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6738A -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 Google Patents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6738A
KR20080006738A KR1020060065844A KR20060065844A KR20080006738A KR 20080006738 A KR20080006738 A KR 20080006738A KR 1020060065844 A KR1020060065844 A KR 1020060065844A KR 20060065844 A KR20060065844 A KR 20060065844A KR 20080006738 A KR20080006738 A KR 20080006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tel
layer
adhesive
ornaments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스 주얼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스 주얼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스 주얼리
Priority to KR102006006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6738A/ko
Publication of KR2008000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7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00Brooches or clips in their decorative or ornamental aspec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장신구의 바탕색 및 채색에 있어서 종래 유화물감을 사용하면 발생할 수 있는 번짐 현상이 없고,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이나 파스텔과 접착력이 있는 에폭시 등과 혼합한 파스텔톤의 칼라를 사용하여 다양한 모양 및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장신구의 장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장신구 몸체 및 장식부재를 준비하는 장신구 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과, 준비된 장신구 몸체에 접착액과 파스텔을 사용하여 착색하는 착색공정과, 상기 착색된 장신구 몸체에 장식부재를 부착하는 장식공정과, 상기 착색된 장신구 몸체와 장식부재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스텔, 장신구, 장식방법, 그라데이션

Description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A METHOD FOR DECORATING ACCESSORIES USING PASTEL AND AN ACCESSORY USING THE METHOD}
도 1a는 종래기술을 사용한 장신구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을 사용한 장신구 표면의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장신구 장식방법의 순서도
도 3a는 장신구 몸체의 홈에 형성된 접착층에 파스텔을 산포하는 모습
도 3b는 적층하여 형성된 접착층에 파스텔을 산포하는 모습
도 4는 그라데이션 기법에 의해 형성된 파스텔층의 평면도
도 5a는 장신구 몸체의 홈에 형성된 접착층에 코팅을 하고 난 후의 단면도
도 5b는 적층하여 형성된 접착층에 코팅을 하고 난 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식방법에 의해 제작된 장신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장신구 몸체 15 : 홈
20 : 접착층 25 : 파스텔층
30 : 장식부재 40 : 코팅층
S100 : 장신구 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 S200 : 착색공정
S200-1 : 접착액 도포공정 S200-2 : 1차 건조공정
S200-3 : 파스텔 산포공정 S200-4 : 2차 건조공정
S300 : 장식공정 S400 : 코팅공정
S400-1 : 코팅액 도포공정 S400-2 : 3차 건조공정
S400-3 : 4차 건조공정
본 발명은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한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장신구의 바탕색 및 채색에 있어서 종래 유화물감을 사용하면 발생할 수 있는 번짐 현상이 없고,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이나 파스텔과 접착력이 있는 에폭시등과 혼합한 파스텔톤의 칼라를 사용하여 다양한 모양 및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장신구는 인체나 의복을 치장하기 위한 보조물을 말하고, 그 형태는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지, 목걸이, 귀걸이, 브로치 등과 같은 물품들이 대표적인 장신구들이다.
이러한 장신구들은 장식적인 의미뿐 아니라 사회적인 여러가지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었다. 특히, 귀금속등을 부착한 장신구들이 발전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귀금속을 부착한 장신구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순히 귀금속만을 부착할 수도 있지만, 장신구 몸체에 귀금속을 부착시켜 더욱 아름답게 장식을 하기도 한다. 이때, 장신구 몸체는 다양한 무늬, 색상을 가지게 제작한다.
상기의 장신구 몸체에 여러가지 무늬와 색상을 넣는 종래의 기술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종래에는 도 1(a) 내지 도 1(b)와 같이 장신구 몸체(10)에 유화물감을 사용하거나 유화물감과 접착제를 혼합한 물감을 사용하여 장신구 몸체에 바탕층 또는 접착층(20)을 형성하였다. 또한, 단순히 에폭시등을 사용하여 투명한 색의 접착층(20)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접착층 상에 장식부재(30)를 부착시키고, 장식부재(30)와 장신구 몸체(10) 위에 전체적으로 광택이 나는 에폭시를 사용하여 코팅층(40)을 형성하였다. 마무리 작업으로 상기 코팅층(40)과 장신구 몸체를 연마기등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부분을 다듬고 광택을 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단순히 에폭시만을 사용하여 투명한 효과를 사용하거나 장신구 몸체(10) 자체의 고유한 색을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채색을 필요로 하게 되며, 주로 유화물감을 사용한다.
하지만, 유화물감을 단색으로만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여려가지 색의 물감으로 무늬나 색상을 표현하려고 하는 경우 유화물감이 서로 번져서 색이 섞이거나 경계가 아름답게 형성되지 못하였다.
또한, 장식 기법중에 그라데이션(gradation) 기법, 즉 점층법을 사용하여 색 상을 연속적이고 단계적으로 변화를 주어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기법을 사용하기에도 유화물감으로 덧칠을 할 수 없고 원색이라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표현하기가 힘들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로 장신구를 제작하기에는 현재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색의 번짐이나 표현의 한정성 때문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유화물감으로 다양한 색을 표현하지 않고 파스텔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을 표현함으로써, 색의 번짐을 방지하고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장신구의 장식방법 및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둘째, 파스텔을 사용하여 그라데이션 기법을 용이하게 사용하게 하여 다양한 색상과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심미적으로도 아름다운 장신구를 제작하고 장식하는 방법 및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장신구의 장식방법에 관한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신구 몸체(10) 및 장식부재(30)를 준비하는 장신구 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S100)과,
준비된 장신구 몸체(10)에 접착액과 파스텔을 사용하여 착색하는 착색공정(S200)과,
상기 착색된 장신구 몸체(10)에 장식부재(30)를 부착하는 장식공정(S300)과,
상기 착색된 장신구 몸체(10)와 장식부재(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공정(S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본적인 공정에 관한 순서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신구 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S100)은 장신구 몸체(10)와 장신구 몸체(10)를 장식하기 위한 장식부재(30)를 제작하고 준비하는 공정이다. 장신구 몸체(10)는 일반적으로 반지나 펜던트, 브로치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금이나 은과 같은 귀금속이나 일반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장신구 몸체(10)는 장신구 몸체(10)에 사용될 금속을 특정한 형태로 외형을 가공하거나 금형을 사용하여 필요한 기본적인 장신구 몸체(10)의 외형을 제작한다.
장식부재(30)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장신구 몸체에 홈을 만들어 삽입하는 경우에는 홈의 형상보다 약간 크게 만들어 삽입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장신구 몸체(10) 상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얇은 필름형태로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장식부재(30)는 적절한 외형 및 색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과 같이 장신구 몸체(10)와 장식부재(30)의 제작 및 준비가 완료되면, 장신구 몸체(10)의 장식을 위한 착색공정(S200)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착색공정(S200)은 다시 세부공정으로 나뉘어 지며,
장신구 몸체(10)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층(20)을 형성시키는 접착액 도포공정(S200-1)과,
도포된 접착층(20)을 흐르지 않게 하는 1차 건조공정(S200-2)과,
1차 도포된 접착층(20) 상에 파스텔 가루를 뿌려 파스텔층(25)을 형성하는 파스텔 산포공정(S200-3)과,
상기 접착층과 파스텔층을 구워주는 2차 건조공정(S200-4)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착액 도포공정(S200-1)는 장신구 몸체(10)의 바탕색을 연출하기도 하며, 파스텔층의 안착을 가능하게도 하며, 장식부재의 부착을 가능하게도 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접착액은 일반적으로 투명 에폭시를 사용하거나 유화물감을 사용하거나 접착제와 혼합된 유화물감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투명한 에폭시를 사용하고 장신구 몸체(10)가 은으로 된 경우라면, 은으로 된 몸체 위를 투명한 층이 덮여 있고 장식부재가 떠있거나 잠겨있는 형상으로 표현될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유화물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신구 몸체의 외형 위에 바탕색 및 바탕 형상이 존재하고 그 위에 장식부재가 부착되어 배경그림이 있는 장식과 같이 될 것이며, 장식부재(30)와의 보색대비효과를 통해 장식부재(20)가 외관상 더 욱 부각될 수 있도록 장식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상기 유화물감을 사용하는 경우 먼저 테레빈유(turpentine oil)나 린시드유(linseed oil), 잉크제 같은 용제를 이용해 유화물감을 적절한 농도로 용해시켜서 사용한다. 다만, 유화물감만을 사용하더라도 파스텔과 장식부재가 물감의 표면에 닿아 있는 상태로 건조되면, 물감의 응고에 의해 자체적으로 접착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접착제와 혼합할 경우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성이 높은 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접착액 도포공정(S200-1)의 일 실시예로 도 3(a)와 같이 장신구 몸체(10)에 홈(15)을 형성한 후, 상기 홈(15)에 접착액을 삽입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홈은 접착액을 흐르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도 하며, 장신구 몸체(10)에 원하는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착액 도포공정(S200-1)의 다른 실시예로 도 3(b)와 같이 장신구 몸체(10)에 접착액을 복수회에 걸쳐 적층시켜 다수의 접착층(20)을 형성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 접착층(20)은 얇게 장신구 몸체에 도포하여야 흐르지 않는다. 또한, 파스텔층(25)을 적층시키고 장식부재(30)를 부착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두께의 접착층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복수회에 걸쳐서 여러번 도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접착액 도포과정(S200-1)이 완료되면, 파스텔층(25)을 적층시키기 전에 접착층(20)을 적절하게 건조시키기 위한 1차 건조공정(S200-2)을 실시한다.
상기 1차 건조공정(S200-2)은 상기의 접착층(20)을 완전건조가 아니라 불완전건조를 시키는 공정이다. 그 이유는 전혀 건조시키지 않으면, 파스텔층이 침전되어 색상이나 모양이 상할 수 있고, 완전건조시키면 파스텔층이 접착되지 않고 흩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접착층이 흐르지 않을 정도까지만 건조시킨다.
본 공정은 일반적으로 열과 바람을 함께 사용하여 저온인 60-80℃에서 1시간정도 굽는것이 적정하다. 상기와 같은 조건은 본 출원인의 실제 제작과정에서의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얻어진 것으로, 열과 바람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며, 60℃이하의 경우 건조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고, 80℃이상의 경우 제품의 색상이 변하거나 변형이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건조시에 주의할 사항은 열과 바람을 사용하여 건조하더라도 접착층(20)이 변형이 생기거나 흐르지 않게 해야 한다. 특히 접착층을 홈(15)을 사용하지 않고 적층시킨 경우에는 더욱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1차 건조공정(S200-2)이 완료된 후에는 도 3(a)와 도 3(b)와 같이 상기 건조된 접착층 상에 파스텔을 뿌려 파스텔층을 형성하는 파스텔 산포공정(S200-3)을 실시한다.
상기 파스텔은 시판되는 것을 사용하여 잘게 부수어 분말형태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렇게 파스텔 가루를 생성한 후에 상기 불완전 건조된 접착층(20) 상에 적절한 모양이나 색상을 갖도록 뿌려준다.
이러한 파스텔은 별도의 채색과정이 없이도 여러가지 색을 쉽게 파스텔 가루를 뿌리는 것만으로 채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스텔은 원색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원색에다 여러 가지 색상을 혼합할수 있기 때문에 은은한 색이 나오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자연스러운 색이 나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파스텔 산포공정(S200-3)은 도 4와 같이 파스텔의 색이 점층적으로 변하도록 뿌려주는 그라데이션 기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라데이션 기법은 전술하였듯이 점층적으로 색을 변화시키는 기법이다.
그라데이션 기법을 일반 유화물감으로 할 경우에는 각각의 중간색들을 혼합하여 주어야 하고, 액체는 색상이 섞이기 때문에 원하는 그라데이션을 연출하기가 어려우며 일반 유화 물감에는 오일 성분이 있기 때문에 잘 굳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하지만, 파스텔을 사용할 경우에는 별도의 색을 뿌려주는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색의 변화를 표현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색상을 한번에 표현할 수도 있다.
본 공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파스텔을 산포하여 파스텔층을 접착층의 상부에 형성하여 준다. 파스텔층(25)이 형성된 것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와 도 5(b)와 같이 얇은 파스텔층(25)이 접착층(20)의 상부에서 접착층(20)에 접착되어 고르게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파스텔 산포공정(S200-3)에 의해 파스텔층(25)이 적층되면 파스텔층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2차 건조공정(S200-4)을 행하여 준다.
상기 2차 건조공정(S200-4)은 상기 접착층(20)과 파스텔층(25)이 혼합되어 예쁘게 구워질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접착층의 접착력이 여전히 유지되도록 하여야 장식부재(30)를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기에서 파스텔층이 접착층의 상부에 적층되어 있다고 하여도, 파스텔이 접착층(20)의 모든 표면에 적층되는 것도 아니며, 파스텔층이 접착액에 섞여 접착력을 가지기도 한다.
본 공정은 상기 1차 건조공정(S200-2)에서와 같이 열과 바람을 함께 사용하여 저온인 60-80℃에서 1시간정도 굽는것이 적정하다. 그 이유는 접착층의 접착력을 유지하며 건조시켜야 하기 때문에 저온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2차 건조공정(S200-4)을 하고나면 접착층(20)과 파스텔층(25)의 상부에 장식부재(25)를 부착시키는 장식공정(S300)을 행하게 된다.
상기 장식공정(S300)에서는 준비된 장식부재(30)를 상기의 접착층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장식부재(30)가 접착층(20)과 파스텔층(25)에 안착할 때는 단순히 장식부재(30)를 적절한 위치에 올려놓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이 경우 장식부재가 접착층 등을 변형시키거나 파고들어서 적절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의 장식공정(S300)이 완료된 후에는, 장신구 몸체(10)와 장식부재(30)의 상부에 도 5(a)와 도 5(b)와 같이 코팅제를 사용하여 코팅공정(S400)을 하게된다.
상기 코팅공정(S400)은 다시 세부공정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코팅공정(S400)은 착색된 장신구 몸체(10)와 장식부재(30)상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공정(S400-1)과,
상기 코팅된 장신구를 저온에서 건조하는 3차 건조공정(S400-2)과,
상기 건조된 장신구를 고온에서 재가열하는 4차 건조공정(S400-3)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코팅액 도포공정(S400-1)은 코팅제를 도포시켜 코팅층(40)을 형성하게되고, 상기 코팅층(40)을 통해 파스텔층(25) 및 장식부재(30)가 외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파스텔층(25)과 장식부재(3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장신구 몸체(10)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산화되거나 병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동시에 광택이 있는 코팅제를 사용하여 장신구의 장식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코팅제는 에폭시처럼 투명하여 표면에 도포 되더라도 내부를 항상 볼 수 있어야 하고, 표면강도가 우수하여 외부충격으로부터 장신구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며, 자체적으로 접착력을 보유하여 장신구 몸체(10)로부터 쉽게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또한 경화시 광택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코팅제로 에폭시가 가장 일반적이다.
이러한 코팅제의 도포가 완료되면 코팅제를 경화시키지 위한 3차 건조공정(S400-2)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3차 건조공정(S400-2)은 상기 1차 건조공정(S200-2)과 2차 건조공정(S200-4)에서와 같이 열과 바람을 함께 사용하여 저온인 60-80℃에서 1시간정도 굽는것이 적정하다.
왜냐하면, 코팅제를 도포한 후 바로 고온에서 건조하게 되면, 급격한 코팅제의 경화에 의해 코팅층(40)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변형이 발생할 수 있어 장신구가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저온에서 어느 정도 건조시켜 코팅층(40)의 형태를 고정시켜 줄 필요가 있다.
상기 3차 건조공정(S400-2)을 통해 코팅층(40)을 적절하게 건조시켜 경화시키고 나면, 다시 고온에서 재가열 해주는 4차 건조공정(S400-3)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4차 건조공정(S400-3)은 상기에서와 같이 어느 정도 경화된 코팅층(40)을 완전히 경화시켜 튼튼하게 코팅을 하기 위한 공정으로, 전기로에서 120-130℃ 로 약 1시간 정도 가열하게 된다.
이 경우, 본 출원인의 실제 제작시의 경험에 의하면, 건조온도가 120℃ 이하에 해당하면 에폭시의 경화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길어서 제작의 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건조온도가 130℃가 넘게 되면, 코팅층(40) 또는 장신구 몸체(10)에 변형이나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코팅층(40)이 완전히 경화되어 코팅이 완료되고 난 후에는 휠이나 연마기등을 사용하여 장신구의 표면을 다듬거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고 광택을 내면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의 모든 작업공정에는 주변의 청결이 아주 중요하다. 작업공정 중에 먼지나 오물이 들어가면 원하는 색상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작업대 주변에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장신구 장식방법에 의해 제작된 장신구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장신구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의 공정에 의해 장신구 몸체(10)에 접착층(20)을 형성하고 접착층 상에 파스텔을 뿌려 파스텔층(25)을 형성하여 착색하거나 파스텔과 에폭시를 혼합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장식방법에서 설명하였듯이, 장신구 몸체(10)에 도 3(a)와 같이 홈을 형성하여 접착액을 삽입하여 접착층(20)을 형성하거나, 접착액을 반복적으로 얇게 도포하여 적층하는 방법을 통해 접착층(20)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접착층(20)의 상부에 파스텔을 산포하게 되면 파스텔층(25)이 형성된다.
이러한 파스텔층(25)에 의해 장신구는 색의 번짐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자연스럽고 은은한 색이 표현되어 파스텔톤에 의한 장신구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신구는 상기 접착층(20) 상에 뿌려진 파스텔층(25)의 색상이 점층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즉 그라데이션 기법에 의한 장신구가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 유화물감에 의한 것보다, 파스텔에 의한 것이 그라데이션의 표현이 자연스럽고 쉽게 된다.
한편, 상기 파스텔층(25)이 형성되어 착색된 장신구 몸체(10) 상에 도 6에서와 같이 장식부재(30)를 부착한 후, 장신구 몸체(10)와 장식부재(30)를 코팅하게 되면, 본 발명에 의한 장신구는 파스텔층(25)과 장식부재(30)의 대비에 의해 장식효과가 뛰어나게 되며, 장식부재(30)의 표면을 보호하여 손상이나 훼손에 영향을 작게 받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유화물감은 단순히 바탕색이나 접착액으로만 사용하였고 파스텔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색이 다른 물감들 사이에 색이 번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거의 색이 변하지 않고 선명하게 나오도록 하였고 파스텔톤의 색상을 표현하게 된다.
둘째, 그라데이션기법을 사용하더라도, 파스텔을 뿌려서 색을 표현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색의 파스텔을 뿌리는 농도를 조절하여 쉽게 중간색을 만들수 있다. 따라서, 훨씬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을 표현할 수 있다.
셋째, 파스텔을 사용하여 원하는 색을 적절한 농도로만 뿌려주면 원하는 색을 얻기 쉽고, 또한, 파스텔 특유의 은은하고 자연스러운 분위기에 의해 장식적인 효과가 높게 된다.

Claims (10)

  1. 장신구 몸체(10) 및 장식부재(30)를 준비하는 장신구 몸체 및 장식부재 준비공정(S100)과,
    준비된 장신구 몸체(10)에 접착액과 파스텔을 사용하여 착색하는 착색공정(S200)과,
    상기 착색된 장신구 몸체(10)에 장식부재(30)를 부착하는 장식공정(S300)과,
    상기 착색된 장신구 몸체(10)와 장식부재(30) 상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공정(S40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공정(S200)은 장신구 몸체(10)에 접착액을 도포하여 접착층(20)을 형성시키는 접착액 도포공정(S200-1)과,
    도포된 접착층(20)을 흐르지 않게 하는 1차 건조공정(S200-2)과,
    1차 도포된 접착층(20) 상에 파스텔 가루를 뿌려 파스텔층(25)을 형성하는 파스텔 산포공정(S200-3)과,
    상기 접착층과 파스텔층을 구워주는 2차 건조공정(S00-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 도포공정(S200-1)은 장신구 몸체(10)에 홈(15)을 형성한 후, 상기 홈(15)에 접착액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액 도포공정(S200-1)은 장신구 몸체(10)에 접착액을 복수회에 걸쳐 적층시켜 다수의 접착층(2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텔 산포공정(S200-3)은 파스텔의 색이 점층적으로 변하도록 뿌려주는 그라데이션 기법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공정(S400)은 착색된 장신구 몸체(10)와 장식부재(30)상에 코팅액을 도포하는 코팅액 도포공정(S400-1)과,
    상기 코팅된 장신구를 저온에서 건조하는 3차 건조공정(S400-2)과,
    상기 건조된 장신구를 고온에서 재가열하는 4차 건조공정(S400-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7. 제 1항, 제 2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공정(S200-2), 2차 건조공정(S200-4), 3차 건조공정(S400-2)은 60-80℃에서 1시간 정도 가열하고,
    상기 4차 건조공정(S400-3)은 120-130℃에서 1시간 정도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8. 장신구 몸체(10)에 접착층(20)을 형성하고 접착층 상에 파스텔을 뿌려 파스텔층(25)을 형성하여 파스텔톤으로 착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20) 상에 뿌려진 파스텔층(25)의 색상이 점층적으로 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10. 제 8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텔층(25)이 형성되어 착색된 장신구 몸체(10) 상에 장식부재(30)를 부착한 후,
    장신구 몸체(10)와 장식부재(30)를 코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KR1020060065844A 2006-07-13 2006-07-13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KR200800067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44A KR20080006738A (ko) 2006-07-13 2006-07-13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844A KR20080006738A (ko) 2006-07-13 2006-07-13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738A true KR20080006738A (ko) 2008-01-17

Family

ID=39220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844A KR20080006738A (ko) 2006-07-13 2006-07-13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67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83B1 (ko) * 2009-02-24 2013-02-26 송영권 책상 및 책상용 시트와 그 도색 방법
KR20170121629A (ko) 2016-04-25 2017-11-02 이수진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383B1 (ko) * 2009-02-24 2013-02-26 송영권 책상 및 책상용 시트와 그 도색 방법
KR20170121629A (ko) 2016-04-25 2017-11-02 이수진 결을 갖는 박막 부재를 이용한 장식 구조물의 장식방법 및 그 장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7830B1 (ko) 자개 장식물 제조방법 및 그 구조
US6228427B1 (en) Production process for 3-D images
KR100953450B1 (ko) 장식용 스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시트지
KR20080006738A (ko) 파스텔을 이용한 장신구 장식방법 및 장신구
CN104816514A (zh) 仿水貂绒粘贴画及其制作方法
KR20220096668A (ko) 옻칠 도막을 활용한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87729A (ja) 割れ目模様の被膜の作製方法
KR20090007847A (ko) 가구의 도색방법
KR101215374B1 (ko) 귀금속을 이용한 손톱용 악세사리 및 제조방법
KR100479193B1 (ko) 자개 및 칠기면의 채색 방법
KR200420642Y1 (ko) 자개 장식물
KR101369912B1 (ko) 색채 장식품 및 그 제조 방법
JP3113219U (ja) 装飾ペンダント及びペンダント用基台
CN105346326B (zh) 装饰玻璃及其制造方法
KR101745182B1 (ko) 마지를 이용한 공예품 제조방법
JP2004194683A (ja) 箸の製造方法
JP7351058B2 (ja) 室温ナノインプリンティングを応用した表面微細構造漆フィルムの生成および表面微細構造漆フィルムを使用した漆製品の製造方法
KR100710243B1 (ko) 천연무늬목을 가지는 가구용 소재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20110047885A (ko) 착색 판유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5738B1 (ko) 장식부 내측에 외측으로 투시되는 문양이 형성된 장신구 제조 방법
CN100418794C (zh) 镶嵌邮品的瓷盘、瓷盒、瓷板及其制作方法
CN2244489Y (zh) 金丝镶嵌珠宝玉石砂画
KR100468390B1 (ko) 자개 및 칠기면의 채색 방법
KR20020043114A (ko) 자개 문양 및 칠 문양을 넣은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60109674A (ko) 무광 칠보장식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