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2543A - 해양 오염 방제장치 - Google Patents

해양 오염 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2543A
KR20100022543A KR1020080081103A KR20080081103A KR20100022543A KR 20100022543 A KR20100022543 A KR 20100022543A KR 1020080081103 A KR1020080081103 A KR 1020080081103A KR 20080081103 A KR20080081103 A KR 20080081103A KR 20100022543 A KR20100022543 A KR 20100022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oller
marine pollution
recovery
rota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550B1 (ko
Inventor
왕종문
Original Assignee
왕종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종문 filed Critical 왕종문
Priority to KR102008008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5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02B15/047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provided with an oil collecting boom arrang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hu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18Miscellaneous specific techniques
    • Y10S210/922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 Y10S210/923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using mechanical means, e.g. skimmers,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 오염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에 유출되는 오일을 방제하기 위해 각종 선박에 설치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장치와, 상기 동력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 에너지로 전환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의 유압 에너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생산된 압축공기를 상기 실린더 부재로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고 이 회전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오일을 회수하는 망체와, 상기 회전 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 공급기에 의해 상기 회전 롤러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회전 롤러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망체와 이격되게 장착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회수 프레임을 포함하는 회수 장치; 상기 회수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상기 오일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잔여물 제거 수단; 상기 회수 장치에 의해 회수된 상기 오일이 저장되며, 일면에 상기 회수 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수 분리기; 상기 유수 분리기에 저장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각종 선박의 일단에 설치하여 일반 방제선보다 해상에서의 방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개별 작동 에 의해서 해변가에서의 방제 작업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해양 생태계의 파괴 및 지역 어민들의 재정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80081103
오염, 오일 제거, 방제, 방제 장치, 방제선

Description

해양 오염 방제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ea Contamination}
본 발명은 해양 오염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각종 선박의 일단에 설치하여 일반 방제선보다 해상에서의 방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개별 작동에 의해서 해변가에서의 방제 작업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광범위한 수면위의 오일들을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해양 생태계의 파괴 및 지역 어민들의 재정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교통 및 운송 수단은 대형화로 되어가고 있어 대형 선박이나 유조선 등의 충돌 사고 및 좌초 등으로 인해 바다에 유출된 오일의 양 역시 방대할 수밖에 없다. 특히, 유출된 오일을 신속하고 깨끗하게 처리하기 위해 화학 약품을 투하하여 원유를 휘발시키거나 바다 밑으로 가라앉혀 연안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있으나, 오히려 바다 밑의 생태계를 파괴시켜 죽음의 바다로 만들고, 또 연안에 덮인 오일은 부직포로 흡착시켜 닦아내고 있으나, 사용한 부직포의 처리가 2차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해상에 유출된 오일을 처리하기 위해 방제선 및 청항선이 개발되 었으며, 이 방제선 및 청항선은 해양용, 연근해용, 연안용, 내항용, 내수면용 등 해역별로 장비의 크기 및 기능에 따라 구별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제선 및 청항선 등은 고무 벨트에 솔을 달아 오일을 흡착시켜 방제선의 오일 저장탱크로 이동시키는데, 이때 고무 벨트의 솔에 흡착된 끈끈한 오일은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단순 고무판으로 제작된 벨트의 여건상 해상에 떠다니는 오일이 물과 같이 밀려서 잘 흡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닷물과 같이 오일을 펌핑하여 바닷물만 분리하여 배출하는 방식의 방제선 등이 있으나 이 또한 시간이 지나면서 응고된 오일이 펌프 안으로 흡입되어 펌핑작동을 저지하면서 방제 작업에 대한 효율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방제선 및 청항선 등은 광범위한 해양에 대량의 오일이 누출되었을 때에는 그 효과가 더욱 저효율적이고, 방제 적업 후에도 2차적 환경 오염을 발생하는 문제점 또한 심각한 실정이어서 대단히 비효율적인 상태로 방제 작업을 실시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각종 선박의 일단에 설치하여 일반 방제선보다 더욱 많은 양의 오일을 수거할 수 있으며, 해양 오염 방제장치의 개별 작동에 의해서 해변에서의 방제 작업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광범위한 수면상의 오일들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2차 환경 오염 역시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해양에 유출되는 오일을 방제하기 위해 각종 선박에 설치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장치와, 상기 동력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 에너지로 전환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의 유압 에너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생산된 압축공기를 상기 실린더 부재로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고 이 회전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오일을 회수하는 망체와, 상기 회전 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 공급기에 의해 상기 회전 롤러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회전 롤러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망체와 이격되게 장착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회수 프레임을 포함하는 회수 장치; 상기 회수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상기 오일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잔여물 제거 수단; 상기 회수 장치에 의해 회수된 상 기 오일이 저장되며, 일면에 상기 회수 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수 분리기; 상기 유수 분리기에 저장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각종 선박의 일단에 설치하여 일반 방제선보다 해상에서의 방제 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개별 작동에 의해서 해변가에서의 방제 작업 또한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해양 생태계의 파괴 및 지역 어민들의 재정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칭하는 오일은 대형 선박이나 유조선 등의 충돌 사고 및 좌초 등으로 인해 바다에 누출된 것을 칭하며, 이 오일 중에서도 유출된지 얼마 되지않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액체 오일(O₁), 유출된 오일이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외부 온도에 의해서 응고가 진행되는 상태인 반응고 오일(O₂) 및 응고가 완전 히 진행되어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응고 오일(O₃) 등으로 구분한다.
본 발명은 액체 오일(O₁), 반응고 오일(O₂) 및 응고 오일(O₃) 등을 모두 회수하여 처리할 수 있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로서,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서 상세히 기재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는 바다에 유출된 오일을 회수하는 회수 장치(110), 회수 장치(110)에 의해 회수된 오일이 임시 저장되는 유수 분리기(120), 유수 분리기(12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저장탱크(130) 및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수 장치(110)는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회수하는 회수 프레임(102) 및 회수 프레임(102)의 내부에 구비되는 보조 프레임(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수 프레임(102)은 일측 단부에 후술할 구동장치(140)의 구동모터(430)가 장착된 회전 롤러(210)와, 이 회전 롤러(21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망체(220)와, 회전 롤러(210)와 구동장치(140) 사이에 구비되어 회전 롤러(210)의 거리를 조절하는 실린더 부재(230) 및 오일 특유의 점성으로 인해 망체(220)에 밀착된 오일을 망체(220)로부터 분리하는 스크래퍼(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 롤러(210)는 회수 프레임(102)의 일측 선단부에 구비되어 구동장 치(140)가 장착된 제 1 회전 롤러(202)와, 제 1 회전 롤러(202)와 대향하는 타측 선단부에 구비되며 해양에 유출된 오일의 방제 작업시 해수면으로 입수하는 제 2 회전 롤러(204)로 이루어지며, 이 회전 롤러(210)의 외주면에는 풀리의 벨트와 같은 형식으로 망체(220)가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은 회전 롤러(210)의 일측 단부에는 구동장치(140)의 구동모터(430)가 장착되며, 이 구동장치(140)의 구동모터(430)에 의해 회전하면서 해양에 유출된 오일을 회수하여 유수 분리기(12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2 회전 롤러(204)의 외주면에는 수면에 직접 입수하는 특성을 감안하여 물을 배척하고 기름을 흡유 및 흡착하는 역할을 하며 부양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흡착포 등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1 회전 롤러(202)에 설치된 구동모터(430)는 주변 환경에 따라 제 2 회전 롤러(204)에도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망체(220)는 제 1 회전 롤러(202) 및 제 2 회전 롤러(204)의 외주면을 감싸며 회수할 오일의 상태 즉, 액체 오일(O₁), 반응고 오일(O₂) 및 응고 오일(O₃)에 따라 메쉬의 크기 등을 달리하여 교체 작업을 함으로써, 더욱 많은 양의 오일을 회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오일의 상태가 액체 오일(O₁)인 경우, 그 외주면이 흡착포와 같은 형태의 망체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실린더 부재(230)는 일측이 제 1 회전 롤러(202)에 결합하고, 타측이 제 2 회전 롤러(204)에 결합하여 구동장치(140)의 에어 공급기(440)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 실린더 부재(230)의 길이 조절에 따라 회전 롤러(210)를 감싸고 있는 망체(220)의 상태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실린더 부재(230)를 길게 조절하면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된 회전 롤러(210)를 밀어주면서 이 회전 롤러(210)의 거리가 벌어지게 되어 회전 롤러(210)를 감싸는 망체(220) 역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실린더 부재(23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할 경우, 망체(220)가 회전 롤러(210)에 느슨하게 걸쳐있게 되므로 망체(220)를 교체할 때 용이하다.
이와 같은 실린더 부재(2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 공기압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공기압 실린더를 사용하며, 후술할 구동장치(140)의 에어 공급기(440)를 통해서 작동된다.
아울러, 제 1 회전 롤러(202)와 제 2 회전 롤러(204)에 결합되는 별도의 커버(232)를 구비하고, 이 커버(232)의 내부에 실린더 부재(230)가 내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린더 부재(230)가 제 1 회전 롤러(202) 및 제 2 회전 롤러(204)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스크래퍼(240)는 회전 롤러(210)의 일측 선단부에 장착되어 오일이 가지는 특유의 점성으로 인하여 망체(220)에 붙어있는 오일을 떼어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선단부가 날카로운 칼날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칼날의 형상부가 망체(22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되며 그 이격되는 범위가 매우 미세한 범위를 유지한 채 장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체(220)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망체(220)로부터 오일을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크래퍼(240)는 회전 롤러(210)에 장착된 구동장치(140)의 케이싱(미도시)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본체(242)를 구성하여 회전 롤러(210)와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들어, 제 1 회전 롤러(202)의 양측 단부에 구비되되 회전 롤러(210)가 회전함에 있어서 방해받지 않도록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본체(242)를 구비하고 이 본체(242)에 스크래퍼(240)를 장착하여 회전 롤러(210)에 스크래퍼(240)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보다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스크래퍼(240)를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크래퍼(240)는 일정 시간이 지난 뒤 마모 현상 등에 의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 원활하게 교체가 가능하도록 회수 프레임(102)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프레임(104)은 회수 프레임(102)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어 액체 오일(O₁)이 그물 형태로 이루어진 망체(220)의 하단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원활하게 유수 분리기(120)로 오일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회수 프레임(102)과 마찬가지로 일측 선단부 및 타측 선단부 각각 회전 롤러(210)가 구비되며, 회전 롤러(210)에 장착된 구동모터(430) 역시 함께 구비되어 구동장치(140)에 의해 회수 프레임(102)이 회전할 때, 보조 프레임(104) 또한 함께 회전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보조 프레임(104)은 회전 롤러(210)를 감싸는 망체(220)가 그물망의 형태가 아닌 부직포 또는 흡착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액체 오일이 하측으 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보조 프레임(104) 자체에서도 일정 부분 오일을 방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보조 프레임(104) 역시 전술한 실린더 부재(230)가 양측에 장착되어 있어서, 회수 프레임(102)과 마찬가지로 망체(220)의 교체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수 장치(110)에는 오일의 잔여물을 최소화하여 회수된 오일이 다시금 해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망체(220)만 겨우 통화할 수 있을 만큼의 공간을 유지한 채 회전하는 압축 롤러(260),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된 브러쉬 롤러(250) 및 구동장치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망체(220)에 분사하여 오일의 잔여물을 처리하는 에어 분사기(270) 등으로 이루어진 잔여물 제거 수단을 추가로 구비한다.
압축 롤러(260)는 제 1 회전 롤러(202)의 하측에 구비되고 브러쉬 롤러(250)의 후방에 설치되며, 회전하는 망체(220)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브러쉬 롤러(250)와 함께 오일의 잔여물을 처리함과 동시에 액체 오일(O₁)을 처리하는 것으로서, 망체(220)의 두께만큼의 공간을 형성한 상태로 설치하여 망체(220)만 겨우 압축 롤러(260)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오일이 밀착된 망체(220)를 압축 롤러(260)가 압박 혹은 압축하여 짜는 듯한 형태를 이룸으로써, 액체 오일(O₁)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브러쉬 롤러(250)는 압축 롤러(260)의 후방에 설치되고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되어 있어서, 스크래퍼(240)와 압축 롤러(260)를 통해 제거되지 않는 오일의 잔여물들을 2차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유출된 오일의 상태에 따라 스크래퍼(240)는 응고 오일(O₃) 및 반응고 오일(O₂) 등은 제거하기 용이할 것이나, 액체 오일(O₁)의 제거는 망체(220)와 스크래퍼(240) 간의 이격된 거리에 의해서 미흡하고, 압축 롤러(260)에 의해서 액체 오일(O₁)의 처리가 가능하나 망체(220)의 구멍들에 남은 오일의 잔여물 처리는 미흡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스크래퍼(240)에 의해 제거된 응고 오일(O₃) 및 반응고 오일(O₂) 의 잔여물과 스크래퍼(240) 및 압축 롤러(260)를 통해서 제거하기 힘든 액체 오일(O₁)의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압축 롤러(260)의 후방에 구비되며, 회전 롤러(21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면서 오일의 잔여물을 신속하게 처리함으로써, 회전 롤러(210) 및 망체(220)에 의해 회수된 오일이 다시금 해양으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에어 분사기(2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롤러(260)의 후방에 위치하며 압축 롤러(260)를 통해서도 제거되지 못한 오일을 최종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각종 장비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140)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구동장치(140)에 설치된 배출관(272)과 에어 분사기(270)의 일면에 설치된 공급관(274)을 연결하여 이 배출 가스가 에어 분사기(270)의 노즐(276)을 통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망체(220)에 있는 오일의 잔여물을 최종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관(272)과 공급관(274)을 연결시키는 매개체는 통상적으로 관과 관을 연결하는 이음관 등의 연결구(278)를 통해서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연결구(278)에는 공기압 등의 압력을 체크할 수 있는 게이지(미도시) 등이 구비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즉, 스크래퍼(240)는 오일의 상태 중 응고 오일(O₃) 및 반응고 오일(O₂) 의 처리에 용이하고, 잔여물 제거 수단 중 브러쉬 롤러(250)는 스크래퍼(240)가 처리하지 못하는 응고 오일(O₃) 및 반응고 오일(O₂) 의 잔여물, 그리고 액체 오일(O₁)을 처리하며, 압축 롤러(260)는 브러쉬 롤러(250)가 처리하지 못한 액체 오일(O₁) 및 기타 오일의 잔여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에어 분사기(270)를 통해 최종적으로 오일의 잔여물을 완전히 처리함으로써, 회수된 오일이 다시금 해양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 및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잔여물 제거 수단은 회수 장치(110)가 유출된 오일을 회수함에 있어서 방해받지 않는 한도 내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결합 방법을 통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회수 장치(110)의 회수 프레임(102) 양측부 전체를 감싸는 케이스(미도시)를 별도로 제작하고, 이 케이스(미도시)에 잔여물 제거 수단이 설치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겠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수 분리기(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어 회수 장치(110)로부터 회수된 오일이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고(312)와 수분이 제거된 순수 오일만 저장되는 오일 저장고(314)로 이루어진 저장고(310) 및 이 저장고(310)를 고정하는 고정부(320)로 이루어진다.
물 저장고(312)는 회수 프레임(102)을 통해 회수된 오일이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 저장고(312)로 1차적으로 회수되어 물과 오일이 서로 섞이지 않는 성질을 통 해서 회수 프레임(102)에 의해 회수된 오일에서 수분을 제거한다. 특히, 물 저장고(312)의 양측 격벽에는 희석 방지판(306)이 물 저장고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장시간 물 저장고(312)에 저장되어 있다 하더라도 오일이 물과 희석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물 저장고(312)의 일측에는 배출 밸브(302)를 형성하여, 방제 작업 후 물 저장고(312)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도록 한다. 이때, 오일의 잔여물이 이 물과 함께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망(304)을 물 저장고(312)와 배출 밸브(302) 사이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오일 저장고(314)는 물 저장고(312)와 격리되어 물 저장고(312)에서 수분이 제거된 오일이 저장되는 곳으로 그 일측에 유압 펌프(420)가 구비되어 있어서 오일 저장고(314)에 저장된 오일을 오일 저장탱크(130)로 원활하게 이송시킨다.
고정부(320)는 저장고(310)의 하측에 형성되며, 각 모서리부에 체결부(322)가 형성되어 있어서, 각종 선박 및 해변가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320)의 일측에는 회수 장치(110)가 지지되면서 회동이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324)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 프레임(324)의 일면에는 회수 장치(11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실린더 부재(230)가 설치되는데 이 실린더 부재(230)는 회수 프레임(102) 및 보조 프레임(104)에 구비된 실린더 부재(230)와 같은 실린더 부재(230)를 사용한다. 또한, 지지 프레임(324)에 설치된 실린더 부재(230)의 단부에는 회수 프레임(102) 및 보조 프레임(104)에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 부재(23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수 프레임(102) 및 보조 프레임(104)에 구비된 실린더 부재(230) 혹은 지지 프레임(324)의 일면에 회동 플랜지(326)를 장착하고, 지지 프레임(324)에 설치되어 있는 실린더 부재(230)가 이 회동 플랜지(326)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방제 작업시 해수면으로 회수 프레임(102)의 제 2 회전 롤러(204)가 입수할 수 있도록 그 기울기를 조절함과 동시에 회수 장치(110)의 무게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구동장치(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 혹은 별도의 엔진(Engine)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장치(410)와, 동력 제공장치(410)에서 발생하는 회전에 의한 동력을 유압 에너지로 전환하는 유압 펌프(420)와, 유압 펌프(420)의 유압 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430) 및 이 구동모터(430)와 풀리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모터(430)의 회전력에 의해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Air Compressor: 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유압 펌프(420)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설치되는 개수를 달리하여 토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오일 저장고(314)의 일측에도 이 유압 펌프(420)가 구비되어 오일 저장고(314)에 저장되어 있는 오일의 배출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동력 제공장치(410)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구동 모터(430)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유압 펌프(420)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기압 펌프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구동모터(430)는 유압 펌프(420)의 유압 에너지를 통해서 회전하고 이 회전력을 에어 공급기로(440)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구동모터(430)는 구동장치(140)에서만 장착되어 있는 것이 아닌, 회수 장치(110)의 회수 프레임(102) 및 보조 프레임(104)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 롤러(210)를 회전시키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에어 공급기(440)는 구동모터(430)와 풀리 등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430)의 회전력을 이 풀리에 의해 전달받아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압축하여 이 압축된 공기를 통해 실린더 부재(230)의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실린더 부재(230)의 길이 조절, 회수 장치(110)의 기울기 조절 및 구동장치(140)의 가동 여부 등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가 가장 안정적인 조건에서 방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별 가동에 따른 온/오프 등의 상황을 체크 및 확인을 할 수 있는 제어판(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등을 운송하는 기능을 가진 통상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차량 운송 선박(Car Ferry)의 회전 프레임(510)과 유수 분리기(120)의 고정부(320)에 형성된 체결부(322)를 별도의 체결구(미도시)로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차량 운송 선박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양에 유출된 오일이 회수 장치(110)의 회수 프레임(102)측으로 모여 회수 장치(110)에 의해 회수될 수 있도록 유출된 오일을 회수 장치(110)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프레임(150)이 구비된다. 이 안내 프레임(150)은 회수 프레임(102)의 양측 단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실린더 부재(230)가 구비되는 커버(232)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오일 회수시 해수면에 입수되는 제 2 회전 롤러(204)와 인접하게 설치되어 선박이 방제 작업을 위해 이동할 때, 선박 주변의 유출된 오일을 회수 장치(110) 측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안내 프레임(150)은 일측 단부가 커버(232)에 고정되며, 그 중간부에 링크 장치(520)가 장착되어 타측이 해일에 의해서 좌우로 자유로운 회동일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제 작업시 더욱 많은 오일을 회수 장치(110)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 방제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는 해양에 유출된 오일의 방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차량 운송 선박 등에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를 설치하고, 구동장치(140)를 작동시키면 회수 장치(110)의 회수 프레임(102)이 회전하면서 제 2 회전 롤러(204)의 일정 부분이 해수면으로 입수하면 안내 프레임(150)에 의해 유출된 오일이 회수 장치(110)측으로 모여 회전하는 회전 롤러(210)와 망체(220)를 따라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의 유수 분리기(120)로 저장되는 것이다.
이때, 액체 오일(O₁)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프레임(104) 역시 회수 프레임(102)과 함께 회전을 하고, 회수 프레임(102)의 일면에 장착된 스크래퍼(240)에 의해서 응고 오일(O₃)이 제거된 다음, 브러쉬 롤러(250)에 의해 반응고 오일(O₂) 및 응고 오일(O₃)의 잔여물을 처리하고, 압축 롤러(260) 및 에어 분사기(270)를 통해서 액체 오일(O₁) 및 반응고 오일(O₂), 응고 오일(O₃)의 잔여물을 최종적으로 처리된다.
또한, 회수 장치(110)에 의해 회수된 오일은 유수 분리기(120)의 물 저장고(312)에 임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오일 저장고(314)로 이동된다. 그리고 오일 저장고(314)의 일측에 구비된 유압 펌프(420)에 의해서 오일 저장탱크(130)로 이송되면서 오일 회수 작업을 마무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양 오염 방제장치(100)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그 크기를 소형, 중형, 대형 등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고, 또 자유자재로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방제선 등의 방제만을 위한 선박이 아닌 일반 선박 등에서도 장착하여 방제 작업을 할 수 있음은 물론 해변가에서도 별도로 설치하여 방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광범위한 방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 방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회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어 분사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 방제장치가 차량 운송 선박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양 오염 방제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해양 오염 방제장치 102: 회수 프레임
104: 보조 프레임 110: 회수 장치
120: 유수 분리기 130: 오일 저장탱크
140: 구동장치 150: 안내 프레임
202: 제 1 회전 롤러 204: 제 2 회전 롤러
210: 회전 롤러 220: 망체
230; 실린더 부재 240: 스크래퍼
250: 브러쉬 롤러 260: 압축 롤러
270: 에어 분사기 302: 배출 밸브
310: 저장고 320: 고정부
410: 동력 제공장치 420: 유압 펌프
430: 구동모터 440: 에어 공급기
510: 링크장치 520: 회전 프레임

Claims (7)

  1. 해양에 유출되는 오일을 방제하기 위해 각종 선박에 설치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에 있어서,
    회전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 제공장치와, 상기 동력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유압 에너지로 전환하는 유압 펌프와, 상기 유압 펌프의 유압 에너지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생산된 압축공기를 상기 실린더 부재로 공급하는 에어 공급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어 회전하는 회전 롤러와, 상기 회전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고 이 회전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오일을 회수하는 망체와, 상기 회전 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에어 공급기에 의해 상기 회전 롤러의 길이를 조절하는 실린더 부재 및 상기 회전 롤러의 일면에 장착되고 상기 망체와 이격되게 장착되는 스크래퍼로 이루어진 회수 프레임을 포함하는 회수 장치;
    상기 회수 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상기 오일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잔여물 제거 수단;
    상기 회수 장치에 의해 회수된 상기 오일이 저장되며, 일면에 상기 회수 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수 분리기;
    상기 유수 분리기에 저장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 저장탱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롤러는
    상기 회수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모터가 장착되고 일면이 상기 실린더 부재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 1 회전 롤러; 및
    상기 회수 프레임의 타측에 구비되며 외주면에 흡착포가 부착되고 일면이 상기 실린더 부재의 타측과 결합되는 제 2 회전 롤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장치의 상기 회수 프레임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 롤러가 구비되며 이 회전 롤러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기 망체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보조 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여물 제거 수단은
    상기 회전 롤러의 하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된 브러쉬 롤러;
    상기 브러쉬 롤러의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망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망체를 압축하는 압축 롤러; 및
    상기 압축 롤러의 후방에 위치하며 일면에 상기 구동장치의 배출 가스를 이 용해서 상기 망체에 남아 있는 상기 오일을 제거하는 에어 분사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프레임의 양측에는 상기 실린더 부재가 내장되는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에는 유출된 상기 오일을 상기 회수 장치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안내 프레임의 중간부에는 링크 장치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기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며 양측 격벽에 희석 방지판이 형성되고 일면에 배출 밸브가 구비된 물 저장고와, 상기 물 저장고와 격리되며 일측에 상기 유압 펌프가 구비된 오일 저장고를 포함하는 저장고; 및
    상기 저장고의 하측에 형성되고 모서리부에 체결부가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회수 장치가 상기 실린더 부재를 매개체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이 형성된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고의 일측과 상기 배출 밸브 사이에는 차단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 오염 방제장치.
KR1020080081103A 2008-08-20 2008-08-20 해양 오염 방제장치 KR101006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103A KR101006550B1 (ko) 2008-08-20 2008-08-20 해양 오염 방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103A KR101006550B1 (ko) 2008-08-20 2008-08-20 해양 오염 방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543A true KR20100022543A (ko) 2010-03-03
KR101006550B1 KR101006550B1 (ko) 2011-01-07

Family

ID=4217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103A KR101006550B1 (ko) 2008-08-20 2008-08-20 해양 오염 방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55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5041A (zh) * 2016-01-26 2017-08-01 张家港市海丰水面环保机械有限公司 带全自动压缩打捆机的水域垃圾、水葫芦收集船
KR20180057361A (ko) * 2016-11-22 2018-05-30 (주)우정티알비서울사무소 고효율 조류 제거장치
CN109703710A (zh) * 2019-01-29 2019-05-03 广东诺德农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清理水上漂浮物的环保船
CN110106848A (zh) * 2019-06-04 2019-08-09 广州克力劳保用品有限公司 一种河面漂浮物回收处理船
CN110397008A (zh) * 2019-07-29 2019-11-01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及其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10397012A (zh) * 2019-08-09 2019-11-01 浙江海洋大学 一种海洋表面漂浮垃圾清理无人船
WO2020242186A1 (ko) * 2019-05-27 2020-12-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20200136232A (ko) * 2019-05-27 2020-12-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상 쓰레기 청소장치
KR102192644B1 (ko) * 2019-10-18 2020-12-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흡착포 수거가 용이한 오염물질 방제장치
CN112359802A (zh) * 2021-01-12 2021-02-12 鲁东大学 一种海洋垃圾收集船及其使用方法
KR20210153457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에싸 롤러를 이용한 습식 이물질 제거 장치
CN113863249A (zh) * 2021-09-06 2021-12-31 浙江浙大水业有限公司 智能多功能水上作业平台及作业方法
KR102355047B1 (ko) * 2021-03-10 2022-01-24 (주)신대양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CN114808892A (zh) * 2022-05-12 2022-07-29 黄学祥 一种海洋工程垃圾打捞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35420B (zh) * 2012-02-24 2015-04-08 武汉船舶设计研究所 一种清漂打捞输送装置
KR200483854Y1 (ko) 2016-10-01 2017-07-03 김기선 오염물 유출방제장치
CN111891302B (zh) * 2020-07-13 2022-05-17 山东瀚海振华重工科技有限公司 一种市政用湖泊漂浮垃圾打捞船
KR102557825B1 (ko) * 2021-06-25 2023-07-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톱니 컨베이어 벨트형 유회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401A (ko) * 1995-09-06 1997-04-28 정석제 방제(防除)선박
KR0132082Y1 (ko) * 1996-04-06 1999-03-30 이도형 해양오염 방지용 오일 방재선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5041B (zh) * 2016-01-26 2019-06-28 张家港市海丰水面环保机械有限公司 带全自动压缩打捆机的水域垃圾、水葫芦收集船
CN106995041A (zh) * 2016-01-26 2017-08-01 张家港市海丰水面环保机械有限公司 带全自动压缩打捆机的水域垃圾、水葫芦收集船
KR20180057361A (ko) * 2016-11-22 2018-05-30 (주)우정티알비서울사무소 고효율 조류 제거장치
CN109703710A (zh) * 2019-01-29 2019-05-03 广东诺德农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清理水上漂浮物的环保船
WO2020242186A1 (ko) * 2019-05-27 2020-12-03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20200136543A (ko) * 2019-05-27 2020-12-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자동계단식 리프트를 이용한 조류수거장치
KR20200136232A (ko) * 2019-05-27 2020-12-0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상 쓰레기 청소장치
CN110106848A (zh) * 2019-06-04 2019-08-09 广州克力劳保用品有限公司 一种河面漂浮物回收处理船
CN110106848B (zh) * 2019-06-04 2020-12-11 泰兴市虹桥仓储有限公司 一种河面漂浮物回收处理船
CN110397008A (zh) * 2019-07-29 2019-11-01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水面垃圾清理装置及其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10397012A (zh) * 2019-08-09 2019-11-01 浙江海洋大学 一种海洋表面漂浮垃圾清理无人船
KR102192644B1 (ko) * 2019-10-18 2020-12-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흡착포 수거가 용이한 오염물질 방제장치
KR20210153457A (ko) *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에싸 롤러를 이용한 습식 이물질 제거 장치
CN112359802A (zh) * 2021-01-12 2021-02-12 鲁东大学 一种海洋垃圾收集船及其使用方法
KR102355047B1 (ko) * 2021-03-10 2022-01-24 (주)신대양 송풍형 경사스키머를 이용한 스컴제거장치
CN113863249A (zh) * 2021-09-06 2021-12-31 浙江浙大水业有限公司 智能多功能水上作业平台及作业方法
CN114808892A (zh) * 2022-05-12 2022-07-29 黄学祥 一种海洋工程垃圾打捞装置
CN114808892B (zh) * 2022-05-12 2024-05-17 黄学祥 一种海洋工程垃圾打捞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550B1 (ko) 201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550B1 (ko) 해양 오염 방제장치
KR0171626B1 (ko) 탱크의 세정과 탱크내의 잔류액체의 회수 및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213887C (zh) 用于重型机械现场清洗的清洗和再循环装置及方法
KR100987379B1 (ko) 해양 오염 방지용 오일 방제선
KR101480962B1 (ko) 오일 스키머 컨베이어
US20120012535A1 (en) Oil skimmer conveyor
US7823523B2 (en) Portable dry dock system and method for commercial servicing of recreational vessels in inland waterways
FI123745B (fi) Laitteisto ja menetelmä materiaalin keräämiseksi vesistöstä
US4935152A (en) Collector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y of oil spills, and the like
WO2013115328A1 (ja) 流出油回収装置及び流出油回収船
KR102249129B1 (ko) 쓰레기 수거 및 처리가 용이한 태양광 보트
GB1580467A (en) Apparatus for removing oil from the surface of a body of water
KR200142853Y1 (ko) 해상 폐유 수거선
EP0739858A2 (en) Liquid separator and polishing filter thereof
KR101985294B1 (ko) 전기 구동 자항식 유회수기
FI119115B (fi) Menetelmä öljyn keräämiseksi vesistöstä
CN116395790A (zh) 一种海洋生态修复设备
WO2012067408A9 (en) Apparatus for removing oil
US20120111798A1 (en) Process and Means for Treatment of an Oil Spill
CN209958311U (zh) 一种海上快速吸污装置、吸污围栏和吸污围栏系统
KR200448372Y1 (ko) 유출 오일 회수설비
CN210104687U (zh) 一种刮式吸污装置及其吸污围栏和吸污围栏系统
KR20090061711A (ko) 해양 오염 제거 장치
KR20170076991A (ko) 수상오염물 제거장치에 의한 제거방법
CN221024087U (zh) 侧挂式船载污染物回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