 절환되는 주/부화면 중 주화면에 대한 영상신호를 영상신호 처리 가능한 증폭레벨까지 신호 증폭처리하며, 신호 증폭처리된 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여 휘도조정과 색복조를 거쳐서 주화면상에 전체 화상이 모두 재현 가능하도록 영상 처리한다.
제 2 영상 처리부(42)는 모드 절환부(30)를 통해 절환되는 주/부화면 중 부화면에 대한 영상신호를 영상신호 처리 가능한 증폭레벨까지 신호 증폭처리하며, 신호 증폭처리된 영상신호를 휘도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하여 휘도조정과 색복조를 거친 후, 그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제 1 영상 처리부(40)에 의해 영상 처리되는 주화면에 따른 영상신호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동기되도록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주화면의 영상과 동일한 데이터 압축을 행한다.
화면 합성부(50)는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제 1 영상 처리부(40) 및 제 2 영상 처리부(42)를 통해 출력되는 주화면 및 부화면을 합성, 바람직하게는 주화면 상의 임의의 재생위치에 부화면을 합성,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화면 상에서 구분되는 임의의 섹터(sector) 영역에 부화면을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화면 합성부(50)는 제어부(70)의 제어 하에 현재 제 1 섹터 영역에 위치한 부화면을 제 2 섹터 영역으로 위치 이동시켜 주화면과 부화면을 합성 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출력부(60)는 이러한 화면 합성부(50)를 통해 합성되는 주화면 및 부화면을 영상기기의 출력 화면(도시 생략됨)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70)는 현재 출력되는 주화면 및 부화면을 디스플레이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특히 본 실시예에 따라 부화면 위치 이동이 키 입력부(80)로부터 요청될 경우에, 현재 섹터, 예컨대 주화면 재생 영역 상의 제 1 섹터 영역에 위치한 부화면의 재생 영역을, 다른 섹터, 예컨대 제 2 섹터 영역으로 위치 이동되도록 화면 합성부(5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키 입력부(80)는 영상기기의 전면 패널 상에 형성되는 키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자의 키 입력행위에 대응하는 키 값을 발생하여 제어부(70)로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의 키 값은, 예를 들면 영상기기의 제어를 명령하는 키 값으로, 특히 본 실시예에 따라 부화면 위치 이동을 요청하는 키 값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을 첨부한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70)는 단계(S200)에서와 같이, 제 1 튜너(10), 제 1 영상 IF부(20), 모드 절환부(30), 제 1 영상 처리부(40), 화면 합성부(50), 영상 출력부(60) 등을 제어하여 영상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도시 생략됨) 상에 주화면을 재생 출력한다.
이때, 키 입력부(80)를 통해 임의의 부화면 재생이 요청되면(S202), 제어부(70)는 단계(S204)로 진행하여 상기 재생 출력 중인 주화면 상에 요청된 부화면을 합성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때의 부화면 합성은, 바람직하게는 주화면 상의 임의의 재생위치에 부화면을 합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주화면 상에서 구분되는 임의의 섹터 영역에 부화면을 합성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한 영상기기 화면과 같이, 주화면(A)이 재생 처리되는 상태에서, 임의의 부화면(B1)이 주화면(A)의 임의의 섹터 영역 상에 합성되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단계(S206)에서 제어부(70)는 키 입력부(80)를 통해 부화면(B1)의 재생위치 이동이 요청되는지를 판단하고, 부화면(B1)의 재생위치 이동이 요청되면 제어부(70)는 단계(S208)로 진행한다.
단계(S208)에서 제어부(70)는 현재 부화면(B1) 재생위치에서 요청된 재생위치, 예컨대 B2 위치로 섹터별로 이동되도록 화면 합성부(50)를 제어한다. 즉, 도 3에서는 모두 여섯 개의 섹터 영역이 존재하며, 이들 섹터마다 각각의 영역(B1, B2, B3, B4, B5, B6)이 존재하고, 사용자의 부화면 위치 이동 요청에 따라 임의의 섹터 영역으로 현재 부화면의 재생위치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키 입력부(80)를 통한 섹터 이동 요청은, 예컨대 키 입력부(80) 상의 숫자 키에 의한 번호 지정에 의해 요청될 수도 있고, 또는 키 입력부(80)를 통한 섹터 드래그(drag) 동작에 의해 요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기기의 주화면 상에서 재생되는 부화면을 섹터별로 이동시킴으로써, 주화면 재생에 장해를 주지 않으면서 부화면 재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바, 영상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하도록 구현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당업자로부터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영상기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기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부화면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0, 12 : 튜너 20, 22 : 영상 IF부
30 : 모드 절환부 40, 42 : 영상 처리부
50 : 화면 합성부 60 : 영상 출력부
70 : 제어부 80 : 키 입력부

Claims (3)

  1. 주화면 및 부화면 재생이 가능한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 화면 전체에 주화면을 재생하는 과정과,
    부화면 재생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주화면 재생 영역의 제 1 섹터 영역에 부화면을 합성하여 재생 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부화면의 위치 이동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섹터 영역에서 재생 중인 부화면을 제 2 섹터 영역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과정과,
    상기 위치 이동되는 제 2 섹터 영역의 부화면을 상기 주화면 재생 영역에 합성하여 재생 처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의 위치 이동은, 상기 부화면의 각 섹터 영역에 대응하는 번호 입력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화면의 위치 이동은, 상기 부화면의 각 섹터 영역을 드래그(drag)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KR1020080086646A 2008-09-03 2008-09-03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KR20100027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646A KR20100027646A (ko) 2008-09-03 2008-09-03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646A KR20100027646A (ko) 2008-09-03 2008-09-03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646A true KR20100027646A (ko) 2010-03-11

Family

ID=4217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646A KR20100027646A (ko) 2008-09-03 2008-09-03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76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269A (ko) * 2016-01-20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7269A (ko) * 2016-01-20 2017-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168B1 (ko) 타임 쉬프트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326628B2 (ja) 多重映像テレビ受像機
JP4326589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S62159582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2159583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378681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20070022892A (ko) 피아이피를 이용한 줌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방법
JP2006135851A (ja) 映像機器一体型映像表示装置
JP2003134415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表示方法
KR20100027646A (ko) 영상기기에서의 부화면 위치 이동 방법
KR19990042500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외부입력시 부화면재생제어방법
KR1008548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녹화 목록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597270B1 (ko) 케이블카드 펌웨어 업그레이드시 영상재생이 가능한pip 영상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생재생 방법
KR100635277B1 (ko) Pip 영상 선택방법
KR960043859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에 적합한 재생 및 녹화 방법
JP2650246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0182455B1 (ko) 와이드비전의 음성이퀄라이저레벨 표시장치
JPH0955898A (ja) 多画面テレビ受像機
KR101265592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방송용 단말기의 방송 화면 전환 방법
KR100682759B1 (ko) 다 채널 영상 합성 방송수신기 및 그 합성 방법
KR20060072033A (ko) 영상표시기기 및 타임 시프트 처리방법
KR0147669B1 (ko) 더블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조정용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20020078606A (ko) 영상 재생 장치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및 그 영상 재생 장치
JP2004248140A (ja) 二画面表示装置及びその方法
KR19990033063A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이전채널 탐색제어장치와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