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898A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898A
KR20100022898A KR1020080081623A KR20080081623A KR20100022898A KR 20100022898 A KR20100022898 A KR 20100022898A KR 1020080081623 A KR1020080081623 A KR 1020080081623A KR 20080081623 A KR20080081623 A KR 20080081623A KR 20100022898 A KR20100022898 A KR 20100022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fixture
dental implant
body portion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719B1 (ko
Inventor
박광범
류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08008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719B1/ko
Priority to PCT/KR2009/004590 priority patent/WO2010021478A2/ko
Priority to TW98128016A priority patent/TWI432183B/zh
Publication of KR20100022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몸체부; 및 몸체부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몸체부로부터의 산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일지라도 별도의 의료적인 방법 동원 없이도 원하는 식립위치로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고,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에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Dental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일지라도 별도의 의료적인 방법 동원 없이도 원하는 식립위치로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고,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에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임플란트 시술 시 최초로 식립되는 픽스츄어는 통상적으로 일자형의 스크루 형태를 가지며 크기에 따라 소형, 표준형 및 대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에, 시술자는 픽스츄어가 식립될 위치의 치조골 형태 및 그 주변부의 형상, 공간 등을 고려하여 픽스츄어의 크기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한편, 그 크기만이 상이할 뿐 실질적으로 일자형의 스크루 형태를 갖는 픽스츄어는 통상의 구강 구조를 갖는 환자들에게 공히 적용된다.
그렇지만, 만약 구강 구조가 일반적이지 못할 경우, 특히 픽스츄어가 식립될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가질 경우라면 통상적으로 알려진 일자형 픽스츄어를 사용하기 어렵다. 즉 이러한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픽스츄어를 식립하게 되면 원하는 고정력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골융합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어렵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그에 적절한 픽스츄어가 개발된 바 없기 때문에 입구 를 더 넓히는 등의 의료적인 방법을 더 동원한 후에 일자형 픽스츄어를 식립하였으므로 시술 비용이나 시간이 증가하게 됨은 물론이거니와 시술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환자에게 시술의 두려움을 유발시키는 등 다양한 폐단을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픽스츄어가 식립될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가지거나 혹은 치조골 형태 및 그 주변부의 형상, 공간 등이 다소 일반적이지 못한 경우일지라도 별도의 의료적인 방법 동원 없이도 원하는 식립위치로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고,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에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일지라도 별도의 의료적인 방법 동원 없이도 원하는 식립위치로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고,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에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의 산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몸체부의 최하단부에 형성되는 초기 진입 나사부분; 상기 몸체부의 최상단부에 형성되는 최종 고정 나사부분; 및 상기 초기 진입 나사부분과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 사이에서 상기 초기 진입 나사부분과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을 연결하는 나선 연결 나사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과 상기 나선 연결 나사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나사부분에서 측단부의 일 영역은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과 상기 나선 연결 나사부분의 측단부 영역의 단면은, 상하부 영역에 형성된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호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 영역으로 갈수록 그 산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몸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의 산 높이는 0.5 mm 내지 1.5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초기 진입 나사부분은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과 상기 나선 연결 나사부분보다 첨예하게 가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상부의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헤드와 대향된 부분에는 그 중심부가 다른 면에 비해 볼록하게 가공되어 식립위치를 가이드하는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초기 진입 나사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 영역에 서 하부 영역으로 갈수록 그 산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몸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에 형성되는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 에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가지고 상기 나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 에지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의 상부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지대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일지라도 별도의 의료적인 방법 동원 없이도 원하는 식립위치로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고,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에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11)에는 많은 수의 치아(12)가 배열되어 있다. 치아(12)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어 위장으로 보내는 1차적 소화수단으로 사람마다 상이할 수는 있지만 보통 28개 정도가 갖춰진다.
이러한 치아(12)들 중에서 어느 한 치아(12)가 상실될 경우(1구치부가 결손되는 경우), 상실된 치아(12)로 인해 심미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음식물을 씹는데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에, 상실된 치아(12)의 잇몸(11)에 치아(12)의 치근(12a)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픽스츄어(100)를 식립하게 된다. 도 1에는 자세히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픽스츄어(100)는 잇몸(11) 내의 치조골에 식립되며, 식립 전 픽스츄어(100)의 식립을 위해 드릴 천공 작업이 선행된다.
이러한 픽스츄어(100)는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 Titanium) 또는 티타늄(Ti)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도 치아(12)가 상실된 위치의 잇몸(11) 치조골에 치아(12)의 치근(12a)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픽스츄어(미도시)를 식립하여 왔다. 종래의 픽스츄어는 일자형의 스크루 형태를 가지므로 통상의 구강 구조를 갖는 환자들에게 적용하기에는 아무런 무리가 없다.
그렇지만,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이라면, 원하는 고정력을 얻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골융합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어려운 등의 이유로 인해 종래의 일자형 픽스츄어를 사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도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개선된 구조의 픽스츄어(100)를 본 발명이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픽스츄어(100)는 최초의 임플란트 시술 시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고, 혹은 시술 실패 시 손상된 부위에 소정의 골대체 재료를 보충하지 않고 해당하는 치조골에 직접 식립할 때 사용되는 것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픽스츄어(100)는 몸체부(120)와, 몸체부(120)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몸체부(120)로부터의 산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나사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산의 높이란, 몸체부(120)의 외면에서부터 나사부(130)의 측단부까지의 거리를 가리킨다.
몸체부(120)는 본 실시예의 픽스츄어(100)에서 중심 스템(stem)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 1의 화살표 방향으로 픽스츄어(100)가 식립되기 때문에 몸체부(120)는 대략 직선형 구조를 갖는다.
종래의 픽스츄어에서 몸체부(미도시)는 길이 방향을 따라 그 단면직경이 모두 동일한 원기둥 타입의 일자형 구조였던 반면, 본 실시예의 픽스츄어(100)에서 몸체부(12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테이퍼진 형상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픽스츄어(100)에서 몸체부(120)는 상부의 헤드(121)로부터 하부의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123)로 갈수록 그 단면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몸체부(120)가 제작됨에 따라 픽스츄어(100)를 식립하기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몸체부(120)의 단면직경은 대략 5 mm에서부터 8 mm 정도를 가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의 수치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나사부(130)의 설명에 앞서, 헤드(121)와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123)에 대해 먼저 설명하면, 우선 헤드(121)는 몸체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추후 지대주(abutment, 미도시)가 결합되는 장소로 활용된다. 따라서 헤드(121)의 내부에는 일정한 피치 간격의 나사산(121a)이 형성되어 있다.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123)는 몸체부(120)에서 헤드(121)의 대향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123)는 픽스츄어(100)의 식립 시 최초로 치조골의 입구 영역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이 부분이 종래의 픽스츄어처럼 평평하지 않고 그 중심부가 다른 면에 비해 볼록하게 가공되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그 중심부가 다른 면에 비해 볼록하게 가공된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123)는 픽스츄어(100)의 식립 시 최초로 치조골의 입구 영역에 접촉되어 식립의 자리를 잡는 역할과 더불어 픽스츄어(100)의 식립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겸한다.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123)의 선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첨예하게 가공되는 것이 유리하지만 반드시 그 끝이 날카롭게 가공될 필요는 없으며, 전반적으로 대략 둥근 'V'자 형태를 가지면 그것으로도 충분히 제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의 픽스츄어가 일자형의 스크루 형태를 가짐에 따라 종래의 픽스츄어에 형성된 나사부(미도시)는 산의 높이가 모두 동일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픽스츄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일지라도, 식립된 후에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나사부(130)의 형태가 종래와 상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픽스츄어(100)에서 몸체부(120)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나사부(130)는, 몸체부(120)의 중앙 영역에서 몸체부(120)의 양단부 영역으로 갈수록 그 산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몸체부(120)에 마련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나사부(130)에 대해 부연하면, 본 실시예에서 나사부(130) 는 몸체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간 소정의 피치 간격을 가지고 5바퀴로 감겨있다. 이 때, 5바퀴로 감긴 나사부(130)들 간의 피치 간격은 보다 강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종래에 비해 좀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는데, 대략 나사부(130)들 간의 피치 간격이 상호간 1 내지 1.75 피치(Pitch) 간격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의 수치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와 같이, 나사부(130)가 5바퀴로 감겨 배열되는 경우, 5바퀴로 감긴 나사부(130)는 다음과 같이 나뉠 수 있다.
즉 5바퀴로 감긴 나사부(130)는, 몸체부(120)의 최하단부에 형성되며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123)와 연결되는 초기 진입 나사부분(130a)과, 몸체부(120)의 최상단부에 형성되며 헤드(121)와 연결되는 최종 고정 나사부분(130e)과, 초기 진입 나사부분(130a)과 최종 고정 나사부분(130e) 사이에서 초기 진입 나사부분(130a)과 최종 고정 나사부분(130e)을 연결하는 나선 연결 나사부분(130b,130c,130d)을 포함한다.
나사부분(130a~130e)들에 대한 산의 높이를 살펴보면, 나선 연결 나사부분(130b,130c,130d) 중에서 가운데에 위치된 나선 연결 나사부분(130c)의 산의 높이가 제일 크고, 나선 연결 나사부분(130c)을 기준으로 몸체부(120)의 양단부로 갈수록 그 산의 높이가 작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최종 고정 나사부분(130e)의 산의 높이가 가장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부분(130a~130e)들의 산 높이는 0.5 mm 내지 1.5 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므로 최대 산 높이는 1.5 mm가 된다.
이러한 나사부분(130a~130e)들의 외면을 연결하게 되면 마치 항아리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적 혹은 형태적인 특징으로 인해, 도 4와 같이 입구에 비해 넓은 하부 영역을 갖는 치조골에 적용하기가 좋으며, 또한 식립된 후에는 강한 고정력을 제공하면서 넓은 면적에서 골융합이 보다 원활히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초기 진입 나사부분(13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고정 나사부분(130e)과 나선 연결 나사부분(130b,130c,130d)보다 첨예하게 가공될 수 있다. 이는 다른 나사부분(130b~130e)들과 달리 초기 진입 나사부분(130a)은 강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구조라 보기 보다는 식립의 용이성을 위한 구조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나사부분(130b~130e)들, 즉 최종 고정 나사부분(130e)과 나선 연결 나사부분(130b,130c,130d)의 측단부 일 영역은 도 3의 A 부분에 확대된 바와 같이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즉, 최종 고정 나사부분(130e)과 나선 연결 나사부분(130b,130c,130d)의 측단부 영역의 단면은, 상하부 영역에 형성된 직선구간(L)과, 직선구간(L)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호구간(C)을 갖는다. 이 경우, 상하부 영역에 형성된 직선구간(L)은 상호간 평행하지는 않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원호구간(C)은 실질적으로 완전한 원의 형상이 될 수도 있고, 원의 형상에서 일측을 첨예하게 가공시킨 형상이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질 경우, 원호구간(C)으로 인해 넓은 면적에서 골과의 융합되기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식립된 픽스츄어(100)에 대한 강한 지지력(혹은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픽스츄어(100)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우선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다. 그리고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립위치에 본 실시예의 픽스츄어(100)를 배치하고 픽스츄어(100)를 치조골에 삽입한다.
도 4와 같이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더라도, 드릴 천공된 입구 영역에 픽스츄어(100)의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123)를 접면시키고, 픽스츄어(100)를 예컨대 오른 방향으로 가압 회전시키면, 나사부(130)들이 회전하면서 입구 영역을 통해 강제로 식립되며, 픽스츄어(100)가 식립된 후에는 그 하부 영역의 넓은 영역에서 치조골의 형태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픽스츄어(100)에 대한 골융합이 진행될 시간이 지나면, 픽스츄어(100)의 헤드(121)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임플란트 시술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일지라도 별도의 의료적인 방법 동원 없이도 원하는 식립위치로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고,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에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이고,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도 5a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 어(200)는 몸체부(220)와, 몸체부(220)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몸체부(220)로부터의 산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나사부(230)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중복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200)에서 나사부(23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초기 진입 나사부분(230a)을 제외하고 몸체부(220)의 상부 영역에서 하부 영역으로 갈수록 그 산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몸체부(220)에 마련되고 있다.
이 경우, 도시된 것과는 달리 산의 두께(폭) 또한 몸체부(220)의 상부 영역에서 하부 영역으로 갈수록 더 커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나사부(230)의 측단부의 형상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도 3의 A 부분 참조)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200)에서 몸체부(220)의 상부 영역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220a)이 더 형성되어 있다. 비나사구간(220a)은 도면과는 달리 픽스츄어(200)가 식립되는 치조골의 형상에 맞게 더 길거나 짧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비나사구간(220a)은 골융합되는 넓은 공간을 형성하여 픽스츄어(200)가 고정되는데 도움을 준다.
한편, 나사부(230)에는 커팅 에지부(232, cutting edge portion)가 더 형성되어 있다. 커팅 에지부(232)는 날카로운 선단으로 인하여 픽스츄어(200)의 식립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팅 에지부(232)는 몸체부(2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가지고 나사부(230)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커팅 에지부(232)는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20)를 기준으로 몸체부(220)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내용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으므로, 커팅 에지부(232)가 반드시 몸체부(220)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구조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200)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치조골의 형태가 그 입구는 일반적이지 못하게 좁은 반면 하부 영역은 오히려 넓게 형성된 마치 조롱박 형태를 갖는 경우 등일지라도 별도의 의료적인 방법 동원 없이도 원하는 식립위치로 용이하게 식립될 수 있고, 또한 고정력이 우수하여 골융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기에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을 최대한 저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한 것이다.
한편, 도 6a 내지 도 7c를 통해 이하에서 설명될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300,400,500)는 대부분의 구성에 있어 도 5a 내지 도 5c를 통해 설명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2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는 도 5a 내지 도 5c의 도면 부호를 그대로 부여하도록 한다. 다만, 도 6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300,400,500)의 경우, 몸체부(220)의 상부 영역의 구조가 제2 실시예와 상이하므로 그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이고,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도 6a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300)의 경우, 몸체부(220)의 상부 영역 구조는 도시 않은 지대주(abutment)의 일 영역이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는 인터널 타입의 헤드(321, internal type head)로 적용되고 있다. 이 경우, 인터널 타입의 헤드(321)와 몸체부(220)는 상호간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321)와 몸체부(220)는 상호간 경사면(S)을 사이에 두고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이고, 도 7b 및 도 7c는 각각 도 7a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400)의 경우, 몸체부(220)의 상부 영역 구조는 도시 않은 지대주의 일 영역이 내측으로 삽입 결합되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21a)를 구비한 익스터널 타입의 헤드(421, external type head)로 적용되고 있다.
결국, 제4 실시예와 제3 실시예는 돌출부(421a)의 유무에 대한 구성적인 차이점이 있을 뿐 나머지 구성과 작용은 동일한 것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이고,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도 8a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500)의 경우, 몸체부(220)의 상부 영역에는 일체형 지대주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일체형 지대주부(521)가 형성되는 픽스츄어(500)의 경우에는 픽스츄어(500)의 식립 후에 별도로 지대주(미도시)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 보면 커팅 에지부(232, 도 5a 참조)가 형성되어 있지 않지만, 커팅 에지부(232, 도 5a 참조)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식립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이다.
도 5b 및 도 5c는 각각 도 5a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이다.
도 6b 및 도 6c는 각각 도 6a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이다.
도 7b 및 도 7c는 각각 도 7a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의 정면도이다.
도 8b 및 도 8c는 각각 도 8a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픽스츄어 120 : 몸체부
121 : 헤드 123 :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
130 : 나사부 130a : 초기 진입 나사부분
130b,130c,130d : 나선 연결 나사부분 130e : 최종 고정 나사부분

Claims (15)

  1.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로부터의 산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몸체부의 최하단부에 형성되는 초기 진입 나사부분;
    상기 몸체부의 최상단부에 형성되는 최종 고정 나사부분; 및
    상기 초기 진입 나사부분과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 사이에서 상기 초기 진입 나사부분과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을 연결하는 나선 연결 나사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과 상기 나선 연결 나사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나사부분에서 측단부의 일 영역은 곡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과 상기 나선 연결 나사부분의 측단부 영역의 단면은, 상하부 영역에 형성된 직선구간과, 상기 직선구간이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원호구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몸체부의 중앙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 영역으로 갈수록 그 산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의 산 높이는 0.5 mm 내지 1.5 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진입 나사부분은 상기 최종 고정 나사부분과 상기 나선 연결 나사부분보다 첨예하게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의 헤드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헤드와 대향된 부분에는 그 중심부가 다른 면에 비해 볼록하게 가공되어 식립위치를 가이드하는 식립위치 가이드용 볼록가공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초기 진입 나사부분을 제외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부 영역에서 하부 영역으로 갈수록 그 산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영역에는 상기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비나사구간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에 형성되는 커팅 에지부(cutting edge portion)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에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을 가지고 상기 나사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 에지부는 상기 몸체부를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 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지대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0080081623A 2008-08-20 2008-08-20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981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23A KR100981719B1 (ko) 2008-08-20 2008-08-20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PCT/KR2009/004590 WO2010021478A2 (ko) 2008-08-20 2009-08-17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TW98128016A TWI432183B (zh) 2008-08-20 2009-08-20 牙科植體之牙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623A KR100981719B1 (ko) 2008-08-20 2008-08-20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898A true KR20100022898A (ko) 2010-03-03
KR100981719B1 KR100981719B1 (ko) 2010-09-13

Family

ID=4170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623A KR100981719B1 (ko) 2008-08-20 2008-08-20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81719B1 (ko)
TW (1) TWI432183B (ko)
WO (1) WO2010021478A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843A3 (ko) * 2010-04-22 2011-12-2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US8998612B2 (en) 2011-03-10 2015-04-07 Megagen 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WO2015115692A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60124790A (ko) * 2014-02-05 2016-10-28 오피르 프로모비치 뼈 수집 및 분배용 치과 임플란트
KR20190019604A (ko) * 2017-08-18 2019-02-27 박용덕 임플란트 조립체
KR102315606B1 (ko) * 2020-12-31 2021-10-21 주식회사 하이니스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48927B2 (en) 2009-01-27 2017-12-26 Intra-Lock International, Inc. Self-clearing self-cutting implant
KR101029065B1 (ko) * 2009-02-24 2011-04-15 (주) 시원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90618B1 (ko) * 2010-11-30 2011-12-08 김노국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DE202011104513U1 (de) * 2011-08-12 2012-11-13 Biomed Est. Schraubenimplantat mit Ausnehmungen
KR101427202B1 (ko) * 2014-02-21 2014-08-07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매식체
KR101620530B1 (ko) * 2014-04-01 2016-05-12 주식회사 덴티움 임플란트용 픽스쳐
BE1022228B1 (fr) * 2014-07-30 2016-03-03 Eric Rompen Implantologie Implant dentaire
IL237117A (en) 2015-02-05 2017-07-31 Alpha Bio Tec Ltd Dental implant to stabilize and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implant site
US11382724B2 (en) 2017-10-11 2022-07-12 Evollution Ip Holdings, Inc. Three-dimensional stabilization thread form for dental implants
FR3125697A1 (fr) 2021-07-29 2023-02-03 Active Rebuilding Implant dentair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783A (en) * 1998-10-19 1999-10-19 Ura; Robert S. Threaded dental implant with a core to thread ratio facilitating immediate load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ATE284651T1 (de) * 1999-07-19 2005-01-15 Uimberto Tramonte Silvano Endossales zahnimplantat
KR200381367Y1 (ko) * 2005-01-22 2005-04-11 김정찬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2843A3 (ko) * 2010-04-22 2011-12-22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KR101134342B1 (ko) * 2010-04-22 2012-04-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US9579167B2 (en) 2010-04-22 2017-02-28 Megagen Implant Co., Ltd.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0758325B2 (en) 2010-04-22 2020-09-01 Megagen Implant Co., Ltd.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11607294B2 (en) 2010-04-22 2023-03-21 Megagen Implant Co., Ltd.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8998612B2 (en) 2011-03-10 2015-04-07 Megagen Implant Co, Ltd.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WO2015115692A1 (ko) * 2014-01-28 2015-08-0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60124790A (ko) * 2014-02-05 2016-10-28 오피르 프로모비치 뼈 수집 및 분배용 치과 임플란트
JP2017507707A (ja) * 2014-02-05 2017-03-23 オフィール・フロモヴィッチOphir FROMOVICH 骨の回収および分配のための歯科インプラント
JP2021166737A (ja) * 2014-02-05 2021-10-21 シュトラウマン・ホールディング・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Straumann Holding Ag 骨の回収および分配のための歯科インプラント
KR20190019604A (ko) * 2017-08-18 2019-02-27 박용덕 임플란트 조립체
KR102315606B1 (ko) * 2020-12-31 2021-10-21 주식회사 하이니스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21478A2 (ko) 2010-02-25
KR100981719B1 (ko) 2010-09-13
TWI432183B (zh) 2014-04-01
TW201008553A (en) 2010-03-01
WO2010021478A3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71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13434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US8177556B2 (en) Healing abutme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KR20160130838A (ko) 치과 임플란트
US11185393B2 (en) Dental implant for implantation facilitation and stabilization
KR10109231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219149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743181B1 (ko) 치과용 응급 임플란트의 내부결합형 픽스츄어
KR101234567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707596B1 (ko) 치과 임플란트의 상호 호환용 어버트먼트
KR20140059679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101092310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483373Y1 (ko) 스캔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세트
WO2009075459A1 (en) Dental implant fixture
EP2570098A2 (en) Implant detector cover screw
KR101033171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장치
TWI541009B (zh) 植牙固定物
KR10101519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60061415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599229B1 (ko) 미세 커팅 엣지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EP2497441A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130096341A (ko) 임프란트용 곡면 픽스처
KR101033175B1 (ko) 임플란트 고정구 고정용 각도 보정 방법 및 임플란트 고정구 각도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