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5561A -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 레일의 임시고정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 레일의 임시고정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5561A
KR20100025561A KR1020100013491A KR20100013491A KR20100025561A KR 20100025561 A KR20100025561 A KR 20100025561A KR 1020100013491 A KR1020100013491 A KR 1020100013491A KR 20100013491 A KR20100013491 A KR 20100013491A KR 20100025561 A KR20100025561 A KR 20100025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ack structure
cross member
fixing devic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6010B1 (ko
Inventor
장승엽
여인호
이준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철도시설공단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3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0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40Means or arrangements for temporarily supporting laid tracks, or rails or sleepers in the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00General structure of permanent way
    • E01B2/003Arrangement of tracks on bridges or in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E01B25/305Rails or support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철도용 레일을 전 길이에 걸쳐 설계된 간격, 높이 및 기울기로 정밀하고 견고하게 임시로 고정할 수 있으면서 구조도 간단하고 사용도 편리하게 구현한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일 고정 장치는, 횡단면이 수평부(41)와, 이 수평부(41)의 중간 부분에 내측 스커트(42)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레일(40)을 궤도 구조물의 양측에 나란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 궤도 구조물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크로스 멤버(100)와, 상기 크로스 멤버(10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레일(40)을 수평한 상태로 받치고 레일(40)의 횡방향 위치를 구속하는 서포트 멤버(200)와, 상기 크로스 멤버(100)의 양단부 부근 또는 상기 양쪽 서포트 멤버(200)에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크로스 멤버(100)를 상기 궤도 구조물의 상면에 지지하면서 크로스 멤버(100)의 수평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 스크루(300)와, 상기 레일(40)과 서포트 멤버(200)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지구(4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부에는, 상기 궤도 구조물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700)이 회동가능하게 피벗 결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 레일의 임시고정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GUIDE RAIL TEMPORARY CLAMPING APPARATUS FOR INSTALLING TRACK STRUCTURE FOR MAGNETICALLY LEVITATED RAILWAY}
본 발명은 자기부상철도용 레일을 임시로 고정하여 설치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레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레일을 전 길이에 걸쳐 설계된 간격, 높이 기울기로 정밀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면서 구조도 간단하고 사용도 편리하게 구현한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부상열차는 차량과 레일이 직접 접촉하지 않고 운행되는 것으로, 소음과 진동이 적고 곡선 구간에서도 주행 성능이 좋은 것이 특징이며, 주로 도시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레일은 자기부상열차의 주행을 직접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주행 안정성이나 승차감 등을 유지하거나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하게 시공되어야 한다.
또한, 레일은 횡 방향 양쪽에 나란히 설치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양쪽의 레일은, 전체 구간에 걸쳐 동일한 폭을 유지하여야 하고, 직선 구간에서는 정확하게 수평을 유지하여야 하며, 곡선 구간에서는 곡률, 열차의 속도, 무게, 원심력, 무게 중심의 변화 등에 대응해서 통상적으로 한쪽의 레일은 낮고 반대쪽의 레일은 높은 상태로 기울어져 있어야 한다. 따라서 레일을 설치할 때에는 양쪽의 레일을 설계된 위치에 정확하게 맞추고 정착하여야만 본래 목적하는 자기부상철도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는 일반적인 자기부상철도의 레일 및 궤도 구조물을 보여주는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궤도 구조물은, 교각(10) 위에 다양한 형태의 거더(20)가 설치되고, 거더(20) 위에 크로스 암(30)이 설치되고, 크로스 암(30) 위에 레일(40)이 설치되며, 크로스 암(30) 양쪽 밑에 높이 조절 장치(50)를 받친 형태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궤도 구조물은, 교각(10) 위에 거더(20)가 설치되고, 거더(20) 위에 바닥판(35)이 설치되고, 바닥판(35) 위에 레일(40)이 설치되며, 레일(40)을 높이 조절 장치(55)로 받친 형태이다.
이와 같이, 궤도 구조물이 어떠한 형태이든, 구조물 바닥(즉, 거더(20) 상면이나 바닥판(35)의 상면을 통칭한다)에는 높이 조절 장치(50)(55)를 설치하여, 구조물 시공 시 레일(40)의 수평과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레일은 길이가 길고 무겁기 때문에, 높이 조절 장치(50)(55)를 설치하기 이전에 레일을 설계된 위치와 높이에 임시로 흔들리지 않게 고정해 두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상기한 높이 조절 장치(50)(55)는, 레일(40)의 위치가 어느 정도 맞추어진 이후에 마지막으로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이어서, 최초에 레일(40)을 올바른 지점에 위치시키지 않으면 최종 조절 작업이 매우 어렵고 시간도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40)을 몇 번이고 옮겨가면서 다시 맞추어야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가이드 레일을 전 길이에 걸쳐 설계된 간격, 높이 및 기울기로 정밀하고 견고하게 고정해 둘 수 있고, 구조도 간단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는, 횡단면이 수평부와, 이 수평부의 중간 부분에 내측 스커트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레일을 궤도 구조물의 양측에 나란히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로서, 궤도 구조물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크로스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레일을 수평한 상태로 받치고 레일의 횡방향 위치를 구속하는 서포트 멤버와, 상기 크로스 멤버의 양단부 부근 또는 상기 양쪽 서포트 멤버에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크로스 멤버를 상기 궤도 구조물의 상면에 지지하면서 크로스 멤버의 수평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 스크루와, 상기 레일과 서포트 멤버를 파지하여 일체화하는 파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멤버는, 상기 레일의 수평부 저면을 받치는 수평지지부와, 상기 수평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레일의 내측 스커트의 횡방향 위치를 구속하여 결정하는 횡방향 위치제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포트 멤버의 횡방향 위치제한부는, 상기 수평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레일의 내측 스커트를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 연장되어 그 위쪽에 상기 레일의 내측 스커트를 수용하는 오목홈이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오목홈의 외측 내벽면에 상기 레일의 내측 스커트의 외측면이 밀착되는 지점에서 상기 레일의 횡방향 위치가 결정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멤버에는 상기 레일의 내측 스커트를 횡방향 외측으로 밀어붙이고 고정하기 위한 누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궤도 구조물의 상면에 상기 조절 스크루의 선단부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밀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궤도 구조물의 상면에 안착 되는 받침판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스크루의 선단부에는, 상기 궤도 구조물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을 회동가능하게 피벗 결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는, 활 모양의 본체 일단부에 밀착면이 구비되고 반대 측에 클램핑 나사가 설치되어 있는 공지의 C-형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의하면, 고정 장치에 레일을 올려놓고 고정하는 간편한 작업에 의해서도 양측 레일이 전체 길이에 걸쳐 설계된 간격을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고, 양쪽 레일이 평행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조절 스크루를 돌리는 간간한 작업에 의해 양측 레일의 높이를 쉽게 맞출 수 있음과 더불어, 수평한 자세를 취하거나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도록 조절하는 것도 매우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조절이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 레일이 항상 일체화된 상태로 또한 양측의 레일이 평행이 유지된 상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울기를 단번에 매우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시형 자기부상철도의 레일 및 궤도 구조물의 일례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도시형 자기부상철도의 레일 및 궤도 구조물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고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고정 장치의 구성 및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레일 임시 고정 장치에서, 조절 스크루의 선단부에 받침판이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주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임시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곡선 구간에서의 고정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임시 고정 장치를 실제 레일 시공 현장에 설치한 예를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임시 고정 장치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3에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주요부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4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 '횡방향'이라 함은, 궤도 구조물(2)을 횡단하는 방향을 뜻한다. 또한, '횡방향 외측' 또는 '외측'이라 함은, 궤도 구조물(2)의 횡단면 중심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먼 쪽 또는 바깥 방향을 의미하고, '횡방향 내측' 또는 '내측'이라 함은, 궤도 구조물(2)의 횡단면 중심에 가까운 쪽 또는 안쪽 방향을 의미한다.
우선, 레일(40)은, 도 5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의 형태가, 레일의 상부를 형성하는 수평부(41)와, 이 수평부(41)의 중간 부분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내측 스커트(42)와, 수평부(41)의 횡방향 외측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외측 스커트(43)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41)의 횡방향 외측 부분에는 리액션 플레이트(44)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일 임시 고정 장치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도 구조물(2)을 횡단하는 형태로 길게 연장되는 크로스 멤버(100), 상기 크로스 멤버(100)의 양쪽 단부에서 레일(40)을 수평한 상태로 고정함과 더불어 레일(40)의 횡방향 위치를 결정하는 서포트 멤버(support member)(200), 상기 크로스 멤버(cross member)(100)와 서포트 멤버(20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스크루(300), 그리고 상기 레일(40)과 서포트 멤버(200)를 파지하여 고정하는 파지구(把持具)(4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레일 임시 고정 장치의 바람직한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크로스 멤버(100)는, 궤도 구조물을 횡단하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크로스 멤버(10)는 무게를 줄이고 제조 및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4각형 단면의 중공관(中空管)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서포트 멤버(200)는, 상기 크로스 멤버(10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형성된다. 이는 크로스 멤버(100)와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크로스 멤버(100)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상세하게 표기된 바와 같이, 서포트 멤버(200)의 몸체(210) 일측에는 상기 크로스 멤버(100)에 삽입되는 삽입축(211)이 형성된다. 그러나 서포트 멤버(200)를 크로스 멤버(100)와 별도의 부재로 제조하여 결합하는 형태가 아니라 크로스 멤버(100)의 단부에 처음부터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서포트 멤버(200)는 상기 레일(40)을 수평한 상태로 받침과 더불어 레일(40)의 횡방향 위치를 구속하고 결정한다. 이를 위해, 서포트 멤버(200)는 수평지지부(220)와 위치제한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지지부(220)는 상기 레일(40)의 수평부(41) 저면을 받쳐 크로스 멤버(100)와 양쪽의 레일(40)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레일(40)의 수평부(41)를 안정적으로 받치기 위해 서포트 멤버(200)보다 더 넓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횡방향 위치제한부(230)는, 레일(40)이 설계된 지점보다 횡방향 외측 및 내측으로 더 이상 벗어나지 못하게 구속함으로써, 레일(40)의 횡방향 위치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양쪽의 레일(40)이 전체 길이 및 전체 구간에 걸쳐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방향 위치제한부(230)가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를 구속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5에 상세하게 표기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횡방향 위치제한부(230)는, 상기 수평지지부(220)의 단부로부터 상기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를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 연장되어 그 위쪽에 상기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를 수용하는 오목홈(234)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횡방향 위치제한부(230)는,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를 둘러싸는 형태로 전술한 수평지지부(220)로부터 연장되는 하향연장부(231)와 수평연장부(232)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장부(232)로부터 다시 상향 절곡되어 상부에 오목홈(234)이 만들어지도록 하는 상향돌출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40)을 횡방향 외측으로 밀어붙여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의 외측면(42a)이 상기 오목홈(234)의 외측 내벽면(234a)에 밀착되면, 그로부터 레일(40)은 더 이상 밀리지 않게 되므로 그 지점에서 레일(40)의 횡방향 위치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양쪽 레일(40)의 횡방향 위치가 결정되면, 레일(40)의 전체 길이 및 전체 구간에 걸쳐 양쪽 레일(40)을 동일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맞출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한 조절 스크루(300)는, 그를 어느 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리는 것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전진(아래로 돌출) 및 후퇴된다. 따라서, 양쪽의 조절 스크루(300)를 조정하여 크로스 멤버(100) 및 서포트 멤버(200)를 수평한 자세나 기울어진 자세를 취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스크루(300)는 상기 크로스 멤버(100)의 양단부 부근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양쪽 서포트 멤버(20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지구(400)는, 상기 레일(40)을 상기 서포트 멤버(200)에 수평하게 안착된 상태로 파지(把持)하여 고정(일체화)한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구(400)는 상기 레일(40)의 수평부(41)와 상기 서포트 멤버(200)의 수평지지부(220)를 파지하도록 되어 있다. 파지구(400)의 구조에는 어떠한 제한도 없는데,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지의 C-형 클램프를 여러 개 구비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C-형 클램프는, 도 5에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활 모양의 본체(410) 일단부에 밀착면(411)이 구비되고, 그 반대측에는 클램핑 나사(420)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밀착면(411)과 클램핑 나사(420)에 의해 상기 레일(40)의 수평부(41)와 상기 서포트 멤버(200)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클램핑 나사(420)에는 손이나 공구로 잡을 수 있는 레버(42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포트 멤버(200)에 누름부재(500)가 더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누름부재(500)는, 상기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를 횡방향 외측으로 밀어(이는 레일(40) 전체를 미는 것과 동일하다) 횡방향 위치제한부(230)에 밀어붙이고 그 지점에서 고정한다. 즉, 도 5에 잘 표기된 바와 같이,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는 횡방향 위치제한부(230)의 오목홈(234) 외측 내벽면(234a)에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부재(500)는, 볼트로 이루어져서 상기 횡방향 위치제한부(230)의 상향돌출부(233) 반대측 즉, 하향연장부(231)에 나사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궤도 구조물(2)의 상면(2a)에 안착되는 받침판(600)을 더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궤도 구조물(2)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그의 상면(2a) 표면은 매끄럽지 못하고 울퉁불퉁하다. 받침판(600)은 위와 같이 울퉁불퉁한 궤도 구조물(2)의 상면(2a)에 넓은 면적으로 안정적으로 안착됨으로써 상기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부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받침판(600)의 중앙에는 상기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중심을 잡도록 하는 조심용(調心用) 오목홈(60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궤도 구조물(2)의 상면'이라 함은, 도 1에서는 거더(20) 상면, 도 2에서는 바닥판(35)의 상면과 같이 레일(40)이 설치되기 위한 궤도 구조물의 상면을 포괄하여 표현한 것이다.
첨부 도면 도 7에는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받침판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부에는 받침판(700)이 회동가능하게 피벗 결합된다. 받침판(700)의 상부에 돌출된 힌지부(710)와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 힌지부(301)를 힌지축(711)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것이다. 조절 스크루(300)에 받침판(700)을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조절 스크루(300) 및 레일 고정 장치 전체가 균형을 잘 유지하여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받침판(700)을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부에 미리 결합해 두면, 받침판(700)을 매번 착탈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레일 고정 장치는, 자기부상철도용 궤도구조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레일(40)을 정확하고 정밀한 위치와 자세로 미리 고정해 둠으로써 레일(40)의 설치 작업을 쉽고도 정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레일 고정 장치를 통해 레일을 임시로 고정한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높이 조절 장치(50)로 받치고 그의 쐐기 장치 등을 이용하여 더욱 세밀하게 조절한다.
도 9에 도시된 예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K)는 길이방향으로 인접한 높이 조절 장치(50)들 사이마다,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 조절 장치(50)가 설치될 지점들 사이마다, 또는 그보다 좀 더 넓은 간격으로 여러 곳에 설치하여 레일(40)을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레일 고정 장치(K)를 이용하여 레일(40)을 고정하는 바람직한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고정 순서를 반드시 이하에 설명되는 순서에 맞출 필요는 없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우선, 도 4 및 도 5와 같이 설치하기 이전에, 전체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K)들의 조절 스크루(300)를 돌려서, 크로스 멤버(100)의 아래쪽으로 나오는 조절 스크루(300)의 돌출량을, 레일(40)의 설치 높이를 가늠하여 미리 어느 정도는 알맞게 맞추어 놓는 것이 좋다.
이어서, 양측의 레일(40)을 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궤도 구조물(2) 위쪽으로 올리고, 여러 개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K)를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하면서,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를 서포트 멤버(200)의 오목홈(234) 안으로 넣고, 레일(40)의 수평부(41)는 서포트 멤버(200)의 수평지지부(220)에 안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누름부재(500)를 돌려서 레일(40)의 내측 스커트(42) 외측면(42a)을 오목홈(234)의 외측 내벽면(234a)에 밀착시켜 양측 레일(40)의 간격을 맞춘다. 이어서 파지구(400)를 사용하여 레일(40)의 수평부(41)와 서포트 멤버(200)의 수평지지부(220)를 파지하여 고정하면 레일 고정 장치(K)와 양측의 레일(40)이 평행한 상태로 일체화된다. 여러 개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K)를 레일(4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함에 따라 양측의 레일(40)은 전체 길이에 걸쳐 설계된 간격을 더욱 정밀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양측의 조절 스크루(300)를 돌려서 양측 레일(40)의 높이를 설계 값에 알맞게 조절하여, 수평이나 기울기를 맞춘다. 이러한 작업은 조절 스크루(300)를 풀거나 조이는 방법에 의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조절 스크루(300)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도 높일 수 있다.
레일 고정 작업 전에, 궤도 구조물(2)의 상면(2a)에 미리 받침판(600)을 올려놓아 조절 스크루(300)를 받치면 고정 작업을 좀 더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정밀도도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첨부 도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부에 받침판(700)이 결합되어 있는 레일 임시 고정 장치(K)를 사용하면, 레일(40)을 파지하기 전에 레일 고정 장치(K)를 미리 궤도 구조물(2)의 상면(2a)에 올려놓더라도 레일 임시 고정 장치(K)가 균형을 잘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안착되므로 작업을 한층 더 수월하고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 구간 등과 같이 양측의 레일(40)을 기울어지게 설치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쪽의 조절 스크루(300)를 더 체결하면 양측의 레일(40)과 레일 고정 장치(K)가 일체화된 상태 그대로, 그리고 양측의 레일(40)이 평행이 유지된 채로 그대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기울기 조절이 단번에 매우 쉽게 이루어진다. 종래에 레일 고정 장치(K)가 없을 때에는, 양쪽 레일(40)의 높이를 따로따로 조절하고, 그 상태에서 양쪽 레일(40)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유지하도록 기울기를 더 조절해야 하였으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정밀도가 떨어지는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레일 임시 고정 장치(K)를 사용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단번에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레일 고정 장치(K)에 의해 양측 레일(40)을 고정한 이후에는, 인접한 레일 고정 장치(K) 사이에 높이 조절 장치(50)(도 1 참조)나 높이 조절 장치(55)(도 2 참조)를 설치하여 레일(40)을 받쳐 최종적으로 고정한다. 이들 높이 조절 장치(50)(55)는 본래 가지고 있는 쐐기나 끼움쇠 등을 이용하여 이미 위치가 조절되어 있는 레일(40)의 하면에 끼워 넣어 받친 후 높이 조절 장치(50)와 체결하여 고정하면 된다. 높이 조절 장치(50)의 설치가 완료되면, 파지구(400)와 조절 스크루(300)를 풀어 레일 고정 장치(K)를 분리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레일을 정확한 위치와 자세로 정밀하게 임시로 고정해 둘 수 있으므로,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구조물의 시공에 적용하는 경우, 레일 및 궤도 구조물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 놀이 공원, 자기부상열차 시험 세트장 등, 자기부상철도의 설치지역이나 용도를 막론하고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도시형' 자기부상철도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들은 당연히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2: 궤도 구조물 2a: (궤도 구조물) 상면
40: 레일 41: 수평부
42: 내측 스커트 43: 외측 스커트
42a: 외측면 100: 크로스 멤버
200: 서포트 멤버 210: 몸체
211: 삽입축 220: 수평 지지부
230: 횡방향 위치제한부 231: 하향연장부
232: 수평연장부 233: 상향돌출부
234: 오목홈 234a: 외측 내벽면
300: 조절 스크루 301: 힌지부
400: 파지구 410: 본체
411: 밀착면 420: 클램핑 나사
421: 레버 500: 누름부재
600: 받침판 601: 조심용 요홈
700: 받침판 710: 힌지부
711: 힌지축

Claims (1)

  1. 수평부(41)와 상기 수평부(41)에 내측 스커트(42)가 형성된 레일(40)을 궤도 구조물의 양측에 나란히 고정하기 위한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로서,
    궤도 구조물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크로스 멤버(100)와,
    상기 크로스 멤버(100)의 길이방향 양쪽 단부에 형성되어서 상기 레일(40)을 수평한 상태로 받치고 레일(40)의 횡방향 위치를 구속하는 서포트 멤버(200)와,
    상기 크로스 멤버(100) 또는 상기 양쪽 서포트 멤버(200)에 상하방향으로 진퇴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크로스 멤버(100)를 상기 궤도 구조물의 상면에 지지하면서 크로스 멤버(100)의 수평 및 기울기를 조절하는 조절 스크루(300)와,
    상기 레일(40)과 상기 서포트 멤버(200)를 파지하여 일체화하는 파지구(4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스크루(300)의 선단부에는, 상기 궤도 구조물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받침판(700)이 회동가능하게 피벗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KR1020100013491A 2010-02-12 2010-02-12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 레일의 임시고정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KR10095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91A KR100956010B1 (ko) 2010-02-12 2010-02-12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 레일의 임시고정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491A KR100956010B1 (ko) 2010-02-12 2010-02-12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 레일의 임시고정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273A Division KR100956008B1 (ko) 2008-03-13 2008-03-13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561A true KR20100025561A (ko) 2010-03-09
KR100956010B1 KR100956010B1 (ko) 2010-05-04

Family

ID=42177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491A KR100956010B1 (ko) 2010-02-12 2010-02-12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 레일의 임시고정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1964A (zh) * 2015-06-25 2015-09-16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磁浮交通曲线轨道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7569B2 (ja) * 1996-03-28 2006-07-19 エイチ・エス・エス・ティ開発株式会社 リニアモーターカー用レール上へのリアクションプレートの取付方法
JP3065557B2 (ja) * 1997-03-29 2000-07-17 シラタカ工業株式会社 軌条支承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コンクリート道床軌道の敷設工法
WO2004065692A1 (de) * 2003-01-21 2004-08-05 Pfleiderer Infrastrukturtechnik Gmbh & Co. Kg Spindelvorrichtung zur höhenverstellung von gleisrost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1964A (zh) * 2015-06-25 2015-09-16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磁浮交通曲线轨道梁
CN104911964B (zh) * 2015-06-25 2017-03-2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磁浮交通曲线轨道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010B1 (ko) 2010-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009B1 (ko) 자기부상철도용 궤도의 용이한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KR100956008B1 (ko)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KR100704943B1 (ko) 궤도 스판 높이 조절용 스크류 장치
ZA200505623B (en) Screw device for high-adjusting a track span
JP2011106262A (ja) アライメント調整フレーム
KR20180016726A (ko) 밸러스트리스 트랙을 위한 가이딩된 수송 트랙 섹션 및 다수의 이러한 섹션으로부터 형성된 밸러스트리스 트랙
JP2010043468A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及び基礎の施工方法
KR100956010B1 (ko) 자기부상철도용 궤도 시공시 레일의 임시고정을 위한 레일 임시 고정 장치
KR101439527B1 (ko) 콘크리트도상의 궤광 설치용 레일지지대
CN110714612A (zh) 钢结构建筑现浇楼板支撑系统
KR20090003979U (ko) 궤도 스판 높이 조절용 스크류장치
AU2021310686A1 (en) Slab track adjustment plate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209975280U (zh) 一种铁路轨道加固限位装置
JP5159078B2 (ja) レール転倒防止装置
KR101110830B1 (ko) 모노레일용 가이드 레일의 고정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3759459B2 (ja) 電車線支持装置
JP5002775B2 (ja) 鉄道用安全柵の支柱部材
KR101573701B1 (ko) 레일 체결장치
CN213501931U (zh) 用于承载接触线的系统以及接触网交叉点
CN220566100U (zh) 一种折叠臂架支撑装置及其拱架台车
CN214402830U (zh) 一种钢板剪力墙可调支撑安装装置
JPH0372165A (ja) 吊上げ用具
CN219798660U (zh) 一种桥梁结构瞬时特征参数识别实验装置
JP2005171625A (ja) 水糸弛み補正器
JP2589046Y2 (ja) 軌框支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