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606B1 -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606B1
KR102315606B1 KR1020200189981A KR20200189981A KR102315606B1 KR 102315606 B1 KR102315606 B1 KR 102315606B1 KR 1020200189981 A KR1020200189981 A KR 1020200189981A KR 20200189981 A KR20200189981 A KR 20200189981A KR 102315606 B1 KR102315606 B1 KR 102315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outer diameter
fixture
screw blade
dental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니스
Priority to KR102020018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상부와, 최대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된 중간부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Dental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부를 중간부의 외경이 가장 큰 항아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해면골에 접촉하는 중간부의 면적을 넓혀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을 증가시키고 임플란트의 일차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사부 상부와 피질골이 닿는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피질골에서의 삽입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의 합금으로 만들어진 인공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치과용 임플란트란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 자체를 지칭하거나 또는 나사 형상의 고정체인 픽스쳐(fixture)를 치조골에 체결하여 실질적으로 3~8개월 동안 뼈와 융합되도록 한 후 그 위에 접합부인 어버트먼트(Abutment)와 인공치아를 고정시킴으로써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 주는 치과시술을 말한다.
이와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인공치아와 치근과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고, 그 중에서 스크루 타입의 픽스쳐를 이용한 임플란트가 있다.
여기서, 종래의 스크루 타입의 픽스쳐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314호(발명의 명칭: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 개시된 픽스쳐를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taper) 형상인 몸체(10), 몸체(10)의 상단측 부위에 형성된 베벨부(11), 몸체(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 및, 나사산(12)의 일부에 형성된 커팅에지(13)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10)는 상부에서 하부로 그 직경이 감소하도록 경사진 테이퍼 형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픽스쳐를 치조골에 시술한 이후, 골흡수 현상으로 인해 픽스쳐를 덮고 있는 잇몸조직이 침하되어 픽스쳐와 치조골 간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궁극적으로 인공치아가 파손되기도 하였다. 또한, 잇몸조직의 침하를 베벨부(11)에서 다소 억제하지만, 이 베벨부(11)만으로는 그 침하를 억제하기에는 부족하고, 몸체(10)가 상광하협(上廣下陜)의 형상이므로 침하가 가속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높은 삽입 토크를 유발하는 픽스쳐는 과도한 마찰열로 인해 치료부위에 국부적인 허혈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 혈액 공급과 조직의 성장에 있어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92314호
본 발명은 나사부를 중간부의 외경이 가장 큰 항아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해면골에 접촉하는 중간부의 면적을 넓혀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을 증대시키고 임플란트의 일차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나사부 상부와 피질골이 닿는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피질골에서의 삽입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부의 나사날 두께를 하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피질골이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상부와, 최대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된 중간부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는 높이방향으로 중간에 외경이 가장 크게 형성된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서 위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상부와, 상기 중간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하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의 나사날은 상기 하부의 나사날보다 더 굵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부는, 상기 픽스쳐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종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나사부의 최외측 단부를 형성하는 나사날과, 상기 나사날의 하단에서 부드럽게 이어지는 제1곡선영역과, 상기 제1곡선영역의 하단에서 중심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직선영역과, 상기 직선영역의 하단에서 다음 나사날의 단부까지 부드럽게 이어지는 제2곡선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곡선영역은 다음 나사날의 단부에 연결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영역과 상기 직선부 사이를 부드럽게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는 상기 나사부의 외측 하단에서 중단까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절개된 커팅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의 몸체부 최하단부는 중심부 주위의 가장자리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에 의하면, 나사부를 중간부의 외경이 가장 큰 항아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해면골에 접촉하는 중간부의 면적을 넓혀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을 증대시키고 임플란트의 일차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고, 나사부 상부와 피질골이 닿는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피질골에서의 삽입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의 중간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역테이퍼 형태로 픽스쳐를 설계함으로써, 잔존골을 확보하고 골폭이 좁아도 픽스쳐의 이식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의 나사날 두께를 하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피질골이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픽스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픽스쳐의 윤곽을 연결하는 가상선들을 표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픽스쳐의 윤곽을 연결하는 가상선들을 표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를 나타내는 상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픽스쳐(100)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몸체부(120)와, 몸체부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사부(13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0)의 외주면 윤곽을 연결하는 가상선(L3)은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직선을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몸체부(120)는 그 외경이 위에서 아래로 갈수록 일정한 비율로 점점 작아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20)가 하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골조직의 절삭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몸체부(120)가 테이퍼지게 형성됨으로써, 피질골(Cortical bone)과 닿는 여유 공간을 확보하여 높은 골 밀도를 갖는 조직에서 삽입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130)는 몸체부(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베벨부(110)로부터 외주면을 따라 하단부까지 나사날이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벨부(110)는 몸체부(120)의 외주면 상단부에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커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베벨부(110)는 응력분포를 균등하게 유지함으로써, 골괴사, 치주염 및 골흡수 현상 등에 의한 잇몸조직의 침하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130)는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된 상부(140)와, 최대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된 중간부(150)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나사부(130)는 높이방향으로 중간에 외경이 가장 크게 형성된 중간부(150)와, 중간부에서 위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상부(140)와, 중간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 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선(L1)은 나사부(130)의 최대 외경을 형성하는 나사날 단부를 지나고 중심선에 평행한 직선이다. 가상선(L2)은 베벨부(110)와 복수의 나사날 단부 윤곽들을 연결한 점선이다.
상부(140)는 복수의 나사날 윤곽의 외경이 베벨부(110)의 테이퍼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아래로 갈수록 점점 커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140)의 테이퍼 각도는 몸체부(120)의 테이퍼 각도와 반대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140)는 역테이퍼 형태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나사부(130)의 상부(140)를 위로 갈수록 역테이퍼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잔존골을 확보하고 골폭이 좁아도 픽스쳐의 이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중간부(150)는 나사부(130)의 외경이 가장 큰 부분으로서, 도 3을 기준으로 최대 외경을 가진 나사날이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부(150)에서 최대 외경을 형성하는 2 이상의 피치의 나사날들 외경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 중간부(150) 나사날 2개를 연결하는 가상선(L2)은 최대 외경을 가진 나사날 외측 단부를 지나고 중심선에 평행한 가상선(L1)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나사부(130)에서 중간부(150)의 외경을 가장 크게 형성함으로써, 해면골과의 접촉 면적을 넓혀서 초기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부(160)는 나사부(130)의 외경이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160)는 복수의 나사날 외측 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선(L2)이 가상선(L1)에 대해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픽스쳐(100)에서 나사부(130)는 중간부의 외경이 가장 큰 항아리 형태로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해면골(Cancellous bone)에 접촉하는 중간부(150)의 직경을 가장 크게 설계함으로써, 치조골과 닿는 면적을 넓혀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을 증대시키고 임플란트의 일차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부(140)와 피질골(Cortical bone)이 닿는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피질골에서의 삽입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140)의 나사날은 하부(160)의 나사날보다 더 굵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140)의 나사날 두께(T1)는 하부(160)의 나사날 두께(T2)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140)의 나사날 두께(T1)는 복수의 나사날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하부(160)의 나사날 두께(T2)는 상부(140)의 나사날 두께(T1)보다 작지만 복수의 나사날의 두께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부(140)로부터 중간부(150)를 거쳐 하부(160)의 나사날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피질골은 해면골보다 골밀도가 높기 때문에, 상부(140)의 나사날 두께(T1)를 상대적으로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피질골이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130)는, 픽스쳐(100)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종단면을 기준으로 할 때, 나사부(130)의 최외측 단부를 형성하는 나사날(131)과, 나사날의 하단에서 부드럽게 이어지는 제1곡선영역(133)과, 제1곡선영역의 하단에서 중심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직선영역(135)과, 직선영역의 하단에서 다음 나사날(131)의 단부까지 부드럽게 이어지는 제2곡선영역(137)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날(131)의 외측 단부는 그 윤곽이 나사부(130)의 최외측 단부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날(131)의 외경은 상부(140)에서 중간부(150)로 내려오면서 커졌다가 하부(160)에서 아래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또한, 나사날(131)의 두께는 상부(140)의 나사날이 하부(160)의 나사날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곡선영역(133)은 나사날(131)의 외측 하단에서 직선영역(135)의 상단까지 부드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형성한다.
직선영역(135)은 제1곡선영역(133)의 하단에서 가상의 중심선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직선영역(135)은 몸체부(120)의 외주면을 구성하는데, 몸체부(120)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되지만, 각 직선영역(135)은 중심선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고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래서, 도 3에서 각 직선영역(135)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선(L3)이 몸체부(120)의 중심선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곡선영역(137)은 직선영역(135)의 하단과 다음 나사날(131)의 외측 상단 사이에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곡선영역(137)은 다음 나사날의 단부에 연결되는 직선부와, 직선영역과 직선부 사이를 부드럽게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곡선영역(133)은 직선부를 포함하지 않고 전부 곡선으로 이루어지지만, 제2곡선영역(137)은 하측에 직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곡선영역(133)의 상하방향 높이는 제2곡선영역(137)의 상하방향 높이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100)는 나사부(130)의 외측 하단에서 중단까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절개된 커팅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진 형태의 몸체부(120)를 갖는 픽스쳐(100)는 큰 골 절삭 능력을 갖지만, 비교적 큰 삽입 토크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나사부(130)의 하단 측부를 절개하여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발생하는 마찰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커팅에지부(170)는 나사부(130)의 복수의 나사날과 몸체부(120)의 일부까지 연속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팅에지부(170)는 픽스쳐(100)의 전체 높이 중 하단에서 중간 높이 가까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커팅에지부(170)는 나사부(130) 중 하부(160)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중간부(150)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100)의 몸체부(120) 최하단부(190)는 중심부 주위의 가장자리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20)의 최하단부(190) 중심부는 수평한 평면 형태로 형성되고, 최하단부(190)의 중심부 주위의 가장자리부는 도면에서 아래로 볼록하게, 즉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픽스쳐(100)를 상악 구치부의 치조골에 이식하는 경우, 상악동의 함기화로 인해 치조골의 두께가 얇아서 픽스쳐(100)를 안정적으로 이식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픽스쳐(100)는 최하단부(190)가 아래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픽스쳐(100)를 상악동 점막 가까이까지 최대 깊이로 식립하더라도 최하단부(190)에 의해 상악동 점막이 찢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100)의 상부 중심 내측에는 중심홈(180)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홈(180)은 상단 내주면이 위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181)와, 렌치를 삽입하여 픽스쳐(100)를 치조골에 식립할 수 있도록 하는 소켓부(183)와, 어버트먼트(미도시)의 하단 외주면 나사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내주면 나사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부(181)는 렌치를 삽입할 때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어버트먼트를 체결할 때 어버트먼트 중간부 외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소켓부(183)는 육각 홈 형태로 형성되어 육각 렌치로 픽스쳐(100)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내주면 나사부(185)는 어버트먼트의 하단 외주면 나사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어버트먼트를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픽스쳐에 의하면, 나사부를 중간부의 외경이 가장 큰 항아리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해면골에 접촉하는 중간부의 면적을 넓혀 임플란트의 일차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나사부 상부와 피질골이 닿는 여유공간을 확보함으로써, 피질골에서의 삽입 토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부의 나사날 두께를 하부보다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피질골이 성장함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픽스쳐
110: 베벨부 120: 몸체부
130: 나사부 131: 나사날
133: 제1곡선영역 135: 직선영역
137: 제2곡선영역
140: 상부 150: 중간부
160: 하부 170: 커팅에지부
180: 중심홈 181: 테이퍼부
183: 소켓부 185: 내주면 나사부
190: 최하단부

Claims (7)

  1.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일정 비율로 점점 작아져서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로서,
    상기 나사부는 상단에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커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된 베벨부와, 중간부보다 외경이 작고 상기 베벨부의 테이퍼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커지도록 역테이퍼 형태로 형성되며 1피치까지의 나사날을 포함하는 상부와, 최대 외경이 일정하게 형성되고 2피치 이상의 나사날을 포함하는된 중간부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3피치 이상의 나사날을 포함하는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픽스쳐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종단면 윤곽선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나사부의 최외측 단부를 형성하는 나사날과, 상기 나사날의 하단에서 부드럽게 이어지는 제1곡선영역과, 상기 제1곡선영역의 하단에서 중심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직선영역과, 상기 직선영역의 하단에서 다음 나사날의 단부까지 부드럽게 이어지는 제2곡선영역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2.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일정 비율로 점점 작아져서 테이퍼지도록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나사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로서,
    상기 나사부는 상단에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커져서 테이퍼지게 형성된 베벨부와, 높이방향으로 중간에 외경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2피치 이상의 나사날을 포함하는 중간부와, 상기 중간부에서 상기 베벨부의 테이퍼 경사와 동일한 경사로 위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역테이퍼 형태로 형성되고 1피치까지의 나사날을 포함하는 상부와, 상기 중간부에서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3피치 이상의 나사날을 포함하는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상기 픽스쳐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으로 자른 종단면 윤곽선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나사부의 최외측 단부를 형성하는 나사날과, 상기 나사날의 하단에서 부드럽게 이어지는 제1곡선영역과, 상기 제1곡선영역의 하단에서 중심에 평행하게 이어지는 직선영역과, 상기 직선영역의 하단에서 다음 나사날의 단부까지 부드럽게 이어지는 제2곡선영역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의 나사날들 두께는 상기 하부의 나사날들보다 더 굵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곡선영역은 다음 나사날의 단부에 연결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영역과 상기 직선부 사이를 부드럽게 연결하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는 상기 나사부의 외측 하단에서 중단까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커지도록 절개된 커팅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의 몸체부 최하단부는 중심부 주위의 가장자리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0200189981A 2020-12-31 2020-12-31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315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981A KR102315606B1 (ko) 2020-12-31 2020-12-31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981A KR102315606B1 (ko) 2020-12-31 2020-12-31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5606B1 true KR102315606B1 (ko) 2021-10-21

Family

ID=78268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981A KR102315606B1 (ko) 2020-12-31 2020-12-31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5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999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디에이치티 임플란트 픽스쳐의 표면처리를 위한 지그 결합용 토크 체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898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10001159U (ko) * 2009-07-27 2011-02-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1092314B1 (ko) 2009-11-13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EP2561824A1 (en) * 2010-03-03 2013-02-27 Luis Mauricio Chiquillo Perez Multi-tapered implant screw
KR101427202B1 (ko) * 2014-02-21 2014-08-07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매식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2898A (ko) * 2008-08-20 2010-03-0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10001159U (ko) * 2009-07-27 2011-02-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1092314B1 (ko) 2009-11-13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술용 세트
EP2561824A1 (en) * 2010-03-03 2013-02-27 Luis Mauricio Chiquillo Perez Multi-tapered implant screw
JP2013521037A (ja) * 2010-03-03 2013-06-10 ペレス,ルイス マウリシオ チキジョ マルチテーパードインプラントスクリュー
KR101427202B1 (ko) * 2014-02-21 2014-08-07 주식회사 바이오세텍 치과용 임플란트의 매식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3999A (ko) 2022-01-24 2023-08-01 주식회사 디에이치티 임플란트 픽스쳐의 표면처리를 위한 지그 결합용 토크 체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15748A1 (en) Fixture for a dental implant and an impla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8277218B2 (en) Screw-type dental implant
KR101646603B1 (ko) 소형 치과 임플란트
US6981873B2 (en) Dental implant and head for a compaction drill
EP2308413B1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US20140199658A1 (en) Dental implant with multiple thread patterns
US8616881B2 (en) Modified asymmetrical dental implant
US20070281281A1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ES2256965T5 (es) Implante con rosca, para anclaje seguro en el hueso
KR101296741B1 (ko) 힐링 어버트먼트
KR102384530B1 (ko) 치과 임플란트
KR20070121852A (ko) 치과용 삽입물
KR20110033853A (ko) 분리형 치과 임플란트의 개선된 고정체
KR10231560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1126525B1 (ko) 픽스츄어 및 그 제조방법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4636216A (en) Dental implant
CN102695470A (zh) 骨内牙植入物
US20130045462A1 (en) Dental implant fixing system
KR102500190B1 (ko) 보철물 어버트먼트, 임플란트와 내부 스크류 사이에 하이브리드 연결부 및 평행 이중 원뿔 로킹을 구비하는 고도의 셀프 태핑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200382442Y1 (ko) 픽스츄어의 식립 각도를 보상 가능한 어버트먼트
KR20100090006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N110547886A (zh) 牙科植入物
US7665990B2 (en) Dental implant with positioning means
US8992222B2 (en) Ridge lap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