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893A -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893A
KR20100015893A KR1020097022302A KR20097022302A KR20100015893A KR 20100015893 A KR20100015893 A KR 20100015893A KR 1020097022302 A KR1020097022302 A KR 1020097022302A KR 20097022302 A KR20097022302 A KR 20097022302A KR 20100015893 A KR20100015893 A KR 20100015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substrate
layer
tufting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825B1 (ko
Inventor
안네마리케 말타
마르셀리누스 코르넬리우스 헨리쿠스 니우벤후이젠
에드제 잔 비스체르
Original Assignee
콜본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본드 비.브이. filed Critical 콜본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00015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05C17/023Tuft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base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04H1/5412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9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1/00Non-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7/00Flexible sheet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xtile threads, filaments, yarns or tow, glued on macromolecular material
    • D06N7/0063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 D06N7/0068Floor covering on textile basis comprising a fibrous top layer being coated at the back with at least one polymer layer, e.g. carpets, rugs, synthetic turf characterised by the primary backing or the fibrous top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16Bicomponent or multicomponent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or yarns
    • D06N2201/10Conjugate fibres, e.g. core-sheath, side-by-si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2209/00Properties of the materials
    • D06N2209/08Properties of the materials having optical properties
    • D06N2209/0807Colou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79Particular backing structure or com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472Woven fabric including an additional woven fabric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707Woven fabric including a nonwoven fabric layer other than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은 (a)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 및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를 포함하는 기재를 지지하는 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색상은 상기 제 2 색상과 다르며, 상기 제 1 사이드는 앞면이고 상기 제 2 사이드는 뒷면인 단계, (b) 상기 롤에서 기재를 풀어내는 단계, (c) 상기 기재를 터프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를 이 기재를 지지하는 롤과 터프팅 장치 사이의 위치에서 절단하는 단계, (e) 상기 기재를 지지하는 롤을 180°회전시키는 단계, (f) 상기 롤에서 기재를 상기 제 1 풀림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풀림 방향으로 풀어내고 상기 기재를 터프팅 장치 내로 안내하는 단계, 및 (g) 상기 기재를 터프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색상과 다른 제 2 색상을 갖는 제 1 직포 또는 부직포 층을 포함하는 터프티드 카펫 또는 필터용 기재도 제공된다.
기재, 롤, 색상, 직포, 부직포, 2성분 섬유, 코어, 쉬쓰

Description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PROCESS TO MANUFACTURE TUFTED BACKING MATERIALS}
본 발명은 터프티드 기재(tufted backing material)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프티드 기재의 제조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롤 상에 기재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재를 롤에서 풀어내는(unwinding) 단계, 및 상기 기재에 터프팅(tufting)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로, 특정 색상의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기재의 색상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경우, 더 이상 요망되지 않는 색상을 갖는 기재를 지지하고 있는 롤은 터프팅 플랜트로부터 분리되어 창고로 이송되어야 하고, 이제 요망되는 색상을 갖는 기재를 지지하는 다른 롤이 창고로부터 터프팅 플랜트로 이송되어 터프팅 플랜트에 통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재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은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과정임을 나타내며, 이는 물론 터프터(tufter)의 장점을 감소시킨다.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카펫 산업에서는 하나의 카펫 스타일 내에서 상당한 색상 범위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라는 것이다. 이 범위는 다양한 색상을 갖는 기재 에 대해 카펫에 소정의 배경을 제공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터프터에 있어서 이 것은 이용가능한 다양한 색상으로부터의 롤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재고품 전체와 일반적으로 원료의 재고 레벨을 증가시킴을 의미한다.
따라서, 터프티드 기재를 다양한 색상의 기재로 제조하는데 있어서, 덜 노동 집약적이고, 덜 시간 소모적이며 원료 재고 비용을 감소시키는 공정을 제공하는 것에 대해 상당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a)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 및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를 포함하는 기재를 지지하는 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색상은 상기 제 2 색상과 다르며, 상기 제 1 사이드는 앞면(front side)이고 상기 제 2 사이드는 뒷면(rear side)인 단계,
(b) 상기 롤에서 기재를 제 1 풀림 방향으로 풀어내고 상기 기재를 터프팅 수단이 구비된 터프팅 장치 내로 안내하여,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가 상기 터프팅 장치의 터프팅 수단과 대면하게 하는 단계,
(c)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는 터프트(tuft)가 제공되는 터프티드 기재의 소정 양이 제조될 때까지 상기 기재를 터프팅 장치의 터프팅 수단으로 터프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를 지지하는 롤과 터프팅 장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기재를 절단하는 단계,
(e)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가 뒷면이고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가 앞면이도록 상기 기재를 지지하는 롤을 180°회전시키는 단계,
(f) 상기 롤에서 기재를 상기 제 1 풀림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풀림 방향으로 풀어내고 상기 기재를 터프팅 수단이 구비된 터프팅 장치 내로 안내하여,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가 상기 터프팅 장치의 터프팅 수단과 대면하게 하는 단계, 및
(g)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는 터프트가 제공되는 터프티드 기재의 소정 양이 제조될 때까지 상기 기재를 터프팅 장치의 터프팅 수단으로 터프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충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개량된 기재를 지지하는 롤을 제공하고, 상기 롤을 180°회전시키며, 롤의 풀림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방법을 대체한다.
종래 기술의 방법과 비교하면 상기 대체는 기저 색상의 변경을 가속시키고 단순화하여 터프티드 기재 제조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추가로 상기 대체는 사실상 터프팅되어야 하는 기재의 사이드가 명확히 색상으로 식별되므로 상기 사이드가 터프팅되는 것을 보장해준다. 이는 터프팅 방법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고 소망 사이드에서 터프팅되는 기재의 제조를 보장해준다. 상기 대체는 소망하는 터프팅 사이드에 손실될 수도 있는 라벨을 제공할 필요가 없게 만든다.
최종적으로, 상기 대체는 창고에 보관되어야 하는 기재의 롤의 개수를 절반으로 줄여준다. 이는 가정용 직물용 또는 장식용 또는 자동차, 기차 및 항공기 내의 직물용 또는 인조잔디 구장이나 운동장과 같은 실외 용도용의 터프팅되고 경우에 따라 몰딩된 카펫을 제조하기에 적합한 터프티드 기재를 제조하는 공장의 창고의 물류를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a)에서 제공되는 기재는 터프팅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일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기재가 앞면에서 제 1 색상을 나타내고 뒷면에서 제 2 색상을 나타낼 경우 적어도 한 층의 직포이거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층의 부직포 또는 적어도 한 층의 직포와 적어도 한 층의 부직포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는 부직포 층이 예를 들어 제 1 색상을 나타내고 직포 층이 예를 들어 제 2 색상을 나타낼 경우 한 층의 부직포에 인접하여 한 층의 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했듯이,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a)에서 제공되는 기재는 적어도 한 층의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도된 사용의 조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a)에서 제공되는 기재는 두 층, 세 층 또는 그 이상의 층의 부직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a)에서 제공되는 기재는, 그 앞면에서 제 1 색상을 나타내고 그 뒷면에서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한 층의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는 예를 들어, 먼저 예를 들어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웨브 층을 트월링(twirling)시키고 이후 제 2 웨브 층이 이어서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웨브 층을 상기 제 1 웨브 층 상에 트월링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 (c)와 (g)에서의 기재의 터프팅은 임의의 적절한 터프팅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한 터프팅 재료는 폴리아미드(P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트산(PLA), 울 및 면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터프팅 재료의 색상은 기재의 제 1 및 제 2 색상 각각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터프티드 기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의 기술적 유연성을 더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단계 (a)에서 제공되는 기재에 포함되는 적어도 한 층의 (부)직포는 섬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범위 내에서, "섬유"라는 용어는 스펀본드(spun bond) 또는 멜트블로운(melt blown)될 수 있거나 또는 원래 공지되어 있는 다른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형, 트리 또는 멀티로벌(tri- or multilobal) 형상 또는 폭과 높이를 나타내는 장방형 형상과 같은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단섬유 또는 다섬유(mono- or multifilaments)를 포함하는 그 최광의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클 수 있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섬유는 테이프이다. 상기 섬유는 예를 들어 기재에 적합한 길이의 스테이플 섬유를 형성하도록 절단 또는 리핑(ripping)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는 단일성분 섬유이거나 다성분(multicomponent) 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성분 섬유"라는 용어는 2성분 섬유 또는 3성분 섬유 또는 3성분 이상의 섬유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부직포는 임의의 공지된 구조의 2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2성분 섬유의 두 성분은 예를 들어 나란히 배열되거나 또는 하나의 성분이 다른 성분의 바다에 섬을 형성하는 식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성분 섬유는 코어/쉬쓰(core/sheath) 섬유이며, 상기 코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이미드(PEI), 폴리락트산(PLA), 및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성분 섬유는 코어/쉬쓰 섬유이며, 상기 쉬쓰는 폴리아미드(P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락트산(PLA),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2성분 섬유의 코어에 포함되는 폴리머는 2성분 섬유의 쉬쓰에 포함되는 폴리머의 용융 온도보다 높은 용융 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용융 온도의 차이는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2성분 섬유는 바람직하게 250℃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코어 및 바람직하게 220℃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아미드의 쉬쓰 또는 바람직하게 160℃의 용융 온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쉬쓰를 포함하는 코어/쉬쓰 섬유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색상의 여러 조합에 의해 터프티드 기재의 간단하고도 가속화된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이는 제 1 색상이 육안으로 제 2 색상과 식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색상은 흑색이고 제 2 색상은 회색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색상은 백색이고 제 2 색상은 회색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색상은 흑색이고 제 2 색상은 백색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기재로서,
제 1 사이드와 제 2 사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사이드는 앞면이고,
- 단면을 갖는 제 1 단일성분 섬유 또는
- 단면을 갖는 제 1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은 제 1 색상을 갖는 제 1 직포 또는 부직포 층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사이드는 뒷면이고,
- 단면을 갖는 제 2 단일성분 섬유 또는
- 단면을 갖는 제 1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은 상기 제 1 색상과 다른 제 2 색상을 갖는 제 2 직포 또는 부직포 층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과 합체되며,
(i) 상기 제 1 색상은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안료 또는 염료에서 유래하고,
(iα)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1 색상은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며,
(iβ) 상기 제 1 다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1 색상은 적어도 상기 제 1 다성분 섬유의 상기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며,
(ⅱ) 상기 제 2 색상은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안료 또는 염료에서 유래하고,
(iχ)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2 색상은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며,
(iδ) 상기 제 2 다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2 색상은 적어도 상기 제 2 다성분 섬유의 상기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는 기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섬유"라는 용어는 스펀본드 또는 멜트블로운될 수 있거나 또는 원래 공지되어 있는 다른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형, 트리 또는 멀티로벌 형상 또는 폭과 높이를 나타내는 장방형 형상과 같은 임의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단섬유 또는 다섬유를 포함하는 그 최광의의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기 폭은 높이보다 상당히 클 수 있고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섬유는 테이프이다. 상기 섬유는 예를 들어 기재에 적합한 길이의 스테이플 섬유를 형성하도록 절단 또는 리핑에 의해 분쇄될 수 있다.
실시예 (iα)에서, 본 발명의 기재는 제 1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1 색상은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된다. 본 발명의 기재의 범위 내에서, 이는 제 1 색상 및 그로인해 제 1 색상의 원료인 안료 입자나 염료 분자가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됨을 의미한다. 이는 안료 입자나 염료 분자가 상기 단일성분 섬유의 표면에만 존재하는 실시예를 분명히 배제시킨다.
그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는 제 1 색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재의 실시예 (iα)에 속하는 제 1 단일성분 섬유는 공지된 스펀-염색(spun-dyeing)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가 제 1 폴리머의 용액(solution)으로 또는 용해물(melt)로 제조되면, 제 1 안료 또는 염료가 상기 제 1 폴리머 용액 또는 용해물과 혼합되고 그 결과적인 혼합물은 멜트-스펀 또는 솔루션-스펀되어 제 1 색상을 갖는 스펀-염색된 제 1 단일성분 섬유가 산출되며, 제 1 폴리머가 제 1 안료 또는 염료와 혼합된 결과인 상기 색상은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된다.
실시예 (iχ)에서, 본 발명의 기재는 제 2 단일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2 색상은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된다. 본 발명의 기재의 범위 내에서, 이는 제 2 색상 및 그로인해 제 2 색상의 원료인 안료 입자나 염료 분자가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됨을 의미한다. 이는 안료 입자나 염료 분자가 상기 단일성분 섬유의 표면에만 존재하는 실시예를 분명히 배제시킨다.
그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는 제 2 색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재의 실시예 (iχ)에 속하는 제 2 단일성분 섬유는 공지된 스펀-염색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가 상기 제 1 폴리머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제 2 폴리머의 용액으로 또는 용해물로 제조되면, 제 2 안료 또 는 염료가 상기 제 2 폴리머 용액 또는 용해물과 혼합되고 그 결과적인 혼합물은 멜트-스펀 또는 솔루션-스펀되어 제 2 색상을 갖는 스펀-염색된 제 2 단일성분 섬유가 산출되며, 제 2 폴리머가 제 2 안료 또는 염료와 혼합된 결과인 상기 색상은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된다.
실시예 (iβ)에서, 본 발명의 기재는 제 1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다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1 색상은 적어도 상기 제 1 다성분 섬유의 상기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된다. 본 발명의 기재의 범위 내에서, 이는 제 1 색상 및 그로인해 제 1 색상의 원료인 안료 입자나 염료 분자가 적어도 상기 제 1 다성분 섬유의 상기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됨을 의미한다. 이는 안료 입자나 염료 분자가 상기 다성분 섬유의 상기 제 1 성분의 표면에만 존재하는 실시예를 분명히 배제시킨다.
그러나, 실시예 (iβ)는 제 1 색상이 제 1 다성분 섬유의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만 걸쳐서 분포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추가로, 실시예 (iβ)는 제 1 색상이 제 1 다성분 섬유의
- 제 2 성분 또는
- 제 3 성분 또는
- 임의의 더 높은 성분의
전체 단면에만 걸쳐서 분포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실시예 (iβ)는 제 1 색상이 제 1 다성분 섬유의
- 임의의 두 성분 또는
- 임의의 세 성분 또는
- 모든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적어도 그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는 제 1 색상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기재의 실시예 (iβ)에 속하는 제 1 다성분 섬유는, 제 1 색상을 갖는 단일성분 섬유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그러나 제조될 다성분 섬유의 성분 개수와 동일한 수의 폴리머 용해물 또는 용액이 준비되어야 하고 제 1 안료나 염료가 소정 용해물(들) 또는 용액(들)과 혼합되는 차이를 갖고 공지의 스펀-염색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 결과적인 제 1 색상 함유 용해물(들) 또는 용액(들) 및 대응하는 비착색(non-coloured) 용해물(들) 또는 용액(들)은 이후 임의의 공지된 다성분 스피닝 공정을 겪게 되어 제 1 색상을 갖는 스펀-염색된 제 1 다성분 섬유를 산출하며, 소정 용해물(들) 또는 용액(들) 내의 소정 폴리머(들)와 제 1 안료 또는 염료의 혼합의 결과인 상기 색상은 상기 제 1 다성분 섬유의 소정 성분(들)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된다.
실시예 (iδ)에서, 본 발명의 기재는 제 2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다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2 색상은 적어도 상기 제 2 다성분 섬유의 상기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된다. 실시예 (iδ)의 범위에 관해서 및 상기 제 2 다성분 섬유의 제조에 관해서는 실시예(iβ)에 대해 설명한 것과 유사한 것이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 (iβ) 및 (iδ)에서, 본 발명의 기재는 2성분 제 1 및 제 2 섬유를 포함하며, 이들 섬유는 각각 상기 2성분 제 1 및 제 2 섬유의
- 제 1 성분 또는
- 제 2 성분 또는
- 제 1 및 제 2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각각 분포되는 제 1 및 제 2 색상을 갖는다.
상기 2성분 섬유는 임의의 공지된 2성분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 이 구조에서는 2성분 섬유의 제 1 및 제 2 성분이 예를 들어 나란히 배열되거나 제 1 성분이 제 2 성분의 바다에 섬을 형성하거나 또는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성분이 코어를 형성하고 제 2 성분이 코어/쉬쓰 구조의 쉬쓰를 형성하며, 코어와 쉬쓰에 대해 각각 적합한 폴리머 및 용융 온도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설명된 모든 것이 본 발명의 기재의 2성분 제 1 및 제 2 섬유에 각각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러한 2성분 제 1 및 제 2 섬유는, 단일성분 섬유에 대해 전술한 공지의 스펀-염색 방법이지만, 안료나 염료가 실시예 (iβ) 및 (iδ)에 따라 결과적인 2성분 섬유의 특정 성분을 형성하기 위해 지정되는 폴리머의 용해물 또는 용액과 혼합되는 차이를 갖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결과적인 2성분 섬유에서 안료나 염료는 상기 특정 성분(들)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에 도달하기 위해, 제 1 색상을 갖는 섬유는 제 1 층에 배열되고, 제 2 색상을 갖는 섬유는 제 2 층에 배열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층이 임의의 적합한 방법에 의해 합체되어 본 발명의 기재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층이 열가소성 폴리머로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면, 적합한 합체 방법은 열 접합(thermal bonding)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또는 제 2 층 중 하나만 열가소성 폴리머로 제조된 섬유를 포함하거나 어느 것도 이 섬유를 포함하지 않으면, 적합한 방법은 아교접착(gluing), 바느질 또는 스티칭(stitching)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층은 부직포 층이고 제 2 층은 부직포 층이며, 상기 제 1 층은 제 1 스펀-염색된 섬유로 구성되는 제 1 트월링된(twirled) 웨브 층일 수 있고 상기 제 2 층은 제 2 스펀-염색된 섬유로 구성되는 제 2 트월링된 웨브 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트월링된 웨브 층은 상기 제 1 트월링된 웨브 층 상에 트월링되고 따라서 열 접착에 의해 그와 합체된다. 의도한 용도에 따라, 결과적인 부직포/부직포-기재는 그와 같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기재가 둘 이상 제조되어 상호 적층 스테이플 고정됨(stapled)으로써, 결과적인 스테이플 고정된 기재가 그 앞면에 제 1 색상을 갖는 제 1 부직포 층 및 그 뒷면에 제 2 색상을 갖는 제 2 부직포 층을 나타내는 조건부로 스테이플 고정된 기재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층은 부직포 층이고 제 2 층은 직포 층이며, 상기 제 1 층은 제 1 스펀-염색된 섬유로 구성되는 제 1 트월링된 웨브 층일 수 있고 상기 제 2 층은 제 2 스펀-염색된 열가소성 섬유로 구성되는 직포 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트월링된 웨브 층이 상기 제 2 직포 층 상 에 트월링되고 따라서 열 접착에 의해 그와 합체되거나 바느질, 스티칭 또는 아교접착과 같은 다른 공지된 합체 기술에 의해 합체된다. 의도한 용도에 따라, 결과적인 부직포/직포-기재는 그와 같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기재가 둘 이상 제조되어 상호 적층 스테이플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인 스테이플 고정된 기재가 그 앞면에 제 1 색상을 갖는 제 1 부직포 층 및 그 뒷면에 제 2 색상을 갖는 제 2 직포 층을 나타내는 조건부로 스테이플 고정된 기재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층은 직포 층이고 제 2 층은 직포 층이며, 상기 제 1 층은 제 1 스펀-염색된 열가소성 섬유로 구성되는 직포 층일 수 있고 상기 제 2 층은 제 2 스펀-염색된 열가소성 섬유로 구성되는 직포 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제 1 직포 층은 열 접착에 의해 제 2 직포 층과 합체되거나 바느질, 스티칭 또는 아교접착과 같은 다른 공지된 합체 기술에 의해 합체된다. 의도한 용도에 따라, 결과적인 직포/직포-기재는 그와 같이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기재가 둘 이상 제조되어 상호 적층 스테이플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인 스테이플 고정된 기재가 그 앞면에 제 1 색상을 갖는 제 1 직포 층 및 그 뒷면에 제 2 색상을 갖는 제 2 직포 층을 나타내는 조건부로 스테이플 고정된 기재가 얻어진다.
다른 기술적 특징 중에서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 및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색상은 제 2 색상과 다르며 상기 제 1 사이드는 앞면이고 상기 제 2 사이드는 뒷면인 본 발명에 따른 기재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 (a)에서 제공되기에 특히 적합하며, 따라서 다른 색상을 갖는 터 프티드 기재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노동 집약적이고 시간 소모적인 방법을 대체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는 기술적 또는 의학적 용도의 필터를 제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바, 제 1 및 제 2 색상이 어느 쪽이 투과(permeate) 측이 되어야 하고 어느 쪽이 보류(retentate) 측이 되어야 할지를 즉시 결정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는 이하의 용도에서 필터의 최적 기술적 기능을 보장해준다.
- 먼지, 탄소-미립자, 화분(pollen) 또는 가스의 필터링 또는 예를 들 어 항공 연료와 같은 소수성 유체로부터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친수성 유체를 분리하는 것과 같은 기술적 용도, 및
-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필터링과 같은 의학적 용도.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재를 포함하고, 앞면 또는 뒷면으로부터 터프팅 재료로 터프팅되는 터프티드 기재 또한 본 발명의 일부이다. 터프팅 재료로서는 임의의 터프팅 재료가 사용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설명 중에 바람직한 것으로 이미 언급된 터프팅 재료를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프티드 기재는 가정용 직물용 또는 장식용 또는 자동차, 기차 또는 항공기 내의 직물용 또는 인조잔디 구장이나 운동장과 같은 실외 용도용의 터프티드 카펫을 제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프티드 기재는 또한 몰딩된 카펫을 제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으로서,
    (a)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 및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를 포함하는 기재를 지지하는 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색상은 상기 제 2 색상과 다르며, 상기 제 1 사이드는 앞면이고 상기 제 2 사이드는 뒷면인 단계,
    (b) 상기 롤에서 기재를 제 1 풀림 방향으로 풀어내고 상기 기재를 터프팅 수단이 구비된 터프팅 장치 내로 안내하여,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가 상기 터프팅 장치의 터프팅 수단과 대면하게 하는 단계,
    (c)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는 터프트가 제공되는 터프티드 기재의 소정 양이 제조될 때까지 상기 기재를 터프팅 장치의 터프팅 수단으로 터프팅하는 단계,
    (d) 상기 기재를 지지하는 롤과 터프팅 장치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기재를 절단하는 단계,
    (e)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가 뒷면이고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가 앞면이도록 상기 기재를 지지하는 롤을 180°회전시키는 단계,
    (f) 상기 롤에서 기재를 상기 제 1 풀림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풀림 방향으로 풀어내고 상기 기재를 터프팅 수단이 구비된 터프팅 장치 내로 안내하여,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사이드가 상기 터프팅 장치의 터프팅 수단과 대면하게 하는 단계, 및
    (g)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사이드로부터 연장되는 터프트가 제공되는 터프티드 기재의 소정 양이 제조될 때까지 상기 기재를 터프팅 장치의 터프팅 수단으로 터프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적어도 한 층의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2성분 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섬유는 코어/쉬쓰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미드(PA),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이미드(PEI), 폴리락트산(PLA), 및 폴리옥시메틸렌(POM)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쉬쓰는 폴리아미드(P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락트산(PLA),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성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코어 및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쉬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상은 흑색이고 상기 제 2 색상은 회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상은 백색이고 상기 제 2 색상은 회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색상은 흑색이고 상기 제 2 색상은 백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11. 기재로서,
    제 1 사이드와 제 2 사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사이드는 앞면이고,
    - 단면을 갖는 제 1 단일성분 섬유 또는
    - 단면을 갖는 제 1 성분을 포함하는 제 1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은 제 1 색상을 갖는 제 1 직포 또는 부직포 층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사이드는 뒷면이고,
    - 단면을 갖는 제 2 단일성분 섬유 또는
    - 단면을 갖는 제 1 성분을 포함하는 제 2 다성분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섬유들은 상기 제 1 색상과 다른 제 2 색상을 갖는 제 2 직포 또는 부직포 층에 배열되고,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과 합체되며,
    (i) 상기 제 1 색상은 제 1 색상을 나타내는 제 1 안료 또는 염료에서 유래하고,
    (iα)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1 색상은 상기 제 1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며,
    (iβ) 상기 제 1 다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1 색상은 적어도 상기 제 1 다성분 섬유의 상기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며,
    (ⅱ) 상기 제 2 색상은 제 2 색상을 나타내는 제 2 안료 또는 염료에서 유래하고,
    (iχ)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2 색상은 상기 제 2 단일성분 섬유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며,
    (iδ) 상기 제 2 다성분 섬유 내에서 상기 제 2 색상은 적어도 상기 제 2 다성분 섬유의 상기 제 1 성분의 전체 단면에 걸쳐서 분포되는 기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부직포 층이고 상기 제 2 층은 부직포 층인 기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부직포 층이고 상기 제 2 층은 직포 층인 기재.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직포 층이고 상기 제 2 층은 직포 층인 기재.
  15. 기술적 또는 의학적 용도의 필터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재의 용도.
  16.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기재를 포함하는 터프티드 기재로서,
    상기 기재는 앞면으로부터 또는 뒷면으로부터 터프팅 재료로 터프팅되는, 터프티드 기재.
  17. 가정용 직물용 또는 장식용 또는 자동차, 기차 또는 항공기 내의 직물용 또는 인조잔디 구장이나 운동장과 같은 실외 용도용의 터프티드 카펫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6 항에 따른 터프티드 기재의 용도.
  18. 몰딩된 카펫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 16 항에 따른 터프티드 기재의 용도.
KR1020097022302A 2007-04-27 2008-04-19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KR101471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008598.0 2007-04-27
EP20070008598 EP1985737A1 (en) 2007-04-27 2007-04-27 Process to manufacture tufted backing materi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893A true KR20100015893A (ko) 2010-02-12
KR101471825B1 KR101471825B1 (ko) 2014-12-11

Family

ID=3853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302A KR101471825B1 (ko) 2007-04-27 2008-04-19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448589B2 (ko)
EP (2) EP1985737A1 (ko)
JP (1) JP5361863B2 (ko)
KR (1) KR101471825B1 (ko)
CN (1) CN101668889B (ko)
AT (1) ATE493530T1 (ko)
DE (1) DE602008004240D1 (ko)
WO (1) WO2008131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1684B2 (en) 2007-03-14 2012-01-10 Futuris Automotive Interiors (Us), Inc. Low mass acoustically enhanced floor carpet system
KR101558021B1 (ko) 2008-05-29 2015-10-06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복합섬유
US9644314B2 (en) * 2009-12-09 2017-05-09 Low & Bonar B.V. Primary carpet backing
WO2014016172A1 (en) * 2012-07-26 2014-01-30 Bonar B.V. Primary carpet backing and tufted carpet comprising the same
CN105063779B (zh) * 2015-08-04 2019-01-18 无锡金通高纤股份有限公司 一种耐化学性复合单丝及其制备方法
JP6370328B2 (ja) * 2016-04-11 2018-08-08 ユニチカ株式会社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用一次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DK3325703T3 (da) 2016-08-02 2019-10-28 Fitesa Germany Gmbh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ikke-vævede polymælkesyrestoffer
US11441251B2 (en) 2016-08-16 2022-09-13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s comprising polylactic acid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toughness
KR101995797B1 (ko) * 2017-11-21 2019-07-0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KR102362231B1 (ko) * 2018-06-19 2022-02-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카펫 기포지용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30620A (en) * 1952-09-29 1953-03-10 Henry J Rand Coated fabric
US2908013A (en) * 1957-05-09 1959-10-13 Collins & Aikman Corp Coated textil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BE626861A (ko) * 1962-08-20 1900-01-01
NL6403128A (ko) * 1963-10-31 1965-05-03
NO125854B (ko) * 1969-01-15 1972-11-13 Cikalon Vlies
US4211593A (en) * 1977-04-18 1980-07-08 Cikalon Vliesstoffwerk Gmbh Method of making a needled and ornamentally patterned fleece material
US4140071A (en) * 1977-08-09 1979-02-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tufted carpet
DD290385B5 (de) * 1989-12-18 1996-12-19 Saechsisches Textilforsch Inst Gemustertes mehrlagiges Flaechengebilde
US5338340A (en) * 1990-02-10 1994-08-16 D-Mark, Inc. Fil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DK166797B1 (da) * 1990-05-21 1993-07-19 Milliken Denmark Vaskbar vand- og snavsbindende renholdelsesmaatte
JP3564973B2 (ja) * 1997-11-06 2004-09-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カーペット材
US6740386B2 (en) * 2001-05-02 2004-05-25 Burlington Industries, Inc. Tufted covering for floors and/or walls
JP3553913B2 (ja) * 2001-09-27 2004-08-11 山本産業株式会社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
US6866912B2 (en) * 2002-03-13 2005-03-15 Milliken & Company Textile constructions with stabilized primary backings and related methods
US20030175475A1 (en) * 2002-03-13 2003-09-18 Higgins Kenneth B. Textile constructions, components or materials and related methods
JP2004261737A (ja) * 2003-03-03 2004-09-24 Nitto Denko Corp エアフィルタ濾材
US7033661B2 (en) * 2003-06-13 2006-04-25 Mohawk Brands Inc. Covering for floors and/or walls
US20050170726A1 (en) 2003-12-30 2005-08-04 K.B. Aviation, Inc, D/B/A Brunson Associates Multiple layer nonwoven products and methods for creating color schemes and for producing such products
US7132022B2 (en) 2004-03-23 2006-11-07 L&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Bi-layer nonwoven fire resistant batt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290606A (ja) * 2004-03-31 2005-10-20 Unitika Ltd 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
US7695794B2 (en) * 2005-01-27 2010-04-13 Colbond B.V. Tufted nonwoven, bonded nonwoven,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s
EP1705277A1 (de) * 2005-03-22 2006-09-27 Colbond B.V. Vlieslamin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50646B1 (en) 2010-12-29
DE602008004240D1 (de) 2011-02-10
US8448589B2 (en) 2013-05-28
WO2008131883A1 (en) 2008-11-06
EP1985737A1 (en) 2008-10-29
US20100092721A1 (en) 2010-04-15
EP2150646A1 (en) 2010-02-10
CN101668889B (zh) 2012-05-23
KR101471825B1 (ko) 2014-12-11
JP2010526215A (ja) 2010-07-29
ATE493530T1 (de) 2011-01-15
JP5361863B2 (ja) 2013-12-04
CN101668889A (zh)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5893A (ko) 터프티드 기재 제조 방법
EP1846611B1 (en) Tufted nonwoven and bonded nonwoven
US6053719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spun nonwoven fabric
US8512844B2 (en) Bonded and tufted nonwovens II, 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and uses
RU2418894C1 (ru) Иглопробивной нетканый велюр и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
RU2549973C2 (ru) Первичный грунтовой материал для ковра
US20200216979A1 (en) Multi-die melt blowing system for forming co-mingled structures and method thereof
JP2009536269A5 (ko)
DE202015005969U1 (de) Vliesstoff umfassend antimonfreien Polyester
DE19962313C1 (de) Schlafwäsche
JP2019500990A (ja) 中実多葉形繊維を用いたイベントまたは展示会カーペット
AU2008200779B2 (en) Splittable fibres with predetermined breaking points, their use and a device for their manufacture
TWI403625B (zh) 絲絨針軋不織布及其應用
JPH10266057A (ja) 不織布および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用基布およびタフテッドカーペット
JP2021121698A (ja) 方形の中空繊維
KR20100050569A (ko) 니들 펀칭된 부직포 벨루어 및 그의 용도
JPS6328915A (ja) 熱接着性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