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1222A -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1222A
KR20100021222A KR1020080080013A KR20080080013A KR20100021222A KR 20100021222 A KR20100021222 A KR 20100021222A KR 1020080080013 A KR1020080080013 A KR 1020080080013A KR 20080080013 A KR20080080013 A KR 20080080013A KR 20100021222 A KR20100021222 A KR 20100021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fabric
curtain paper
window blinds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철
Original Assignee
이예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철 filed Critical 이예철
Priority to KR102008008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1222A/ko
Publication of KR20100021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1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6Severing by using hea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04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longitudinal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7/00Apparatus or processes for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utting, or otherwise severing, of textile materials
    • D06H7/22Severing by heat or by chemical agents
    • D06H7/221Severing by heat or by chemical agents by h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창문 블라인드에 구비되는 커튼지의 형성을 위해 직물 원단을 일정 폭을 이루도록 길이 방향으로 재단하는 장치로서, 직물 원단이 평평한 상면 상에 펼쳐져 안착되도록 하부 측에 구비되는 수평 지지판과, 수평 지지판의 이격되는 상부 측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 측에 결합되고 구비된 발열 수단의 발열에 따라 절단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직선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직물 원단을 열로서 절단하는 열 칼을 포함한다.
따라서, 열을 가해 절단함에 따라 절단 후에 사용 시점에서 절단 단부에서 올(실 가닥)이 전혀 풀리지 않으므로, 미관을 향상시키고, 해당 제품의 품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블라인드, 롤 블라인드, 버티칼 블라인드, 직물, 원단, 재단, 절단, 열, 열 칼

Description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APPARATUS FOR CUTTING CURTAIN PAPER FOR USE IN WINDOW BLIND}
본 발명은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용 각종 블라인드에 구비되며 주로 직물로 이루어지는 커튼지를 열로서 재단(절단)할 수 있어, 사용 시에 절단된 측단부에서 올(실 가닥)이 풀리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향상된 미관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을 통해 유입되는 광선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외부 시선을 차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품에는 커튼과 블라인드(썬 스크린)가 있다.
블라인드는 사무실과 같은 업무 공간에서 다용되며, 세련미를 제공할 수 있어 근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블라인드는 건물 창의 실내 측에서 그 구비된 커튼지가 상하나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기본적인 차양 기능과 함께, 부가적인 방한, 방음, 방염 등의 기능성을 제공한다.
블라인드의 종류에는 롤 블라인드, 버티칼 블라이드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롤 블라인드를 나타낸다.
롤 블라인드(10)는, 양단부에 롤 지지부(12a, 12b)를 갖고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부재로서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12)과, 양측 롤 지지부(12a, 12b)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권취 롤(14)과, 사용자가 당기는 것에 의해 권취 롤(14)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체인 줄(16)과, 권취 롤(14)에 상단부가 결합되어 매달리며 권취 롤(14)의 정·역 방향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려져 가림 기능을 제공하는 커튼지(18)와, 커튼지(18)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커튼지(18)의 펼침을 위한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 봉(19)을 포함한다.
그 작용은, 사용자가 체인 줄(16)의 전·후방 측 어느 한 줄을 선택하여 잡아당기면, 권취 롤(14)이 선택적으로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커튼지(18)가 권취 롤(14)로부터 풀려 내려오거나 반대로 감겨 올려짐으로써, 가림 정도가 조절된다.
도 2는 종래의 버티칼 블라인드를 나타낸다.
버티칼 블라인드(20)는, 레일(22a)을 갖고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는 부재로서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 고정되는 지지 프레임(22)과, 레일(22a)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다수개가 일렬되게 결합되어 구비되는 롤러 부재(24)와, 롤러 부재(24)에 각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 부재(26)와, 회전 부재(26)에 각기 상단부가 결합되어 매달리는 커튼지(28)와, 다수개의 롤러 부재(24)를 동시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이용되는 당김 줄(29a)과, 다수개의 회전 부재(26)를 동시에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자 가 조작하는데 이용되는 조작용 레버(29b)를 포함한다.
그 작용은, 사용자가 당김 줄(29a)의 전·후방 측 어느 한 줄을 선택하여 잡아당기면, 그에 따라 다수개의 롤러 부재(24)가 동시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그에 매달린 커튼지들(28)이 좌우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일측으로 모아짐으로써, 가림 정도가 조절된다.
아울러, 사용자가 조작용 레버(29b)를 선택적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다수개의 회전 부재(26)가 동시에 그 자리에서 좌우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커튼지들(28)의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또한 가림 정도가 조절된다.
상기한 롤 블라인드(10)는 커튼지(18)의 인출 길이가 상하 방향으로 조절되는 상하 개폐 타입이고, 버티칼 블라인드(20)는 커튼지(28)의 펼침 정도가 좌우 방향으로 조절되는 좌우 개폐 타입이다.
롤 블라인드(10)의 커튼지(18)로는 하나의 대형 면적의 것이 이용되며, 버티칼 블라인드(20)의 커튼지(28)로는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갖는 다수개의 소형 면적의 것이 이용된다.
물론, 커튼지(18, 28)는 블라인드(10, 20)의 종류에 관계없이 창을 모두 가릴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매우 긴 길이를 갖는다.
커튼지(18, 28)는 얇은 시트 형태의 것으로, 가요성을 가지며, 그 구체적 재질에 따라 빛의 투과율이 다르고, 그 표면에는 각종 색상이나 문양이 도시될 수 있다.
커튼지(18, 28)는 주로 합성 섬유, 천연 섬유로 제조된 경사와 위사의 교차 에 따라 제직되는 직물이 이용되며, 제직 조밀도나 섬도 등에 따라 빛의 투과율 등이 차별화될 수 있다.
물론, 커튼지(18, 28)는 기본적으로 경사와 위사로 제직된 직물에 대하여 기능성의 부가를 위한 기능층이 적층된 것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커튼지(18, 28)는 폴리 에스테르(polyester) 90~100%, 면 0~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커튼지(18, 28)가 경사와 위사로 제직되는 직물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즉, 블라인드(10, 20)를 제작 시에는 먼저 매우 넓은 면적으로 제직된 대형 직물 원단을 일정 폭만큼씩 재단(즉, 절단)해야 하며, 즉 블라인드(10, 20)의 폭 규격에 맞도록 절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에는 수평 지지판 상에 직물 원단을 펼친 상태에서 긴 자를 대고 일반적인 칼로 길게 절단하고 있으며, 수작업에 의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칼로 절단하면, 결과적으로 절단된 후에 사용되는 시점에서 커튼지(18, 28)의 절단 단부에서 경사의 올(실오라기)이 풀리는 문제가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도 3은 절단 단부에서 경사의 올이 풀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이와 같이, 경사의 올이 풀리는 문제(도면에서 "x"로 지칭)는 해당 업계에서 매우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온 고질적인 문제로서, 현재에는 올이 최대한 풀리지 않도록 잘 절단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예 되지 못한다.
물론, 올이 풀리면, 블라인드(10, 20)가 외부 노출되어 사용된다는 점에서 미관을 대폭 해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절단 단부에서 올이 풀리는 것이 완벽하게 방지되도록 절단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 시점에서 미관이 향상되고 제품 품위가 제고되도록 할 수 있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으로 직물 원단을 절단할 수 있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는, 창문 블라인드에 구비되는 커튼지의 형성을 위해 직물 원단을 일정 폭을 이루도록 길이 방향으로 재단하는 장치로서, 상기 직물 원단이 평평한 상면 상에 펼쳐져 안착되도록 하부 측에 구비되는 수평 지지판; 상기 수평 지지판의 이격되는 상부 측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측에 결합되고 구비된 발열 수단의 발열에 따라 절단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직선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물 원단을 열로서 절단하는 열 칼;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을 왕복적으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열 칼이 하강된 절단 높이와 상승된 대기 높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하는 승강 구동 수 단; 상기 열 칼을 직선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 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이동 장치 수단; 상기 발열 수단의 발열을 작동 제어하는 발열 제어부; 및 상기 승강 구동 수단과 상기 이동 장치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 지지판은, 절단 높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열 칼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지나가도록 상면 상에 길게 형성되는 절단 홈; 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열 칼은, 하부 측에 점차 폭이 좁아져 첨예하게 형성되는 날부; 및 상부 측에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발열 수단은, 상기 열 칼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설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열 칼은, 상기 날부가 일부 세워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열 칼의 측방 측에 구비되어 불필요한 방향으로 고열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각 수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은, 실린더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 장치 수단은, 일 측면 측에 상기 열 칼이 결합되며 양측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통해 순환되는 타이밍 벨트; 및 상기 장치 제어부의 작동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커튼지가 폴리 에스테르 함유 재질인 경우, 절단 온도 550~780℃, 절단 이동 속도 150~450㎝/sec로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을 가해 절단함에 따라 절단 후에 사용 시점에서 절단 단부에서 올이 전혀 풀리지 않으므로, 미관을 향상시키고, 해당 제품의 품위를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절단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향상된 작업 생산성 및 저감된 불량 발생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100)는, 절단 대상의 직물 원단(p)이 상면 상에 펼쳐져 안착되도록 하부 측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면 상에 함몰되는 홈 형태의 절단 홈(112)이 길게 형성되는 수평 지지판(110)과, 수평 지지판(110)으로부터 이격되는 상부 측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120)과, 상부 프레임(120) 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매설된 발열 수단(132)의 발열에 따라 절단 온도로 가열되는 열 칼(130)과, 상부 프레임(120)을 왕복적으로 상하 이동시켜 열 칼(130)을 절단 높이와 대기 높이로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승강 구동 수단(140)과, 상부 프레임(120) 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열 칼(130)을 좌우 방향으로 직선되게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 수단(150)과, 열 칼(130)에 매설된 발열 수단(132)의 발열 작동을 제어하는 발열 제어부(160)와, 승강 구동 수단(140)과 이동 장치 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수평 지지판(110)은 넓은 면적의 평평한 상면을 갖도록 하부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지면에 대해 놓여질 수 있다.
수평 지지판(110) 상의 소정 위치에는 단면 형상이 "∨" 또는 "∪"와 같은 형상일 수 있는 함몰되는 형태의 절단 홈(112)이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해당 절단 홈(112)에 대해서는 절단 작업 시에 열 칼(130)의 날부(130a)가 삽입된 상태로 지나간다.
절단 홈(112)은 절단되는 절단 라인을 형성한다.
작업자는 수평 지지판(110) 상에 절단 대상의 직물 원단(p)을 안착시키며, 이때 직물 원단(p)의 절단될 위치를 절단 홈(112)에 맞추어 안착시킨다.
상부 프레임(120)은 수평 지지판(110)으로부터 이격되는 상부 측에 대향되도록 구비되는 지지체이다.
구체적으로, 상부 프레임(120)의 좌우 방향 길이는 약 8~10m 정도일 수 있다.
열 칼(13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측에 점차 폭이 좁아져 첨예하 게 형성되는 날부(130a)와, 상부 측에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30b)로 일체화되게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열 코일과 같은 발열 수단(132)이 매설되어 구비된다.
열 칼(130)은 절단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수평 지지판(110) 상에 안착된 직물 원단(p)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지나감으로써 열에 의해 직물 원단(p)이 절단되도록 하며, 직물 원단(p)과 접촉되는 날부(130a)의 폭이 매우 좁음에 따라 절단에 따른 직물 원단(p)의 손실을 최소화시킨다.
물론, 발열 수단(132)은 열 칼(130)을 절단 온도로 가열시킬 수만 있으면 되므로, 그 구체적인 수단, 장착 개수 및 장착 위치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발열 수단(132)이 금속 저항체인 발열 코일인 경우 해당 발열 코일의 단부에는 단자부가 연결되고 해당 단자부는 발열 제어부(160)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발열 제어부(160)로부터 발열을 위한 전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발열 제어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절단 온도값을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절단 온도에 상응되도록 발열 수단(132)을 발열시키며, 즉 절단 온도에 상응되도록 발열 수단(132)으로의 통전량을 조절한다.
열 칼(130)에 대해서는 열전대(thermocouple)와 같은 온도 측정 수단(134)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온도 측정 수단(134)은 열 칼(130)의 온도를 측정하여 발열 제어부(160)로 송출함으로써, 발열 제어부(160)가 정확한 절단 온도로 열 칼(130)을 가열시키도록 한다.
승강 구동 수단(140)은 열 칼(130)이 결합되어 있는 상부 프레임(120)을 선 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열 칼(130)이 하강된 절단 높이와 상승된 대기 높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승강 구동 수단(140)으로는 실린더(140a)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부 프레임(120)의 길이가 다소 긴 것에 따라 다수개의 실린더(140a)가 이용될 수 있고, 다수개의 실린더(140a)는 장치 제어부(170)의 작동 제어에 따라 동기화 작동될 수 있다.
이동 장치 수단(150)은 상부 프레임(120) 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장치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어 열 칼(130)을 좌우 방향으로 직선되게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 이동 장치 수단(150)은 열 칼(130)이 결합되도록 장착되는 장착 브래킷(150a-1)이 일 측면 상에 결합되고 양측의 구동 풀리(150b-1)와 종동 풀리(150b-2)를 통해 순환되는 무한궤도 타입의 타이밍 벨트(150a)와, 장치 제어부(170)의 작동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 작동되어 구동 풀리(150b-1)를 회전시킴으로써 타이밍 벨트(150a)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모터(150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타이밍 벨트(150a)와 풀리(150b-1, 150b-2)의 조합을 전동 연결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나, 타이밍 체인과 스프라킷의 조합을 이용할 수 있는 등 전동 연결 수단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장치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작업 개시 명령을 입력받음에 따라 승강 구동 수단(140)과 이동 장치 수단(150)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순에 따라 작동 제어한 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장치 제어부(170)에 작업 개시 명령을 입력하면, 장치 제어부(170)는 먼저 승강 구동 수단(140)을 작동시켜 열 칼(130)이 절단 높이로 하강되도록 하며, 이어서 이동 장치 수단(150)을 작동시켜 열 칼(130)이 일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열 칼(130)의 이동이 완료되면, 승강 구동 수단(140)을 역으로 작동시켜 열 칼(130)이 상승되어 복귀되도록 하며, 이어서 이동 장치 수단(150)을 역으로 작동시켜 열 칼(130)이 역 방향으로 이동되어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장치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절단 거리값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입력받은 절단 거리값에 상응하도록 이동 장치 수단(150)을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모터(150c)에 대해서는 그 회전량을 검출하는 엔코더(encorder)가 구비되고, 해당 엔코더가 장치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검출 값을 장치 제어부(170)로 송출하며, 장치 제어부(170)는 해당 검출 값을 이용하여 회전 모터(150c)의 작동 정도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 개시 위치와 작업 종료 위치에 각기 리미트 센서(150d-1, 150d-2)가 설치되고, 해당 리미트 센서들(150d-1, 150d-2)이 장치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측의 리미트 센서(150d-1, 150d-2)가 각기 열 칼(130)을 감지하는 시점에서 장치 제어부(170)가 회전 모터(150c)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장치 제어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작업 개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개시 명령 스위치(172)를 구비할 수 있다.
열 칼(130)은 그 날부(130a)가 수평 방향으로 안착된 직물 원단(p)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열 칼(130)의 날부(130a)가 직물 원단(p)과 접촉되는 부분이 적게 되어 과다한 접촉에 따라 직물 원단(p)이 심하게 용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열 칼(130)의 절단 온도 등에 따라 그 경사도는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열 칼(130)이 직물 원단(p)과 너무 과다하게 접촉하면, 절단되는 직물 원단(p) 부분이 들러붙고, 일부 타서 검정색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그 발열 온도 및 경사도는 적절하게 설정되어야만 한다.
또한, 열 칼(130)의 측방에는 불필요한 주변으로 고열이 발산되어 주위의 직물 원단(p)을 만곡시키고 타이밍 벨트(150a)와 같은 장치 요소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냉각 수단(미도시)이 적절히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해당 냉각 수단으로는 주변의 공기를 불어서 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는 팬(fan)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해당 팬은 장치 제어부(170)에 의해 작동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수단은 냉각수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는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블라인드(10, 20)의 커튼지(18, 28)는 주로 합성 섬유, 천연 섬유로 제조된 경사와 위사의 교차에 따라 제직되는 직물이고, 대부분의 것은 폴리 에스테르 90~100%, 면 0~10%의 조합인 것임을 고려할 때, 그 절단 조건은 열 칼(130)의 절단 온도 550~780℃, 절단 이동 속도 150~450㎝/sec로 실시하는 것이 우수한 절단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절단 온도가 너무 높거나 절단 이동 속도가 너무 낮으면, 절단에 따라 직물 원단(p)이 들러붙거나 일부 타서 검정색을 나타내며, 반면 절단 온도가 너무 낮거나 절단 이동 속도가 너무 빠르면, 절단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덧붙여, 타이밍 벨트(150a)에 장착된 열 칼(130)이 정확히 직선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타이밍 벨트(150a)의 다른 일 측면 상에는 가이드 돌기(150a-2)가 형성되고, 해당 가이드 돌기(150a-2)가 상부 프레임(120) 상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홈(120a)에 긴밀하게 형합된 상태에서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100)의 작용을 도 5를 참조로 이하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발열 제어부(160)를 작동시켜 열 칼(130)이 절단 온도로 가열되도록 한다.
열 칼(130)의 가열이 완료되면, 작업 준비는 완료된다.
작업자는 수평 지지판(110) 상에 직물 원단(p)을 안착시키며, 이때 직물 원단(p)에서 절단된 위치를 절단 홈(112)에 맞추어 안착시킨다.
이어서, 작업자는 장치 제어부(170)의 개시 명령 스위치(172)를 조작하여 작 업 개시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장치 제어부(170)가 먼저 승강 구동 수단(140)을 작동시켜 열 칼(130)이 작업 높이로 하강되도록 하며(도 5의 (a) 참조), 이어서 이동 장치 수단(150)을 작동시켜 열 칼(130)이 직선적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열 칼(130)이 수평 지지판(110) 상의 절단 홈(112)에 대해 그 선단부가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안착된 직물 원단(p)에 대해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지나감으로써, 열로서 직물 원단(p)을 절단시킨다(도 5의 (b)와 (c) 참조).
그리고, 열 칼(130)의 이동이 완료되면, 장치 제어부(170)는 승강 구동 수단(140)을 역으로 작동시켜 열 칼(130)이 상승되어 대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며, 이어서 이동 장치 수단(150)을 역으로 작동시켜 열 칼(130)이 역 방향으로 이동되어 원 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물론, 작업자는 이상의 과정을 반복하여 반복적으로 절단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단장치(100)를 이용하여 재단된 커튼지의 절단 단부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해당 사진들을 참조하면, 절단된 절단 단부가 매우 깨끗하게 절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절단 단부가 열에 의해 융착되어 형성되므로, 이후 사용 시에 전혀 올이 풀리지 않는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재단장치(100)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어 블라인드(10, 20)를 제조하는 영세 사업장에 널리 보급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롤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통상적인 버티칼 블라인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에 있어 창문용 블라인드에 구비되는 커튼지의 절단 단부에서 올 풀림이 발생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에 구비되는 열 칼을 나타내는 일부 투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를 이용하여 재단된 커튼지의 절단 단부를 보여주는 사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재단장치 110 : 수평 지지판
112 : 절단 홈 120 : 상부 프레임
120a : 가이드 홈 130 : 열 칼
132 : 발열 수단 130a : 날부
130b : 몸체부 134 : 온도 측정 수단
140 : 승강 구동 수단 140a : 실린더
150 : 이동 장치 수단 150a : 타이밍 벨트
150a-1 : 장착 브래킷 150a-2 : 가이드 돌기
150b-1 : 구동 풀리 150b-2 : 종동 풀리
150c : 회전 모터 150d-1, 150d-2 : 리미트 센서
160 : 발열 제어부 170 : 장치 제어부
172 : 개시 명령 스위치 p : 직물 원단

Claims (13)

  1. 창문 블라인드에 구비되는 커튼지의 형성을 위해 직물 원단을 일정 폭을 이루도록 길이 방향으로 재단하는 장치로서,
    상기 직물 원단이 평평한 상면 상에 펼쳐져 안착되도록 하부 측에 구비되는 수평 지지판;
    상기 수평 지지판의 이격되는 상부 측에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 측에 결합되고 구비된 발열 수단의 발열에 따라 절단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직선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물 원단을 열로서 절단하는 열 칼; 을 포함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칼을 직선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프레임 측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이동 장치 수단;
    상기 발열 수단의 발열을 작동 제어하는 발열 제어부; 및
    상기 이동 장치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을 왕복적으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열 칼이 하강된 절단 높 이와 상승된 대기 높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장치 제어부에 의해 작동 제어되는 승강 구동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판은,
    절단 높이에서 이동되는 상기 열 칼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지나가도록 상면 상에 길게 형성되는 절단 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칼은,
    하부 측에 점차 폭이 좁아져 첨예하게 형성되는 날부; 및
    상부 측에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수단은,
    상기 열 칼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설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칼은,
    상기 날부가 일부 세워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 칼의 측방 측에 구비되어 불필요한 방향으로 고열이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냉각 수단; 을 더 포함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 수단은,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 수단은,
    일 측면 측에 상기 열 칼이 결합되며 양측의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를 통해 순환되는 타이밍 벨트; 및
    상기 장치 제어부의 작동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지가 폴리 에스테르 함유 재질인 경우,
    절단 온도 550~780℃, 절단 이동 속도 150~450㎝/sec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12. 수평 지지판의 평평한 상면 상에 펼쳐지도록 안착된 블라인드용 직물 원단을 구비된 발열 수단의 발열에 따라 절단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직선적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직물 원단을 열로서 절단하는 열 칼; 을 포함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13.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를 재단하는 방법으로,
    폴리 에스테르 함유 직물인 커튼지에 대해 절단 온도 550~780℃의 열칼을 절단 이동 속도 150~450㎝/sec로 이동시켜 열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방법.
KR1020080080013A 2008-08-14 2008-08-14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KR20100021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013A KR20100021222A (ko) 2008-08-14 2008-08-14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013A KR20100021222A (ko) 2008-08-14 2008-08-14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1222A true KR20100021222A (ko) 2010-02-24

Family

ID=4209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013A KR20100021222A (ko) 2008-08-14 2008-08-14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122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321B1 (ko) * 2014-04-29 2015-02-04 (주) 유피테크 메탈 마스크용 메쉬 절개장치
CN105177977A (zh) * 2015-10-26 2015-12-23 丹阳市宇晟纺织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胶棉专用自动裁棉装置
CN108166233A (zh) * 2017-12-20 2018-06-15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铺布机切刀装置升降机构
CN112796088A (zh) * 2020-12-30 2021-05-14 威海利能家纺有限公司 一种窗帘生产线及其工艺流程
CN114232322A (zh) * 2021-12-20 2022-03-25 浙江金蝉布艺股份有限公司 一种窗帘裁切装置
KR102657385B1 (ko) 2023-05-16 2024-04-12 정종희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원단 재단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9321B1 (ko) * 2014-04-29 2015-02-04 (주) 유피테크 메탈 마스크용 메쉬 절개장치
CN105177977A (zh) * 2015-10-26 2015-12-23 丹阳市宇晟纺织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胶棉专用自动裁棉装置
CN108166233A (zh) * 2017-12-20 2018-06-15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铺布机切刀装置升降机构
CN112796088A (zh) * 2020-12-30 2021-05-14 威海利能家纺有限公司 一种窗帘生产线及其工艺流程
CN112796088B (zh) * 2020-12-30 2022-08-26 威海利能家纺有限公司 一种窗帘生产线及其工艺流程
CN114232322A (zh) * 2021-12-20 2022-03-25 浙江金蝉布艺股份有限公司 一种窗帘裁切装置
CN114232322B (zh) * 2021-12-20 2023-10-03 浙江金蝉布艺股份有限公司 一种窗帘裁切装置
KR102657385B1 (ko) 2023-05-16 2024-04-12 정종희 자동차 내장재 제조용 원단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1222A (ko) 창문 블라인드용 커튼지 재단장치
KR100959028B1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CA2513417C (en) Window covering having faces of parallel threads
CA2866847C (en) Laminate screen for a roller blind
KR100913057B1 (ko)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CN1263413C (zh) 建筑孔的覆盖装置
KR101204167B1 (ko) 제직과 봉제로 제조되는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KR20160051029A (ko)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이 가능한 직물의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919112B1 (ko) 직물블라인드용 3단원단 직조방법 및 그 직조기
KR100978955B1 (ko) 망사형 직물지에 엠보싱 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및 그장치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용 원단
CN214244943U (zh) 一种轧光机的自动展边装置
CN205457959U (zh) 一种电动升降窗帘
KR100988592B1 (ko) 전후면 띠를 갖는 입체커튼지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4729271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操作装置
KR101034982B1 (ko) 부분걷힘기능 장식커튼지
KR100859437B1 (ko) 이중층을 가지는 블라인드
JP5663225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ラダーコード製造装置及びラダーコード製造方法
JP6698259B2 (ja) カーテンのセット加工機、及び、カーテンの製造方法
CN111287637A (zh) 一种智能窗帘
KR101527414B1 (ko) 횡 방향 각도조절형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KR20140134514A (ko) 일체제직형 연결띠로 작동 가능한 3중직 암막 차양지를 갖는 롤블라인드
CN214091622U (zh) 一种具有自带遮阳功能的窗户
KR101191791B1 (ko) 부분걷힘 기능을 갖는 커튼지
CN202781260U (zh) 特斯林网布定型机上切边器的切刀结构
CN211130613U (zh) 一种智能窗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