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6691A -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 Google Patents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6691A
KR20100026691A KR1020080085795A KR20080085795A KR20100026691A KR 20100026691 A KR20100026691 A KR 20100026691A KR 1020080085795 A KR1020080085795 A KR 1020080085795A KR 20080085795 A KR20080085795 A KR 20080085795A KR 20100026691 A KR20100026691 A KR 20100026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ing
unit
marathon
athlete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5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972B1 (ko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강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식 filed Critical 강성식
Priority to KR102008008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972B1/ko
Publication of KR2010002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3Spoken or verbal i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제 마라톤 코스에서 뛰는 것과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으며, 여러 사람과 함께 마라톤을 온라인 상에서 즐길 수 있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는 바디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상호 이격 설치되는 제1, 제2 회동축과, 상기 제1, 제2 회동축에 무한궤도상으로 걸리는 회전벨트와, 상기 제1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 제2 회동축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되어 상기 회전벨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하는 런닝머신과, 런닝구간 또는 마라톤 코스의 경사도와 같은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런닝코스의 환경조건에 따라 상기 경사조절부를 작동하여 상기 회전벨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유니트와, 상기 런닝머신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런닝운동을 하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상기 런닝머신에 설치되며,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런닝모습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런닝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Figure P1020080085795
마라톤, 온라인, 네트워크

Description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Virtual exercise system for marathon}
본 발명은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마라톤 코스에서 뛰는 것과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으며, 여러 사람과 함께 마라톤을 온라인 상에서 즐길 수 있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 증진이나 체중감량을 위해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가정이나 피트니스 클럽과 같은 곳에서 운동기구를 이용해 운동을 하고 있다.
가정용이나 피트니스 클럽에서 사용되는 유산소 운동기구 중 대표적인 것이 런닝머신인데, 일반적인 형태의 런닝머신은 컨베이어벨트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식으로서, 사용자가 힘이 들 때 잡고 뛸 수 있도록 손잡이가 장착되어 있고, 작동시에는 전자식 컨트롤패널의 조작에 의해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속도를 사용자가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런닝머신에는 사용자가 경사진 언덕길이나 비탈길을 달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사조절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기도 하다.
런닝머신은 단조로운 런닝을 피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속도나 경 사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부가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컨베이어벨트의 속도조절과 경사도 조절이 이루어져도 운동자가 이를 단조로운 운동으로 느껴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고픈 욕구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최근에는 런닝머신에 런닝 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영화나 TV프로를 시청하면서 런닝을 할 수 있도록 모니터가 설치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런닝 운동 자체에 대한 운동욕구를 불러일으키지는 못하고 런닝 운동시의 주의를 분산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을 높이는 폐해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마라톤 코스 또는 런닝 구간을 달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여러 사람과 함께 온라인 상에서 마라톤 시합 또는 런닝 연습을 할 수 있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는 바디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상호 이격 설치되는 제1, 제2 회동축과, 상기 제1, 제2 회동축에 무한궤도상으로 걸리는 회전벨트와, 상기 제1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 제2 회동축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되어 상기 회전벨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하는 런닝머신과, 런닝구간 또는 마라톤 코스의 경사도와 같은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런닝코스의 환경조건에 따라 상기 경사조절부를 작동하여 상기 회전벨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유니트와, 상기 런닝머신에 설치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런닝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유니트는 운동자의 이전 운동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운동자가 선택한 속도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운동기록에 근거하여 운동자의 런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가상의 페이스메이커를 생성하는 페이스메이킹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페이스메이킹부에서 송출되는 정보에 따라 운동자의 런닝속도를 가이드하는 아바타 또는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런닝머신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런닝운동을 하는 운동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운동자가 자신의 자세를 살필 수 있도록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회전벨트의 회전속도를 사용자의 운동속도에 대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벨트 상에서 런닝을 하는 사용자의 런닝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위치감지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는 온라인 상에서 접속된 다른 운동자와 함께 런닝 운동 또는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는 사용자가 런닝 운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동효과를 증진시키며, 특정 마라톤 구간의 런닝 조건을 형성함으로써 마라톤 코스의 특징에 따른 연습을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100)는 온라인 상에서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런닝 운동을 즐기거나 경쟁모드로 시합을 즐길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런닝머신(10)과, 제어유니트(30), 모니터(40), 촬영부(50), 네트워크 연결부(60)를 포함한다.
런닝머신(10)은 바디프레임(11)과, 바디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회동축(16,17)과, 제1, 제2 회동축(16,17)에 설치되는 회전벨트(18)와, 제1 회동축(16)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및 회전벨트(18)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25)를 포함한다.
바디프레임(11)은 지지면에 지지되며, 제1, 제2 회동축(16,17)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12)와, 베이스부(12)의 일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 및 연장부(13)의 상단에 마련되어 조작패널(15)과 후술하는 모니터(40) 및 제1 카메라(51)를 지지하는 서포트부(14)를 포함한다.
제1, 제2 회동축(16,17)은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 상기 바디프레임(11)의 일측과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벨트(18)는 제1, 제2 회동축(16,17)에 무한궤도상으로 걸려있어서, 제1 회동축(16)의 회전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다.
구동부(20)는 제1 회동축(16)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회동축(16)의 일측에 연결된 종동풀리(23)와, 바디프레임(11)에 설치된 지지플레이트(19)에 지지되는 구동모터(21)와,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풀리(22) 및 구동풀리(22)와 종동풀리(23)를 연결하는 벨트(24)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21)가 구동신호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하면 구동풀리(22)가 구동모터(21)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벨트(24)에 의해 구동풀리(22)에 연결된 종동풀리(23)가 제1 회동축(16)을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벨트(18)가 회전하게 된다.
경사조절부(25)는 회전벨트(18)의 경사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전·후방 액튜에이터(26,27)를 포함한다.
전방 액튜에이터(26)는 제1 회동축(16)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부(12)의 전방측 하부 양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어 베이스부(12)의 전방을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후방 액튜에이터(27)도 각각 베이스부(12)의 후방 양단에 하나씩 설치되어 베이스부(12)의 후방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게 되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되어 있는 런닝구간의 경사도에 따라 전·후방 액튜에이터(26,27)가 승강 또는 하강함으로써 회전벨트(18)의 경사도를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되어 있는 런닝구간의 실제 경사도와 유사하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의 경사조절부(25)가 베이스부(1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되는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액튜에이터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벨트(18)가 회전하는 회전방향 상에서 전방과 후방의 경사도 뿐만아니라 좌우 경사조정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후방 액튜에이터(26,27)는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한 액튜에이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유니트(30)는 운동자가 실제 런닝구간 또는 마라톤 코스 구간을 달릴때와 같은 환경조건을 구현하고 운동자의 운동기록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부(31)와 컨트롤러(36), 메모리(37), 페이스메이킹부(38) 및 위치감지 센서부(32)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31)는 특정 런닝구간 또는 마라톤 코스의 구간에 대한 정보 즉, 해당 구간의 각 구간별 풍경과 각 구간에서의 지면 경사도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1)에는 한강 마라톤대회나 춘천 마라톤대회의 경주 코스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보스턴 마라톤대회나 시드니 마라톤대회와 같이 세계 유명 마라톤 대회 구간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각 마라톤 대회를 미리 준비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CD와 같은 저장매체나 후술하는 네트워크 연결부(60)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마라톤 코스나 기존 마라톤 코스의 변경된 환경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위치감지 센서부(32)는 회전벨트(18) 상에서 런닝 운동을 하는 운동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위치감지 센서부(32)는 상기 바디프레임(11)의 베이스부(12)에 설치되는데, 런닝 운동을 하는 운동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2)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전방감지부(33)와, 운동자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베이스부(12)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후방감지부(34)를 포함한다.
전방감지부(33)와 후방감지부(34)는 각각 회전벨트(18)의 회전방향을 따라 인라인 상으로 소정간격 이격 설치되는 복수개의 광센서(35)들을 포함하는데, 광센서들에서 주기적으로 광을 조사한 뒤, 운동자의 신체에 의해 반사된 광을 통해 회전벨트(18) 상에서 운동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운동자의 런닝 속도에 비해 회전벨트(18)의 회전속도가 늦으면 운동자는 제1 회동축(16)을 향해 점점 전진하게 되며, 반대로 운동자의 런닝 속도보다 회전벨트(18)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운동자가 제2 회동축(17)을 향해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운동자의 런닝 속도와 회전벨트(18)의 회전속도가 맞지 않게 되는 경우 정상적인 런닝 속도를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실제 마라톤 연습에 차질을 빚게 될 수 있으므로 위치감지 센서부(32)에서 운동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후술하는 컨트롤러(36)에 위치정보를 송신함으로써 적정속도로 회전벨트(18)를 회전하게 한다.
컨트롤러(36)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구동부(20)와 경사조절부(25)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러(36)는 운동자가 특정 런닝 코스를 선택하였을 경우, 해당 런닝코스의 구간과 동일한 조건이 되도록 경사조절부(25)를 통해 회전벨트(18)의 경사도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컨트롤러(36)에서는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영상정보를 모니터(4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운동자가 실제 마라톤 코스에서 뛰는 것과 같은 시각 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더하여 컨트롤러(36)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감지 센서부(32)의 감지정보를 토대로 회전벨트(18)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전방감지부(33)에서 운동자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면 구동모터(21)의 회전속도를 높이고, 후방감지부(34)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모터(21)의 회전속도를 늦춰서 운동자의 런닝속도에 맞춰서 적정속도로 회전벨트(18)를 회전시키게 된다.
메모리(37)는 운동자의 이전 운동기록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운동자의 일정 구간에 대한 런닝 기록이나, 특정 마라톤 코스에 대한 런닝기록 등이 메모리(37)에 저장되어 있어서, 운동자는 런닝 운동시 이 저장된 기록을 토대로 자신의 현재 런닝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페이스메이킹부(38)는 운동자의 런닝 페이스를 조절할 수 있는 가상 페이스메이커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페이스메이킹부(38)에서는 상기 메모리(37)에 저장되어 있는 운동자의 이전 런닝기록 또는 운동자가 선택한 특정 시간을 충족할 수 있도록 운동자의 런닝 속도를 가이드하게 되는데, 페이스메이킹부(38)에서 송출되는 정보에 따라 후술하는 모니터(40)에 가상의 페이스메이커 즉, 아바타가 표시되고, 상기 아바타의 런닝속도를 따라 감으로써 운동자가 이전의 런닝시간보다 구간 기록을 단축하거나, 자신이 선택한 목표 시간 내에 일정 구간 또는 일정 코스를 완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모리(37)와 페이스메이킹부(38)의 정보는 컨트롤러(36)에 전달되며, 컨트롤러(36)에서 이를 모니터(40)를 통해 출력한다.
모니터(40)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영상정보와 상기 페이스메이킹부(38)에서 생성한 페이스메이커 아바타 및 후술하는 촬영부(5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한다.
모니터(40)에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런닝 코스의 주변 환경에 대한 영상정보와, 거리, 경사도와 같은 주변 정보가 표시되어 운동자가 이 모니터(40)를 주시하면서 런닝 운동을 하게 되면 실제 런닝 코스에서 뛰는 것과 같은 효과를 느끼게 된다.
특히 네트워크 연결부(60)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다자간 온라인 마라톤 시합을 하게 되는 경우, 동시 접속한 다른 운동자가 캐릭터로 모니터(40)에 표시되며, 각각의 운동자의 속도에 따라 캐릭터의 위치가 상이하게 표시되어 실제 마라톤 시합과 같은 경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동효과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로서 모니터(40)가 적용되었으나, 표시부는 이와는 달리 런닝머신(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스크린에 영상을 표시하는 빔프로젝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촬영부(50)는 운동자의 운동상태를 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동자의 전방에서 운동자의 얼굴 또는 전면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51)와, 운동자의 후방에서 운동자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52)를 구비한다.
제1 카메라(51)는 상기 바디프레임(11)에 지지되어 있으며, 제2 카메라(52)는 삼각대에 의해 바디프레임(11)의 후방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카메라(52)가 삼각대에 의해 바디프레임(11)과 이격되게 설치되 어 있으나, 제2 카메라(52) 역시 바디프레임(11)의 일측에 연결된 별도의 지지수단에 의해 운동자의 후방에서 운동자를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촬영부(50)의 제1, 제2 카메라(51,52)는 운동자의 모습을 촬영하여 이를 모니터(40) 상에서 표시하도록 하게 되는데, 제1, 제2 카메라(51,52)에서 촬영된 영상은 컨트롤러(36)로 전송되며, 컨트롤러(36)에서 이를 모니터(40)에 표시한다. 컨트롤러(36)에서는 제1, 제2 카메라(51,52)에서 수신된 촬영 영상 중 선택된 하나를 모니터(40)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런닝 코스에 관한 영상정보와 합성하여 촬영부(50)에서 촬영된 운동자가 런닝 코스를 뛰고있는 것과 같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동시 접속한 다수의 사람들이 모니터(40)에 아바타나 별도의 캐릭터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촬영부(50)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 그림으로 모니터(40)에 각각 표시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0)는 컨트롤러(36)와 데이터베이스부(31)를 인터넷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연결부(60)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되어 데이터베이스부(31)는 새로운 런닝 코스에 대한 영상정보와 경사도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컨트롤러(36)는 인터넷에 접속한 다른 온라인 사용자들과 함께 동일한 런닝코스에서 마라톤 시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런닝 운동 중 온라인 상으로 연결된 다른 운동자들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연결부(60)를 통해 연결된 다른 운동자들의 음성을 비롯한 소 리 신호를 출력하는 헤드셋(54)과, 음성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마이크(55)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100)의 사용방법에 대해 다시 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동자는 일반적인 런닝 운동을 실시할 때는 조작패널(15)의 버튼을 조작하여 구동부(20)를 구동시킴으로써 일반적인 런닝머신(10)에서와 같은 런닝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특정 마라톤 코스나 런닝 코스에서 런닝 운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패널(15)의 버튼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특정 런닝 코스 또는 마라톤 코스를 선택하고 런닝을 시작한다.
운동자가 런닝을 시작하면 위치감지센서부(32)에서 운동자의 위치를 감지하여 운동자가 회전벨트(18)의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지 않도록 운동자의 런닝 속도와 회전벨트(18)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운동자가 자신의 런닝 속도를 유지하면서 달리기를 지속할 수 있으며, 모니터(40)에서는 운동자가 선택한 런닝 코스에 대한 영상정보와, 제1, 제2 카메라(51,52)에서 촬영한 운동자의 런닝 모습을 합성하여 운동자가 실제 런닝코스를 뛰고 있는 듯한 시각적인 효과를 얻도록 한다.
또한 모니터(40)에서는 온라인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페이스메이킹부(38)에서 생성한 아바타를 표시함으로써 운동자가 아바타와의 경쟁을 실시함으로써 단순한 달리기 운동이 아닌 실제 마라톤 경기를 하는 듯한 효과를 거둘 수 있 다.
이때 컨트롤러(36)에서는 운동자가 뛰고있는 영상 옆에 실제 마라톤 선수의 런닝 모습 등과 같이 운동자가 참고할 수 있는 올바른 뜀 운동 모습을 표시하도록 하여 운동자가 자신의 달리기 자세와 올바른 자세를 비교함으로써 스스로 자신의 달리기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36)에서는 데이터베이스부(31)에 저장된 해당 런닝 코스의 경사도에 따라 회전벨트(18)의 경사가 조절될 수 있도록 경사조절부(25)를 구동한다.
운동자는 온라인 상에서 다수의 사람들과 함께 마라톤 시합을 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연결부(60)를 통해 컨트롤러(36)를 인터넷으로 연결하면 동시 접속한 다수의 사람들과 일정 런닝코스를 지정하고, 이 런닝코스에서 함께 달리기 시합을 할 수 있으며, 헤드셋(54)과 마이크(37)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연결부(60)를 통해 동시 접속된 운동자들끼리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온라인에 접속된 각각의 런닝머신(10)에서 회전하는 회전벨트(18)의 회전속도가 인터넷 메인 서버(70)로 전송되며, 모니터(40)에는 경기를 진행하는 모든 접속자들의 달리기 속도와 런닝코스 상에서의 위치가 표시됨으로써 각 운동자들의 순위, 속도가 표시된다. 이를 통해 실제 마라톤 시합과 같은 경쟁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런닝머신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런닝머신의 일부분을 발췌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4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의 구동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10; 런닝머신
30; 제어유니트
31; 데이터베이스부
32; 위치감지센서
36; 컨트롤러
37; 메모리
38; 페이스메이킹부
40; 모니터
50; 촬영부
60; 네트워크 연결부

Claims (6)

  1. 바디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상호 이격 설치되는 제1, 제2 회동축과, 상기 제1, 제2 회동축에 무한궤도상으로 걸리는 회전벨트와, 상기 제1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제1, 제2 회동축 중 선택된 하나 또는 양측에 모두 설치되어 상기 회전벨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를 포함하는 런닝머신과;
    런닝구간 또는 마라톤 코스의 경사도와 같은 환경조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런닝코스의 환경조건에 따라 상기 경사조절부를 작동하여 상기 회전벨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제어유니트와;
    상기 런닝머신에 설치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런닝 코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운동자의 이전 운동기록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운동자가 선택한 속도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운동기록에 근거하여 운동자의 런닝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가상의 페이스메이커를 생성하는 페이스메이킹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페이스메이킹부에서 송출되는 정보에 따라 운동자의 런닝속도를 가이드하는 아바타 또는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런닝머신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런닝운동을 하는 운동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표시부는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운동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회전벨트의 회전속도를 사용자의 운동속도에 대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벨트 상에서 런닝을 하는 사용자의 런닝위치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상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위치감지 센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온라인 상에서 접속된 다른 운동자와 함께 런닝 운동 또는 경쟁을 할 수 있도록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연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접속한 다른 운동자들과 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네트워크 연결부에 연결된 다른 운동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헤드셋과 마이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KR1020080085795A 2008-09-01 2008-09-01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KR10118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95A KR101180972B1 (ko) 2008-09-01 2008-09-01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5795A KR101180972B1 (ko) 2008-09-01 2008-09-01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691A true KR20100026691A (ko) 2010-03-10
KR101180972B1 KR101180972B1 (ko) 2012-09-07

Family

ID=4217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5795A KR101180972B1 (ko) 2008-09-01 2008-09-01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97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672A (ko) * 2015-01-06 2016-07-14 한국과학기술원 운동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CN110665194A (zh) * 2019-10-14 2020-01-10 郑华军 一种电子显示屏虚拟人物陪跑系统及方法
KR20200011045A (ko) * 2020-01-21 2020-01-31 주식회사 에스지엠 사용자의 동작을 보여주는 워킹머신 시스템
WO2021132426A1 (ja) * 2019-12-26 2021-07-01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スマートトレッドミ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204B1 (ko) 2014-02-11 2015-04-0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달리기 경주 체험을 제공하는 런닝머신
KR101571361B1 (ko) * 2014-10-02 2015-11-24 (주)개선스포츠 시뮬레이션 런닝머신
KR102311571B1 (ko) * 2015-02-23 2021-10-13 큐렉소 주식회사 햅틱 기능을 결합한 가상 현실을 제공하는 보행재활 장치
KR101880522B1 (ko) * 2016-12-29 2018-07-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영상 분석 기반의 트레드밀 감시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위험 상황 감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1116B1 (ko) * 1996-12-28 1999-07-15 장의상 다이어트 런닝 머신 및 그 제어방법
KR200330599Y1 (ko) * 2003-07-29 2003-10-17 박선식 자동제어 기능을 갖는 러닝머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672A (ko) * 2015-01-06 2016-07-14 한국과학기술원 운동 기구 및 그 제어 방법
CN110665194A (zh) * 2019-10-14 2020-01-10 郑华军 一种电子显示屏虚拟人物陪跑系统及方法
WO2021132426A1 (ja) * 2019-12-26 2021-07-01 国立大学法人東京大学 スマートトレッドミル
KR20200011045A (ko) * 2020-01-21 2020-01-31 주식회사 에스지엠 사용자의 동작을 보여주는 워킹머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972B1 (ko) 2012-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972B1 (ko) 온라인 마라톤 연습장치
US1155681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3170638B2 (ja) 仮想現実体験装置
EP3846150B1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6536770B1 (en) Intelligent basketball game assembly
US6796927B2 (en) Exercise assistance controlling method and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US8251874B2 (en) Exercise system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US20120220427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EP2774659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JP2008018287A (ja) ゲーム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US10744385B2 (en) Screen baseball system and method of realizing left-handed pitcher and right-handed pitcher using the same
KR20120117104A (ko) 가상현실 러닝머신
KR101995906B1 (ko)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101579382B1 (ko) 축구게임을 이용한 인체의 균형감각 증진장치
KR101260461B1 (ko) 스크린 스키장 및 그 이용 방법
JP2005074211A (ja) 風景表示装置を有するランニングマシン
KR200330599Y1 (ko) 자동제어 기능을 갖는 러닝머신
KR200153132Y1 (ko) 음향, 영상 장치를 부설한 실내용 운동기구
US11998827B2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JP3103178U (ja) 視力回復訓練装置
KR20110000094A (ko) 사이버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20190099771A (ko) 축구 시뮬레이션 게임 장치
KR20050019635A (ko) 동영상운동(여행)코스와연계한런닝머신과 이를이용한비즈니스모델
KR20190081090A (ko) 사용자의 동작을 보여주는 워킹머신 시스템
KR20030016873A (ko) 패널티 킥 게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