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905A -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905A
KR20100021905A KR1020080080565A KR20080080565A KR20100021905A KR 20100021905 A KR20100021905 A KR 20100021905A KR 1020080080565 A KR1020080080565 A KR 1020080080565A KR 20080080565 A KR20080080565 A KR 20080080565A KR 20100021905 A KR20100021905 A KR 2010002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etermining
variation
value
reproduc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620B1 (ko
Inventor
김용태
박상무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620B1/ko
Priority to US12/408,772 priority patent/US8553029B2/en
Priority to PCT/KR2009/002603 priority patent/WO2010021450A1/en
Priority to EP09808356A priority patent/EP2314075A4/en
Priority to JP2011523729A priority patent/JP5529870B2/ja
Priority to MX2011001629A priority patent/MX2011001629A/es
Priority to CN200980141106.0A priority patent/CN102187680B/zh
Publication of KR2010002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7Aspects relating to detection of stereoscopic image format, e.g. for adaptation to the display form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영상 시퀀스가 입력되고, 영상 시퀀스 중 소정 영상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고, 영상 시퀀스의 재생 모드를 2차원 재생 모드 및 3차원 재생 모드 중 판별 결과에 대응되는 하나로 결정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입체 영상 재생, 3차원 재생, 3차원 영상

Description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wo- or three-dimensional display mode of an image sequence}
본 발명은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재생에 관한 것이다.
2차원 영상 시퀀스는 한 시점으로 촬영된 영상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3차원 영상 시퀀스는 둘 이상의 시점들로 촬영된 영상들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좌/우시점 영상으로 구성된 3차원 영상 시퀀스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상이 맺히도록 하는 3차원 재생 기기를 통해 3차원으로 재생될 수 있다.
현재 3차원 재생 기기는 입력된 3차원 영상 포맷을 3차원으로 재생할 수 있지만, 2차원 영상 시퀀스를 입력받을 때에는 2차원 재생도 가능하다. 소정 3차원 재생 기기는, 입력되는 영상 시퀀스로부터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재생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또는 플래그(flag)를 추출하여 재생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 시퀀스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은, 영상 시퀀스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의 재생 모드를 2차원 재생 모드 및 3차원 재생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의 특성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 중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도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결정된 특성 변수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 단계는, 상기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특성 변수들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특성 변수 결정 단계는, 상기 특성 변수로써, 상기 현재 영상의 이전 영상의 제 1 통계값,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통계값, 및 상기 현재 영상의 다음 영상의 제 3 통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 단계는, 상기 제 1 통계값 및 상기 제 2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1 변화도, 상기 제 2 통계값 및 상기 제 3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2 변화도, 및 상기 제 1 통계값 및 상기 제 3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3 변화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영상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제 3 변화도에 대한 상기 제 1 변화도와 상기 제 2 변화도의 합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통계값 결정 단계는, 상기 통계값으로써 각각의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평균, 분산 및 표준편차 중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특성 변수 결정 단계는, 각각의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변이(disparity)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변이는 상기 소정 영상의 이전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상기 소정 영상의 소정 영역의 변이를 나타낼 때, 상기 현재 영상의 이전 영상의 제 1 변이 벡터,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변이 벡터, 상기 현재 영상의 다음 영상의 제 3 변이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성 변수로써, 상기 제 1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1 변치 수치, 상기 제 2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2 변치 수치, 상기 제 3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3 변치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 단계는, 상기 제 1 변이 수치 및 상기 제 2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1 변화도, 상기 제 2 변이 수치 및 상기 제 3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2 변화도, 상기 제 1 변이 수치 및 상 기 제 3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3 변화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영상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제 3 변화도에 대한 상기 제 1 변화도와 상기 제 2 변화도의 합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변이 수치 결정 단계는, 상기 이전 영상의 제 1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1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1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1 변이 수치,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2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2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2 변이 수치, 상기 다음 영상의 제 3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3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3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3 변이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재 영상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변화도들의 비율이 소정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현재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특성 변수들의 비율이 소정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하나로 판별된 영상 시퀀스 중 상기 현재 영상의 판별 결과가 소정 개수의 주위 영상들의 판별 결과와 상이한 경우, 상기 현재 영상의 재생 모드를 상기 주위 영상들의 재생 모드와 동일한 재생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은, 상기 현재 영상이 2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포맷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은, 상기 영상 시퀀스가 3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 경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by-side format), 탑 바텀 포맷(Top-bottom format), 수직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Vertical Line-interleaved format), 수평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Horizontal Line-interleaved format), 프레임 시퀀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및 필드 시퀀셜 포맷(Field sequential format)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을 한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는, 영상 시퀀스가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 및 상기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영상의 재생 모드를 2차원 재생 모드 및 3차원 재생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는, 상기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는, 상기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의 특성 변수를 결정하는 특성 변수 결정부; 상기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 중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하는 변화도 결정부; 및 상기 변화도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변화도 비율 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는, 상기 결정된 특성 변수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의 특성 변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 중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 및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를 포함한다.
영상 입력부(110)는 영상 시퀀스를 입력받는다. 영상 시퀀스는 일련의 2차원 영상일 수 있으며, 일련의 3차원 영상일 수도 있다. 이때 3차원 영상 시퀀스는 서 로 대응되는 좌시점 프레임 및 우시점 프레임이 번갈아 입력되는 프레임 시퀀셜 형식일 수 있다.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는, 영상 입력부(110)에 입력된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한다.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는 현재 영상을 포함한 현재 영상 시퀀스가 2차원 영상 시퀀스 또는 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판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는,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을 이용하여,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는,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 및 현재 영상의 특성 변수를 결정하는 특성 변수 결정부(미도시), 주위 영상들 및 현재 영상 중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하는 변화도 결정부(미도시) 및 변화도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변화도 비율 판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는 영상 시퀀스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각각의 영상들의 특성 변수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특성 변수 결정부는 현재 영상 및 주위 영상들의 특성 변수들을 결정하여 저장부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변화도 결정부는 저장부로부터 영상들의 특성 변수들을 입력받아, 주위 영상들 및 현재 영상 중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특성 변수 결정부는, 소정 영상에 대한 특성 변수로써 소정 영상 내 픽셀들의 통계값 또는 그 이전 영상에 대한 소정 영상의 변이 벡터 관련 수치를 이용할 수 있다. 통계값은 픽셀들의 평균, 분산값, 표준 편차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변이 벡터 관련 수치는 소정 영상의 변이 벡터 중 변이 벡터 방향이 양(+)인 블록의 개수에 대한 변이 벡터 방향이 음(-)인 블록의 개수의 비율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특성 변수 결정부는, 특성 변수로써, 현재 영상의 이전 영상의 제 1 특성 변수, 현재 영상의 제 2 특성 변수, 및 현재 영상의 다음 영상의 제 3 특성 변수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의 변화도 결정부는, 제 1 특성 변수 및 제 2 특성 변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1 변화도, 제 2 특성 변수 및 제 3 특성 변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2 변화도, 및 제 1 특성 변수 및 제 3 특성 변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3 변화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의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제 3 변화도에 대한 제 1 변화도와 제 2 변화도의 합의 비율을 변화도를 결정하는 변화도 비율 결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변화도 비율 결정부에서 결정된 변화도들의 비율이 소정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현재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결정하고, 변화도들의 비율이 소정 임계치보다 작으면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에서 특성 변수, 변화도, 변화도의 비율 등을 이용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이하 도 5a 내지 10 을 참고하여 상술된다.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는,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에서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 시퀀스의 재생 모드를 2차원 재생 모드 및 3차원 재생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한다.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에서 일련의 영상들이 3차원 영상이라 판별되었다면,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는 현재 영상 시퀀스의 재생 모드를 3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일련의 영상들이 2차원 영상이라 판별되었다면,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는 현재 영상 시퀀스의 재생 모드를 2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는, 프레임 단위로 재생 모드를 결정하고, 프레임을 포함하는 영상 시퀀스 단위로 재생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는,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에서의 현재 영상의 판별 결과가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의 판별 결과와 상이한 경우, 현재 영상의 재생 모드를 주위 영상들의 재생 모드와 동일한 재생 모드로 변환하는 재생 모드 변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시간 시스템에서는 미래의 영상에 대한 정보는 없으므로 과거 일정 프레임의 재생 모드 결과들을 통해 현재 프레임의 재생 모드 결정에 반영한다. 현재 영상과 재생 모드가 비교되는 주위 영상들은, 입력된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을 포함하는 소정 구간의 일련의 영상들이다. 재생 모드 변환부를 이용하는 일 실시예는 이하 도 11을 참고하여 상술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에서 3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 영상들에 대해, 서로 대응하는 좌시점 영상 정보 및 우시점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3차원 영상 포맷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에서 2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 영상들을, 2차원 영상 포맷으로 출력하는 2차원 영상 포맷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차원 영상 포맷의 예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by-side format), 탑 바텀 포맷(Top-bottom format), 수직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Vertical Line-interleaved format), 수평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Horizontal Line-interleaved format), 프레임 시퀀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및 필드 시퀀셜 포맷(Field sequential format)를 포함하는 페이지 플립 포맷(Page-flip format) 등이 있다. 3차원 영상 포맷은 이하 도 2 에서 상술된다.
도 2 는 3차원 재생을 위한 입력 영상 포맷 및 출력 영상 포맷을 도시한다.
3차원 영상 시퀀스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 영상 포맷(200)으로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210), 탑 바텀 포맷(220),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230), 프레임 시퀀셜 포맷(240) 및 필드 시퀀셜 포맷(250)를 포함하는 페이지 플립 포맷 등이 있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210)은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의 가로로 반으로 축소시켜 해상도를 반으로 축소시키고, 해상도가 축소된 좌시점 영상 정보 및 우시점 영상 정보를 가로로 나란히 배열하여 하나의 영상을 구성하는 3차원 영상 포맷이다.
탑 바텀 포맷(220)은,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의 세로로 반으로 축소시켜 해상도를 반으로 축소시키고, 해상도가 축소된 좌시점 영상 정보 및 우시점 영상 정보를 세로로 나란히 배열하여 하나의 영상을 구성하는 3차원 영상 포맷이다.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230)은,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을 라인별로 번갈아 배열하여 하나의 영상을 구성하는 3차원 영상 포맷이다.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의 가로 라인을 번갈아 배열한 경우 수평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의 3차원 영상이 구성되고,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의 세로 라인을 번갈아 배열한 수직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이 구성될 수 있다.
페이지 플립 포맷은, 온전한 한 장의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을 시간 순서로 번갈아 배열하는 3차원 영상 포맷이다. 프레임 시퀀셜 포맷(240)은 서로 대응하는 좌시점 영상 정보 및 우시점 영상 정보가 시간 순서에 따라 프레임 단위로 번갈아 배열하고, 필드 시퀀셜 포맷(250)은 좌시점 영상 필드 및 우시점 영상 필드를 시간 순서로 번갈아 배열함으로써 3차원 영상 포맷을 구성한다.
페이지 플립 포맷은, 공간적으로 해상도가 축소되지 않은 좌시점 영상 정보 및 우시점 영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대신에, 시간적으로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의 각각의 주파수가 반으로 감소된다.
출력 재생 방식(260)으로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재생 기기,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은 페이지 플립(프레 임 시퀀셜 포맷, 필드 시퀀셜 포맷)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 시트(Sheet)를 이용한 공간 분할 방식 디스플레이는 수직 또는 수평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두 개의 채널을 통해 두 대의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3차원 재생을 구현하는 편광식 프로젝터 방식이 있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시퀀스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영상 시퀀스가 입력되면(단계 310), 입력된 영상 시퀀스가 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여부가 분석된다(단계 320).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330), 입력된 영상 시퀀스가 3차원 영상 시퀀스로 판단되면 시퀀스의 영상들을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한다(단계 340). 3차원 영상 포맷의 영상들은 3차원 재생이 가능한 재생 기기를 통하여 3차원으로 재생된다(단계 350). 3차원 재생 기기를 통한 3차원 영상 포맷의 재생에 의해 사용자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단계 320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된 영상 시퀀스가 2차원 영상 시퀀스로 판단되면(단계 330), 입력된 영상 시퀀스는 2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되어(단계 360), 재생 기기를 통해 2차원으로 재생된다(단계 3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 영상 시퀀스의 영상 정보만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시퀀스가 2차원 영상 시퀀스 또는 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가 이하 도 4 내지 12를 참고하여 개시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장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식을 채용하는 3차원 재생 기기(430)에는, 그래픽 카드(410)로부터의 2차원 영상 시퀀스(415) 또는 DVD 재생 기기 또는 BD(Blu-ray Disk) 재생 기기로부터의 프레임 시퀀셜 포맷의 3차원 영상 시퀀스(425)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재생 기기(430)는, 3차원 영상 분석부(440), 3차원 영상 포맷 변환부(450) 및 재생부(460)를 포함한다. 도4 의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BD 플레이어(BD player)와 같은 영상 재생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고, 3차원 TV 또는 3차원 모니터와 같은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3차원 영상 분석부(440)는 입력된 영상 시퀀스(415, 425)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 시퀀스(415, 425)의 영상들이 3차원 영상인지 여부가 분석되고 판별된다. 3차원 영상 분석부(440)에서 3차원 영상으로 판별된 영상 시퀀스는 3차원 영상 포맷 변환부(450)으로 출력되고, 2차원 영상으로 판별된 영상 시퀀스는 재생부(460)로 바로 출력된다.
바람직하게는 영상 시퀀스(425)는 3차원 영상 분석부(440)에 의해 3차원 영상으로 판별되어 3차원 영상 포맷 변환부(450)로 출력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영상 시퀀스(415)는 2차원 영상으로 판별되어 재생부(460)로 바로 출력될 수 있다.
3차원 영상 포맷 변환부(450)는 3차원 영상으로 판별된 영상들에 대해 3차원 영상 포맷을 변환하여 재생부(460)로 출력한다. 3차원 영상 포맷 변환부(450)는 재생부의 3차원 재생 방식에 따라, 영상들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탑 바텀 포 맷, 수직/수평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 프레임 시퀀셜 포맷 및 필드 시퀀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재생부(460)는 영상 포맷에 따라, 2차원 영상 포맷의 영상 시퀀스는 2차원으로, 3차원 영상 포맷의 영상 시퀀스는 3차원으로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재생 기기(430) 및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를 대응시켜보면, 3차원 영상 분석부(440)가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3차원 영상 포맷 변환부(450)가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에 의해, 3차원 영상을 위한 파라미터 또는 플래그(flag)를 지원 또는 인식하지 못하는 3차원 재생 기기라도, 영상 시퀀스의 픽셀값 정보만을 이용하여 2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판별하여 정확한 형식으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송단에서는 영상 시퀀스가 2차원/3차원 영상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등을 전송할 필요가 없으며, 수신단에서는 2차원/3차원 영상 플래그를 별도로 추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기존의 그래픽 카드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송 케이블 등의 하드웨어를 그대로 이용하더라도 2차원/3차원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도 5a 는 2차원 영상 시퀀스의 프레임 별 평균의 분포를 도시하고, 도 5b 는 3차원 영상 시퀀스의 프레임 별 평균의 분포를 도시한다.
도 5a 에 도시된 2차원 영상 시퀀스는 한 시점에서 촬영된 영상들이 프레임 단위로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 형식이다. 도 5b 에 도시된 3차원 영상 시퀀스는 좌/ 우시점에서 촬영된 영상들이 번갈아 프레임 단위로 시간 순서대로 나열된 형식이다.
도 5a 에 도시된 2차원 영상 시퀀스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시간 순서에 따른 인접 프레임들의 픽셀값의 평균 간의 변화폭이 크지 않다. 반면에 도 5b 에 도시된 3차원 영상 시퀀스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인접 프레임들의 픽셀값의 평균이 심하게 변경된다.
3차원 영상 시퀀스에서 번갈아 나열된 좌시점 프레임과 우시점 프레임은 서로 다른 특성의 픽셀값을 가지기 때문에, 도 5b 에 도시된 그래프는 좌시점 프레임의 픽셀값의 평균(510) 및 바로 이전(다음) 순서의 우시점 프레임의 픽셀값의 평균(520) 간의 변화폭이 크다.
도 5a 및 5b 는 프레임의 픽셀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2차원/3차원 영상 시퀀스의 프레임 특성 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평균 뿐만 아니라 픽셀값의 분산, 표준편차 등을 이용하여도 프레임 특성 간의 차이는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는, 도 5a 및 5b 의 프레임들의 픽셀들의 평균 분포 특성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 시퀀스가 2차원/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판별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7 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가 각각의 프레임의 특성 변수로써 프레임들의 픽셀값의 평균들을 이용하는 방법이 상술된다.
도 6 및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감별을 위하여 이용되는 프레임 별 평균의 관계를 도시한다.
현재 프레임(t, 620)을 기준으로, 이전 프레임(t-1, 610)은 좌시점 영상(L), 현재 프레임(620)은 우시점 영상(R), 다음 프레임(t+1, 630)은 다시 좌시점 영상(L)이다. 프레임(610, 620, 630) 별로 좌/우시점 영상이 교대로 나열되므로 3차원 영상 시퀀스 중 일부 프레임들인 경우이다.
프레임 별 특성 변수로써 프레임의 픽셀값의 통계값이 이용될 때,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의 특성 변수 결정부는, 각각의 프레임의 픽셀값의 통계값을 결정하는 통계값 결정부를 포함하고, 변화도 결정부는 인접 프레임들의 통계값들의 변화도를 결정하는 통계값 변화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의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프레임들 간 변화도의 비율을 결정하는 변화도 비율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에는 각각의 프레임(610, 620, 630)에 좌/우시점 영상임이 도시되어 있지만,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는, 입력 영상 시퀀스 상에 좌/우시점 영상 정보들이 번갈아 입력되었다는 정보 없이도, 각각의 프레임(610, 620, 630)의 픽셀값의 통계값을 이용하여 2차원/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6 에서는, 통계값 중 평균이 이용된다.
일 실시예의 통계값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610)의 제 1 통계값, 현재 프레임(620)의 제 2 통계값, 다음 프레임(630)의 제 3 통계값을 결정한다.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통계값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610)의 픽셀들의 평균 Mean(t-1)(640)을 결정하고, 현재 프레임(620)의 픽셀들의 평균 Mean(t)(650), 다음 프레임(630)의 픽셀들의 평균 Mean(t+1)(660)를 결정할 수 있 다.
일 실시예의 통계값 변화도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610) 및 현재 프레임(620)의 통계값 간의 제 1 변화도, 현재 프레임(620) 및 다음 프레임(630)의 통계값 간의 제 2 변화도, 이전 프레임(610) 및 다음 프레임(630)의 통계값 간의 제 3 변화도를 결정한다.
일 실시예의 통계값 변화도 결정부는, 프레임의 통계값 간의 차이의 절대값을 이용하여 변화도를 결정한다. 통계값 간의 차이의 절대값을 이용하는 이유는, 차이의 방향(+,-)에 의해 변화도들의 합이 상쇄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통계값 변화도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 평균 Mean(t-1)(640) 및 현재 프레임 평균 Mean(t)(650) 간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1 변화도 diffM1(670)를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계값 변화도 결정부는, 현재 프레임 평균 Mean(t)(650) 및 다음 프레임 평균 Mean(t+1)(660) 간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2 변화도 diffM2(680), 및 이전 프레임 평균 Mean(t-1)(640) 및 다음 프레임 평균 Mean(t+1)(660) 간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3 변화도 diffM3(69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변화도 비율 결정부는, 제 3 변화도(690)에 대한 제 1 변화도(670)와 제 2 변화도(680)의 합의 비율을 결정한다. 도 6 및 7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통계값 변화도 비율 D(710)는 제 1 변화도 diffM1(670)와 제 2 변화도 diffM2(680)의 합을 제 3 변화도 diffM3(690)와 상수 c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상수 c는 분모가 0이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현재 영상이 2차원/3차원 영상인지 판별하기 위하여 변화도 비율을 소정 임계치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임계치를 1로 가정하면, 바로 인접 프레임들 간의 변화도의 합이 한 프레임 건너의 프레임들 간의 변화도에 비해 크다면(D>>1) 인접 프레임들 간의 통계값이 크게 변하는 경우이므로,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이전, 현재, 다음 프레임(610, 620, 630)을 3차원 영상 시퀀스의 영상들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반대로 바로 인접 프레임들 간의 변화도의 합이 한 프레임 건너의 프레임들 간의 변화도에 비해 작다면(D<<1) 인접 프레임들 간의 통계값이 크게 변하지 않는 경우이므로,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이전, 현재, 다음 프레임(610, 620, 630)을 2차원 영상 시퀀스의 영상들이라고 판별할 수 있다.
도 8 는 3차원 영상 시퀀스의 프레임 별 변이 벡터 방향의 분포를 도시한다.
3차원 영상 시퀀스는 프레임 순서에 따라 좌/우시점 영상 정보가 번갈아 나열된다. 현재 프레임이 좌시점 프레임이었다면, 이전 및 다음 프레임들은 우시점 프레임들이다. 소정 프레임의 변이 벡터는 이전 프레임에 대비되는 소정 프레임의 변이 추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영상 시퀀스의 변이 벡터에 대한 파라미터가 주어진다면, 변이 벡터에 대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프레임의 변이 벡터가 결정될 수도 있다.
소정 프레임의 변이 벡터가 방향이 음(-)인 블록의 개수(820) 및 양(+)인 블록의 개수(820)의 비율을 이용하여 좌/우시점 영상이 번갈아 나열되었는지 여부가 판별될 수 있다. 도 8 에 도시된 변이 벡터의 방향에 따른 블록 개수의 분포를 참고하면, 좌시점 프레임(홀수번째 프레임)에 대비되는 우시점 프레임(짝수번째 프레임)의 변이 벡터 방향에 따른 블록 개수의 비율과, 우시점 프레임에 대비되는 좌시점 프레임의 변이 벡터 방향에 따른 블록 개수의 비율은 차이가 크다.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는, 도 8 의 프레임들의 변이 벡터 방향 특성에 기초하여, 소정 프레임의 변이 벡터 방향이 (+) 방향/(-) 방향인 블록 개수 비율을 주위 프레임들의 비율과 비교함으로써, 입력 영상 시퀀스가 2차원/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판별할 수 있다. 이하, 도 9 및 10 을 참고하여,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가 각각의 프레임의 특성 변수로써 프레임들의 변이 벡터들을 이용하는 방법이 상술된다.
도 9 및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감별을 위해 이용되는 프레임 별 변이 벡터들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9 에 도시된 영상 시퀀스는, 현재 프레임(t, 930)을 기준으로, 우시점 프레임(t-2, 910), 좌시점 프레임(t-1, 920), 우시점 프레임(t, 930), 좌시점 영상(t+1, 940)이 번갈아 나열되는 3차원 영상 시퀀스이다.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는, 입력 영상 시퀀스 상에 좌/우시점 영상 정보들이 번갈아 입력되었다는 정보 없이도, 각각의 프레임(910, 920, 930, 940)의 변이 벡터의 방향을 이용하여 2차원/3차원 영상 시퀀스 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특성 변수 결정부는, 특성 변수로써 프레임 별 특성 변수로써 프레임의 변이 벡터의 방향에 따른 블록 개수의 비율을 이용할 수 있다.
프레임 별 특성 변수로써 프레임의 픽셀값의 통계값이 이용될 때,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의 특성 변수 결정부는, 각각의 프레임의 변이 벡터를 결정하는 변이 벡터 결정부 및 각각의 프레임의 변이 벡터를 이용하는 변이 수치를 결정하는 변이 수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화도 결정부는 인접 프레임들의 변이 수치들의 변화도를 결정하는 통계값 변화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변이 벡터 결정부는, 소정 프레임의 이전 프레임의 소정 영역에 대비하여 소정 프레임의 소정 영역의 변이를 추정함으로써 소정 프레임의 변이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전체 영역에 대한 변이뿐만 아니라, 일부 영역에 대한 변이가 이용될 수도 있다. 프레임의 변이 벡터에 대한 파라미터가 입력된 경우, 변이 벡터 결정부는 파라미터로부터 변이 벡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변이 벡터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920)의 변이 벡터 제 1 변이 벡터, 현재 프레임(930)의 제 2 변이 벡터, 다음 프레임(940)의 제 3 변이 벡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변이 벡터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920)의 변이 벡터 DVt -1(925), 현재 프레임(930)의 변이 벡터 DVt(935), 다음 프레임(940)의 변이 벡터 DVt +1(945)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변이 수치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920)의 제 1 변이 벡터의 방 향에 따른 블록의 개수 비율을 나타내는 제 1 변이 수치, 현재 프레임(930)의 제 2 변이 벡터의 방향에 따른 블록의 개수 비율을 나타내는 제 2 변이 수치, 다음 프레임(940)의 제 3 변이 벡터의 방향에 따른 블록의 개수 비율을 나타내는 제 3 변이 수치를 결정한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변이 수치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920)의 변이 벡터 DVt -1(925)의 방향에 따른 블록 개수 비율인 변이 수치 RDV(t-1)(927)을 결정하고, 현재 프레임(930)의 변이 벡터 DVt(935)의 방향에 따른 블록 개수 비율인 변이 수치 RDV(t)(937), 다음 프레임(940)의 변이 벡터 DVt +1(945)의 방향에 따른 블록 개수 비율인 변이 수치 RDV(t+1)(947)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변이 수치 결정부는, n번째 프레임의 변이 벡터의 방향이 (-)인 블록 개수를 변이 벡터의 방향이 (+)인 블록 개수와 1의 합으로 나눔으로써 변이 수치 RDV(n)를 결정한다. 분모에 1을 더하는 이유는 분모가 0이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의 변이 수치 변화도 결정부는, 이전 프레임(920) 및 현재 프레임(930)의 변이 수치 간의 제 1 변화도, 현재 프레임(930) 및 다음 프레임(940)의 변이 수치 간의 제 2 변화도, 이전 프레임(920) 및 다음 프레임(940)의 변이 수치 간의 제 3 변화도를 결정한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변이 수치 변화도 결정부는, 이전 프레 임(920)의 변이 수치 RDV(t-1)(927) 및 현재 프레임(930)의 변이 수치 RDV(t)(937) 간의 변화도 diffDV1(960), 현재 프레임(930)의 변이 수치 RDV(t)(937) 및 다음 프레임(940)의 변이 수치 RDV(t+1)(947) 간의 변화도 diffDV2(970), 및 이전 프레임(920)의 변이 수치 RDV(t-1)(927) 및 다음 프레임(940)의 변이 수치 RDV(t+1)(947) 간의 변화도 diffDV3(980)을 결정한다.
일 실시예의 변화도 비율 결정부는, 제 3 변화도(980)에 대한 제 1 변화도(960)와 제 2 변화도(970)의 합의 비율을 결정한다. 도 9 및 10 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면, 변이 수치 변화도 비율 D(1010)는 제 1 변화도 diffDV1(960)와 제 2 변화도 diffDV2(970)의 합을 제 3 변화도 diffDV3(980)와 상수 c로 나눈 값이다. 여기서 상수 c는 분모가 0이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7 을 참고하여 전술된 대로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현재 영상이 2차원/3차원 영상인지 판별하기 위하여 변화도 비율을 소정 임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시퀀스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를 결정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에서 의해, 영상 시퀀스(1100)의 프레임들이 2차원/3차원 영상인지 판별된 결과(1110)에서 특정 프레임만이 2차원(3차원) 영상으로 판별되고, 다른 프레임들은 모두 3차원(2차원) 영상으로 판별된 경우,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는 영상 시퀀스(1100)의 프레임 전부의 재 생 모드를 3차원(2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영상 시퀀스(1100)의 재생 모드의 통일성을 확보하거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의 판별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는, 시스템의 메모리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120)의 비교 대상이 되는 주위 프레임들의 범위를 조절할 수 있다.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130)에 의해 현재 영상 또는 영상 시퀀스가 3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되면, 3차원으로 재생할 수 있는 영상 재생 기기의 재생 방식에 적합한 영상 포맷을 변환하여 출력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의 출력부는 3차원 영상 시퀀스를 적절한 3차원 영상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시퀀셜 포맷에 의한 재생 방식을 따르는 재생 기기로 영상 시퀀스를 출력하는 경우,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는, 현재 영상에 대응되는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을 한 프레임씩 번갈아 프레임 시퀀셜 포맷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3차원 프레임 시퀀셜 포맷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100)는, 재생 방식에 따라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을, 가로축 방향으로 해상도를 반으로 축소하여 해상도가 반으로 축소된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의 세로 라인이 번갈아 배열되는 수직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으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3차원 수직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 1210 에서, 영상 시퀀스가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은, 입력된 영상 시퀀스가 2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나타내는 정보가 따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영상 시퀀스만을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
단계 1220 에서,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된다. 프레임 단위로 2차원/3차원 영상인지 판별되거나, 영상 시퀀스 단위로 2차원/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판별될 수 있다. 시간적으로 인접한 영상들 또는 주위 프레임들 간의 특성 변수의 변화도를 이용하여 2차원/3차원 영상 (시퀀스)인지 판별될 수 있다. 특성 변수는 프레임별 픽셀들의 평균, 분산, 표준편차 등의 통계값, 또는 프레임별 변이 벡터 관련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1230 에서, 단계 1220 의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의 재생 모드가 2차원 재생 모드 및 3차원 재생 모드 중 하나로 결정된다. 단계 1220 에서 2차원 영상으로 판별되면 2차원 재생 모드로, 3차원 영상으로 판별되면 3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다.
다만, 소정 구간의 영상 시퀀스 내의 영상들 중 소정 영상만이 그 판별 결과가 다수의 다른 영상들의 판별 결과와 상이한 경우, 영상 시퀀스의 재생 모드는 다수 영상의 재생 모드로 통일되어 결정될 수 있다. 실시간 시스템의 경우 과거 일정 영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영상의 재생 모드가 결정된다.
단계 1240 에서, 단계 1230 의 재생 모드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영상 시퀀스를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포맷이 출력된다. 영상 시퀀스가 3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되더라도, 재생 기기가 지원하는 3차원 재생 방식에 기초하여 수직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 프레임 시퀀셜 포맷 등의 3차원 영상 포맷이 결정되어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3차원 재생을 위한 입력 영상 포맷 및 출력 영상 포맷을 도시한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시퀀스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장치를 도시한다.
도 5a 는 2차원 영상 시퀀스의 프레임 별 평균의 분포를 도시하고, 도 5b 는 3차원 영상 시퀀스의 프레임 별 평균의 분포를 도시한다.
도 6 및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감별을 위하여 이용되는 프레임 별 평균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8 는 3차원 영상 시퀀스의 프레임 별 변이 벡터 방향의 분포를 도시한다.
도 9 및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영상 감별을 위해 이용되는 프레임 별 변이 벡터들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시퀀스의 2차원/3차원 재생 모드를 결정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Claims (25)

  1. 영상 시퀀스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영상 시퀀스 중 소정 영상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시퀀스의 재생 모드를 2차원 재생 모드 및 3차원 재생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의 특성 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 중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화도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결정된 특성 변수들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 단계는, 상기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저장된 특성 변수들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수 결정 단계는, 상기 특성 변수로써, 상기 현재 영상의 이전 영상의 제 1 통계값,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통계값, 및 상기 현재 영상의 다음 영상의 제 3 통계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 단계는, 상기 제 1 통계값 및 상기 제 2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1 변화도, 상기 제 2 통계값 및 상기 제 3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2 변화도, 및 상기 제 1 통계값 및 상기 제 3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3 변화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영상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제 3 변화도에 대한 상기 제 1 변화도와 상기 제 2 변화도의 합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값 결정 단계는,
    상기 통계값으로써 각각의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평균, 분산 및 표준편차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수 결정 단계는, 각각의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변이(disparity)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영상의 변이는 상기 소정 영상의 이전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상기 소정 영상의 소정 영역의 변이를 나타낼 때, 상기 현재 영상의 이전 영상의 제 1 변이 벡터,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변이 벡터, 상기 현재 영상의 다음 영상의 제 3 변이 벡터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성 변수로써, 상기 제 1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1 변치 수치, 상기 제 2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2 변치 수치, 상기 제 3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3 변치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 단계는, 상기 제 1 변이 수치 및 상기 제 2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1 변화도, 상기 제 2 변이 수치 및 상기 제 3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2 변화도, 상기 제 1 변이 수치 및 상기 제 3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3 변화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영상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제 3 변화도에 대한 상기 제 1 변화도와 상기 제 2 변화도의 합의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수치 결정 단계는,
    상기 이전 영상의 제 1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1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1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1 변이 수치,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2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2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2 변이 수치, 상기 다음 영상의 제 3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3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3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3 변이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영상의 2차원/3차원 영상 판별 단계는,
    상기 변화도들의 비율이 소정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현재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특성 변수들의 비율이 소정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단계는,
    상기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하나로 판별된 영상 시퀀스 중 상기 현재 영상의 판별 결과가 소정 개수의 주위 영상들의 판별 결과와 상이한 경우, 상기 현재 영상의 재생 모드를 상기 주위 영상들의 재생 모드와 동일한 재생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은,
    상기 소정 영상이 2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영상 시퀀스를 2차원 영상 포맷으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은,
    상기 영상 시퀀스가 3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 경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Side-by-side format), 탑 바텀 포맷(Top-bottom format), 수직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Vertical Line-interleaved format), 수평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Horizontal Line-interleaved format), 프레임 시퀀셜 포맷(Frame sequential format) 및 필드 시퀀셜 포맷(Field sequential format)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을 한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13. 영상 시퀀스가 입력되는 영상 입력부;
    상기 영상 시퀀스 중 소정 영상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 및
    상기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시퀀스의 재생 모드를 2차원 재생 모드 및 3차원 재생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는,
    상기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영상 판별부는,
    상기 영상 시퀀스 중 현재 영상의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의 특성 변수를 결정하는 특성 변수 결정부;
    상기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 중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하는 변화도 결정부; 및
    상기 변화도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변화도 비율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는, 상기 결정된 특성 변수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의 특성 변수들을 이용하여, 상기 주위 영상들 및 상기 현재 영상 중 두 영상의 특성 변수 간의 변화도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수 결정부는, 상기 특성 변수로써, 상기 현재 영상의 이전 영상의 제 1 통계값,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통계값, 및 상기 현재 영상의 다음 영상의 제 3 통계값을 결정하는 통계값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부는, 상기 제 1 통계값 및 상기 제 2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1 변화도, 상기 제 2 통계값 및 상기 제 3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2 변화도, 및 상기 제 1 통계값 및 상기 제 3 통계값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3 변화도를 결정하는 통계값 변화도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상기 제 3 변화도에 대한 상기 제 1 변화도와 상기 제 2 변화도의 합의 비율을 결정하는 통계값 변화도 비율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값 결정부는,
    상기 통계값으로써 각각의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평균, 분산 및 표준편차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수 결정부는,
    각각의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변이를 이용하여, 상기 소정 영상의 변이는 상기 소정 영상의 이전 영상의 소정 영역에 대한 상기 소정 영상의 소정 영역의 변이를 나타낼 때, 상기 현재 영상의 이전 영상의 제 1 변이 벡터,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변이 벡터, 상기 현재 영상의 다음 영상의 제 3 변이 벡터를 결정하는 변이 벡터 결정부; 및
    상기 특성 변수로써, 상기 제 1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1 변치 수치, 상기 제 2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2 변치 수치, 상기 제 3 변이 벡터를 이용한 제 3 변치 수치를 결정하는 변이 수치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결정부는, 상기 제 1 변이 수치 및 상기 제 2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1 변화도, 상기 제 2 변이 수치 및 상기 제 3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2 변화도, 상기 제 1 변이 수치 및 상기 제 3 변이 수치의 차이의 절대값인 제 3 변화도를 결정하는 변이 수치 변화도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상기 제 3 변화도에 대한 상기 제 1 변화도와 상기 제 2 변화도의 합의 비율을 결정하는 변이 수치 변화도 비율 결정부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수치 결정부는,
    상기 이전 영상의 제 1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1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1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1 변이 수치, 상기 현재 영상의 제 2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2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2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2 변이 수치, 상기 다음 영상의 제 3 변이 벡터 중 양의 제 3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에 대한 음의 제 3 변이 벡터를 갖는 블록의 개수의 비율을 나타내는 제 3 변이 수치를 결정하는 블록 개수 비율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도 비율 판별부는,
    상기 변화도들의 비율이 소정 임계치보다 크거나 같으면 상기 현재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결정하고, 상기 특성 변수들의 비율이 소정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현재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결정하는 변화도 비율 비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부는,
    상기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하나로 판별된 영상 시퀀스 중 상기 현재 영상의 판별 결과가 소정 개수의 주위 영상들의 판별 결과와 상이한 경우, 상기 현재 영상의 재생 모드를 상기 주위 영상들의 재생 모드와 동일한 재생 모드로 변환하는 재생 모드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는,
    상기 영상 시퀀스가 2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 경우, 상기 영상 시퀀스를 2차원 영상 포맷으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2차원 재생 모드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는,
    상기 영상 시퀀스가 3차원 재생 모드로 결정된 경우, 사이드 바이 사이드 포맷, 탑 바텀 포맷, 수직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 수평 라인 인터리브드 포맷, 프레임 시퀀셜 포맷 및 필드 시퀀셜 포맷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대응되는 좌시점 영상 및 우시점 영상을 한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3차원 프레임 시퀀셜 포맷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장치.
  25. 영상의 재생 모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영상 재생 모드 결정 방법은,
    영상 시퀀스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영상 시퀀스 중 소정 영상이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 중 어느 하나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시퀀스의 재생 모드를 2차원 재생 모드 및 3차원 재생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80080565A 2008-08-18 2008-08-18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52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565A KR101520620B1 (ko) 2008-08-18 2008-08-18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US12/408,772 US8553029B2 (en) 2008-08-18 2009-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wo- or three-dimensional display mode of image sequence
PCT/KR2009/002603 WO2010021450A1 (en) 2008-08-18 2009-05-19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wo- or three-dimensional display mode of image sequence
EP09808356A EP2314075A4 (en) 2008-08-18 2009-05-19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TWO OR THREE-DIMENSIONAL DISPLAY MODE FOR IMAGE RATES
JP2011523729A JP5529870B2 (ja) 2008-08-18 2009-05-19 二次元/三次元再生モード決定方法、二次元/三次元再生モード決定装置及び記憶媒体
MX2011001629A MX2011001629A (es) 2008-08-18 2009-05-19 Metodo y aparato que determinan el modo de visualizacion de secuencia de imagen de dos o tres dimensiones.
CN200980141106.0A CN102187680B (zh) 2008-08-18 2009-05-19 用于确定图像序列的二维或三维显示模式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565A KR101520620B1 (ko) 2008-08-18 2008-08-18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905A true KR20100021905A (ko) 2010-02-26
KR101520620B1 KR101520620B1 (ko) 2015-05-18

Family

ID=41681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565A KR101520620B1 (ko) 2008-08-18 2008-08-18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53029B2 (ko)
EP (1) EP2314075A4 (ko)
JP (1) JP5529870B2 (ko)
KR (1) KR101520620B1 (ko)
CN (1) CN102187680B (ko)
MX (1) MX2011001629A (ko)
WO (1) WO201002145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1855A2 (ko) * 2010-12-17 2012-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9019353B2 (en) 2010-12-14 2015-04-28 Samsung Display Co., Ltd. 2D/3D switchabl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2D and 3D images
WO2018070766A1 (ko) * 2016-10-13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1005B2 (en) 2006-04-26 2014-04-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video information
JP5338166B2 (ja) 2008-07-16 2013-11-13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受信方法
WO2010014973A1 (en) * 2008-08-01 2010-02-04 Real D Method and apparatus to mark and identify stereoscopic video frames
EP2434763A4 (en) 2009-05-18 2014-02-26 Lg Electronics Inc 3D IMAGE RECORDING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3D MODE FOR 3D PICTURES
JP5185202B2 (ja) * 2009-06-03 2013-04-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257248B2 (ja) * 2009-06-03 2013-08-0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CN102804789B (zh) * 2009-06-23 2015-04-29 Lg电子株式会社 接收系统和提供3d图像的方法
WO2011004963A2 (en) * 2009-07-07 2011-01-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US9479766B2 (en) * 2009-07-10 2016-10-25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odifying images for a 3-dimensional display mode
EP2489198A4 (en) * 2009-10-16 2013-09-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3D CONTENTS AND DEVICE FOR PROCESSING A SIGNAL
US10095953B2 (en) 2009-11-11 2018-10-09 Disney Enterprises, Inc. Depth modification for display applications
US9445072B2 (en) 2009-11-11 2016-09-13 Disney Enterprises, Inc. Synthesizing views based on image domain warping
US8711204B2 (en) * 2009-11-11 2014-04-29 Disney Enterprises, Inc. Stereoscopic editing for video production, post-production and display adaptation
US9491432B2 (en) 2010-01-27 2016-11-08 Mediatek Inc. Video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output satisfying display capability of display device according to video input and related method thereof
US20110199456A1 (en) * 2010-02-12 2011-08-18 Qisda Corporation Apparatus for image reproduction and method therefor
KR101752809B1 (ko) * 2010-03-25 2017-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2474647B (zh) * 2010-05-25 2015-08-19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图像编码装置、图像编码方法以及集成电路
US9030536B2 (en) 2010-06-04 2015-05-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JP5655393B2 (ja) * 2010-06-23 2015-01-21 ソニー株式会社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装置の制御方法、画像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画像データ受信装置
US8640182B2 (en) 2010-06-30 2014-01-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for detecting a viewing apparatus
US9787974B2 (en) 2010-06-30 2017-10-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US8593574B2 (en) 2010-06-30 2013-11-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imensional media content based on detected display capability
US8918831B2 (en) 2010-07-06 2014-12-2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US9049426B2 (en) 2010-07-07 2015-06-0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ributing three dimensional media content
US9560406B2 (en) 2010-07-20 2017-01-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a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US9032470B2 (en) 2010-07-20 2015-05-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for adapting a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viewing apparatus
US9232274B2 (en) 2010-07-20 2016-01-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for adapting a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to a requesting device
US8994716B2 (en) 2010-08-02 2015-03-3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ntent
US8438502B2 (en) 2010-08-25 2013-05-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for controlling three-dimensional images
EP2426931A1 (en) * 2010-09-06 2012-03-07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a video frame type
JP5740885B2 (ja) * 2010-09-21 2015-07-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US8947511B2 (en) 2010-10-01 2015-02-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three-dimensional media content
JP2012100181A (ja) * 2010-11-05 2012-05-24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映像出力装置、映像出力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02595154A (zh) * 2011-01-14 2012-07-18 奇景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系统与方法
JP5366996B2 (ja) * 2011-03-09 2013-12-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12204859A (ja) * 2011-03-23 2012-10-22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5058354B1 (ja) * 2011-04-19 2012-10-2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602766B2 (en) 2011-06-24 2017-03-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three dimensional objects with telepresence
US9030522B2 (en) 2011-06-24 2015-05-1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ntent
US8947497B2 (en) 2011-06-24 2015-02-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elepresence sessions
US9445046B2 (en) 2011-06-24 2016-09-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with telepresence
JP2013016116A (ja) * 2011-07-06 2013-01-2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8587635B2 (en) 2011-07-15 2013-1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dia services with telepresence
CN103093716B (zh) * 2011-10-31 2016-06-15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时序控制装置、时序控制装置的方法以及显示系统
US10275924B2 (en) 2011-12-26 2019-04-30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managing three-dimensional graphics display modes
CN103260038A (zh) * 2012-02-20 2013-08-21 山东沃飞电子科技有限公司 三维内容发送和接收的方法、装置和系统
US9031316B2 (en) 2012-04-05 2015-05-12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identifying view order of image frames of stereo image pair according to image characteristics and related machine readable medium thereof
CN103379357B (zh) * 2012-04-26 2015-12-16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装置
JP5817639B2 (ja) * 2012-05-15 2015-11-18 ソニー株式会社 映像フォーマット判別装置及び映像フォーマット判別方法、並びに映像表示装置
CN102769766A (zh) * 2012-07-16 2012-11-07 上海大学 一种3d左右格式视频自动检测方法
CN102905157B (zh) * 2012-09-29 2015-02-18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电视机3d信号格式自动识别方法
CN103873842A (zh) * 2012-12-15 2014-06-18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和装置
US9571812B2 (en) 2013-04-12 2017-02-14 Disney Enterprises, Inc. Signaling warp maps using a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extension for 3D video coding
US20150054914A1 (en) * 2013-08-26 2015-02-26 Amlogic Co. Ltd. 3D Content Detection
CN106470338A (zh) * 2015-08-21 2017-03-01 深圳市天易联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电视的3d游戏转换方法及装置
CN105791799B (zh) * 2016-03-10 2018-04-10 新港海岸(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视机工作模式的转换方法和装置
WO2018066381A1 (ja) * 2016-10-06 2018-04-1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5393A (ja) 1990-04-13 1991-12-26 Hitachi Ltd 立体画像自動判別装置
US5315539A (en) * 1992-09-24 1994-05-24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bouncing signals
JP3096612B2 (ja) 1995-05-29 2000-10-10 三洋電機株式会社 時分割方式立体映像信号検出方法、時分割方式立体映像信号検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装置
DE69739179D1 (de) 1996-07-18 2009-02-05 Sanyo Electric Co Eidimensionale bilder
WO1998039927A1 (en) 1997-03-07 1998-09-11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display
JPH1169384A (ja) * 1997-08-08 1999-03-09 Olympus Optical Co Ltd 映像信号種類判別処理装置
US6809745B1 (en) * 2001-10-01 2004-10-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Compositing two-dimensional and 3-dimensional images
CA2380105A1 (en) 2002-04-09 2003-10-09 Nicholas Routhier Process and system for encoding and playback of stereoscopic video sequences
CN1682539A (zh) 2002-07-16 2005-10-12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适配2d和3d立体视频信号的装置和方法
KR100586029B1 (ko) * 2003-11-22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KR100579890B1 (ko) * 2004-12-30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적응적 영상처리 장치 및 그 방법
GB0500420D0 (en) * 2005-01-10 2005-02-16 Ocuity Ltd Display apparatus
JP2006332985A (ja) * 2005-05-25 2006-12-07 Sharp Corp 立体画像フォーマット判定装置
KR100636785B1 (ko) * 2005-05-31 2006-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시점 입체 영상 시스템 및 이에 적용되는 압축 및 복원방법
KR100828358B1 (ko) 2005-06-14 2008-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디스플레이 모드 전환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676898B1 (ko) * 2005-07-08 2007-02-01 주식회사 피앤조이 3차원 영상 및 2차원 영상의 자동 변환 표시방법
JP2007065067A (ja) * 2005-08-29 2007-03-15 Seijiro Tomita 立体映像表示装置
KR100893616B1 (ko) * 2006-04-17 2009-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전자 영상 기기, 2d/3d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842244B1 (ko) 2006-10-30 2008-06-30 삼성전기주식회사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8103487B2 (en) * 2007-10-31 2012-01-24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Controlling the number of iterations in image reconstruction
JP2010034704A (ja) * 2008-07-25 2010-02-12 Sony Corp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9353B2 (en) 2010-12-14 2015-04-28 Samsung Display Co., Ltd. 2D/3D switchabl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2D and 3D images
WO2012081855A2 (ko) * 2010-12-17 2012-06-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2081855A3 (ko) * 2010-12-17 2012-10-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모드에 따라 영상의 밝기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WO2018070766A1 (ko) * 2016-10-13 2018-04-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콘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041001A (ko) * 2016-10-13 2018-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818075B2 (en) 2016-10-13 2020-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out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29870B2 (ja) 2014-06-25
EP2314075A4 (en) 2012-10-03
JP2012500549A (ja) 2012-01-05
CN102187680B (zh) 2014-05-28
US20100039428A1 (en) 2010-02-18
EP2314075A1 (en) 2011-04-27
CN102187680A (zh) 2011-09-14
MX2011001629A (es) 2011-03-28
KR101520620B1 (ko) 2015-05-18
US8553029B2 (en) 2013-10-08
WO2010021450A1 (en) 201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1905A (ko) 2차원/3차원 재생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JP5575891B2 (ja) 自動三次元ビデオフォーマット変換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68746B1 (ko) 스테레오스코픽 포맷 변환기
KR101249236B1 (ko) 깊이 인식
US881702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20090084259A (ko)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부분 데이터 구간 재생을 위한스테레오스코픽 영상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과 장치, 및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의 부분 데이터 구간 재생 방법과 장치
KR101396332B1 (ko) 3차원 영상 시청시 발생하는 피로도 감소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저피로도 3차원 영상 데이터 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CN103024408A (zh) 立体图像转换装置和方法、立体图像输出装置
WO2006121050A1 (ja) 立体視画像生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693753A1 (en) Method of converting 2-dimension images into 3-dimension image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20160040388A (ko)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방법 및 영상출력장치
US20120307153A1 (en) Video processing device and video processing method
EP2954675A1 (en) System for generating intermediate view images
US2012009893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3108295A1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CN102457742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20130314400A1 (en)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ng apparatus and three-dimensional image generating method
US9036005B2 (en) Measuring apparatus for measuring stereo video format and associated method
WO2012014404A1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映像信号処理方法
KR101913252B1 (ko) 입체영상 처리 장치 및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20030067158A (ko) 부분 인터레이스 동영상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US2012032016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