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6148B1 -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56148B1 KR101456148B1 KR1020140082276A KR20140082276A KR101456148B1 KR 101456148 B1 KR101456148 B1 KR 101456148B1 KR 1020140082276 A KR1020140082276 A KR 1020140082276A KR 20140082276 A KR20140082276 A KR 20140082276A KR 101456148 B1 KR101456148 B1 KR 101456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green tea
- coating layer
- hour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1/00—Designs imitating artistic work
- B44F11/04—Imitation of mosaic or tarsia-work patter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6—Coating or dressing seed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44C27/005—Coating layers for jewellery
Landscapes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취한 멀구슬 열매를 10 내지 18℃ 물에 24시간 내지 48시간 담궈두는 단계(S10); 멀구슬 열매로부터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20): 멀구슬 열매를 30일 내지 40일 건조시키는 단계(S30): 건조된 멀구슬 열매에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주의 청정 환경에서 자생하는 멀구슬 나무 열매를 사용하면서 멀구슬 열매에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균열, 산화 등을 제어하여 공예품 재료로서 미감이 영속성을 연장시킬 수 있는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귀걸이, 브롯지 등과 같은 장신구는 통상적으로 일반 금속 또는 귀금속 같은 금속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러한 금속재료를 정교하게 세공하여 장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금속재료의 장신구는 그 무게가 비교적 무거워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고, 착용자에 따라서는 알레르기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천연재료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데, 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56189호에서는 연꽃의 열매 외측면에 부식방지용 코팅층이 형성되며, 입출구가 길이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타원형상의 염주알;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염주알을 일렬로 꿰어 원형의 염주를 형성하는 연결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꽃 열매를 이용한 염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 의하면 연꽃열매에 부식방지용으로 코팅층이 도포되더라도 열매 자체의 미세한 균열, 시간경과에 따른 온도변화 등에 의해 형상변형, 코팅층 탈리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바, 이에 공예품으로서의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재료로서 멀구슬을 사용하되 시간경과에 의해 균열, 산화 등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공예품으로서 영속성이 보장되도록 하는 공예품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은 채취한 멀구슬 열매를 10 내지 18℃ 물에 24시간 내지 48시간 담궈두는 단계(S10); 멀구슬 열매로부터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20): 멀구슬 열매를 30일 내지 40일 건조시키는 단계(S30): 건조된 멀구슬 열매에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예로 멀구슬 열매로부터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20)후에는 녹차달인물에 10 내지 20시간 담궈두는 단계(S21)가 더 포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녹차달인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녹차잎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에서 2 내지 3시간 달인 후에 녹차잎을 걷어내어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녹차달인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녹차잎 20 내지 30중량부, 멀구슬 열매 껍질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에서 2 내지 3시간 달인후에 녹차잎 및 멀구슬껍질을 걷어내어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상기 코팅층은, 우루시올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사이즈의 실리카 분말 30 내지 60중량부, 이산화티탄 10 내지 20중량부, 산화 알루미늄 5 내지 1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3중량부, 안료 1 내지 3중량부, 레블링제 1 내지 2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3 내지 5중량부, 카테킨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은 제주의 청정 환경에서 자생하는 멀구슬 나무 열매를 사용하면서 멀구슬 나무 열매에 균열 등에 의해 형상변형을 제어할 수 있어 원형의 열매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탈취성, 항균성을 가진 코팅층을 도포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코팅층이 천연소재를 주제로 사용하며 단열층으로서 기능을 수행토록 하여 열에 의해 공예품의 형상변형을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멀구슬 열매을 채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멀구슬 열매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각종의 공예품의 예를 도시한 사진
도 2는 멀구슬 열매 제조방법에 의해 생산되는 각종의 공예품의 예를 도시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은 채취한 멀구슬 열매를 10 내지 18℃ 물에 24시간 내지 48시간 담궈두는 단계(S10); 멀구슬 열매로부터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20): 멀구슬 열매를 30일 내지 40일 건조시키는 단계(S30): 건조된 멀구슬 열매에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은 우선 제주의 청정 환경에서 자생하는 멀구슬 나무 열매를 공예품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천연재료를 주재료로 한 점에 잇점이 있으며, 멀구슬 나무는 예로부터 '말구슬나무'라고도 하는데 한자로는 '마주목'(馬珠木)이다. 또한 예로부터 여름에 이 나무 그늘에 앉아 있으면 모기가 달려들지 않는다고 전해지는 바, 살충 또는 방충성분이 이러한 멀구슬 나무에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 주재료인 멀구슬 열매는 그 자체로 살충 또는 방충성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우선 채취한 멀구슬 열매를 10 내지 18℃ 물에 24시간 내지 48시간 담궈두는 단계(S10)를 갖는다.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열매 형상에 변형을 가져오는 바, 상기와 같이 상온의 물에 담궈두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 다음으로 멀구슬 열매로부터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멀구슬 열매 자체(껍질을 벗기지 않은 상태)를 공예품으로 이용하는 경우 사용중에 껍질이 벗겨지는 경우가 있어 이와 같이 껍질을 벗긴 상태의 열매를 공예품의 재료로 이용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멀구슬 열매로부터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20)후에는 녹차달인 물에 10 내지 20시간 담궈두는 단계(S21)가 더 포함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녹차달인 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녹차잎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에서 2 내지 3시간 달인 후에 녹차잎을 걷어내어 제조되는 것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껍질을 벗긴 멀구슬 열매를 녹차 달인 물에 담궈두는 이유는 녹차달인 물에 있어 카테킨 성분에 의해 껍질이 벗겨진 상태의 멀구슬 열매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껍질이 벗겨진 상태의 멀구슬 열매가 산소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변색이 되어 안료가 혼합된 코팅층이 도포되어도 변색된 부분에서 색상변이가 일어나므로 공예품으로서 가치를 손상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산화에 의해 멀구슬 열매 자체에서 산화부분이 시간경과에 따라 부셔지는 등 구조건전성이 저하되므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껍질을 벗긴 멀구슬 열매에 녹차물이 스며들도록 하여 멀구슬의 미세 균열부분 등에서 산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녹차달인 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녹차잎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에서 2 내지 3시간 달인 후에 녹차잎을 걷어내어 제조됨에 특징이 있는데, 녹차잎을 30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 녹차의 색상이 너무 강하게 배여 멀구슬 열매 자체의 색상을 희석하게 되는 것이며, 70℃를 초과하여 달이는 경우 녹차잎의 카테킨 성분이 대부분 날라감으로 인해 멀구슬 열매 산화 방지의 효과가 없어 상기와 같이 중온불(60∼70℃)에서 달이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녹차달인물을 제조하는 다른 예로서 물 100중량부에 대해 녹차잎 20 내지 30중량부, 멀구슬 열매 껍질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에서 2 내지 3시간 달인 후에 녹차잎 및 멀구슬 열매 껍질을 걷어내어 제조되는 예를 제시한다.
이와 같이 녹차잎에 멀구슬 껍질을 더 첨가하도록 하는 이유는 멀구슬 껍질 자체에도 카테킨 성분이 존재하여 멀구슬 열매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며 멀구슬 열매 껍질로부터 향 및 색상이 배어나오도록 하여 녹차잎에 의한 멀구슬 열매의 중화를 방지토록 하는 것이고 폐기되는 멀구슬 껍질을 한번 더 이용토록 하여 자원을 재활용 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멀구슬 열매를 30일 내지 40일 건조시키는 단계(S30)를 갖는다. 이 경우도 상온(10 내지 18℃)에서 30일 내지 40일을 건조시켜야 하며 온도가 상온보다 높은 경우 급격한 건조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온의 온도조건에서 30일 내지 40일 동안 충분한 건조단계를 갖는다.
그 다음으로 건조된 멀구슬 열매에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S40)를 갖는다.
상기 코팅층은 우루시올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사이즈의 실리카 분말 30 내지 60중량부, 이산화티탄 10 내지 20중량부, 산화 알루미늄 5 내지 1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3중량부, 안료 1 내지 3중량부, 레블링제 1 내지 2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3 내지 5중량부, 카테킨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여 배합됨이 타당하다.
우선 상기 코팅층에는 주제로 우루시올이 사용되는 바, 우루시올은 옻나무의 주성분으로서 상기 코팅층은 천연소재를 주제로 하여 친환경적인 것이다.
상기 나노사이즈의 실리카 분말은 상기 코팅층에 있어 충진제로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코팅층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며, 특히 실리카는 그 자체에 복수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어 탈취는 물론 코팅층이 단열층으로서 기능을 부여하여 외부 열에 의해서 내부의 열매가 변형을 일으켜 균열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리카는 나노사이즈의 입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건조된 열매에는 미세한 균열 또는 공극이 존재하여 이와 같은 균열 및 공극이 시간이 경과에 따라 열화의 시발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 이러한 균열 및 공극에 실리카가 밀실한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광촉매로서 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산화티탄은 자외선에 의해 스스로 광산화 작용을 나타내고, 가스 등 2차 오염 부산물을 방출하지 않으며, 특히 유기물에 대한 강력한 산화환원 작용으로 정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유기물에 의한 산화에 의해 코팅층의 내,외부에서부터 열화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산화티탄을 상기와 같은 배합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이산화티탄의 광산화반응으로 인해 타 조성의 물성변화에 의해 강도감소 등의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이산화티탄만을 배합하는 경우에는 우기, 음지 등에 광조사량이 부족할 시 자기정화의 기능이 제대로 구현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자기정화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지 않는 경우 유해한 유기물 등이 배출되며 이 또한 열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코팅층에는 이산화티탄에 더하여 산화 알루미늄이 더 배합되도록 하는 바, 상기 산화 알루미늄은 축광안료로서 배합되는 것으로, 우기 등에 있어 광조사량이 부족할 시에 잔광에 의해 상기 이산화티탄의 자기정화 기능이 계속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산화 알루미늄은 스피넬(Spinel)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인체에 유해한 방사선의 방출이 없고, 장시간의 발광시간(잔광시간 최대 2,000분)을 가지며, 우수한 내후성을 갖는 조성이다.
즉 상기 산화 알루미늄은 광조사량이 부족할 시에 잔광을 이용해 상기 이산화티탄의 자기정화능이 계속적 발현을 보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산화 알루미늄의 배합비를 한정하는 이유는 잔광효과, 강도저하, 타 조성과의 안정된 분산 등의 이유로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상기 경화제는 다양한 공지의 조성이 사용될 수 있는 바, 일 예로 트리그리시딜 이소시아네이트가 경화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배합범위 미만으로 배합되면 굴곡성이 저하되고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외관불량을 유발하므로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상기 증점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조성에 경화제를 첨가하며 이에 더하여 증점제를 첨가하여 성형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의 증점제 조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성형성, 충진성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은 배합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안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예품의 제품에 따라 다양한 안료가 선택적으로 배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레블링제 또한 공지의 조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레블링제를 사용함에 의해 열매형상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층에는 수지 등에 의한 메트릭스에도 미세기포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코팅층 전체가 단열층으로서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코팅층에는 우루시올 100중량부에 대해 소듐라우릴 설페이트 3 내지 5중량부가 더 배합되도록 한다.
소듐라우릴 설페이트는 메트릭스에서 미세기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으로 3중량부 미만이면 미세기포 발생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미세기포의 과다발생으로 오히려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이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소듐라우릴 설페이트가 상기 배합범위에서 첨가가 되더라도 경우에 따라 미세기포간 결합으로 비교적 입경이 큰 기포가 메트릭스에 내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입경이 큰 기포는 코팅층의 강도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안정되지 않은 구조에 의해 기포가 터지기 쉬우며 이로 인해 가스가 배출되어 내부 산화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코팅층에는 우루시올 100중량부에 대해 카테킨 0.5 내지 1중량부를 더 배합하여 메트릭스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화를 방지토록 하여 미세기포가 터지는 경우에도 코팅층 자체의 내구성 저하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멀구슬 공예품이 제조되는 바, 정확히는 멀구슬 공예품의 주제가 제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주제에 의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멀구슬을 이용하여 귀걸이, 목걸이, 브롯지 등 다양한 공예품이 제조될 수 있는 것이며 내구성이 강화되어 미감이 영속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5)
- 채취한 멀구슬 열매를 10 내지 18℃ 물에 24시간 내지 48시간 담궈두는 단계(S10);
멀구슬 열매로부터 껍질을 제거하는 단계(S20);
껍질이 제거된 멀구슬 열매를 녹차달인물에 10 내지 20시간 담궈두는 단계(S21);
멀구슬 열매를 30일 내지 40일 건조시키는 단계(S30); 및
건조된 멀구슬 열매에 코팅층을 도포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달인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녹차잎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에서 2 내지 3시간 달인 후에 녹차잎을 걷어내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
상기 녹차달인물은 물 100중량부에 대해 녹차잎 20 내지 30중량부, 멀구슬 열매 껍질 20 내지 30중량부를 혼합하여 60∼70℃에서 2 내지 3시간 달인후에 녹차잎 및 멀구슬껍질을 걷어내어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
코팅층은,
우루시올 100중량부에 대해 나노사이즈의 실리카 분말 30 내지 60중량부, 이산화티탄 10 내지 20중량부, 산화 알루미늄 5 내지 10중량부, 경화제 2 내지 5중량부, 증점제 1 내지 3중량부, 안료 1 내지 3중량부, 레블링제 1 내지 2중량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3 내지 5중량부, 카테킨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276A KR101456148B1 (ko) | 2014-07-02 | 2014-07-02 |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2276A KR101456148B1 (ko) | 2014-07-02 | 2014-07-02 |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56148B1 true KR101456148B1 (ko) | 2014-11-04 |
Family
ID=5228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2276A KR101456148B1 (ko) | 2014-07-02 | 2014-07-02 |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5614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0803A (ko) * | 2008-08-13 | 2010-02-23 | 김주용 |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
KR20110033832A (ko) * | 2011-03-15 | 2011-03-31 | 송훈호 |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
-
2014
- 2014-07-02 KR KR1020140082276A patent/KR1014561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20803A (ko) * | 2008-08-13 | 2010-02-23 | 김주용 | 장신구 및 공예품용 씨앗의 염색방법 |
KR20110033832A (ko) * | 2011-03-15 | 2011-03-31 | 송훈호 | 모자이크 공예용 곡물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97538B (zh) | 一种保护型水性抗菌防霉涂料及其制备方法 | |
CN104290157A (zh) | 一种黄花梨木材的添香处理工艺 | |
KR101456148B1 (ko) | 멀구슬 공예품 제조방법 | |
KR100884087B1 (ko) | 천연토를 이용한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725741B1 (ko) | 도자기의 파손부 접합 방법 | |
KR101798343B1 (ko) | 은향초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 |
CN107177249A (zh) | 一种新型耐高温墙漆的制作工艺 | |
KR101816478B1 (ko) | 생옻칠과 황토를 이용한 파손된 도자기의 수리방법 | |
CN101189972A (zh) | 树木创伤修补剂 | |
US6395114B1 (en) | Method of making natural botanical sculpture | |
KR101533104B1 (ko) | 피톤치드와 목초액을 이용한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방지 포장 방법 | |
CN112913499B (zh) | 一种羧甲基淀粉的应用及其生产方法 | |
KR100586633B1 (ko) | 저온촉매를 이용한 합지 제조용 천연 풀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05017951A (zh) | 一种用于柳编产品表面涂饰的持久薰衣草香型处理剂及其制备方法 | |
KR101292529B1 (ko) | 착색 목분의 혼합에 의한 혼합색을 구현하는 입체무늬를 가진 기능성 벽지 및 그 벽지 제조방법 | |
KR101504875B1 (ko) | 친환경 전복타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친환경 전복타일 | |
KR101835453B1 (ko) | 황토혼합물이 코팅된 구운 계란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구운 계란 | |
KR101135006B1 (ko) | 황토분말과 황마분말을 주요성분으로 함유하는 도료조성물 | |
KR102563702B1 (ko) | 옻수액과 황토 및 성지가지재를 활용하여 제조되는 녹청자 유골함 및 그 제조방법 | |
CN107823062A (zh) | 一种胭脂的配方 | |
KR100810522B1 (ko) | 다기능 황토몰탈 제조방법 | |
KR20050080293A (ko) | 공작용 점토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점토 | |
KR20160074445A (ko) | 솔 향(피톤치드)이 분출되는 기능성 건축내장재 | |
CN104999531A (zh) | 一种用于柳编产品表面涂饰的持久驱蚊柠檬香型处理剂及其制备方法 | |
KR20040055768A (ko) | 수목의 외과 수술 시 인공수피 형성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