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741A - Transfer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ransfer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741A
KR20100024741A KR1020080083439A KR20080083439A KR20100024741A KR 20100024741 A KR20100024741 A KR 20100024741A KR 1020080083439 A KR1020080083439 A KR 1020080083439A KR 20080083439 A KR20080083439 A KR 20080083439A KR 20100024741 A KR20100024741 A KR 20100024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unit
transfer
contact suppor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000494B1 (en
Inventor
김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080083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494B1/en
Publication of KR20100024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4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1Lifting, gripping, or carrying means, for one or more sheets forming independent means of transport, e.g. suction cups, transpor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PURPOSE: A conveying apparatus is provided to improve productivity by reducing tact time due to the transfer of objects to be transferred and remarkably increase the footprint of equipment. CONSTITUTION: A conveying apparatus comprises a first conveying unit(100), a second conveying unit(200), and a lifter. The first conveying unit conveys objects at a first height. The second conveying unit conveys objects at a second height which is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The lifter is place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conveying unit. The liter transfers the objects from the first conveying unit to the second conveying unit. The lifter raises the objects to the first and the second height.

Description

이송장치{TRANSFERRING APPARATUS}Conveyer {TRANSFER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리프터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비해 피이송물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장비의 풋 프린트(foot print)가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피이송물의 이송에 따른 택트 타임(tact time)을 종래보다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oot print of the equipment while increas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compared to a conveying apparatus having a conventional lifter, In gener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fer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productivity by reducing a tact time due to transfer of a workpiece.

이송장치란 피이송물을 이송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피이송물이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기판, 반도체용 웨이퍼(wafer), 기판이나 웨이퍼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나 카세트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LCD 기판에 대하여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veying device is a device for conveying the object to be conveyed. Here,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includes a substrat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wafer for semiconductors, a tray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substrate or a wafer. Not only can be a cassette, but also a variety of logistics, including a general box (box).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hereinafter, the LCD substrate will be limitedly described.

최근 들어 반도체 산업 중 전자 디스플레이 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평면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평면디스플레이는 TV나 컴퓨터 모니터 등에 디스플레이(Display)로 주로 사용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다. 이러한 평면디스플레이에는 LCD, PDP 및 OLED 등의 기판이 있다.Recently, the flat panel display (FPD) has begun to emerge as the electronic display industry is rapidly developing among the semiconductor industry. A flat panel display is a thinner and lighter image display device than a cathode ray tube (CRT), which is mainly used as a display for a TV or a computer monitor. Such planar displays include substrates such as LCD, PDP and OLED.

이들 중에서도 특히, LCD는 2장의 얇은 상하 유리기판 사이에 고체와 액체의 중간물질인 액정을 주입하고, 상하 유리기판의 전극 전압차로 액정분자의 배열을 변화시킴으로써 명암을 발생시켜 숫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일종의 광스위치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LCD는 현재, 전자시계를 비롯하여, 전자계산기, TV, 노트북 PC 등 전자제품에서 자동차, 항공기의 속도표시판 및 운행시스템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LCDs inject liquid crystals, which are solid and liquid intermediates, between two thin upper and lower glass substrates, and change the arrangement of liquid crystal molecules by the electrode voltage difference of the upper and lower glass substrates to generate contrast and display numbers or images. It is a device using a kind of optical switch phenomenon. LCDs are now widely used in electronic clocks, electronic calculators, TVs, notebook PCs, electronic products, automobiles, aircraft speed displays and driving systems.

종전만 하더라도 LCD TV는 20 인치 내지 30 인치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모니터는 17 인치 이하의 크기를 갖는 것이 주류였다. 하지만, 근자에 들어서는 40 인치 이상의 대형 TV와 20 인치 이상의 대형 모니터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Previously, LCD TVs have a size of about 20 to 30 inches, and monitors have a mainstream size of 17 inches or less. In recent years, however, the preference for large TVs of 40 inches or larger and large monitors of 20 inches or larger has increased.

따라서 LCD를 제조하는 제조사의 경우, 보다 넓은 유리기판을 제작하기에 이르렀다. 현재에는 가로/세로의 폭이 1950/2250 ㎜ 이거나 1870/2200 ㎜인 7세대, 혹은 2160/2460 ㎜ 이상인 8세대까지 유리기판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manufacturers of LCDs have come to produce wider glass substrates. Curr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crease the size of glass substrates to the 7th generation having a width of 1950/2250 mm, the 1870/2200 mm, or the 8th generation having more than 2160/2460 mm.

한편 LCD는 일반적으로 유리(Glass)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매우 취약한 취성을 갖는다. 따라서 LCD를 제조하는 전 공정 단계로부터 후 공정 단계에 이르기까지 LCD가 훼손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보관 및 이송될 수 있다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평면디스플레이의 품질도 유지할 수 있을 것임에 틀림이 없다.On the other hand, LCD is generally made of glass (Glass) material is very brittle to the impact from the outside. Therefore, if the LCD can be efficiently stored and transported from the pre-processing stage to the post-processing stage without manufacturing the LCD, it will not only improve productivity but also maintain the flat display quality. .

특히,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근자에 들어서는 7세대 혹은 8세대 등으로 LCD(이하, 기판이라 함)의 크기가 커지고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기판의 보관 및 이송, 특히 이송에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통상의 이송장치는 주로 롤러 타입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as mentioned above, in recent years, as the size of the LC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ubstrate) increases and becomes thinner, such as the 7th generation or the 8th generation, special care is required in storing and transferring the substrate, especially in the transfer. It is becoming. Conventional conveying devices are known to be mainly applied in roller type, but are not necessarily so.

한편, 이송장치를 통해 기판을 이송함에 있어, 동일한 높이의 선상에서 기판을 이송하는 경우도 있지만, 예를 들어 1층 높이의 선상에서 이송되던 기판을 2층 또는 그 이상의 높이(2층 높이라 함)로 업(up)시켜 2층 높이의 선상으로 기판을 이송시켜야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는 기판의 이송라인에 간섭 장비가 존재하거나 혹은 2층 높이의 위치에서 기판을 다른 설비로 투입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해당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ransferring the substrate through the transfer apparatus, the substrate may be transferred on the same height line, but for example, the substrate that was transferred on the line of one layer height is two or more heights (two-layer height). In some cases, it is necessary to transfer the substrate to a line having a height of two floors by raising it to. This is the case when there is an interference device in the transfer line of the substrate or when the substrate needs to be introduced into another facility at a position of two floors.

기판의 이송을 위한 종래의 이송장치는, 제1 높이의 선상에서 기판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유닛과, 제2 높이의 선상에서 기판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유닛과, 제1 및 제2 이송유닛 사이에 마련되며 1층 높이에서 이송되는 기판을 2층 높이로 업(up)시키는 리프터를 구비한다. 리프터는 단순 승하강(up/down) 동작이 가능한 예컨대, 엘리베이터 등으로 적용된다.Conventional transfer apparatus for transfer of the substrate, the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on the line of the first height, the secon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on the line of the second height,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 It is provided with a lifter provided between the substrate to be conveyed from the height of the first floor to the second floor (up). The lifter is applied to, for example, an elevator or the like capable of a simple up / down opera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 이송유닛을 통해 제1 높이의 선상에서 이송되던 기판이 리프터에 도달되면, 기판은 리프터의 상승 동작에 의해 제2 높이로 업(up)된 후, 제2 이송유닛을 통해 제2 높이의 선상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된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substrate conveyed on the line of the first height through the first transfer unit reaches the lifter, the substrate is raised to the second height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lifter, and then the second transfer unit is moved. Through it can be conveyed along the line of the second heigh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송장치에 있어서는, 리프터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제1 및 제2 이송유닛이 일시 정지하거나 아무런 동작을 하지 못하고 대기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택트 타임(tact time)이 증가되어 생산성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such a conventional conveying apparatus, the tact time generally increase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units have to pause or do not perform any operation while the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s of the lifter are in progr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vity is lowe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리프터의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혹은 리프터를 병렬로 즉 리프터를 추가로 더 마련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으나, 리프터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기판 이송 시의 안전성 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소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단순하게 리프터를 병렬로 배치하는 경우(추가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장비의 풋 프린트(foot print)가 현저히 증가되고 비용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may be considered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lifter or to provide additional lifters in parallel, i.e.,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lifter. This can be somewhat limiting, and it is expected that it is not desirable to simply place the lifter in parallel (additional placement) because the foot print of the equipment i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cost is increased. Action is required.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리프터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비해 피이송물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장비의 풋 프린트(foot print)가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피이송물의 이송에 따른 택트 타임(tact time)을 종래보다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increas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compared to the conveying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lif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oot print of the equipment, the overall tact according to the conveyed object It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that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time (tact time) than conventional.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 높이의 선상에서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유닛;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의 선상에서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유닛; 및 상기 제1 및 제2 이송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이송물을 상기 제1 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이송유닛으로 전달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다 수의 상기 피이송물을 상호 이격되게 적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높이로 상기 피이송물을 업/다운(up/down)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object to be transported on the line of the first height; A second transfer unit configured to transfer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on a line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And a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to transfer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to the second transfer unit, and load a plurality of the transferred objects along a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lifter for up / down the object to be conveyed to the first and second heights.

여기서, 상기 리프터는, 상호간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축; 상기 다수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고 제1 피이송물이 접촉지지되는 제1 접촉지지부; 및 상기 다수의 회전축 사이사이에서 업/다운(up/down)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 피이송물이 접촉지지되는 제2 접촉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ifter, a plurality of rotary shaft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irst contact support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the first contact supports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object to be transported; And a second contact support part provided to be up / down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and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second object to be transferred.

상기 제1 접촉지지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롤러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접촉지지부는 진공 흡착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in a roller typ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and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in a vacuum suction type.

상기 리프터는,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2 접촉지지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업/다운 컬럼; 상기 다수의 업/다운 컬럼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업/다운 컬럼을 지지하는 컬럼 지지부; 및 상기 컬럼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컬럼 지지부를 업/다운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ft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disposed along an up-down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A column support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in a lower region of 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And an up / down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column support part to drive the column support part up / down.

상기 다수의 업/다운 컬럼은 상기 회전축들 사이사이에 한 쌍씩 배치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업/다운 컬럼들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업/다운 컬럼들과 함께 터널 구조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may be arranged in pairs between the rotating shafts, an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a pair of up / down column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tunnel structure together with the up / down columns is further provided. It may include.

상기 리프터는, 상기 회전축, 상기 제1 접촉지지부 및 상기 제2 접촉지지부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업/다운 구동시키는 메인 업/다운 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fter may include: a main body part partially supporting the rotation shaft,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And a main up / down driving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to drive the main body up / down.

상기 리프터는, 상기 다수의 회전축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다수의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fter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rotation driving units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respectively, to rotate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in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상기 다수의 회전구동부는, 접촉식 개별구동모터 방식 및 비접촉식 자석 방식 중에서 어느 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rotation driving units may be provided in any one of a contact individual driving motor method and a non-contact magnet method.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상기 리프터 측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상기 리프터 측 단부 영역 중에서 어느 한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용 피이송물 대기유닛이 더 마련될 수 있다.At least one buffered object wait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in any one of the lifter side end region of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lifter side end region of the second transfer unit.

상기 피이송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일 수 있다.The object to be transferred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리프터를 구비한 이송장치에 비해 피이송물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장비의 풋 프린트(foot print)가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피이송물의 이송에 따른 택트 타임(tact time)을 종래보다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foot print of the equipment, while increas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object to be conveyed compared to the conveying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lifter, overall tact time according to the conveyed object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tact time.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plain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면 대비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될 피이송물이란,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및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하는 기판, 반도체용 웨이퍼(wafer), 기판이나 웨이퍼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트레이(tray)나 카세트(cassette)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박스(box)를 비롯한 각종 다양한 물류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피이송물을 LCD 기판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 to be described below is a substrat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a wafer for a semiconductor, a substrate, and the like. In addition, it can be a tray or a cassette for accommodating and supporting a wafer, as well as various logistic products including a general box.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examples will be described as an LCD substr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제2 접촉지지부의 상승 동작을 도시한 리프터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제2 접촉지지부의 하강 동작을 도시한 리프터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들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lifter showing a lifting operation of a second contact support, and 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er show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econd contact support, Figures 5 to 12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는, 제1 높이(h1, 도 2 참조)의 선상에서 기판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유닛(100)과, 제1 높이(h1)보다 높은 제2 높이(h2, 도 5 내지 도 12 참조)의 선상에서 기판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유닛(200)과, 제1 및 제2 이송유닛(100,200)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기판(도 8 참조)을 제1 이송유닛(100)으로부터 제2 이송유닛(200)으로 전달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기판을 상호 이격되게 적재하여 제1 및 제2 높이(h1,h2)로 제1 및 제2 기판을 업/다운(up/down)시키는 리프터(3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onvey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veying unit 100 for conveying a substrate on a line of a first height h1 (see FIG. 2), and a firs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h1.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FIG. 8) ar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100 and 200 for transferring the substrate on a line having a height 2 (h2, see FIGS. 5 to 12). Reference) is transferred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100 to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to the first and second heights h1 and h2. And a lifter 300 for up / down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제1 이송유닛(100)과 제2 이송유닛(200) 모두는, 기판을 X축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타입(roller type)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이송유닛(100)과 제2 이송유닛(200)은, 다수의 회전축(110,210)과, 다수의 회전축(110,210)에 결합되어 다수의 회전축(110,210)을 개별적으로 회전구동시키는 다수의 개별구동모터(130,230)와, 다수의 회전축(110,210) 각각에 결합되어 기판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구동롤러(120,220)를 구비한다.Both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serve to transfer the substrate to the X-axis, and as shown, may be applied in a roller type. That is,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110 and 210 and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110 and 210 to rotate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110 and 210 individually. 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e rollers (120, 220) coupled to each of the individual drive motor (130,23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110,210) rotatably supporting the substrate.

이에, 다수의 개별구동모터(130,230)에 의해 다수의 회전축(110,210)이 회전하면서 그에 결합된 구동롤러(120,220)들을 회전시키면 구동롤러(120,220)들의 상면에 접촉된 기판은 구동롤러(120,220)들의 회전 방향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plurality of rotational shafts 110 and 210 are rotated by the plurality of individual driving motors 130 and 230 and the driving rollers 120 and 220 coupled thereto are rotated, the substrat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rollers 120 and 220 is the driving rollers 120 and 220. It can be transported in the X-axis direction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 이송유닛(100)과 제2 이송유닛(200)은, 컨베이어 타입(conveyor type)이나 스테이지 타입(stage type)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특히, 제1 이송유닛(100)과 제2 이송유닛(200)이 스테이지 타입으로 적용되는 경우라면 기판을 소정 높이 업(up)시키기 위한 공기부상모듈(미도시)이 함께 적용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may be replaced by a conveyor type or a stage type.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are applied in a stage type, it may be advantageous to apply an air levitation module (not shown) together to raise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substrate.

제1 이송유닛(100)과 제2 이송유닛(200)에 구비된 다수의 구동롤러(120,220)는 기판에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도록 유연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회전축(110,210)은 그 회전 속도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단일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일괄적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개별구동모터(130,230)에 의해 다수의 회전축(110,210) 각각이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driving rollers 120 and 220 provided in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scratches do not occur on the substrat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110 and 210 may be rotated together by a single drive motor (not shown) to facilitate control of the rotation speed thereof. However, the rotation shafts 110 and 210 may not necessarily be the same.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110 and 210 may be individually rotated by the 130 and 230.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제1 이송유닛(100)과 제2 이송유닛(200)에는 이송되는 기판에 대한 얼라인(align) 작업을 진행하는 얼라인부(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얼라인부는 상호간 접근 및 이격되는 동작에 의해 기판의 양측면을 가압함으로써 기판을 바르게 정렬시키는 간단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alignment unit (not shown) for performing an alignment operation on the substrate to be transferred. Such an alignment part may be applied to a simple structure in which the alignment parts are correctly aligned by pressing both sides of the substrate by an operation of approaching and separating each other.

제1 이송유닛(100)과 제2 이송유닛(200)에는 기판이 진입되어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다수의 진입감지센서(S1,S2)가 더 마련되어 있다. 다수의 진입감지센서(S1,S2)는 기판의 진입 위치에 기초하여 개별구동모터(130,230)들의 개별적인 제어를 통해 회전축(110,210)들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러한 역할 외에도 진입감지센서(S1,S2)들은 다수의 전달유닛(300a,300b)의 동작과 관련된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The first transfer unit 10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ar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trance detection sensors S1 and S2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enters and is transferred. The plurality of entrance detection sensors S1 and S2 serve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for reducing or stopping the speed of the rotation shafts 110 and 210 through individual control of the individual driving motors 130 and 230 based on the entry position of the substrate.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role, the entrance detection sensors (S1, S2) may also serve to provide a predetermined signal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delivery units (300a, 300b).

한편, 리프터(300)는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이송유닛(100,200) 사이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 기판(도 8 참조)을 제1 이송유닛(100)으로부터 제2 이송유닛(2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lifter 30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100 and 200 to provide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see FIG. 8) from the first transfer unit 100 to the second transfer unit. It serves to deliver to (200).

특히, 본 실시예의 리프터(300)는 제1 및 제2 이송유닛(100,200) 사이에 간섭 장비가 존재하거나 혹은 제2 높이(h2)의 위치에서 제1 및 제2 기판을 다른 설비로 투입해야 하는 경우에 제1 이송유닛(100)을 따라 제1 높이(h1)의 선상에서 이송되는 제1 및 제2 기판을 제2 높이(h2)로 업(up)시킨 후, 제2 이송유닛(2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In particular, the lifter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interference equip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units (100,200) or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t the position of the height (h2) has to put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 to the other equipment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conveyed along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long the first height h1 are raised to the second height h2, and then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It serves to deliver.

이처럼 리프터(300)가 한번에 2개의 제1 및 제2 기판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종래의 이송장치에 비해 기판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장비의 풋 프린트(foot print)가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기판의 이송에 따른 택트 타임(tact time)을 종래보다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Since the lifter 300 serves to transfer two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t a time, the foot print of the equipment is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increasing the transfer speed of the substrat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ransfer apparat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d also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tact time (tact time) due to the transfer of the substrate than conventional.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는 리프터(300)에 대해 살펴보면, 본 실시예의 리프터(300)는, 본체부(310)와, 본체부(310)에 결합되어 본체부(310)를 업/다운 구동시키는 메인 업/다운 구동유닛(320)과, 본체부(310)에서 상호간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축(330)과, 다수의 회전축(330)에 각각 결합되고 제1 기판이 접촉지지되는 제1 접촉지지부(340)와, 다수의 회전축(330) 사이사이에서 업/다운(up/down)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 기판이 접촉지지되는 제2 접촉지지부(350)를 구비한다.Looking at the lifter 300 which plays such a role, the lifter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10 and the main body 310, the main up to drive the main body 310 up / down The / down driving unit 320, a plurality of rotary shafts 330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main body portion 310, and a first contact support portion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ry shafts 330 and the first substrate is in contact support ( 340 and a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provided up / down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330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bstrate.

본체부(310)는 리프터(30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본체부(310)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면과는 달리 본체부(310)에는 나머지 구성들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구조 및 주변 구조물들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를 위해 본체부(3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The main body 310 is a part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lifter 30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310. Therefore, unlike the drawing, the main body 310 should be provided with a structure and peripheral structures for coupling the remaining components directly or indirectly.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310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메인 업/다운 구동유닛(32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10)를 비롯하여 본체부(310)에 결합된 나머지 구성들을 일체로 업/다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인 업/다운 구동유닛(320)으로는 업/다운 실린더나 혹은 업/다운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와 볼스크루 조합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main up / down driving unit 320 serves to integrally up / down the remaining components coupled to the main body 310, including the main body 310. The main up / down driving unit 320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an up / down cylinder or an up / down actuator, or a motor and ball screw combination structure,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수의 회전축(3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본체부(310)에 각각 결합되는 봉 형상의 부재로서 제1 접촉지지부(3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5개의 회전축(330)이 도시되어 있으나 회전축(330)의 개수, 그리고 회전축(330)의 길이 및 회전축(330)들 간의 간격은 현장에 맞게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330 supports rods 340 as rod-shaped members whose end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main body 310. Although five rotating shafts 330 are shown in the drawing, the number of the rotating shafts 330, the length of the rotating shaft 33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otating shafts 330 may be appropriately designed according to the site.

제1 접촉지지부(3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300)가 업(up)되기 전에 제1 기판이 접촉지지되는 부분이다. 실제로 그 동작을 보면 도 8에서 제2 기판이 먼저 들어와서 일단 제1 접촉지지부(340)에 접촉지지된 후 최종적으로 제2 접촉지지부(350)에 접촉지지되고, 제1 기판이 나중에 들어와서 최종적으로 제1 접촉지지부(340)에 접촉지지되고 있기는 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그대로를 제1 및 제2 기판이라 하고, 이들이 각각 접촉지지되는 것을 제1 접촉지지부(340) 및 제2 접촉지지부(350)라 하기로 한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is a part to which the first substrate is contacted and supported before the lifter 300 is up. In fact, in operation, the second substrate first enters in FIG. 8, is first supported by 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and finally is supported by the second contact support 350, and the first substrate comes in later to finally receive the second substrate. Although the first contact support portion 340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support portion 34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s shown in FIG. And a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이러한 제1 접촉지지부(3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축(330)에 각각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접촉지지부(340)를 롤러 타입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 경우, 롤러 타입의 제1 접촉지지부(340)는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회전구동부(331)가 더 마련된다.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i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otating shafts 330, respectively,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ntact supporting portion 340 is provided in a roller type. In this case, the roller-typ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may be rotated by a separate power source, and a plurality of rotation driving parts 331 are further provided for this purpose.

회전구동부(33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축(330)에 각각 마련되어 다수의 회전축(330)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회전구동부(331)는 접촉식 개별구동모터 방식이나 비접촉식 자석 방식 중에서 어느 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자는 다수의 회전축(330) 각각에 개별구동모터를 직접 연결하여 회전축(330)들이 회전되도록 하여 제1 접촉지지부(340)들을 회전시키는 방식이고, 후자는 다수의 회전축(330) 각각에 마련하기는 하되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자석에 의한 자력에 의해 회전축(330)들이 회전되도록 하여 제1 접촉지지부(340)들을 회전시키는 방식이다.As shown in FIG. 1, the rotation driving unit 331 is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330 to rotate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330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rotary drive unit 331 may be applied in any one of a contact type individual drive motor method or a non-contact magnet method. The former is a method of rotating the first contact support portion 340 by directly connecting the individual drive moto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ry shafts 330 to rotate the rotary shaft 330, the latter to be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otary shafts 330 The rotation axis 330 is rotated by a magnetic force of a pair of magne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rotate the first contact supporting portions 340.

제2 접촉지지부(3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300)가 업(up)되기 전에 제2 기판이 접촉지지되는 부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접촉지지부(340)가 롤러 타입으로 마련되는데 반해 본 실시예에서 제2 접촉지지부(350)는 진공 흡착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진공의 흡인력에 의해 제2 기판이 접촉지지되도록 제2 접촉지지부(350)가 마련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2 접촉지지부(350) 역시 롤러 타입으로 마련해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8,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is a part to which the second substrate is contacted and supported before the lifter 300 is up.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may be provided in a roller type, where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may be provided in a vacuum suction type. That is,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is provided such that the second substrate is contacted and supported by the vacuum suction force. Of course,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may also be provided in a roller type.

이러한 제2 접촉지지부(35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제1 접촉지지부(340)의 하방으로 다운(down)되거나 혹은 업(up)되는 동작을 가짐으로써 리프터(300)에 높이 방향으로 2개의 기판이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has an operation of moving down or up of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in the height direction to the lifter 300. Allow two substrates to be loaded.

이를 위해, 제2 접촉지지부(350)를 업/다운시키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수단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단부가 제2 접촉지지부(350)에 결합되는 다수의 업/다운 컬럼(351)과, 다수의 업/다운 컬럼(351)의 하부 영역에서 다수의 업/다운 컬럼(351)을 지지하는 컬럼 지지부(352)와, 컬럼 지지부(352)에 연결되어 컬럼 지지부(352)를 업/다운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부(353)와, 한 쌍의 업/다운 컬럼(351)들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354)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To this end, a means for up / down the second contact support 350 is required, which means that a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351 are arranged along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ntact support 350. ), A column support 352 supporting 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351 in the lower region of 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351, and a column support 352 connected to the column support 352 to up the column support 352. The up / down driving unit 353 for driving / down and the connecting unit 354 for connecting the pair of up / down columns 3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다수의 업/다운 컬럼(351)은 회전축(330)들 사이사이에 한 쌍씩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5개의 회전축(33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업/다운 컬 럼(351)은 총 8개가 마련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351 are arranged in pairs between the rotation shafts 330.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five rotary shafts 330 are provided, a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351 may be provided in total.

컬럼 지지부(352)는 8개의 업/다운 컬럼(351)을 지지하여 8개의 업/다운 컬럼(351)이 한번에 업/다운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업/다운 컬럼(351)들의 업/다운 동작 제어가 가능하다면 굳이 컬럼 지지부(352)를 마련할 필요는 없다.The column support part 352 supports eight up / down columns 351 so that the eight up / down columns 351 may be up / down at a time. Of course,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column support 352 if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up / down columns 351 is possible.

업/다운 구동부(353)는 전술한 메인 업/다운 구동유닛(320)처럼 업/다운 실린더나 혹은 업/다운 액추에이터, 또는 모터와 볼스크루 조합 구조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up / down driving unit 353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an up / down cylinder or an up / down actuator, or a combination of a motor and a ball screw like the main up / down driving unit 320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연결부(354)는 업/다운 컬럼(351)들과 함께 한글 'ㄷ'자 형상의 터널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한 쌍의 업/다운 컬럼(351)들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터널 구조가 적용되면 기판들의 이송 작업 시 간섭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므로 연결부(354) 역시 구성상 생략되어도 동작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The connection part 354 connects the pair of up / down columns 3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up / down columns 351 to form a Korean letter 'c' shaped tunnel structure. If such a tunnel structure is appli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during the transfer operation of the substrates. However,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hereto, the connection part 354 may be omitted even when omitted in configuration.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송장치를 통해 기판이 간섭 장비를 피해 제1 높이(hi)의 선상에서 제2 높이(h2)의 선상으로 이송되는 작용에 대해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S. 5 to 12,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substrate from the line of the first height hi to the line of the second height h2 through the transfer devic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below. .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유닛(100)의 구동롤러(120)를 통해 기판이 제1 높이(h1)의 선상에서 이송된다. 이 경우 리프터(300)는 제1 이송유닛(100)과 나란하게, 즉 제1 높이(h1)의 선상에 배치되며, 제2 접촉지지부(350)는 업/다운 구동부(353)의 다운(down) 동작에 의해 제1 접촉지지부(340)의 하방에 배 치된다.First, as shown in FIG. 5, the substrate is transferred on the line of the first height h1 through the driving roller 120 of the first transfer unit 100. In this case, the lifter 30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transfer unit 100, that is, on the line of the first height h1, and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is down of the up / down drive part 353. )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다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유닛(100)의 구동롤러(120)를 통해 이송된 기판은 우선 리프터(300)의 제1 접촉지지부(340)에 접촉지지된다. 그런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 구동부(353)의 업(up) 동작에 의해 업/다운 컬럼(351)들이 회전축(330)들 사이사이에서 솟아오르게 됨에 따라 제2 접촉지지부(350)는 제1 접촉지지부(340)에 접촉지지된 기판을 들고 업(up)된다.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제2 접촉지지부(350)에는 진공에 의한 흡인력으로 기판을 흡착하며, 이러한 동작과 병행하여 새로운 기판이 제1 이송유닛(100)의 구동롤러(120)를 통해 리프터(300) 측으로 이송된다.Next, as shown in FIG. 6, the substrate transferred through the driving roller 120 of the first transfer unit 100 is first contacted with 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of the lifter 300. The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as the up / down columns 351 rise between the rotating shafts 330 by an up operation of the up / down driving part 353. 350 is lifted up holding the substrate supported by 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contact support unit 350 adsorbs the substrate by a vacuum suction force, and in parallel with this operation, a new substrate is lifted through the driving roller 120 of the first transfer unit 100. ) To the side.

다음, 이송되는 새로운 기판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지지부(340)로 이송되어 제1 접촉지지부(340)에 접촉지지된다. 도 8에 보면 제2 기판이 이미 제2 접촉지지부(350)에 접촉지지된 상태에서 제1 접촉지지부(34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이기는 하지만, 제2 접촉지지부(350)의 주변 구조, 다시 말해 제2 접촉지지부(350), 업/다운 컬럼(351) 및 연결부(354)에 의해 형성되는 라인이 터널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새로운 기판인 제1 기판이 터널 구조를 통과하여 제1 접촉지지부(340)에 접촉지지되는 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Next, the transferred new substrate is transferred to 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and contacted with 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as shown in FIG. 8. Referring to FIG. 8, although the second substrate is already disposed on and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the peripheral structure of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is again provided. In other words, since the lines formed by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the up / down column 351, and the connection part 354 form a tunnel structure, the first substrate, which is a new substrate, passes through the tunnel structure and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There is no force to be supported by contact.

도 8과 같이 리프터(300)에 2개의 기판이 적재되고 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300)가 업(up)된다. 즉 메인 업/다운 구동유닛(320)의 동작에 기인하여 리프터(300)가 업(up)됨에 따라 적재된 2개의 기판은 제2 높이(h2)의 선상으로 업(up)된다.After two substrates are stacked on the lifter 300 as shown in FIG. 8, the lifter 300 is up as shown in FIG. 9. That is, as the lifter 300 is up due to the operation of the main up / down driving unit 320, the two loaded substrates are up on the line of the second height h2.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300)의 회전축(330)들에 구비된 회전구동부(331)가 동작되어 회전축(330)들을 회전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제1 접촉지지부(34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접촉지지부(340) 상의 기판은 제2 이송유닛(200)의 구동롤러(220)로 이송된다. 이 때는 제2 이송유닛(200)의 구동롤러(220) 역시 개별구동모터(230)에 의해 회전한다.Next, as shown in FIG. 10, the rotary driving unit 331 provided on the rotary shafts 330 of the lifter 300 is operated to rotate the rotary shafts 330, and the first contact support unit 340 is linked thereto. As the substrate is rotated in one direction, the substrate on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is transferred to the driving roller 220 of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In this case, the driving roller 220 of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also rotates by the individual driving motor 230.

적재된 2개의 기판 중에서 하부의 기판이 제2 이송유닛(200)으로 이송되고 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기판을 지지하던 제2 접촉지지부(350)가 업/다운 구동부(353)의 다운(down) 동작에 의해 하강된다.After the lower substrate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among the two stacked substrates,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contact support 350 that supports the upper substrate is the up / down driving unit 353. Is lowered by the down operation.

상부의 기판을 지지하던 제2 접촉지지부(350)가 다운(down)되면서 제1 접촉지지부(340)의 사이사이에서 하방으로 더 하향되면, 제2 접촉지지부(350)에 접촉지지되던 기판은 자연스럽게 제1 접촉지지부(340) 상으로 옮겨진다.When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that supports the upper substrate is down and further downwards between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the substrat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350 naturally occurs. Is moved onto 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상부의 기판이 제1 접촉지지부(340) 상으로 옮겨지고 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300)의 회전축(330)들에 구비된 회전구동부(331)가 동작되어 회전축(330)들을 회전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제1 접촉지지부(34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접촉지지부(340) 상의 기판은 제2 이송유닛(200)의 구동롤러(220)로 이송될 있게 된다.After the upper substrate is moved onto the first contact support 340, as shown in FIG. 12, the rotation driving units 331 provided on the rotation shafts 330 of the lifter 300 operate to rotate the rotation shafts 330. As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the substrate on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340 is transferred to the driving roller 220 of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이처럼 2개의 기판이 모두 이송 완료되면, 다시 도 5의 위치로 리프터(300)가 하강되어 전술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또 다른 기판들을 이송시키게 된다.As such, when the transfer of both substrates is completed, the lifter 300 is lowered to the position of FIG. 5 again to transfer the other substrates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리프터를 구비한 이송장치(미도시)에 비해 피이송물인 기판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장비의 풋 프린트가 현저히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피이송물인 기판의 이송에 따른 택트 타임(tact time)을 종래보다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otprint of the equipme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ignificantly increased while increasing the conveying speed of the substrate to be conveyed compared to the conveying apparatus (not shown) equipped with the conventional lifter, and the conveyed overall.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tact time due to the transfer of the substrate as water.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13 is a side view of a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제1 이송유닛(100)의 리프터(300) 측 단부 영역과, 제2 이송유닛(200)의 리프터(300) 측 단부 영역에는 2개씩의 버퍼용 피이송물 대기유닛(400a,400b)이 더 마련되어 있다.Referring to this figur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lifter 300 side end region of the first transfer unit 100 and the lifter 300 side end region of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are separated by two. A buffer object waiting unit 400a, 400b is further provided.

도 13과 같이 버퍼용 피이송물 대기유닛(400a,400b)이 더 마련되는 경우, 피이송물인 기판의 이송 작업이 좀 더 빠르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그만큼 택트 타임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When the buffer waiting object (400a, 400b) is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ure 13, the transfer of the substrate to be transported can be made more quickly and quickly can be expected to reduce the tact tim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제1 접촉지지부의 주변에는 기판을 흡착하는 흡착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흡착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리프터에 의해 기판이 업(up)되는 과정에서 롤러 타입의 제1 접촉지지부로부터 기판이 떨어지거나 혹은 기판의 흔들림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 등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dsorption means for adsorbing the substrate may be further provided around the first contact support. When the suction means is provided, the substrate may be removed from the roller-type first contact support part while the substrate is lifted up by the lifter, or the scratch may be blocked due to the shaking of the substrate.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

도 3은 제2 접촉지지부의 상승 동작을 도시한 리프터의 확대 사시도이다.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er show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econd contact support.

도 4는 제2 접촉지지부의 하강 동작을 도시한 리프터의 확대 사시도이다.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lifter showing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second contact support.

도 5 내지 도 1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동작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들이다.5 to 12 are sid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13 is a side view of a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제1 이송유닛 200 : 제2 이송유닛100: first transfer unit 200: second transfer unit

110,210 : 회전축 120,220 : 구동롤러110,210: rotating shaft 120,220: driving roller

130,230 : 개별구동모터 300 : 리프터130,230: Individual driving motor 300: Lifter

310 : 본체부 320 : 메인 업/다운 구동유닛310: main body 320: main up / down drive unit

330 : 회전축 340 : 제1 접촉지지부330: rotation axis 340: first contact support

350 : 제2 접촉지지부 351 : 업/다운 컬럼350: second contact support 351: up / down column

352 : 컬럼 지지부 353 : 업/다운 구동부352: column support 353: up / down drive

354 : 연결부354 connection

Claims (10)

제1 높이의 선상에서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제1 이송유닛;A first conveying unit which conveys the object to be conveyed on a line of a first height;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의 선상에서 피이송물을 이송시키는 제2 이송유닛; 및A second transfer unit configured to transfer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on a line having a second height higher than the first height; And 상기 제1 및 제2 이송유닛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피이송물을 상기 제1 이송유닛으로부터 상기 제2 이송유닛으로 전달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상기 피이송물을 상호 이격되게 적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높이로 상기 피이송물을 업/다운(up/down)시키는 리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It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to transfer the object to be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veying unit to the second conveying unit, and the plurality of the conveyed object in the height direction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And a lifter for up / down the object to be conveyed to a second heigh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리프터는,The lifter, 상호간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회전축;A plurality of rotating shaf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다수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되고 제1 피이송물이 접촉지지되는 제1 접촉지지부; 및First contact support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the first contact supports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object to be transported; And 상기 다수의 회전축 사이사이에서 업/다운(up/down)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 피이송물이 접촉지지되는 제2 접촉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And a second contact support part provided to be up / down between the plurality of rotary shafts and contacted and supported by a second object to be transferr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접촉지지부는 상기 다수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롤러 타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접촉지지부는 진공 흡착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first contact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roller typ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rotating shafts, the second contact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device is provided with a vacuum suction typ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리프터는,The lifter,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2 접촉지지부에 결합되는 다수의 업/다운 컬럼;A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disposed along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upper end coupled to the second contact support; 상기 다수의 업/다운 컬럼의 하부 영역에서 상기 다수의 업/다운 컬럼을 지지하는 컬럼 지지부; 및A column supporter supporting 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in a lower region of 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And 상기 컬럼 지지부에 연결되어 상기 컬럼 지지부를 업/다운 구동시키는 업/다운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And an up / down drive unit connected to the column support unit to drive the column support unit up / dow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다수의 업/다운 컬럼은 상기 회전축들 사이사이에 한 쌍씩 배치되며,The plurality of up / down columns are arranged in pairs between the rotating shafts, 한 쌍의 업/다운 컬럼들을 가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업/다운 컬럼들과 함께 터널 구조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a pair of up / down column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tunnel structure with the up / down column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리프터는,The lifter, 상기 회전축, 상기 제1 접촉지지부 및 상기 제2 접촉지지부를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본체부; 및A main body part partially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and the second contact support part; And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를 업/다운 구동시키는 메인 업/다운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And a main up / down driving unit coupled to the main body to drive the main body up / dow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리프터는, 상기 다수의 회전축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다수의 회전축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다수의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lifter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rotation driving units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to rotate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다수의 회전구동부는, 접촉식 개별구동모터 방식 및 비접촉식 자석 방식 중에서 어느 한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plurality of rotary dri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device is provided in any one of a contact type individual drive motor method and a non-contact magnet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이송유닛의 상기 리프터 측 단부 영역과, 상기 제2 이송유닛의 상기 리프터 측 단부 영역 중에서 어느 한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용 피이송물 대기유닛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And at least one buffered object waiting unit is further provided in any one of the lifter side end region of the first transfer unit and the lifter side end region of the second transfer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피이송물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transported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substrate.
KR1020080083439A 2008-08-26 2008-08-26 Transferring apparatus KR1010004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39A KR101000494B1 (en) 2008-08-26 2008-08-26 Transfer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439A KR101000494B1 (en) 2008-08-26 2008-08-26 Transferr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741A true KR20100024741A (en) 2010-03-08
KR101000494B1 KR101000494B1 (en) 2010-12-14

Family

ID=4217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439A KR101000494B1 (en) 2008-08-26 2008-08-26 Transfer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4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176B1 (en) * 2010-11-16 2013-06-04 주식회사 엠엠테크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ubstra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653B1 (en) * 2012-01-31 2014-08-18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Inline sputtering apparatus
TWI718587B (en) * 2019-07-16 2021-02-11 亞智科技股份有限公司 Bar-type substrate transporta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423A (en) * 1999-04-27 2000-11-07 Ulvac Seimaku Kk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large-sized glass base board
KR200376884Y1 (en) * 2004-11-23 2005-03-08 주식회사 유니빅 Conveyor device using steel and magnet
JP2008174361A (en) * 2007-01-19 2008-07-31 Tokyo Electron Ltd Substrate convey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176B1 (en) * 2010-11-16 2013-06-04 주식회사 엠엠테크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494B1 (en) 2010-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8738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427595B1 (en) Substrate conveyor
KR20100081153A (en) Transferring apparatus system
KR100965413B1 (en) Cluster device for processing substrate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of cluster device
KR101000494B1 (en) Transferring apparatus
KR20090079577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TW200530103A (en) Lift for substrate
KR101826592B1 (en) Vertical type system for transferring glass
KR101058185B1 (en) Chamfering machine for flat panel display and processing method
KR20080022377A (en) The substrate transfer
KR100832472B1 (en) The substrate transfer
KR100816391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KR100899135B1 (en) Glass transporting system
KR101000086B1 (en) Cluster device for processing substrate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 of cluster device
KR101427596B1 (en) Substrate conveyor
KR100939682B1 (en) Grinding apparatus for glass
KR20140003717A (en) Substrate buffer devices that it is a line, and election possible and drive way
KR101010192B1 (en) Transferring apparatus
KR101016400B1 (en) Grinding apparatus for glass
KR100977741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glas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glass including the same
KR100759890B1 (en) Stocker Apparatus
KR20080015630A (en) Robot
KR101014749B1 (en) Cassette System for Storing the Substrate
KR20150130853A (en)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equipped with a glass conveying device
KR10097493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and facility for processing substrat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