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270A -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 Google Patents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270A
KR20100021270A KR1020080080104A KR20080080104A KR20100021270A KR 20100021270 A KR20100021270 A KR 20100021270A KR 1020080080104 A KR1020080080104 A KR 1020080080104A KR 20080080104 A KR20080080104 A KR 20080080104A KR 20100021270 A KR20100021270 A KR 20100021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llection system
toll collection
electronic to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만
Original Assignee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filed Critical 에스엠알 페턴츠 에스.에이.알.엘.
Priority to KR102008008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270A/ko
Publication of KR20100021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61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antenn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76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radio receivers, loud-speakers or buz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자동차용 룸미러에 일체화됨으로써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의 설치공간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흔적이 남게 되는 문제도 없으며,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상대적으로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한 자동차용 룸미러에 설치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을 높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미러와, 상기한 미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한 하우징 본체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한 하우징 본체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후면에 연결 설치되는 스테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마트 카드, 하우징, 미러, 커버, 스테이, 전자요금징수시스템

Description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Room mirror with ETCS module for vehicle}
이 발명은 자동차용 룸미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자동차용 룸미러에 일체화됨으로써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의 설치공간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흔적이 남게 되는 문제도 없으며,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상대적으로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한 자동차용 룸미러에 설치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을 높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에 관한 것이다.
80년대 후반부터 경제성장과 더불어 급속히 증가하기 시작한 차량은 이미 1,100만대를 초과하여 고속도로뿐만 아니라 일반 도로의 지체와 정체를 발생시키게 되었고 이로 인한 물류 비용의 증가와 환경오염은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가 기간 도로망을 맡고 있는 한국도로공사 등에서는 추가 차선을 증설, 신설하는데 따른 막대한 비용의 증가, 유료도로에서의 서비스 개선 등의 문제점 해소를 위하여 97년부터 전자요금징수시스템(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 ETCS)의 도입을 검토하게 되었다.
상기한 전자요금징수시스템(ETCS)은 지능형교통체계(Intelligent Transport System, ITS)의 실현을 가능케 하는 기본 구성요소중 하나로서, 전자지갑 기능을 하는 스마트 카드와 차량탑재기(On Board Unit, OBU)를 이용하여 5.8GHz 무선통신을 통해 고속도로, 유료 도로 톨게이트에서 무정차 주행 중에 통행료를 징수하는 시스템으로서, 톨게이트에서의 정체완화를 통한 물류비 절감 및 환경오염 개선, 요금징수 전산화를 통한 운영 유지비 절감 및 이용자에게의 서비스를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 전자요금징수시스템(ETCS)의 도입은 무정차(Non-Stop), 비접촉(No-Touch)의 특징이 있으므로 고속도로 톨게이트에서 기존에 운영되던 현금/통행권 이용방식보다 약 3 배 이상의 교통소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비현금(Cashless)징수체계로서 신용사회 추세에 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전자요금징수시스템(ETCS)의 구현을 통해 실현된 무선통신 인프라를 이용하여 교통정보의 수집 및 제공이 가능한 첨단교통체계의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의 전자요금징수시스템(ETCS)용 차량 탑재기(OBU)는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차량내의 운전석 앞쪽에 부착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량 탑재기(OBU)는 설치공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설치후에 필요에 의해서 제거를 하는 경우에는 차량내에 설치흔적이 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량 탑재기(OBU)는 그 설치장소를 감안하여 운전석 주변이 설계된 것이 아니므로, 상대적으로 운전자가 조작하기 불편한 주변 장소에 설치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자동차용 룸미러에 일체화됨으로써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를 위한 설치공간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흔적이 남게 되는 문제도 없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가 상대적으로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한 자동차용 룸미러에 설치됨으로써 조작 편의성을 높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스마트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미러와, 상기한 미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한 하우징 본체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한 하우징 본체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후면에 연결 설치되는 스테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안내음성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이루 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한 하우징 본체가 스테이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팅 워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하우징 커버는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이용하여 버튼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버튼은,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버튼과,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의 잔액을 확인하기 위한 카드잔액확인버튼과,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안내음성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스테이는 내부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가 자동차용 룸미러에 일체화됨으로써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의 설치공간을 별도로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설치흔적이 남게 되는 문제도 없으며,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가 상대적으로 운전자가 조작하기 편한 자동차용 룸미러에 설치됨으로써 조작 편의성을 높인, 효과를 갖는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분해 사시 구성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스테이의 일부 단면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구성은, 스마트카드(도시되지 않음)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3)와,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미러(1)와, 상기한 미러(1)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한 하우징 본체 조립체(3)의 전면에 결합 설치되 는 하우징 커버(2)와, 상기한 하우징 본체(3)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한 하우징 본체(3)의 후면에 연결 설치되는 스테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하우징 본체(3)의 내부에는, 스마트카드가 장착되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과,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로부터 발생되는 안내음성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32)와, 하우징 본체(3)가 스테이(4)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팅 워셔(33)와, 운전석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차실내 조도감지용 센서(34)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마트 하우징 본체(3)에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에 스마트 카드를 외부에서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릿홀(35)이 일측에 형성되며, 또한 차실내 조도감지용 센서(34)가 외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치홀(36)이 일측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하우징 커버(2)는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홀(21)을 이용하여 버튼(22)과 후방차량 조도감지용 센서(23)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버튼(22)과 연결되는 피씨비(24)가 설치되고, 스마트 카드의 잔액이 표시되는 액정(25)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버튼(22)은,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이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버튼과,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의 잔액을 확인하기 위한 카드잔액확인버튼과,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로부터 발생되는 안내음성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버튼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스테이(4)는 내부에 커넥터(41)와 안테나(42)가 설치되며 외부에 스테이 커버(43)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스마트 카드(도시되지 않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우징 본체(3)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홀을 이용하여 스마트 카드를 하우징 본체(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에 장착한다.
운행중 톨게이트를 무정차 통과하고자 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버튼(22)중에서 전원버튼을 온시킴으로써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이 작동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카드잔액확인버튼를 눌러서 액정(25)에 표시되는 잔액 수치와 스피커(32)를 통해 들려오는 안내음성으로부터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의 잔액을 확인한다. 상기한 안내음성은 볼륨버튼을 이용하여 음량을 조절한다.
차량이 톨게이트를 무정차 통과하는 경우에,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31)은 스테이(4)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테나(42)를 통하여 톨게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기기(도시되지 않음)와의 통신을 통해서 톨게이트통과요금에 해당되는 금액이 스마트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잔액으로부터 차감되도록 한다.
한편, 후방차량 조도감지용 센서(23)는 후방차량의 전조등으부터 입사되는 조도를감지하고, 차실내 조도감지용 센서(34)는 운전석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여 미러의 밝기가 가변되도록 제어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사시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분해 사시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차량탑재기를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의 스테이의 일부 단면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미러 2 : 하우징 커버
3 : 하우징 본체 4 : 스테이

Claims (6)

  1. 스마트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미러와,
    상기한 미러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상기한 하우징 본체 조립체의 전면에 결합 설치되는 하우징 커버와,
    상기한 하우징 본체를 차체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후면에 연결 설치되는 스테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안내음성을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한 하우징 본체가 스테이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마운팅 워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 커버는 전면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이용하여 버튼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한 버튼은,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이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버튼과,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의 잔액을 확인하기 위한 카드잔액확인버튼과,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안내음성의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테이는 내부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을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KR1020080080104A 2008-08-14 2008-08-14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KR20100021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04A KR20100021270A (ko) 2008-08-14 2008-08-14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104A KR20100021270A (ko) 2008-08-14 2008-08-14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270A true KR20100021270A (ko) 2010-02-24

Family

ID=4209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104A KR20100021270A (ko) 2008-08-14 2008-08-14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2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2572A (zh) * 2014-11-19 2015-03-25 天津中兴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盲区镜功能的etc标签
CN104890579A (zh) * 2015-06-05 2015-09-09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功能后视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2572A (zh) * 2014-11-19 2015-03-25 天津中兴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盲区镜功能的etc标签
CN104890579A (zh) * 2015-06-05 2015-09-09 重庆市炙热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功能后视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3435A (ko) 탈착식 이티씨에스(etcs) 모듈과 후방영상을 제공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US7106212B2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for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KR100416054B1 (ko) 자동 이륜차의 안테나 배치구조
US20030107521A1 (en) Room mirror with built-in antenna
JP3220658B2 (ja) 車両通行管理システム
KR20100123434A (ko) 후방영상을 제공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KR20100021270A (ko) 전자요금징수시스템용 모듈 구비한 자동차용 룸미러
CN210515385U (zh) 一种应用在营运车辆上的etc装置及营运车辆
JP2001175899A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用車載機
KR200452512Y1 (ko) 인사이드 미러 착탈식 하이패스 단말기
KR100887835B1 (ko) 차량의 인사이드 룸미러
KR100970327B1 (ko) 전자 요금 징수 시스템용 모듈의 탈부착이 가능한 자동차용 룸미러
KR100970330B1 (ko) 전자요금징수 시스템용 모듈의 탈부착이 가능한 자동차용 룸미러
CN208248083U (zh) 一种具有etc功能的车辆内后视镜底座
CN210666879U (zh) 一种etc车载终端设备
KR20160115268A (ko) 하이패스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4686B1 (ko) 하이패스 기능이 탑재된 차량번호판의 충전 시스템
CN210454703U (zh) 电子车牌硬件设备
KR20100125046A (ko) 하이패스 단말기
CN215910917U (zh) 一种车载电子标签
KR20100067988A (ko) 차량용 에이브이의 통합 시스템
KR20090117099A (ko) 차량용 거치대형 하이패스단말기
CN218729122U (zh) 一种用于路网收费系统的车载单元装置
CN211577952U (zh) 一种出租车一体化终端
KR20180093425A (ko) 스마트 차량 번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