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018A -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9018A
KR20100019018A KR1020080077830A KR20080077830A KR20100019018A KR 20100019018 A KR20100019018 A KR 20100019018A KR 1020080077830 A KR1020080077830 A KR 1020080077830A KR 20080077830 A KR20080077830 A KR 20080077830A KR 20100019018 A KR20100019018 A KR 201000190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ism layer
prism
forming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경
윤미선
정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8007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9018A/ko
Publication of KR20100019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901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필름과 프리즘층간의 접착력, 높은 경도, 액상 및 낮은 점도로 가공의 용이성 등의 기존의 물성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 자외선으로 인한 황변에 강하며, 장시간동안 사용하여도 밝고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있는 프리즘 시트에 관한 것이다.
프리즘 시트, 색좌표, 백라이트 장치

Description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Compositions for prism sheet, prism film, and backlight device}
본 발명은 황색도를 개선한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액정디스플레이의 후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유닛의 휘도향상을 위해 여러가지 시도가 있어왔으며, 그중에서 가장 효율적이면서도 기본적인 방법으로 기재필름위에 고굴절률을 가지는 수지층을 프리즘 형상으로 인각하여 만든 프리즘 시트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 프리즘 시트는 빛의 굴절을 극대화 시켜 액정디스플레이에서 정면휘도를 증가시키는 필름이다. 수지의 굴절률이 높아질수록 프리즘 시트의 성능이 향상되는, 높은 굴절률을 가진 프리즘 시트가 LCD 백라이트의 효율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되는 예는 일본 특허출원공개 평5-127159등이 있으며, 높은 굴절률을 가져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0007552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즘층은 자유라디칼에 의해 중합이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사용된다. 높은 휘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으로 고굴절률을 가지는 수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지의 대표적인 예로는 방향족을 한 개 이상을 포함하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플루오르 이외의 할로겐족 원소가 포함된 (메타)아클릴레이트) 또는 황을 함유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향족 분자를 포함하고 있는 수지의 경우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에 황변을 일으킬 소지를 가지고 있다. LCD BLU의 광원으로 사용되는 CCFL(냉음극형광램프)는 자외선을 일부 방출하므로, CCFL에 개수가 많아질수록 그리고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고굴절 수지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양은 증가하게 되며, 방향족 분자들을 포함하고 있는 이 고굴절 수지는 발색단이 생성되며 황변을 만들게 되고 이러한 황변으로 인해 프리즘 성능 및 LCD BLU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프리즘층 형성용 고굴절 조성물은 자외선에 대한 황변방지 수단이 필요로 하며 이와 동시에 자체의 색좌표 마진을 크게 가져갈수 있도록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의 경화후의 색좌표도 최대한 낮게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특정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등이 포함된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여,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프리즘 시트가 기재필름과 프리즘층간의 접착력, 높은 경도, 액상 및 낮은 점도로 가공의 용이성 등의 기존의 물성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 자외선으로 인한 황변에 강하며, 장시간동안 사용하여도 밝고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본 발명은 조성물의 경화 후 Yxy 색좌표계 기준으로 한 y값이 0.330이하인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구현예에서, QUV 테스터기에 광량 0.3mW/㎠으로 144시간 노출 후 황색도 변화량 Δy가 0.015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플로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 및 이와 공중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량체[A-2]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A], 광개시제[B] 및 첨가제[C]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56976667-PAT00001
(상기 식에서, X1 및 X2는 서로 독립하여 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Y1 및 Y2는 서로 독립하여 H, O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Z1 및 Z2는 서로 독립하여 H, O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하여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50~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공중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량체[A-2]는 하기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1)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
(2) 방향족기 또는 컨쥬게이션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단량체[A-2-2],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는 굴절율이 상 온에서 1.50 이상이며, 점도가 2000cps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방향족기 또는 컨쥬게이션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단량체[A-2-2]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현예에서, 상기 첨가제[C]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투명기재 및 투명기재의 상부에 패턴화되어 형성된 프리즘층을 구비한 프리즘 시트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층은 상기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리즘 시트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특정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 등이 포함된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여, 상기 조성물로 제조된 프리즘 시트가 기재필름과 프리즘층간의 접착력, 높은 경도, 액상 및 낮은 점도로 가공의 용이성 등의 기존의 물성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 자외선으로 인한 황변에 강하며, 장시간동안 사용하여도 밝고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구체적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이므로 비록 단정적, 한정적 표현이 있더라도 특허청구범위로부터 정해지는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황색도를 개선할 수 있는 자외선 경화형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서, 프리즘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황색도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열 또는 UV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Δy가 0.015값 이하로 유지되어 황변에 강하고 밝고 균일한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보통 백색광에 대한 기준 색좌표가 (0.32, 0.32)로서 황색도를 나타내는 y값이 0.32이며, 현재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광원들로부터 발산된 백색광의 색좌표의 평균값은 (0.315,0.325)로서 황색도를 나타내는 y값이 0.325의 값을 갖는다. 휘도의 저하를 야기시키지 않도록 프리즘 시트의 황색도가 낮을수록 휘도향상에 유리하며, 또한 열 또는 UV에 노출되어도 황변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은 프리즘 시트를 제조하였을 경우 Yxy 색좌표계 기준으로 한 y값이 0.330이하인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QUV 테스터기에 광량 0.3mW/㎠으로 144시간 노출 후 황색도 변화량 Δy가 0.015이하인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로써 백색광원의 색좌표의 변화가 최소화 될 수 있으므로, 화면의 색감의 왜곡 현상을 낮추어줄 수 있다.
상기의 황색도를 만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현예에 따른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플로오렌 유도체 다이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 단독 또는 이와 공중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량체[A-2]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A], 광개시제[B], 및 첨가제[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56976667-PAT00002
(상기 식에서, X1 및 X2는 서로 독립하여 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Y1 및 Y2는 서로 독립하여 H, O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Z1 및 Z2는 서로 독립하여 H, O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하여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플루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류 단량체는 대 체로 굴절률이 1.55~1.65의 고굴절 물질로서 경화후 프리즘층의 고굴절률을 유지시켜, 고휘도를 나타나게 한다.
상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50~8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플로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와 공중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량체[A-2]로는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 방향족기와 컨쥬게이션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단량체[A-2-2] 등을 들 수 있다.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는 다관능기를 가짐으로서 조성물의 경화시 가교역할을 하여 유리 전이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에 따라 경도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고리를 가져전자가 비편재화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반데르발스힘이나, 분산력에 의한 물리적인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어 좋다. 따라서 플루오렌 유도체 단량체의 경화후의 표면 경도 향상 및 기재필름과의 접착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는 제한되지 않으나 굴절률이 상온에서 1.50 이상이며, 점도가 2000cps이하인 (메타)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으나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를 넘어서 포함할 경우, 비편재화되어 있는 고리를 가지고 있으므로 색좌표 개선에 있어서 불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어서, 20 중량부 이상을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방향족기 또는 컨쥬게이션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단량체[A-2-2]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 유지 및 기재필름으로의 침투효과로 인한 접착력 향상, 그리고 색좌표 향상을 꾀하기 위해 포함된다. 이 방향족기 또는 컨쥬게이션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단량체[A-2-2]는 일종의 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HDDA)로써 자체에 벤젠링이나 conjugation bond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고리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에 비해 색좌표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많다.
방향족기와 컨쥬게이션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단량체[A-2-2]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4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상온에서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4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나친 경도 증가로 크랙을 유발할 수 있으며, 굴절률이 지나치게 낮아져서 고휘도 확보에 저해된다.
상기 광개시제[B]는 제한되지 않으나 포스핀 옥사이드계 및 포메이트계 2종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광 경화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으므로 블로킹 현상이 일어날 수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광개시제가 잔존하여 장시간 방치시 잔존 광개시제의 표면 석출현상 및 황변 현상을 일으켜 색좌표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C]로서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자외선 흡수제는 프리즘의 장시간 사용시, 자외선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황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자외선 흡수제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의 파장 길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옥살릭 아날라이드(oxalic analide)계, 벤조페논(benzophenone)계, 벤토트리아진(bentotriazin)계, 벤조트리아졸레(benzotriazole)계 의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중 1종 이상 사용하면 된다.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중량부 미만일 경우는 자외선 흡수의 효과가 미비하여 황변현상을 방지하기 어렵고, 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는 너무 많은 양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광개시제의 성능을 떨어뜨려 광경화 반응을 일으키는데 방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리즘 시트는 투명기재 및 투명기재의 상부에 패턴화되어 형성된 프리즘층을 구비한 프리즘 시트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층은 전술한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명기재는 프리즘 시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재필름을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제조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휘도향상기능을 갖는 입체 구조물이 인각된 프레임에 코팅하고, PET 등의 투명 기재필름의 한면에 상기 인각프레임에 코팅된 코팅면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레임에 코팅된 조성물을 광경화시키고, 상기 투명기재 필름에 접착되어 경화된 코팅층을 인각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투명기재 필름의 한면에 프리즘층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리즘 시트를 구비한 백라이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장치는 특히 엘시디(LCD) 백라이트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즘 시트는 백라이트 장치의 상면에 위치하여 백라이트유닛의 정면휘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아래의 실시예와 비교예는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일뿐, 본 발명 조성물의 조성이 아래의 실시예로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A-1]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54g, [A-2-1]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2g, [A-2-2]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26g , 광개시제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3g, 자외선흡수제 bis(1,2,2,6,6-pentamethyl-4-piperidyl)sebacate 1g, 2(2′-hydroxy-5-t-octoxybenzotriazole) 4g를 혼합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A-1]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60g, [A-2-1]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6g, [A-2-2]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20g , 광개시제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g, 자외선흡수제 bis(1,2,2,6,6-pentamethyl-4-piperidyl)sebacate 2g를 혼합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5-(phenylsulfanyl)pent-1-en-3-one 35g, Ethoxylated bisphenol A diacrylate (에톡실레이티드 비스페놀 A 다이아크릴레이트) 40g, [A-2-1]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레이트 15g, [A-2-2]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 5g, 광개시제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1.5g, 메 틸벤조일포메이트 1.5g, 자외선흡수제 bis(1,2,2,6,6-pentamethyl-4-piperidyl)sebacate 2g를 혼합하여 60℃에서 1시간 동안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 중 [A-2-2]1,6-헥산디올다이아크릴레이트를 5g 넣음으로 인하여 조성물의 점도가 실시예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위의 실시예의 조성과 같이 한 본 발명의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휘도향상기능을 갖는 입체 구조물이 인각된 프레임에 코팅하고, 투명한 PET기재필름(KOLON, H11F, 188㎛)의 한면에 상기 인각프레임에 코팅된 코팅면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명기재필름쪽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프레임에 코팅된 조성물을 광경화시키고, 상기 투명기재 필름에 접착되어 경화된 코팅층을 인각 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상기 투명기재 필름의 한면에 프리즘층(26~27㎛)이 형성시켰다. 이 때 광경화를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 시스템은 미국 퓨전사의 무전극형 자외선 조사장치(600W/inch)에 Type-D bulb를 장착하여 900mJ/㎠을 조사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대한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조성물의 굴절률 평가
조성물의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하여 굴절계(모델명 : 4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광원은 589.3nm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하였다.
(2) 조성물 경화후의 굴절률 평가
조성물의 경화 후의 굴절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PET 필름 상단부에 조성물을 코팅한 후, 표면위에 표면이 매끈한 금속판을 겹쳐 두께가 20㎛이 되도록 압력을 가한 후, 미국 퓨전사의 무전극형 자외선 조사 장치(600W/inch)에 Type-D bulb를 장착하여 700mJ/㎠의 에너지를 PET필름 방향에서 조사하고, 금속판을 분리하고, 조성물이 경화된 PET 필름을 굴절계(모델명 : 4T, 일본 ATAGO ABB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한 광원은 589.3nm의 D광선 나트륨램프를 이용하였다.
(3) 접착력 평가
투명 PET기재 필름위에 프리증층을 형성한 후, 프리즘층만을 1㎝×1㎝ 영역내에서 10×10의 영역으로 절개시킨 후, 그 위에 테이프를 접착하고 수직으로 강하게 이형하였을 때 PET기재 필름위에 남아있는 영역의 개수를 표시하였다.
(4) 유연성 평가
투명 PET기재 필름위에 프리즘층을 형성한 후, 프리즘층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되게 하여 절반을 접었을 때, 투명 PET기재 필름과 코팅물과의 접착 상태를 육안으로 판별하였다.
◎ : 투명 PET기재 필름과 코팅물 모두 매우 유연하여 기재필름과 코팅물이 전혀 분리되지 않았음.
○ : 투명 PET기재 필름과 코팅물 모두 양호한 정도로 유연하여 기재필름과 코팅물이 분리되지 않았음.
(5) 황색도 측정
투명 PET기재 필름위에 프리즘층을 형성한 후, 10cm×10cm 크기의 샘플을 색좌표 측정용 표준 백색 플레이트에 고정시키고 색차계 (모델명: CR-300, 일본 Minolta사)를 사용하여 임의의 5지점의 색좌표를 측정하여 평균으로 하며 y값을 기재하였다. 색좌표 체계는 국제 표준규격인 Yxy로 하였다.
아울러 광원 노출 후의 황색도는 QUV 테스터기(신성계측기社, SSA-Q)에 광량 0.3mW/㎠으로 144시간 노출시킨 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황색도를 측정하였다.
(6) 휘도(Cd/㎡)
17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모델명:LM170E01, 대한민국 희성전자)에 상기 제작된 프리즘 시트를 고정시키고, 휘도계(모델명:BM-7, 일본 Topcon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 : 휘도가 2500 cd/㎡ 이상인 경우
× : 휘도가 2500 cd/㎡ 미만인 경우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 및 프리즘 시트를 상술한 평가방법에 따라서 평가된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평가항목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조성물의 굴절률 1.5738 1.5769 1.5748
조성물 경화후 굴절률 1.5931 1.5991 1.6002
접착력 100/100 100/100 99/100
유연성
황색도 0.324 0.326 0.332
광원 노출 후 황색도 0.335 0.337 0.349
휘도(cd/㎡)
상기 물성평가결과, 본 발명의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을 사용한 프리즘 필름은 기존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황색도가 낮으며, 장시간 광원에 노출 후에도 황색도가 낮은 상태로 유지되어 황변에 강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로써 화면의 색감의 왜곡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조성물의 경화 후 Yxy 색좌표계 기준으로 한 y값이 0.330이하인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QUV 테스터기에 광량 0.3mW/㎠으로 144시간 노출 후 황색도 변화량 Δy가 0.015 이하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플로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 및 이와 공중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량체[A-2]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A]; 광개시제[B]; 및 첨가제[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56976667-PAT00003
    (상기 식에서, X1 및 X2는 서로 독립하여 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Y1 및 Y2는 서로 독립하여 H, O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Z1 및 Z2는 서로 독립하여 H, OH, 또는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a 및 b는 서로 독립하여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낸다.)
  4. 제 3 항에 있어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플로오렌 유도체 디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는 전체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서 50~8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공중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량체[A-2]는 하기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1)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
    (2) 방향족기 또는 컨쥬게이션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단량체[A-2-2],
  6. 제 5 항에 있어서,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는 굴절율이 상온에서 1.50 이상이며, 점도가 2000cp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7. 제 5 항에 있어서,
    다관능 (메타)아크릴계 단량체[A-2-1]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로 포함되고, 방향족기 또는 컨쥬게이션된 이중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단량체[A-2-2]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4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8. 제 3 항에 있어서,
    첨가제[C]는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9. 투명기재 및 투명기재의 상부에 패턴화되어 형성된 프리즘층을 구비한 프리즘 시트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층은 제1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이 경화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즘 시트.
  10. 제 9 항의 프리즘 시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1020080077830A 2008-08-08 2008-08-08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KR201000190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830A KR20100019018A (ko) 2008-08-08 2008-08-08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830A KR20100019018A (ko) 2008-08-08 2008-08-08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9018A true KR20100019018A (ko) 2010-02-18

Family

ID=4208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830A KR20100019018A (ko) 2008-08-08 2008-08-08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90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4824B1 (ko)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프리즘 필름
TWI488910B (zh) 光硬化性樹脂組成物、使用其的光學膜的製造方法及含有其的光學膜
US7868109B2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JP4920513B2 (ja) 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02140B1 (ko) 중합반응형 광조성물, 광시트 및 광시트의 제조방법
KR20140130040A (ko) 수지 적층체
KR20080063139A (ko) 액정 표시 소자용 밀봉제 및 액정 표시 소자
KR101118633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제조 방법
KR101435139B1 (ko) 도광판 무늬형용 활성에너지선경화형 수지 조성물
KR20130066306A (ko)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광학 필름
CN102884126A (zh) 一体化光硬化性组成物、光扩散膜及棱镜膜的用于背光源的复合光学薄膜及其制造方法
KR20130042393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KR101246684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19018A (ko) 프리즘층 형성용 조성물,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리즘 시트 및 백라이트 장치
KR20190016429A (ko) 광학 부재, 편광 부재 및 표시 장치
KR20160002274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 시트
KR101469257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 그 제조 방법
TW201821555A (zh) 噴墨印墨組成物
EP3626762A2 (en) Optical transparent resin and electronic element formed using same
KR20120131419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90853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 포함하는 광학시트
KR20130026035A (ko) 광경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프리즘 시트
KR101599063B1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포함하는 광학시트
JP2022032186A (ja) 光硬化性組成物、硬化物、及びレンズ
KR20100001383A (ko) 광중합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수지 경화층을포함하는 광학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02

Effective date: 20160127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053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202

Effective date: 2016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