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803A -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803A
KR20100020803A KR1020080079566A KR20080079566A KR20100020803A KR 20100020803 A KR20100020803 A KR 20100020803A KR 1020080079566 A KR1020080079566 A KR 1020080079566A KR 20080079566 A KR20080079566 A KR 20080079566A KR 20100020803 A KR20100020803 A KR 20100020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seeds
dyeing
ornaments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531B1 (ko
Inventor
류숙
김주용
Original Assignee
김주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2008007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531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2Jewellery dispersing perfum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5Coating layers for jewellery
    • A44C27/007Non-metallic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은, 산수유, 복숭아 등의 열매로부터 씨앗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씨앗을 물에 담구어 불린 후 충분히 비벼줌으로써 씨앗에 묻어 있는 육피(과일조각)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육피가 제거된 씨앗을 염료에 수차례 담구어 수시로 비벼줌으로써 씨앗을 염색시키는 단계와, 상기 염색된 씨앗을 상온 음지에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씨앗에 코팅제를 도포한 후 문지름으로써 씨앗을 코팅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되어 있으므로, 씨앗에 구멍을 뚫어 비즈공예 방식을 활용한 장신구로 제작되거나 모자이크 등의 예술적가치를 부여한 공예품으로 제작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장신구로 적용시 무게감을 줄이고 알레르기 등에 의한 부작용을 없앰과 동시에 천연의 은은한 향기가 발산되며, 씨앗의 본래 질감에서 발생되는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그대로 표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열매 씨앗, 천연 염료, 염색, 코팅, 장신구, 공예품

Description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a dyeing method for fruit seed of art work and personal ornaments}
본 발명은 자연적인 질감을 갖는 열매의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에서 생산되는 모든 열매의 씨앗을 이용하여 염색, 건조 및 코팅함으로써 씨앗의 본래 질감에서 발생되는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그대로 표출시킴과 동시에 은은한 향기를 발산시키고 알레르기와 같은 부작용이 전혀 없는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귀걸이와 같은 장신구는 통상적으로 일반 금속 또는 귀금속같은 금속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러한 금속재료를 정교하게 세공하여 장식을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재료의 장신구는 나름대로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금속재료의 특성상 그 무게가 가볍지는 않고 인공적이며 착용자에 따라서는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연 친화적인 씨앗을 이용하여 장식구 또는 공예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시 무게감을 줄이고 알레르기 등에 의한 부작용을 없앰과 동시에 천연의 은은한 향기가 발산되며, 씨앗의 본래 질감에서 발생되는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그대로 표출시킬 수 있는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은, 산수유, 복숭아 등의 열매로부터 씨앗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씨앗을 물에 담구어 불린 후 충분히 비벼줌으로써 씨앗에 묻어 있는 육피(과일조각)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육피가 제거된 씨앗을 염료에 수차례 담구어 수시로 비벼줌으로써 씨앗을 염색시키는 단계와, 상기 염색된 씨앗을 상온 음지에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씨앗에 코팅제를 도포한 후 문지름으로써 씨앗을 코팅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염료는 산수유, 치자, 감, 쑥, 맨드라미, 봉숭아, 계피, 측백, 고춧잎 등의 천연재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염료는 채색 물감 및 페인트 등의 안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코팅제는 올리브유, 포도씨유, 유채씨유, 동백기름 등의 천연 오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천연 오일에는 향수나 아로마 오일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은, 열매으로부터 씨앗을 분리시킨 후 육피제거, 천연 또는 화학 염료염색, 상온 음지 건조, 향발생 오일 등의 코팅과정을 거쳐 완성되기 때문에 씨앗에 구멍을 뚫어 비즈공예 방식을 활용한 장신구로 제작되거나 모자이크 등의 예술적가치를 부여한 공예품으로 제작되는데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장신구로 적용시 무게감을 줄이고 알레르기 등에 의한 부작용을 없앰과 동시에 천연의 은은한 향기가 발산되며, 씨앗의 본래 질감에서 발생되는 아름다움과 화려함을 그대로 표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 도 1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수유, 복숭아 등의 열매로부터 씨앗을 분리(S1)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텝 S1에서 분리된 씨앗을 물에 담구어 불린 후 충분히 비벼줌으로써 씨앗에 묻어 있는 육피(과일조각)를 제거(S2)하는 단계와, 상기 스텝 S2에서 육피가 제거된 씨앗을 염료에 수차례 담구어 수시로 비벼줌으로써 씨앗을 염색(S3)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텝 S3에서 염색된 씨앗을 상온 음지에서 건조(S4)시키는 단계와, 상기 스텝 S4에서 건조된 씨앗에 코팅제를 도포한 후 문지름으로써 씨앗을 코팅(S5)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염료는 천연 염료와 화학 염료로 구별되며, 천연 염료는 산수유, 치자, 감, 쑥, 맨드라미, 봉숭아, 계피, 측백, 고춧잎 등의 자연 친화적인 색상을 낼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치자의 노란색을 이용한 염료를 사용할 경우 45-70℃의 온수에 소금과 으깬 치자를 적정 비율로 넣으면서 염색하고자 하는 색의 농도로 혼합한다.
즉, 상기 염색방법은 천연 염료가 45-70℃로 가열된 염료용기에 육피가 제거된 씨앗을 1-10일 동안 수차례 넣고 빼고를 반복하면서 수시로 비벼준다.
상기 화학 염료는 채색 물감 및 페인트 등의 안료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코팅제는 올리브유, 포도씨유, 유채씨유, 동백기름 등의 천연 오일이 사용되고, 이 천연 오일에는 향수나 아로마 오일 등을 첨가하여 사용된다.
즉, 상기 코팅방법은 50℃이상으로 가열된 코팅제를 염색 건조된 씨앗의 표면에 골고루 도포한 후 부드러운 천으로 문지르거나 부드러운 천에 씨앗을 넣고 비벼줌으로써 씨앗을 코팅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은 열매으로부터 씨앗을 분리시킨 후 육피제거, 천연 또는 화학 염료염색, 상온 음지 건조, 향발생 오일 등의 코팅과정을 거쳐 완성됨으로써 장신구 및 공예품에서 천연재료로 사용된다.
즉, 염색한 씨앗의 천연재료를 장신구에 적용할 경우 다수의 씨앗에 구멍을 뚫어 비즈공예 방식을 활용한 장신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일례로서 목걸이, 귀걸이, 반지, 안경걸이, 발찌, 팔찌, 펜던트, 핸드폰줄, 열쇠고리 등의 적용분야가 광범위하다.
그리고, 염색한 씨앗의 천연재료를 공예품에 적용할 경우 색상이 다르게 다수의 씨앗을 이용하여 창작 예술작품을 제작할 수 있으며, 그 일례로서 다양한 색상의 염색 씨앗으로 모자이크 등의 예술적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모든 미적 작품 제작에 적용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챠트.

Claims (5)

  1. 산수유, 복숭아 등의 열매로부터 씨앗을 분리시키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씨앗을 물에 담구어 불린 후 충분히 비벼줌으로써 씨앗에 묻어 있는 육피(과일조각)를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육피가 제거된 씨앗을 염료에 수차례 담구어 수시로 비벼줌으로써 씨앗을 염색시키는 단계와, 상기 염색된 씨앗을 상온 음지에서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씨앗에 코팅제를 도포한 후 문지름으로써 씨앗을 코팅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산수유, 치자, 감, 쑥, 맨드라미, 봉숭아, 계피, 측백, 고춧잎 등의 천연재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채색 물감 및 페인트 등의 안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제는 올리브유, 포도씨유, 유채씨유, 동백기름 등의 천연 오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천연 오일에는 향수나 아로마 오일 중 어느 하나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KR1020080079566A 2008-08-13 2008-08-13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KR10102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566A KR101028531B1 (ko) 2008-08-13 2008-08-13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566A KR101028531B1 (ko) 2008-08-13 2008-08-13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803A true KR20100020803A (ko) 2010-02-23
KR101028531B1 KR101028531B1 (ko) 2011-04-11

Family

ID=4209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566A KR101028531B1 (ko) 2008-08-13 2008-08-13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5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48B1 (ko) * 2014-07-02 2014-11-04 이성현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KR102169938B1 (ko) * 2020-02-18 2020-10-26 김홍준 다라수 씨앗을 이용한 비드 제조방법
KR20210117684A (ko) 2020-03-20 2021-09-29 (주)코비인터내셔널 이색을 갖는 코로조넛 단추의 제조방법
KR102545223B1 (ko) 2022-02-03 2023-07-27 주식회사 베스티안 씨앗을 이용한 공예품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5440A (ko) * 2004-09-16 2006-03-21 경기화훼농협알리앙스플레르 주식회사 관상 및 장식용 식물체와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6148B1 (ko) * 2014-07-02 2014-11-04 이성현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KR102169938B1 (ko) * 2020-02-18 2020-10-26 김홍준 다라수 씨앗을 이용한 비드 제조방법
KR20210117684A (ko) 2020-03-20 2021-09-29 (주)코비인터내셔널 이색을 갖는 코로조넛 단추의 제조방법
KR102545223B1 (ko) 2022-02-03 2023-07-27 주식회사 베스티안 씨앗을 이용한 공예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531B1 (ko) 2011-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stoureau Blue: The history of a color
US5981003A (en) Gem stone having an enhanced appearanc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1028531B1 (ko)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CN104015541A (zh) 一种珍珠表面雕刻装饰工艺
Brøns Reconstructing Ancient Polychromy: The Beauty of Palmyra
Khwansuwan Batik patterns in the South of Thailand
Seidu et al. Sustainable traditional natural dyeing practice in Daboya and Ntonso communities of Ghana
KR20090104306A (ko) 생화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P2020103749A (ja) 人造真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66631B1 (ko)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Llewellyn-Jones Body and clothing
RU2008106990A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окрытия
Bonifant Art and survival: A look at Textiles in the Gambia
KR101440729B1 (ko) 건칠 액세서리 제조방법
DE202011051744U1 (de) Schmuckware
Shah et al. INDIAN CHINTZ-CRAFT IDENTIFICATION AS AN EXQUISITE HAND-PAINTED TRADITIONAL TEXTILE
CN109878257A (zh) 点式唐卡绘画工艺
Hartanto Fish Scale Waste for Fashion Jewelry Material with Surface Embellishment
US20090311488A1 (en) Decorative ornaments and methods for making decorative ornaments
KR20080006738A (ko)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Banhidi et al. Blue-Dyeing Technologies, in Cultural Heritage, Modern Fashion and Therapies in central Europe
Punia Dyeing in ancient indian textile: An analytical study
Kiilerich Colour and context: Reconstructing the polychromy of the stucco saints in the Tempietto longobardo at Cividale
KR950014970B1 (ko) 액상접착제를 방염제로 하는 염색기법으로 우피의 생안가죽에 다양한 무늬를 채색하는 색도채색방법
JP3179906U (ja) サンゴを加工した装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