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794A -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794A
KR20100021794A KR1020080080406A KR20080080406A KR20100021794A KR 20100021794 A KR20100021794 A KR 20100021794A KR 1020080080406 A KR1020080080406 A KR 1020080080406A KR 20080080406 A KR20080080406 A KR 20080080406A KR 20100021794 A KR20100021794 A KR 20100021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e
extract
group
antibacterial
vir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
김윤철
김옥진
김경민
정길생
김동열
Original Assignee
삼광생명과학 주식회사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생명과학 주식회사,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광생명과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794A/ko
Publication of KR2010002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한 뛰어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수의학적 조성물 및 사료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작약, 항균, 항바이러스

Description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A veterinary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Rubi Fructus, Galla Rhois, Acanthopanacis Cortex and Paeoniae Radix showing antibacterial and antiviral activity}
본 발명은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및 사료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강영배, 권창희, 권병준 외, 대한수의사회지, 31, pp.38-56, 1994
[문헌 2] 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380-384, pp.432-434, pp.524-525, pp.652-653, 영림사, 1998
[문헌 3] Kim O, Chae C, Journal of Comparative Pathology, 129, pp.55-60, 2003
[문헌 4] Hofmann M, Wyler R, J. Clin . Microbiol ., 26, pp.2235-2239, 1988
항생제가 가축의 질병예방에 만병통치약으로 인식되면서 사료첨가제 형태로 많은 양의 항생제들이 축산 동물에 급여되고 있다. 사료첨가제 항생제들은 전염병의 예방과 그로 인한 증체율 향상 등의 긍정적 효과가 있으나, 공중보건학적으로 식육 중의 항생제 잔류와 그를 섭취한 사람들에서 항생제 내성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항생제 내성을 가지는 여러 가지 세균들 중 대표적으로 메티실린-저항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반코마이신-저항 엔테로코시(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반코마이신-매개 황색포도상구균(Vancomycin intermediate S. aureus; VISA), 그리고 최소 6종 이상의 항생제 내성을 가진 대장균(E. coli) O157:H7 등이다. 현재 가축에서의 항생제 및 항균제 사용은 축산물의 안전성 문제로 인해 규제가 날로 강화되고 있으며 특히 배합사료에 첨가되는 항생제 사용규제가 향후 더욱 강화될 것으로 보이며 잔류검사 강화로 축산 농가들도 휴약 기간이 긴 항생제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농가들이 이의 대체제로 생균제 사용을 선호하고 있지만 확실한 효력검증이 되지 않아 축산 농가들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와 같은 항생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대체할 물질이 절실히 필요하다.
대장균(Enterotoxigenic E. coli: 장관독소원성 대장균)은 인체 및 가축의 장내에서 증식하는 병원성 세균으로서 소아뿐만 아니라 건강한 성인에게도 위장염 과 관련 있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돼지에서 병원성대장균은 심한 설사를 유발하여 어린 돼지 폐사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성돈의 경우에도 설사로 인한 체중증체 저하로 축산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입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병원성대장균 감염증은 국내 양돈 농가에서 만연하는 질병으로 경제적 손실 액수가 막대하여 효과적인 예방법 확립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국내, 외 돼지 사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전염성 위장염, 일종의 설사병의 원인 바이러스(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virus; TGEV)로써, 포유 자돈의 80~90%, 자돈의 20% 이상을 폐사시키며, 육성돈과 성돈에서는 식욕을 감퇴시켜서 성장을 저해시킨다. 이러한 질병은 양돈장 및 자연환경에 서식하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해서 일어나며, 또한 이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강하여 그 폐해가 더욱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돼지 전염성 위장염, 설사증 등의 증상을 통해 가축을 포함한 동물 및 사람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항생제를 투여하더라도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 효과를 볼 수 없으며 단지 2차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에 대한 치료 효과만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돼지에서는 전염성 위장염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TGE) 코로나 바이러스의 감염 예방을 위해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나 백신 사용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돼지 유행성 설사병 바이러스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PEDV)는 돼지에 설사를 유발하는 코로나 바이러스로서 연중 발생하여 국내 양돈 농가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병(Porcine epidemic diarrhea; PED)이다. PED는 어린 연령의 설사에 의한 폐사를 유발하며, 성돈의 경우 설사에 의한 체중 감소로 경제적 손실과 전파원으로서 역할이 문제가 되고 있다. PEDV에 대한 여러 종류의 백신이 국내에 도입되고 있지만 PED에 의한 피해가 줄어들고 있지 않아 국내 양돈 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영배 외, 돼지 유행성 설사: 발생피해, 병리진단 및 방역 대책, 대한수의사회지, 31, pp.38-56, 1994). 따라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예방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복분자 (Rubi Fructus)는 장미과 (Rosaceae) 복분자딸기의 미성숙 위과를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고 있으며, 7월경에 과실이 충분히 커지고 아직 익지 않고 청색일 때 따서 줄기와 잎을 제거하고 끓는 물에 1~2분 담갔다가 건져서 햇빛에 말린다. 성분은 carvone산, 당류 및 vitamin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복분자는 간(肝), 신(腎)을 보하고 삽정(澁精), 축뇨(縮尿), 조양(助陽), 명목(明目)의 효능이 있으며, 양위(陽), 유정(遺精), 빈뇨(頻尿), 허로(虛勞), 목암(目暗) 등의 치료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 652-653, 영림사, 1998).
오배자 (Galla Rhois)는 옻나무과(Anacardiaceae)에 속하는 붉나무(Rhus javanica L.)의 잎에 오배자진딧물(Aphis chinensis J. Bell)이 자상(刺傷)을 주어생긴 벌레집을 말하는데, 우리나라 각지 에 분포한다. 오배자의 형태를 보면, 외면은 회갈색으로 연한 털이 있고, 길이는 3 ∼ 7cm, 폭 2 ∼ 5cm, 두께 2mm 정도이며 단단하면서도 쉽게 부숴 진다. 속은 대개 비어 있거나 회백색의 죽은 벌레와 분비 물이 남아 있을 때도 있고, 역겨운 냄새가 나기도 한다. 채집한 오배자는 햇볕에 말리거나 삶거나 찐다. 주성분은 피로가롤 탄닌 (pyrogalloltannin)이 50 ~ 70% 함유되어 있으며, 몰식자산, 갈산(gallic acid) 등이 있다. 약효로는 수렴, 지사, 지혈제로 설사, 가래, 당뇨, 하혈, 빈혈 등에 이용한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 380-384, 영림사, 1998)
오가피(Acanthopanacis Cortex)는 오갈피과(Araliaceae) 오갈피나무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껍질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하고 있으며, 여름 및 가을철에 채취하여 근피를 벗겨서 햇빛에 말린다. 성분은 정유, 탄닌, syringaresinol과 acanthoside B 등의 리그난류 및 사포닌류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로는 강장작용과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어 관절류마티즘, 피로감, 무력증, 소아의 발육불량, 허약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432-434, 영림사, 1998).
작약(Paeoniae Radix)은 작약과(Paeoniaeceae) 백작약(Paeonia japonica) 및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를 말하는 것으로, 우리나라에 널리 자생 또는 재배하고 있으며, 가을철에 채취하여 근경, 수염 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말린다. 성분은 주성분으로 피어니플로린(paeoniflorin)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 지방유, 수지, 탄닌, 당, 전분, 점액질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으로 진경작용, 진통작용, 잔정작용, 항염작용 등을 가지고 있어 월경불순, 흉복동통, 혈리, 어지럼증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정보섭 외, 향약대사전, pp. 524-525, 영림사, 1998).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제재를 개발하여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물 및 에탄올의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에탄올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상기 복합 생약의 중량배합비로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작약을 1: 1-10: 1-10: 1-10, 1-10: 1: 1-10: 1-10, 1-10: 1-10: 1: 1-10 또는 1-10: 1-10: 1-10: 1, 보다 바람직하게는 1: 1-5: 1-5: 1-5 또는 1-5: 1-5: 1-5: 1, 가장 바람직하게는 1: 2-4: 2-4: 2-4 또는 1-3: 2-4: 3-5: 1의 중량비로 배합 된 복합 생약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 호흡기 질환 원인균은 맨하이미아 해모리티카 (Mannheimia haemolytica), 해모필러스 솜너스 (Haemopilus somnus),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Pasteurella multocida), 마이코 플라즈마 (Mycoplasma hyopneumoniae) 또는 흉막폐렴균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 바람직하게는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Pasteurella multocida), 마이코 플라즈마 (Mycoplasma hyopneumoniae) 또는 흉막폐렴균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 호흡기 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PVC-2 (Porcine circo virus type 2), PPV (Porcine parvovirus), PEV (Porcine entero virus), SIV (Swine influenza virus) 또는 PRRSV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PRRSV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 소화기 질환 원인균은 에르시니아 (yersinia), 하이오디센테리아 (hyodysenteriae), 캄필로박터 (campylobacter), 클로스트리듐 (clostridium), 살모넬라 (Salmonella spp.),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 (Lawsonia intracellularis),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 (Brachyspira pilosicoli) 또는 대장균 (E. coli ), 바람직하게는 살모넬라 (Salmonella spp.),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 (Lawsonia intracellularis),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 (Brachyspira pilosicoli) 또는 대장균 (E. coli), 보다 바람직하게는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 (Lawsonia intracellularis),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 (Brachyspira pilosicoli) 또는 대장균 (E. coli)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돼지 소화기 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TGE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바이러스 또는 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등의 코로나바이러스 (coronaviridae)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를 포함한다.
상기 돼지 호흡기 질환은 돼지 파스튜렐라 폐렴,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돼지 위축성 비염, 돼지 흉막폐렴, 글래써병, 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PMWS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이유후 전신성 소모성증후군) 또는 PRDC (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돼지호흡기 복합증후군), 바람직하게는 돼지 파스튜렐라 폐렴,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돼지 위축성 비염 또는 돼지 흉막폐렴, 보다 바람직하게는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또는 돼지 흉막폐렴을 포함한다.
상기 돼지 소화기 질환은 에르시니아 장염, 증식성 회장염, 결장염, 돈적리, 비감염성 결장염, 살모넬라성 장염, 대장균성 설사, TGE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전염성 위장염) 또는 PED (Porcine Epidemic Diarrhea, 돼지유행성설사), 바람직하게는 증식성 회장염, 결장염, 대장균성 설사 또는 살모넬라성 장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증식성 회장염 또는 결장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건조된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을 1: 1-10: 1-10: 1-10, 1-10: 1: 1-10: 1-10, 1-10: 1-10: 1: 1-10 또는 1-10: 1-10: 1-10: 1, 보다 바람직하게는 1: 1-5: 1-5: 1-5 또는 1-5: 1-5: 1-5: 1, 가장 바람직하게는 1: 2-4: 2-4: 2-4 또는 1-3: 2-4: 3-5: 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배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2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 추출온도에서 약 1시간 내지 10일, 바람직하게는 약 2시간 내지 5시간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등의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환류냉각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은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5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종류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투여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수의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수의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수의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수의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 mg/㎏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정에서 얻어지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유용한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를 제공한다.
상기의 동물사료 첨가제용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 복합 추출물은 20 내지 90% 고농축액이거나 분말 또는 과립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물사료 첨가제용 추출물은 구연산, 후말산, 아디픽산, 젖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이나 인산나트륨, 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염, 폴리인산염 (중합인산염) 등의 인산염이나 폴리페놀, 카테킨 (catechin), 알파-토코페롤, 로즈메리 추출물 (rosemary extract), 비타민 C, 녹차 추출물, 감초 추출물, 키토산, 탄닌산, 피틴산 등의 천연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동물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는 보조성분으로 아미노산, 무기염류, 비타민, 항생물질, 항균물질, 항산화, 항곰팡이 효소, 살아있는 미생물 제제 등과 같은 각종보조제가 곡물, 예를 들면 분쇄 또는 파쇄된 밀, 귀리, 보리, 옥수수 및 쌀; 식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평지, 콩 및 해바라기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동물성 단백질 사료, 예를 들면 혈분, 육분, 골분 및 생선분; 당분 및 유제품, 예를 들면 각종 분유 및 유장 분말로 이루어지는 건조 성분, 건조 첨가제를 모두 혼합한 후, 액체 성분과, 가열 후에 액체가 되는 성분, 즉, 지질, 예를 들면 가열에 의해 임의로 액화시킨 동물성 지방 및 식물성 지방 등과 같은 주성분 이외에 영양보충제, 소화 및 흡수향상제, 성장촉진제, 질병예방제 등과 같은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 복합 추출물은 동물에게 단독으로 식용 담체 중에서 다른 사료 첨가제와 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 복합 추출물은 탑 드레싱으로서 또는 이들을 동물 사료에 직접 혼합하거나 또는 사료와 별도로, 별도의 경구 제형으로, 주사 또는 경피로 또는 다른 성분과 조합하여 쉽게 투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당 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단독 일일 투여량 또는 분할 일일 투여량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복합 생약 추출물을 동물 사료와 별도로 투여할 경우,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들을 비-독성 제약상 허용 가능한 식용 담체와 조합하여 즉석 방출 또는 서방성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식용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 예를 들어 옥수수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콩 플레이크, 땅콩유, 올리브유, 참깨유 및 프로필렌 글리콜일 수 있다. 고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추출물의 투여형은 정제, 캡슐제, 산제, 토로키제 또는 함당정제 또는 미분산성 형태의 탑 드레싱일 수 있다. 액체 담체가 사용될 경우, 연 젤라틴 캡슐제, 또는 시럽제 또는 액체 현탁액제, 에멀젼제 또는 용액제의 투여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투여 형 태는 보조제, 예를 들어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용액 촉진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바이러스로 인한 질환의 개선 및 예방상 유용한 다른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물사료 첨가제용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이 동물사료 첨가제로 포함되는 동물사료는 동물의 식이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단백질-함유 유기 곡분일 수 있다. 이러한 단백질-함유 곡분은 통상적으로 옥수수, 콩 곡분 또는 옥수수/콩 곡분 믹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동물사료 첨가제는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상기 동물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한 동물용 사료 배합 방법은,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동물 사료에 건조 중량 기준으로 사료 1 ㎏당 약 1 g 내지 100 g의 양으로 혼입한다.
또한, 사료 혼합물은 완전히 혼합한 후, 성분들의 분쇄 정도에 따라 경점성의 조립 또는 과립 물질이 얻어진다. 이것을 매시로서 공급하거나, 또는 추가 가공 및 포장을 위해 원하는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 때, 저장 중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물 사료에 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통상의 펠릿화, 팽창화, 또는 압출 공정을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잉의 물은 건조 제거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에 대하여 뛰어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어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수의학적 조성물 및 사료첨가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익산시 소재 대학한약국으로부터 구입한 건조된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가 30메시 (mesh)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여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 분말을 수득한 후, 이들 4 종의 생약 분말을 25 가지의 중량비율로 배합하고 (표 1 참조) 배합된 복합생약 (40 g) 질량의 3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을 가하여 100℃에서 3 시간 동안 환류 냉각 추출하고 여과 및 감압농축, 건조하여 각각 아래 표에 나타낸 수율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명칭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백작약 추출물 무게
항균복-1 10 g 10 g 10 g 10 g 8.76 g
항균복-2 4 g 8 g 12 g 16 g 7.75 g
항균복-3 4 g 8 g 16 g 12 g 7.32 g
항균복-4 4 g 12 g 8 g 16 g 9.15 g
항균복-5 4 g 12 g 16 g 8 g 8.94 g
항균복-6 4 g 16 g 8 g 12 g 11.0 g
항균복-7 4 g 16 g 12 g 8 g 10.31 g
항균복-8 16 g 4 g 8 g 12 g 4.72 g
항균복-9 12 g 4 g 8 g 16 g 4.78 g
항균복-10 16 g 4 g 12 g 8 g 5.09 g
항균복-11 8 g 4 g 12 g 16 g 5.33 g
항균복-12 12 g 4 g 16 g 8 g 5.25 g
항균복-13 8 g 4 g 16 g 12 g 5.4 g
항균복-14 12 g 16 g 4 g 8 g 11.0 g
항균복-15 16 g 12 g 4 g 8 g 9.44 g
항균복-16 8 g 16 g 4 g 12 g 10.98 g
항균복-17 16 g 8 g 4 g 12 g 8.37 g
항균복-18 8 g 12 g 4 g 16 g 8.69 g
항균복-19 12 g 8 g 4 g 16 g 7.56 g
항균복-20 8 g 12 g 16 g 4 g 8.69 g
항균복-21 8 g 16 g 12 g 4 g 10.75 g
항균복-22 12 g 8 g 16 g 4 g 6.46 g
항균복-23 12 g 16 g 8 g 4 g 9.98 g
항균복-24 16 g 8 g 12 g 4 g 6.31 g
항균복-25 16 g 12 g 8 g 4 g 8.7 g
실험예 1. 항균 실험 (in vitro)
1-1. 공시 균주 및 배지와 균주배양
항균력 측정에 사용된 균주는 인체나 동물에서 분리 야외균주와 ATCC 표준균주이며, 표 2에 균주 목록을 나타내었다. 균주는 TSB(Tryptic Soy broth; Difco, USA) 배지에 접종하여 37℃ 항온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육안의 관찰을 위해서 뮬러-힌톤(Muller-Hinton; Difco, USA) 한천 배지를 사용하였다.
균 주 명 기 원
Vibrio cholerae O1 JOL375
Vibrio cholerae O139 JOL376
E. coli O157 동물 분리주
MRSA ATCC 700698
Shigella dysenteriae ATCC 49557
Salmonella gallinarium 수과연표준균주
E. coli O157 ATCC 35150
Salmonella typhimurium 수과연표준균주 (Sal-13)
Salmonella enteritidis 수과연표준균주 (Sal-36)
E. coli K99 수과연표준균주 (E-125)
E. coli K88 수과연표준균주 (E-126)
1-2. 디스크 검사법(Bauer-Kirby test)
세균 배양액을 뮬러-힌톤 한천 배지 위에 접종하고 이 위에 항균력 시험용 시료용액을 디스크에 주입하여 배지에 항생제 농도구배가 생기도록한 후 디스크 주위로 생기는 억제환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억제환은 항균물질의 용해도와 세균의 민감성정도에 따라 크기가 나타나며 각 항균물질에 대한 민감성은 항균물질마다 일정한 억제환의 크기 (mm)에 따라 감수성(sensitive, S), 중간내성 (intermeditely sensitive, I), 내성 (resistant, R)으로 나누어 표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 복합 추출물을 1 ㎎/㎖농도로 제조하고 20 ㎕씩 처리한 후, 디스크 확산법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실험에 사용한 모든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은 모든 시험 균주에 감수성을 나타냈으며, 이 중 특히 항균복-4, 항균복-5 및 항균복-20의 3가지 복합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항균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Vibrio cholerae O1 Vibrio cholerae O139 E. coli O157 MRSA Shigella dysenteriae Salmonella gallinarium E. coli O157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 K99 E. coli K88
항균복-1 15 11 14 14 17 15 14 15 14 15 15
항균복-2 15 11 14 15 17 15 14 15 16 15 15
항균복-3 15 11 14 14 17 15 14 15 16 15 15
항균복 -4 15 18 17 15 20 16 15 18 17 17 17
항균복 -5 15 18 16 14 20 15 15 18 15 15 16
항균복-6 15 13 17 14 19 15 15 17 15 15 16
항균복-7 14 12 14 14 19 14 15 17 15 13 15
항균복-8 13 10 14 13 18 14 12 15 13 13 14
항균복-9 13 11 13 13 16 14 11 16 12 13 13
항균복-10 10 9 10 10 15 12 11 15 10 12 12
항균복-11 13 10 13 12 18 15 13 15 13 15 16
항균복-12 13 10 14 13 19 15 13 14 14 15 15
항균복-13 12 9 12 12 18 15 12 14 13 14 15
항균복-14 14 12 15 13 20 15 16 16 16 14 15
항균복-15 13 13 13 13 19 15 15 16 16 14 15
항균복-16 15 13 15 13 19 16 15 17 15 14 15
항균복-17 13 12 16 13 18 17 15 18 17 14 16
항균복-18 12 12 16 13 18 15 15 16 15 15 17
항균복-19 12 10 15 13 18 15 14 17 13 13 16
항균복 -20 12 18 17 14 20 17 15 17 15 14 17
항균복-21 13 13 16 14 19 16 14 16 15 14 17
항균복-22 10 11 12 13 18 15 14 15 15 14 15
항균복-23 12 13 13 14 19 14 14 15 14 14 15
항균복-24 12 12 13 13 17 14 14 15 14 14 15
항균복-25 12 12 14 13 18 16 14 16 14 14 15
* 억제환의 크기를 mm로 표시함.
1-3. 최소 억제 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
상기 실험예 1-2에서의 결과로부터 항균복-4, 항균복-5 및 항균복-20의 3가지 복합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항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 3가지 복합 생약 추출물의 시험 균주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 측정을 위하여 뮬러-힌톤 한천배지를 이용하였다. TSB에 증균된 균을 같은 배지를 이용하여 재증균 후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CFU (개/㎖)를 계산 후, 0.85%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1X105 개/㎖로 희석하였다. 측정 농축물은 55~60℃의 뮬러-힌톤 브로스 (broth)로 녹이고 희석된 균과 동량으로 넣어 37℃ 항온기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균을 멸균된 증류수를 이용하여 100배 희석한 후, 뮬러-힌톤 한천배지에 100 ㎕ 희석액을 도말하여 37℃ 항온기에서 18시간 배양한 후, 육안으로 관찰하여 군집 수가 100 개 미만인 농도를 최소 억제 농도 (㎍/㎖)로 결정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상기 표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험에 사용한 3가지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 중 항균복-4의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항균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Vibrio cholerae O1 Vibrio cholerae O139 E. coli O157 MRSA Shigella dysenteriae Salmonella gallinarium E. coli O157 Salmonella typhimurium Salmonella enteritidis E. coli K99 E. coli K88
항균복 -4 100 50 100 100 100 50 100 100 50 100 100
항균복-5 100 50 100 200 100 50 100 100 50 100 100
항균복-20 200 50 200 200 200 100 100 100 50 100 100
실험예 2. 항바이러스 실험( in vitro )
항바이러스 측정에 사용되는 균주는 PEDV (SNUVR-971496)이며, 김 등의 방법(Kim O, Chae C, Journal of Comparative Pathology , 129, pp.55-60, 2003; Hofmann M, Wyler R, J. Clin . Microbiol ., 26, pp.2235-2239, 1988)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37℃에서 배양하여 80-90% 찬 베로 세포 (vero cell)를 바이러스 배양 배지 (MEM, 0.3% 트립토스 인산 브로스 (시그마), 10 ug/ml 트립신,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로 한 번 씻어준 후, PEDV를 감염시켰다. 이 때 상기 실험예 1에서 항균력이 우수한 항균복-4, 항균복-5 및 항균복-20을 100 ug/ml 농도로 처리 처리하였으며 감염기간 동안 실험군별로 항균복-4, 항균복-5 및 항균복-20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감염시킨 후 37℃에서 두 시간 동안 매 15분마다 로킹하면서 배양한 후 상층액을 제거한 후 바이러스 배양 배지를 웰당 1 ml 씩 넣어주었다. 이때에도 실험군별로 항균복-4, 항균복-5 및 항균복-20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항균복-4, 항균복-5 및 항균복-20을 다시 처리한 상태이다. 10시간이 더 지난 후에 바이러스배양배지로 방출된 바이러스를 얻었다. 항균복-4, 항균복-5 및 항균복-20 처리에 의해 바이러스방출이 감소되었는지를 플라크분석법 (Plaque assay)으로 조사하였다.
베로 세포(vero cell)를 24웰 조직배양용 플레이트에 키워 24시간 후에 70% 되도록 세포를 접종하여 24 시간 배양한 후에 세포를 바이러스 배양배지로 두 번 씻어주었다. 10배씩 희석 (serial dilution)한 PEDV를 각 웰에 200 ul씩 넣어 감염시킨 후 37℃에서 2 시간 배양하였다. 2 시간 후 바이러스를 제거한 후 바이러스 배양 배지로 씻어주었다. 각 웰에 바이러스 배양 배지를 500 ul씩 넣어준 후 37℃에서 4시간 더 배양하였다. 4 시간 후 트립신의 작용을 없애기 위해 4% FBS가 첨가된 바이러스 배양 배지 500 ul를 넣어주었다. 37℃에서 48 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바이러스 배양배지를 제거하지 않고 4% 포름알데하이드 1 ml을 24웰 조직배양용 플레이트에 넣어준 뒤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고정시켰다. 배지 및 포름알데하이드를 제거한 뒤 0.5%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10 분동안 염색한 후 플레이트를 씻어준 뒤에 건조시킨 후, 형성된 플라크의 개수를 현미경으로 세었다. 항균복-4, 항균복-5 및 항균복-20으로 처리한 실험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플라크 수를 세어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항균복-4는 바이러스방출을 20배 감소시켰으며, 항균복-5는 바이러스방출을 16배 감소시켰다. 따라서 항균복-4, 항균복-5가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었다.
시 료 PEDV(PFU/ml)
PEDV 2.4 x 104
DMSO 3.35 x 104
항균복-4 1.20 x 103
항균복-5 1.475 x 103
항균복-20 2.7 x 104
실험예 3. 항균 실험( in vivo )
3-1. 실험준비
본 발명은 출생 7일령의 랜드레이스 교잡종 수컷 돼지를 혜민 영농 조합(전북 정읍시)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질병이 없고 외관상 건강한 돼지로 군 구성시 평균체중 3.8 kg로 체중 평균이 유사하게 분류하였다 (도 1 참조). 원광대학교 동물질병연구센터 동물사육사에서 사육하며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실내온도 24±4℃의 온도와 동일한 환경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사료는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이유자돈용 분유(혜민 영농 조합)를 급여하였다.
병원성 대장균 F44 균주 (E. coli F44 strain, 원광대학교 약대 손동환 교수실험실)를 브레인 하트 인퓨전 브로스 (brain heart infusion broth)에 37℃로 배양한 후 배양 배지에 희석하여 10 ml에 1x1010 CFU로 20 ml을 경구 접종하였다 (도 2 참조). 대장균 F44 균주는 설사 자돈으로 부터 분리된 야외 분리주로 섬모 (fimbriae)를 가지고 있는 고병원성 대장균이였다. 초기 도입 후 군구성하여 배양된 대장균 F44 균주를 2x1020 CFU로 카테타를 이용하여 위내 접종하였다.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장균을 접종한 양성대조군과 대장균 접종 후 상기 실험예 1 및 2에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가장 우수한 복합물인 항균복-4 0.5% (사료w/w)를 투여한 군으로 구성하였다.
처 치 두 수
E. coli 물 질 기 간
I Positive control O 이유대용유 6 일 3
II 복합물(항균복-4) O 복합물 0.5% 6 일 3
3-2. 체중변화 및 폐사율 관찰
상기 실험예 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군에 대한 체중변화 및 폐사율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도입시 군간 체중의 평균은 유사하였으나, 대장균 접종 후 양성 대조군 I군의 동물들에 비교하여 복합물 (항균복-4) 투여군인 II군의 동물들의 체중 값은 대장균 투여 후 3일과 5일에 각각 양성대조군 I군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p<0.01). 시험 진행 과정 동안에 폐사 여부를 관찰한 결과 시험 동물 전 군에서 폐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 7 참조).
0일째a 3일째 5 일째
I 3.7±0.30b 2.9±0.32 2.3±0.26
II 3.8±0.30 3.6±0.35* 3.2±0.12*
a: E. coli 접종 후 1일 b: 군내 동물들의 평균몸무게±표준편차 *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 보임(p<0.01)
3-3. 육안상태 관찰
상기 실험예 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군에 대한 시험 진행 과정 동안에 매일 육안 상태를 관찰하고 각 개체의 육안점수를 기록하고 각 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육안 점수는 “0; 건강, 1; 운동상태 감소 및 피부상태거침, 2; 침울 및 수척, 3; 폐사”로 하였다.
실험결과 대장균 접종 후 양성 대조군 I군의 개체들은 심한 설사와 운동감소, 침울 및 쇠약 등의 육안 소견이 관찰되었다. 반면 복합물(항균복-4) 투여군인 II군은 양성대조군 I군의 동물에 비교하여 육안적으로 건강하였으며 육안점수가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표 8 참조).
0일째a 1일째 2일째 3일째 4일째 5일째 6일째
I 0±0 1.0±0b 2.0±0 2.0±0 2.0±0 1.7±0.58 1.7±0.58
II 0±0 0.7±0.58 1.0±0* 0.7±0.58* 0.7±0.58* 0.3±0.58* 0±0*
a: E. coli 접종 후 1일 b: 군내 동물들의 평균육안점수±표준편차 * 양성대조군(I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 보임(p<0.01)
3-4. 분변상태 관찰
상기 실험예 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군에 대한 시험 진행 과정 동안에 매일 분변 상태를 관찰하고 각 개체의 분변점수를 기록하고 각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분변점수는 “0; 정상, 1; 연변, 2; 설사, 3; 폐사”로 하였다. 대장균 F44 균주 접종 후 각 군의 분변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9와 같았다.
실험 결과 대장균 접종 후 I군의 개체들은 심한 설사를 보였다. 반면 복합물(항균복-4) 투여군인 II군의 동물들의 분변 상태는 접종 후 1일에 연변 정도의 상태를 보였으나 점점 회복되어 정상 상태와 가까워졌으며 분변점수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p<0.01)(도 3 참조).
0일째a 1일째 2일째 3일째 4일째 5일째 6일째
I 0±0 2.0±0b 2.0±0 2.0±0 2.0±0 1.7±0.58 1.7±0.58
II 0±0 1.3±0.58 1.0±0* 0.7±0.58* 0.3±0.58* 0.3±0.58* 0.3±0.58*
a: E. coli 접종 후 1일 b: 군내 동물들의 평균분변점수±표준편차 * 양성대조군(I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 보임(p<0.01)
3-5. 혈액검사
상기 실험예 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군에 대한 대장균 접종 후 1주되는 시점에서 각 군의 개체들을 자일라진(xylazin, 바이엘동물약품, 한국)으로 마취한 후 혈액을 채혈하여 혈구수를 측정하고 각 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한 결과는 표 10과 같았다.
실험결과 WBC의 수치가 대장균 투여 양성 대조군 I군이 복합물 (항균복-4) 투여군 II군에 비교하여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혈액검사
I II
WBC (103/㎕) 9.0±0.95 6.8±0.80*
RBC (106/㎕) 6.1±0.13 7.2±0.06
HGB (g/dL) 13.1±0 13.9±0.29
HCT (%) 46.4±0.35 51.2±2.56
MCV (fL) 68.9±1.80 70.9±3.57
MCH (pg) 19.5±0.35 19.3±0.36
MCHC (g/dL) 26.8±1.30 27.2±0.94
PLT (103/㎕) 491.0±44.0 450.0±158.26
* 양성대조군(I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 보임(p<0.01)
3-6. 병리조직 검사
상기 실험예 3-1에 기재된 바와 같이 2개의 군에 대한 각 개체들을 안락사한 후 부검하여 소장을 채취하여 절개한 후 10%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병리조직 제작을 위한 통상적인 과정을 거쳐 각 조직의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염색 슬라이드를 가지고 병리조직검사를 수행하였다. 병리조직검사는 샘플 위치에 따른 변수를 줄이고자 한 개체 당 6개 소장 부위를 각각 제작하여 검사하였다. 병리조직검사결과는 각 병변의 상태에 따라 점수화하여 6개 조직의 점수의 합으로 개체 점수를 매긴 후 각 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병리조직 점수는 “0; 정상, 1; 장상피층에 염증세포 침윤, 2; 소장융모상피 괴사 및 궤양, 3; 폐사”로 하였다. 대장균 접종 후 1주일 되는 시점에서 각 군의 개체들을 부검하여 소장을 채취하여 병리조직검사를 수행하고 각 개체 당 6개 조직의 병리조직점수의 합으로 개체 점수를 매긴 후 각 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한 값은 표 11과 같았다.
2개의 군에 대한 부검 후 육안소견은 도 4와 같았다. 병원성 대장균 F44균주 접종 양성대조군 I군의 소장은 충혈 종창 병변을 보였고 대장균 감염 후 복합물 투여군 Ⅱ군의 소장은 정상적 소장의 소견을 보였다. 2 군의 병리조직학적 검사결과는 도 5와 같았다. 병원성 대장균 F44균주 접종 양성대조군 I군의 소장 융모상피세포는 변성 및 괴사로 심한 위축을 보였으나 대장균 감염 후 복합물 투여군 Ⅱ군은 정상 소장 융모 상태를 보였다.
실험결과 양성대조군 I군의 동물들의 병리조직 점수에 비교하여 복합물 (항균복-4)을 투여군 II군 동물들의 병리조직 점수가 더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p<0.01).
병리조직 점수
I 11.7±0.58
II 6.8±0.50*
* 양성대조군(I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 보 임(p<0.01)
상기의 체중측정, 육안점수, 분변점수, 혈액검사 및 병리조직검사를 지표로 평가한 결과를 통해, 복합물(항균복-4) 0.5%가 감염된 병원성 대장균의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바이러스 실험( in vivo )
4-1. 실험준비
본 발명은 출생 1주령의 랜드레이스 교잡종 수컷 돼지를 혜민영농조합 (전북 정읍시)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고, 질병이 없고 외관상 건강한 돼지로 군 구성 시 체중 평균이 유사하게 분류하였다 (도 6 참조). 사료는 항생제를 첨가하지 않은 이유자돈용 분유 (전라축산)을 급여하였다. 하기 표 12와 같이 시험군 I군은 PEDV 투여 후 일반 이유식 급여군으로 양성대조군이고, II 군은 PEDV 투여 후 상기실험예 1 및 2에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가장 우수한 복합물인 항균복-4 0.5% (사료 w/w) 투여군으로 PEDV 투여 후 6일까지 총 7일간 시험을 수행하였다. PEDV (아주대의대, SNUVR-971496)는 베로 세포 (Vero cell)로 배양하여 105 TCID50/ml의 역가로 3 ml씩을 각 군의 동물들에 경구 접종하였다(도 7 참조).
처 치 두수
PEDV 물 질 기 간
I Positive control O 이유대용유 7 일 3
II 복합물(항균복-4) O 이유대용유+ 복합물 0.5% 7 일 3
4-2. 체중변화 및 폐사율 관찰
상기 실험예 4-1에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군에 대한 체중변화 및 폐사율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도입 시 군간 체중의 평균은 유사하였으나, PEDV 접종 후 양성대조군 I군의 동물들은 PEDV 투여 후 3일 및 6일에 체중의 감소를 보였다. 반면 복합물 (항균복-4) 0.5% 투여군 II군의 동물들은 체중 값이 높게 측정되어 양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시험 진행 과정 동안에 폐사 여부를 관찰한 결과 시험 동물 전 군에서 폐사는 관찰되지 않았다 (표 13 참조).
0일째a 3일째 6일째
I 4.0±0.15b 2.7±0.25 2.3±0.27
II 4.0±0.20 4.1±0.20* 4.3±0.25*
a: PEDV 접종 후 1일 b: 군내 동물들의 평균몸무게±표준편차 *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 보임(p<0.01)
4-3. 육안상태 관찰
상기 실험예 4-1에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군에 대한 시험 진행 과정 동안에 매일 육안 상태를 관찰하고 각 개체의 육안점수를 기록하고 각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육안 점수는 “0; 건강, 1; 운동상태 감소 및 피부상태거침, 2; 침울 및 수척, 3; 폐사”로 하였다.
PEDV 접종 후 각 군의 육안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14와 같았다. PEDV 접종 후 양성대조군 I군의 개체들은 심한 설사와 운동감소, 침울 및 쇠약 등의 육안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복합물 (항균복-4) 0.5% 투여군 II군의 동물들 보다 육안점수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PEDV 접종 후 복합물 (항균복-4) 0.5% 투여군 II군은 양성대조군인 I군의 동물에 비교하여 육안점수가 낮은 것을 볼 수 있었다.
0일째a 1일째 2일째 3일째 4일째 5일째 6일째
I 0±0 1.0±0b 1.5±0.55 2.0±0 2.5±0.25 1.5±0.25 1.0±0.20
II 0±0 1.0±0 0.8±0.50 0.5±0.25* 0.5±0.25* 0.25±0.10* 0.2±0.15*
a: PEDV 접종 후 1일 b: 군내 동물들의 평균육안점수±표준편차 * 양성대조군(I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 보임(p<0.01)
4-4. 분변상태 관찰
상기 실험예 4-1에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군에 대한 시험 진행 과정 동안에 매일 분변 상태를 관찰하고 각 개체의 분변점수를 기록하고 각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분변점수는 “0; 정상, 1; 연변, 2; 설사, 3; 폐사”로 하였다. PEDV 접종 후 각 군의 분변점수의 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15와 같았다.
실험결과 PEDV 접종 후 양성 대조군인 I군의 개체들은 심한 설사를 보였다. 반면 복합물 (항균복-4) 투여군 II군의 동물들의 분변 상태는 접종 후 1일에 연변 정도의 상태를 보였으나 점점 회복되어 정상 상태와 가까워졌으며 분변점수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p<0.01)(도 6 참조). PEDV 접종 후 6일째에 복합물 (항균복-4) 투여군인 II군의 분변점수는 양성대조군 I군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0일째a 1일째 2일째 3일째 4일째 5일째 6일째
I 0±0 1.0±0b 1.5±0.50 1.8±0.25 1.5±0.50 1.3±0.20 1.0±0
II 0±0 0.8±0.25 1.0±0.25 1.0±0.25* 0.5±0.20* 0.5±0.20* 0.5±0.20*
a: PEDV 접종 후 1일 b: 군내 동물들의 평균분변점수±표준편차 * 양성대조군(I군)과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 보임(p<0.01)
4-5. 혈액검사
상기 실험예 4-1에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군에 대한 PEDV 접종 후 1주되는 시점에서 각 군의 개체들을 자일라진 (xylazin, 바이엘동물약품, 한국)으로 마취한 후 혈액을 채혈하여 혈구수를 측정하고 각 군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한 결과는 표 16과 같았다.
실험결과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WBC의 경우에 대장균 접종한 개체들에서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던 것과 다르게 PEDV 접종한 개체들에서는 WBC의 증가를 관찰할 수 없었다.
혈액검사
I II
WBC (103/㎕) 14.7±4.85 14.4±1.94
RBC (106/㎕) 6.7±0.75 6.6±0.13
HGB (g/dL) 12.3±0.90 11.7±0.37
HCT (%) 42.3±2.65 41.0±1.38
MCV (fL) 63.3±3.05 62.1±1.35
MCH (pg) 18.4±0.70 17.7±0.26
MCHC (g/dL) 29.1±0.30 28.4±0.31
PLT (103/㎕) 554.5±74.50 452.7±147.36
4-6. 병리조직 검사
상기 실험예 4-1에 기재된 바와 같이 3개의 군에 대한 각 개체들을 안락사한 후 부검하여 소장을 채취하여 절개한 후 10%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병리조직 제작을 위한 통상적인 과정을 거쳐 각 조직의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ematoxylin & eosin) 염색 슬라이드를 가지고 병리조직검사를 수행하였다. 병리조직검사는 샘플 위치에 따른 변수를 줄이고자 한 개체 당 6개 소장 부위를 각각 제작하여 검사하였다.
실험결과 PEDV 접종 한 양성 대조군 I군의 동물은 소장 상피의 현저한 위축과 상피세포에 공포변화를 보였다. 다른 특이 변화로 점막하직에 임파구증식 소견을 볼 수 있었다 (도 9 및 도 10 참조). 소장융모의 위축 여부는 소장융모:음 비율 (vili:crypt ratio)를 구하여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1과 같았다. 복합물 (항균복-4) 투여군인 II 군의 소장융모:음와 비율은 양성대조군 I군에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상기의 체중측정, 육안점수, 분변점수, 혈액검사 및 병리조직검사를 지표로 평가한 결과를 통해, 복합물 (항균복-4) 0.5%가 감염된 PEDV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 1은 항균 실험을 위한 실험동물인 1주령 랜드레이스 교잡종 수컷돼지를 나타낸 도이며,
도 2은 병원성 대장균 F44균주를 카테터를 사용하여 실험동물의 위내 접종을 나타낸 도이고,
도 3은 병원성 대장균 F44균주 접종 3일 후 양성대조군 I군(A) 및 복합물 투여군 Ⅱ군(B)의 분변을 나타낸 도이며,
도 4는 병원성 대장균 F44균주 접종 후 양성대조군 I군 (A) 및 복합물 투여군 Ⅱ군 (B)의 소장을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병원성 대장균 F44균주 접종 후 양성대조군 I군 (A) 및 복합물 투여군 Ⅱ군 (B)의 소장을 채취하여 병리조직 검사 (H&E stain, x200)를 나타낸 도이며,
도 6은 항바이러스 실험을 위한 실험동물인 1주령 랜드레이스 교잡종 수컷돼지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PEDV를 카테터를 사용하여 실험동물의 위내 접종을 나타낸 도이며,
도 8은 PEDV 접종 3일 후 양성대조군 I군 (A) 및 복합물 투여군 II군(B)의 분변을 나타낸 도이고,
도 9은 PEDV 접종 후 양성대조군 I군 (A) 및 복합물 투여군 II군 (B)의 소장을 나타낸 도이며,
도 10은 PEDV 접종 후 양성대조군 Ⅰ군 (A, B), 복합물 투여군 II군(C)의 소 장을 채취하여 병리조직 검사(H&E stain, (A) x100, (B) x200, (C) x200)를 나타낸 도이고,
도 11은 PEDV 접종 후 소장 융모의 소장 융모:음 길이 비율(vili-crypt length ratio)을 나타낸 도이다.

Claims (15)

  1.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수의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수의학적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의 중량배합비로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작약을 1: 1-10: 1-10: 1-10, 1-10: 1: 1-10: 1-10, 1-10: 1-10: 1: 1-10 또는 1-10: 1-10: 1-10: 1의 중량비로 배합된 복합 생약인 수의학적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호흡기 질환 원인균은 맨하이미아 해모리티카 (Mannheimia haemolytica), 해모필러스 솜너스 (Haemopilus somnus),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Pasteurella multocida), 마이코 플라즈마 (Mycoplasma hyopheumoniae) 또는 흉막폐렴균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인 수의학적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호흡기 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PVC-2 (Porcine circo virus type2), PPV (Porcine parvovirus), PEV (Porcine entero virus), SIV (Swine influenza virus) 또는 PRRSV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인 수의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소화기 질환 원인균은 에르시니아 (yersinia), 하이오디센테리아 (hyodysenteriae), 캄필로박터 (campylobacter), 콜로스트리듐 (clostridium), 살모넬라 (Salmonella spp .),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 (Lawsonia intracellularis), 브라키스피라 필로시콜리 (Brachyspira pilosicoli) 또는 대장균 (E. coli)인 수의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소화기 질환 원인 바이러스는 TGE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바이러스, PEDV (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등의 코로나바이러스 (coronaviridae)인 수의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호흡기 질환은 돼지 파스튜렐라 폐렴, 돼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돼지 위축성 비염, 돼지 흉막폐렴, 글래써병, PRRS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돼지 생식기 호흡기 증후군), PMWS (Post-weaning Multisystemic Wasting Syndrome, 이유후 전신성 소모성증후군) 또는 PRDC (Porcine Respiratory Disease Complex, 돼지호흡기 복합증후군)인 수의학적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 소화기 질환은 에르시니아 장염, 증식성 회장염, 결장염, 돈적리, 비감염성 결장염, 살모넬라성 장염, 대장균성 설사, TGE (Transmissible Gastroenteritis, 전염성 위장염) 또는 PED (Porcine Epidemic Diarrhea, 돼지유행성설사)인 수의학적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50 중량%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11.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돼지 호흡기 또는 소화기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동물사료 첨가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동물사료 첨가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생약의 중량배합비로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작약을 1: 1-10: 1-10: 1-10, 1-10: 1: 1-10: 1-10, 1-10: 1-10: 1: 1-10 또는 1-10: 1-10: 1-10: 1의 중량비로 배합된 복합 생약인 동물사료 첨가제.
  14. 제 11항에 있어서, 동물사료 첨가제는 침지, 분무 또는 혼합하여 동물 사료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사료 첨가제.
  15. 건조된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작약을 1: 1-10: 1-10: 1-10, 1-10: 1: 1-10: 1-10, 1-10: 1-10: 1: 1-10 또는 1-10: 1-10: 1-10: 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건조 중량의 약 1 내지 20배의 물 및 에탄올의 혼합용매로, 20 내지 150℃ 추출온도에서 약 2시간 내지 5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냉각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1 내지 10회 반복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080080406A 2008-08-18 2008-08-18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KR20100021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06A KR20100021794A (ko) 2008-08-18 2008-08-18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406A KR20100021794A (ko) 2008-08-18 2008-08-18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794A true KR20100021794A (ko) 2010-02-26

Family

ID=4209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406A KR20100021794A (ko) 2008-08-18 2008-08-18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7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4411A (zh) * 2014-11-29 2015-04-01 郑州后羿制药有限公司 一种治疗鸡慢性呼吸道疾病的中药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5194582A (zh) * 2015-11-09 2015-12-30 陈慧珊 一种治疗胃炎的中药口服液及制备方法
KR102578871B1 (ko) * 2022-06-23 2023-09-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4411A (zh) * 2014-11-29 2015-04-01 郑州后羿制药有限公司 一种治疗鸡慢性呼吸道疾病的中药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5194582A (zh) * 2015-11-09 2015-12-30 陈慧珊 一种治疗胃炎的中药口服液及制备方法
KR102578871B1 (ko) * 2022-06-23 2023-09-1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8480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20080084477A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777833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Franz et al. Study on the assessment of plants/herbs, plant/herb extracts and their naturally or synthetically produced components as ‘additives’ for use in animal production
KR101008463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조성물
KR20200003993A (ko) 쪽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TW201827065A (zh) 至少一種甘草屬植物製劑之用途、包括該製劑之解毒劑、及該解毒劑之用途
KR101130139B1 (ko) 송아지 설사병 예방용 조성물
KR20170044464A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유래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69255B1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오배자 및 목단피추출물을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Nooreh et al. Effects of a dietary direct-fed microbial and Ferulago angulata extract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function of broiler chickens infected with Campylobacter jejuni
CA2449943A1 (en) Preventives or remedies for arthritis
KR20130071032A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21794A (ko)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복분자, 오배자, 오가피 및 작약의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수의학적 조성물
CN109645232A (zh) 一种治疗动物腹泻的中草药复合型饲料添加剂
KR101902932B1 (ko) 엉겅퀴 및 흰민들레의 꽃과 뿌리를 제거한 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54567B1 (ko) 오매, 황련 및 오미자를 포함하는 항균 활성이 있는 동물사료용첨가제조성물 및 항균제
KR102106477B1 (ko) 콕시듐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이용
KR101444416B1 (ko) 복분자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병원성 세균에 의한 감염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663613B1 (ko)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39099B1 (ko) 오배자 및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돼지 유행성 설사바이러스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Haque et al. Pathogenesis of Gizzard Erosion and Ulcerations and Comprehensive Control Strategy in Poultry
Aroche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aves and aqueous extract of four medicinal plants with phytobiotic potential in animal production
KR20240051744A (ko) 형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2581A (ko) 노박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감염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