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4673A -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 및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 및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4673A
KR20100014673A KR20097020357A KR20097020357A KR20100014673A KR 20100014673 A KR20100014673 A KR 20100014673A KR 20097020357 A KR20097020357 A KR 20097020357A KR 20097020357 A KR20097020357 A KR 20097020357A KR 20100014673 A KR20100014673 A KR 2010001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eatment
locking
recess
cartridge
lock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702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2183B1 (ko
Inventor
마르크 나무르
Original Assignee
브리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리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브리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0001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3Anti-leakage or anti-return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 특히 여과 수단을 수용하는 컨테이너(2),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2)에 배치된 연결 헤드(10)를 구비하는 카트리지(1)를 가진다. 게다가, 상기 연결 부재(40)를 위한 리세스(50)를 가지는 연결 헤드(4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헤드(10)가 연결 부재(40)에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 샤프트(70a, b)는 제공된다.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잠금 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선회될 수 있고 다시 원래대로 복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연결 헤드(10)에 리세스를 구비한 카트리지(1)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 장치, 여과 장치, 카트리지, 락킹 샤프트

Description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 및 카트리지{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A FILTER DEVICE, AND CARTRIDGE}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를 수용하고, 특히 수처리제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가지고 있는 카트리지 그리고 연결 헤드를 위한 시트(seat)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에 배치된 연결 헤드를 구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 특히 여과 카트리지에 관련된 것이다.
여과에 부가하여, 물에서 물질의 계량된 배치 역시 수처리를 의미한다. 물질의 계량된 배치는 물의 여과와도 결합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먼저, 필터 카트리지는 기계적 여과를 위한 체 모양(sievelike form)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로, 필터 카트리지는, 체 모양에 추가하여, 최소한 하나의 여과 매질, 즉 낟알 형태의 여과 매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은 화학적 및/또는 기계적 제거 및/또는 유기 및/또는 무기 불순물의 감소를 위해 도움을 준다. 따라서 그러한 필터 카트리지는 비기계적 여과를 가능하게 하며, 기계적 여과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카트리지는 물의 최적화를 위하여 사용되며, 이것은 기계적 및/또는 비기계적 여과를 의미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음용수의 연화(softening) 및 칼슘제거(decalcifying)를 포함한다.
여과는 초과 압력 또는 부분 진공에 의하여 수행되는 압력 작동 또는 중력 작동일 수 있다.
미국특허 5,653,871로부터 필터 카트리지 그리고 연결 부재를 구비한 여과장치가 알려졌다.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원통형의 연결 헤드를 가지며, 그것은 아래에서 상기 연결 부재의 시트로 삽입된다. 삽입된 상태에서, 일면의 입구 개구부 및 공급 개구부는 다른 면의 출구 개구부 및 배수 개구부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연결 헤드, 따라서 카트리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일종의 배이어닛 잠금(bayonet closure)이 연결 부재에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배이어닛 잠금은 카트리지 및/또는 연결 부재가 삽입될 때 전체로서 꼬여져야 한다는 단점을 가지며, 이것은 한편으로 많은 양의 작용력을 요구하며 다른 한편으로 공급 및 배수 개구부의 영역에 배치된 개스킷에 손상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시트 부재와 카트리지의 연결이 용이한 방식으로 가능하고 양쪽 구성요소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연결 부재의 연결 헤드가 고정될 수 있는 최소 하나의 락킹 샤프트(locking shaft)가 제공되는 수처리 장치로 해결되며, 이 경우 락킹 샤프트는 회전하도록 장착되고 잠금 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선회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반대로도 선회할 수 있다.
락킹 샤프트가 잠금 위치로 선회되는 것만을 요구하도록 연결 헤드가 단순히 시트 부재에 삽입된다는 것은 장점이다. 상기 카트리지가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락킹 샤프트는 시트 부재의 연결 헤드를 고정한다. 상기 카트리지를 제거하기 위해, 락킹 샤프트는 풀림 위치로 선회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연결 부재로부터 인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락킹 샤프트는 상기 연결 부재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헤드는 잠금 위치에 맞물리는 최소 하나의 리세스(recess, 오목한 곳)를 가진다. 연결 헤드의 리세스와 회전하는 락킹 샤프트의 상호작용의 덕택에, 카트리지를 설치 또는 제거할 때 상기 카트리지 및/또는 연결 부재를 선회할 필요 없이 단순하고 효과적인 연결 헤드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락킹 샤프트는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의 축에 수직하게 확장한다. 따라서, 여과 카트리지가 안정적으로 연결 부재에 고정되고 락킹 샤프트가 잠금 위치에서 미끄러져 나올 수 없도록, 락킹 샤프트는 삽입 방향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공간적인 이유 때문에, 락킹 샤프트의 핸들이 꼭대기에 위치되어야 할 때 길이 방향의 축에 평행한 락킹 샤프트의 배치는 권장된다. 이러한 형태에서, 상기 핸들은, 예를 들어 회전 링(turn ring)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락킹 샤프트는 바람직하게 최소 하나의 락킹 세그먼트(locking segment)를 가진다.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락킹 세그먼트는 편심 세그먼트(eccentric segment)을 포함한다. 상기 편심 세그먼트는 상기 락킹 샤프트의 외측 원통형 표면에 상대적으로 돌출한 축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편심 세그먼트는 편심 세그먼트의 축이 락킹 샤프트의 축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상응하는 오프셋(offset)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편심 세그먼트는 마찬가지로 원통형일 수 있다.
편심 세그먼트는 형상 피팅(form fitting) 및 마찰 피팅 (frictional fitting) 양쪽 모두에 의하여 연결 헤드의 리세스와 맞물리는 장점을 가진다. 편심 세그먼트 덕택에, 힘은 시트 부재에서 조임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연결 헤드에 가해질 수 있다. 게다가, 만약 락킹 샤프트가 카트리지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으로 확장된다면 연결 헤드를 이런 방식으로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 및/또는 횡 방향으로 약간 움직이는 것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락킹 세그먼트는 상기 락킹 세그먼트의 외측 원통형의 윤곽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샤프트를 가지고 있지 않고 단지 리세스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락킹 샤프트는 일체형(single-piece) 시트 부재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락킹 샤프트의 설치는 편심 세그먼트를 갖는 락킹 샤프트를 설치하는 것보다 더 용이하다.
락킹 샤프트가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거나, 락킹 샤프트에 추가적인 기능이 통합되는 것은 더욱 유리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는 입구 채널 및 출구 채널을 가진다.
락킹 샤프트가 입구 채널 및/또는 출구 채널에 배치되고, 락킹 샤프트가 입구 채널 및/또는 출구 채널에 밸브 세그먼트(valve segment)를 가지는 것은 바람직하다. 그러한 밸브 세그먼트에 의하여, (물의) 공급 또는 배수는 차단될 수 있고, 이것은 카트리지가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 유리한 것이다. 연결 부재에 여과 카트리지가 설치되지 않았으나, 연결 부재는 이미 물 공급에 연결된 때에 이것은 뜻하지 않게 물이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락킹 샤프트가 풀림 위치에 있을 때 입구 채널 및/또는 출구 채널의 차단이 정확하게 발생하도록 락킹 샤프트의 락킹 세그먼트가 밸브 세그먼트에 상대적으로 적절하게 배치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 세그먼트는 입구 채널 및/또는 출구 채널의 두 개의 분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채널을 가진다.
하나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채널은 부분적 환형 홈(annular groove)으로 이루어지며, 이것은 락킹 샤프트의 외측 원주의 부분을 횡단하여 확장한다.
바람직하게, 부분적 환형 홈은 최소 하나의 실링 부재에 의하여 둘러싸여 진다. 따라서, 전체의 부분적 환형 홈은 밀폐된다.
바람직하게, 락킹 샤프트는 두 개의 밸브 세그먼트, 즉 입구 채널을 위한 하나의 밸브 세그먼트 및 출구 채널을 위한 하나의 밸브 세그먼트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락킹 세그먼트는 상기 두 개의 밸브 세그먼트의 사이에 배치된다. 락킹 샤프트는 일체 또는 최소 두 개의 부품, 바람직하게 세 개의 부품일 수 있다.
연결 부재의 디자인 그리고 연결 헤드의 입구 및 출구 개구부의 배치에 따라, 상기 두 개의 밸브 세그먼트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락킹 세그먼트는 한 쌍의 밸브 세그먼트에 이웃하여 위치한다.
추가로, 락킹 샤프트는 바이패스 기계장치(bypass mechanism)를 가질 수 있다.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 수처리 장치가 연결되는 기계가 멈추지 않을 때 이러한 바이패스 기계장치는 유리하다. 바이패스 기계장치는 상기 기계가 계속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것은 물의 흐름이 중단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잠금 위치가 포기될 때 바이패스 기계장치는 사용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바이패스 기계장치는 바이패스 채널을 가지며, 이것은 락킹 샤프트 내부로 확장하고 락킹 샤프트의 밸브 세그먼트 속으로 나온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밸브 세그먼트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실링 부재가 양쪽 측면에 구비된다.
상기 리세스는 연결 헤드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표면을 갖는다. 상기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윤곽 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에서 차이 나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 표면을 가진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만곡되거나 부분적으로 원형의 리세스의 경우에, 최소 두 개의 리세스 표면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두 개의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지고, 상기 곡률 반경의 중심점은 서로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리세스의 윤곽 덕택에, 활성 매질이 카트리지에 존재하는 특별한 키(key)에 의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의 특징을 제작할 수 있다. 다른 목적으로 카트리지가 연결 부재에 잘못하여 설치될 수 없도록 사용자는 카트리지가 어울려지고 디자인된 특별한 응용을 즉시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카트리지는 서로 혼동될 수 없다.
바람직하게, 락킹 세그먼트는 그것의 락킹 표면 또는 표면들에 의하여 윤곽 된 리세스의 외형에 적응된다. 이것은 리세스가 락킹 샤프트의 락킹 표면과 일치하는 카트리지만이 설치되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는 걸쇠(catch)를 가지며, 이것은 락킹 샤프트와 맞물리고 락킹 샤프트를 고정한다. 이러한 걸쇠는 풀림 위치에서 바이패스 기계장치가 활성화하고, 락킹 샤프트가 잘못하게 회전되지 않으며, 이것은 유입되는 물이 연결 부재의 시트 속으로 주입되는 것을 의미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걸쇠는, 연결 헤드가 제거될 때, 그것이 자동으로 또는 스프링 힘에 의해 차단 위치로 이동하도록 바람직하게 디자인된다.
상기 카트리지는 연결 헤드가 락킹 샤프트와 맞물리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연결 헤드의 상기 리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표면을 가진다.
상기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윤곽 된다. 상기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두 개의 리세스 표면을 가지고, 이것은 상기 리세스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높이에 있어서 차이 난다.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a 는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서 잘라본 잠금 위치에 있는 락킹 샤프트를 구비한 연결 부재 및 연결 헤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3b는 풀림 위치에 있는 도 3a의 락킹 샤프트를 구비한 연결 부재 및 연결 헤드의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락킹 샤프트의 세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이고;
도 4d는 락킹 샤프트의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락킹 샤프트의 세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이고;
도 6은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세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9a, b는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의 X-X 선을 따라서 잘라본 연결 부재 및 연결 헤드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11a, b는 도 10에 도시된 본 장치의 XI-XI 선을 따라서 잘라본 두 개의 수직 단면도이고 ;
도 12a, b는 도 11a, b에 도시된 본 장치의 XII-XII 선을 따라서 잘라본 두 개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수처리 장치는 측면도로서 도시된다. 본 장치는 수처리제, 특히 여과 수단을 수용하는 컨테이너(2)를 구비한 카트리지(1)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연결 부재(40)로 삽입되는 연결 헤드(10)는 상기 컨테이너(2)에 배치된다. 상기 연 결 부재(40)는 공급 및 배수 라인과의 연결을 제공하며, 이것은 도 1에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40)는 입구 피팅(inlet fitting)(42)(도 2 참조) 및 출구 피팅(outlet fitting)(44)을 가진다.
카트리지(1)의 길이 방향 축(3)에 수직하게, 락킹 샤프트(70a, b)는 연결 부재(40)를 관통하고, 연결 부재(40)의 외벽을 넘어서 외부로 돌출하고, 여기서 레버 모양을 한(lever-shaped) 핸들(72)이 배치되고, 이것에 의하여 락킹 샤프트(70a)가 선회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장치의 평면도를 보여준다. 상기 락킹 샤프트(70a)는 연결 부재(40)를 넘어서 양 측면으로 확장하고, 각 단부에 핸들(72)을 가진다.
도 3a는 도 2의 Ⅲ-Ⅲ 선을 따라서 잘라본 수직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8의 사시도에 도시된 연결 헤드(10)는 연결 부재(40)의 시트(50)에 위치한다. 도 4a 내지 도 4c와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되는 락킹 샤프트(70a)는 잠금 위치에 위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락킹 샤프트(70a)는 연결 헤드(10)의 리세스(30)에 맞물리는 락킹 세그먼트(74)를 가진다. 리세스(30)는 기본적으로 원의 일부분의 형상이고 도 8 및 도 9a, b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리세스(30)는 형상 피팅을 통해 락킹 샤프트(70a)에 의하여 잠금 위치에서 고정되는 연결 헤드(10)의 전체 폭 상부에서 본 장치의 길이 방향의 축(3)에 수직하게 확장된다. 잠금 위치에서 연결 헤드(10)는 아래 방향으로 인출될 수 없다. 통상적으로 연결 부재(40)는 일정한 위치에 탑재되기 때문에, 카트리지(1)는 연결 부재(40)에 매달린다. 락킹 샤프트(70a)의 강도 및 리세스(30)의 크기는 카트리지(1)가 연결 부재(40)에 안정적이고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1)의 무게에 따라 디자인된다.
도 3a에서, 연결 헤드(10)가 삽입될 때 방출 위치로 회전하는 걸쇠(100)가 락킹 샤프트(70a)의 아래에 더 배치된다.
도 3b에서, 락킹 샤프트(70a)는 연결 헤드(10)가 연결 부재(40)로부터 방출되고 아래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연결 헤드(10)의 리세스(30)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락킹 세그먼트(74)의 리세스(76)(도 3a 역시 참조)를 구비한 풀림 위치에 있다.
연결 헤드(10)가 인출될 때, 걸쇠(100)는 차단 위치로 하강하고 락킹 샤프트(70a)의 노치(101)와 맞물리며, 그래서 이것은 풀림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락킹 샤프트(70a)의 세 가지 서로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 다. 락킹 샤프트(70a)는 락킹 세그먼트(74)에서 평탄한 바닥면(77)을 구비한 리세스(76) 및 도 3a 및 도 3b에서도 보여지는 바와 같은 원통형의 락킹 표면(75)을 가지고 있는 원통형의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핸들(72)은 각 단부에 위치한다. 리세스(76)의 길이는 연결 헤드(10)의 폭과 동일한 크기이다.
도 4b는 이러한 실시예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주고, 여기에서 락킹 세그먼트(74)에 이웃한 양면에 구비된 밸브 세그먼트(80a, b)가 제공된다. 밸브 세그먼트(80a, b)는 연결 부재(40)(도 11a, b 역시 참조)의 입구 채널(46) 및 출구 채널(47)에 배치되고 두 개의 연결 채널(8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락킹 샤프트(70a)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이때 카트리지도 역시 시트 부재(40)에 삽입된 경우이며, 밸브 세그먼트(80a, b)는 입구 채널(46) 및 출구 채널(47)을 방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연결 부재(40)의 시트(50)로부터 물이 흘러서 걷잡을 수 없이 나오는 것이 없이 카트리지가 연결 부재(40)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입구 채널(46) 및 출구 채널(47)은 풀림 위치에서 차단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샤프트 축에 수직하게 형성된 구멍인 두 개의 연결 채널(82)은 리세스(76)의 방향에 따라 배치된다. 연결 채널(82)의 개구부 주위에, O-링(O-ring)과 같은 실링 부재(86)는 락킹 샤프트(70a)의 표면으로 삽입된다.
도 4c는 락킹 샤프트(70a)의 또 다른 형태를 보여주고, 여기에서 연결 채널(82)은 밸브 세그먼트(80a, b)에서 부분적 환형 홈(84)에 의해 형성된다. 다시 한번, O-링과 같은 실링 부재(86)는 부분적 환형 홈(84) 주위에 배치된다.
도 4c에 도시된 디자인에서, 락킹 샤프트(70a) 내부에서 락킹 샤프트(70a)의 길이 방향으로 확장하는 바이패스 채널(92) 및 밸브 세그먼트(80a, b)의 영역에 개구부(94a, b)를 가지는 바이패스 기계장치(90)는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디자인은 도 4b에 따른 디자인과는 반대로 풀림 위치에서 유입이 방해받지 않고 오히려 공급된 물이 출구 채널(47)을 통해 락킹 샤프트(70a)에 의하여 인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카트리지를 교체할 때, 물의 흐름을 차단할 필요가 없다. 수처리 장치에 연결되는 기계는 이러한 목적으로 멈출 필요가 없다.
연결 채널(82) 및 개구부(94a, b)의 양면에서 밀폐를 위해, 밸브 세그먼트(80a, 80b)를 마감하는 실링 고리(sealing ring)와 같은 실링 부재(88)는 배치된다.
도 4d에서, 도 4c에 도시된 락킹 샤프트(70a)의 사시도가 제공된다. 일체형 디자인 대신에, 락킹 샤프트(70a)는 세 개의 부품들로 형성되고, 세 개의 부품들은 핀(110) 및 개구부(112)로 이루어진 삽입 시스템에 의하여 결합된다. 리세스(76)를 구비한 락킹 세그먼트(74)로 이루어진 중간 부품에 밸브 세그먼트(80a, b) 및 핸 들(72)을 구비한 말단 부품(end piece)을 둔다. 복합부품(multipiece) 락킹 샤프트(70a)는 샤프트의 설치를 촉진한다.
락킹 샤프트(74)가 다른 원통형 샤프트의 리세스 대신에 편심적으로 배치된 세그먼트(78)를 가진다는 측면에서 도 5a는 도 4a 내지 도 4c에 따른 락킹 샤프트와는 상이한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락킹 샤프트(70b)를 보여준다.
이러한 편심 세그먼트(78)는 원통형 또는 부분적 원통 부분으로 이루이며, 이것은 잠금 위치에서 연결 부재(40)의 리세스(30) 속으로 회전하고 형상 피팅뿐만 아니라 마찰 피팅에 의하여 연결 헤드를 고정한다. 상기 편심 세그먼트(78)는 락킹 세그먼트(74)가 리세스(30) 속으로 회전할 때 연결 헤드(10)가 연결 부재(40)의 시트(50)로 당겨지고 그곳에서 조임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연결 헤드(10)에 힘이 가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반대 방향으로 선회함으로써 잠금을 느슨하게 할 때, 연결 헤드(10)는 시트로부터 나오도록 힘이 가해지며, 이것은 카트리지를 교체할 때 카트리지(1)의 제거를 촉진한다.
도 5b 및 도 5c에서, 락킹 샤프트(70b)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락킹 샤프트(70a)와 같은 추가적인 특징이 제공된다. 따라서, 락킹 샤프트(70b)는 바이패스 기계장치(90)뿐만 아니라 밸브 세그먼트(80a, 80b)를 가질 수도 있다.
연결 헤드(10)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헤드(10)의 견본 형상은 도 6,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다.
도 6에서, 연결 헤드(10)는 원통형 형상이고, 리세스(30)는 연결 헤드(10)의 외피 표면(14')에 위치한다. 입구 개구부(20) 및 출구 개구부(24)는 단부면(12)에 배치된다. 외피 표면(14')에 입구 개구부(20) 및 출구 개구부(24)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절단 원추(truncated cone) 연결 헤드(10)를 보여준다. 리세스(30)뿐만 아니라, 입구 개구부(20) 및 출구 개구부(24)도 원추 표면(14'')에 위치한다.
도 8에서, 더욱 용이하게 시트(50)에 도입되도록 길이 방향 축(3)에 경사진 외측 표면(14) 및 외측 표면(16)을 구비한 연결 헤드(10)가 기본적으로 입방형인 실시예가 도시된다. 실링 부재(22, 26)에 의하여 모두 둘러싸이는 입구 개구부(20) 및 출구 개구부(24)는 측면(14)에 위치한 반면에, 리세스(30)는 좁은 측면(18)에 위치한다. 도시된 것처럼, 리세스(30)는 연결 헤드(10)의 전체 폭을 넘어서 확장되고 만곡된 윤곽을 가진다.
도 9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연결 헤드(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8의 형태와는 달리 리세스(30)는 두 개의 리세스 표면(32) 및 리세스 표 면(34)를 가지고, 이것들은 리세스(3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높이에서 차이 난다. 이것은 리세스 표면(32)이 리세스 표면(34)보다 낮게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곡률 반경은 서로 다른 크기이고 공통의 중심점을 가진다.
도 9b에서, 연결 헤드(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리세스(30)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는 융기(ridge)(36)을 가진다. 여기에 도시된 도 9b의 표현에서, 융기(36)는 중앙에 배치되고 만곡된 단부면(38)을 가진다. 융기(36)는 카트리지의 제거의 전체 길을 따라서 존재하는 어떠한 락킹 부재라도 카트리지의 제거가 방해되지 않도록 관리되는 장점을 갖는다. 게다가, 융기를 배치함으로써 오직 특정한 형태의 카트리지만이 헤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헤드 및 카트리지의 특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락킹 샤프트(70a)는 락킹 표면(75a, b)(도 10 참조)를 가지고, 이것은 리세스 표면(32) 및 리세스 표면(34)의 위치 그리고 곡률에 맞춰진다. 이러한 리세스(30)의 형태는 락킹 샤프트의 락킹 표면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된 시트 부재(40)에 오직 카트리지(1)만이 맞물리거나 잠겨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별한 목적으로 의도된 카트리지만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카트리지가 서로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응용 목적에 따라 일정한 카트 리지가 사용될 필요가 있고 서로 혼동되는 카트리지를 배제할 필요가 있을 때 이러한 안전성 측면은 특히 중요하다. 리세스(30)의 더욱 광범위한 윤곽은 가능하다. 도 9는 단지 리세스(30)의 가능한 윤곽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도 2의 X-X 선을 따라서 잘라본 연결 부재(40) 및 연결 헤드(10)의 수직 단면을 보여준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세그먼트(80a, b) 및 바이패스 기계장치(90)를 가지는 락킹 샤프트(70a)는 두 개의 구조적 부품(41) 및 구조적 부품(41b)로 이루어진 연결 부재(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것은 두 개의 핸들(72)의 단부에서 끝나는 중공의 샤프트이다.
리세스(76)을 구비한 락킹 세그먼트(74)는 밸브 세그먼트(80a) 및 밸브 세그먼트(80b) 사이에 위치하며, 반면에 락킹 세그먼트(74)의 락킹 표면에 도 9에 따른 리세스(30)의 윤곽에 적응된 높이 오프셋을 갖는 두 개의 상이한 락킹 표면(75a, b)이 제공된다.
두 개의 밸브 세그먼트는 부분적 환형 홈(84)을 가지며, 이것은 실링 부재(86)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여기에 도시된 위치에서, 락킹 샤프트(70a)는 두 개의 연결 채널(82)이 입구 및 출구 채널을 개방하도록 잠금 위치에 있다.
락킹 샤프트(70a)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확장하고 밸브 세그먼트(80a, b) 의 영역에서 개구부(94a, b)를 가지는 바이패스 채널(92)를 구비한 바이패스 기계장치(90)는 중공의 샤프트의 내부에서 발견된다. 상기 두 개의 개구부(94a, b)는 아래로 향하며 따라서 입구 채널(46) 또는 출구 채널(47)과 흐름 접촉에 있지 않다. 락킹 샤프트(70a)의 도시된 위치에서 바이패스 기계장치(90)는 비활성화된다.
카트리지가 제거될 때 시트(50)로부터 물이 빠져나감이 없이 들어오는 물이 락킹 샤프트(70a)에 의하여 우회되어 회수되도록 락킹 샤프트(70a)를 선회함으로써 잠금이 발생할 때, 이러한 개구부(94a) 및 개구부(94b)는 입구 채널(46) 및 출구 채널(47)과 소통하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명확하게 하기 위해 카트리지(1)가 생략된 락킹 샤프트(70a)의 두 가지 위치에서 도 10의 XI-XI 선을 따라서 잘라본 단면이 도시된다. 도 11a에서, 여과된 물이 시트 부재(40)로 안내되고 카트리지(1)의 연결 헤드(10)로 인도될 수 있도록 연결 채널(82)이 두 개의 출구 채널(46)의 인접한 세그먼트 사이에서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락킹 세그먼트(74)는 연결 헤드(10)의 리세스(30)와 맞물린다.
도 11b에서, 락킹 샤프트(70a)는 풀림 위치에 있고, 여기서 리세스(76)는 연결 헤드(10)를 해방시킨다. 들어오는 물이 바이패스 기계장치 그래서 바이패스 채널(92) 속으로 들어가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출구 채널(47)에 의하여 직접 전환 되도록 이제 개구부(94a) 및 개구부(94b)(미도시)는 입구 채널(46) 및 출구 채널(47)(보이지 않음)로 나온다. 이러한 방식으로, 들어오는 물을 차단하는 것을 피하거나 카트리지(1)가 없을 때 시트(50)의 영역에서 통제되지 않는 누수를 방지한다.
도 12a는 도 11a에 따른 장치의 수평 단면을 보여준다. 락킹 샤프트(70a)의 연결 채널(82)은 락킹 샤프트(70a)의 상류 및 하류 채널 세그먼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입구 채널(46) 및 출구 채널(47)의 두 개의 분지를 모두 연결한다. 또한 상응하는 리세스 표면(32) 및 리세스 표면(34)과 양립 가능한 두 개의 락킹 표면(75a, 75b)이 도시된다.
도 12b는 도 11b에 도시된 장치의 수평 단면을 보여주며, 여기에서 바이패스 기계장치(90)는 입구 피팅(42)를 출구 피팅(44)에 연결한다.
참조 기호 목록
1 카트리지
2 컨테이너
3 길이 방향 축
10 연결 헤드
12 단부면
14 외측 표면
14' 외피 표면
14'' 원추 표면
16 외측 표면
18 측면
20 입구 개구부
22 실링 부재
24 출구 개구부
26 실링 부재
30 리세스
32 리세스 표면
34 리세스 표면
36 융기
38 단부면
40 연결 부재
41a, 41b 구조적 부품
42 입구 피팅
44 출구 피팅
46 입구 채널
47 출구 채널
50 시트
70a,b 락킹 샤프트
72 핸들
74 락킹 세그먼트
75,75a,b 락킹 표면
76 리세스
77 바닥면
78 편심 세그먼트
80a,b 밸브 세그먼트
82 연결 채널
84 부분적 환형 홈
86 실링 부재
88 실링 부재
90 바이패스 기계장치
92 바이패스 채널
94a,b 개구부
100 걸쇠
101 노치
110 핀
112 삽입 개구부
본 발명은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를 수용하고, 특히 수처리제를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를 가지고 있는 카트리지 그리고 연결 헤드를 위한 시트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컨테이너에 배치된 연결 헤드를 구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트리지, 특히 여과 카트리지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시트 부재와 카트리지의 연결이 용이한 방식으로 가능하고 양쪽 구성요소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4)

  1. 수처리제, 특히 여과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2) 및 상기 컨테이너(2)에 배치된 연결 헤드(10)를 가지는 카트리지(1)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헤드(10)를 위한 시트(50)를 포함하는 연결 부재(40)를 구비한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40)에서 상기 연결 헤드(10)가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 샤프트(70a, b)가 제공되는 한편,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잠금 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선회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반대로 선회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상기 연결 부재(40)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헤드(10)는 상기 락킹 샤프트(70a, b)가 잠금 위치에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카트리지(1)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 또는 평행하게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락킹 세그먼트(7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세그먼트(74)는 편심 세그먼트(7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세그먼트(74)는 리세스(7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40)는 입구 채널(46) 및 출구 채널(47)을 가지고,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상기 입구 채널(46) 및/또는 출구 채널(47)에 배치되고,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상기 입구 채널(46) 및/또는 출구 채널(47)에 밸브 세그먼트(80a, 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세그먼트(80a, b)는 연결 채널(8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연결 채널(82)은 상기 락킹 샤프트(70a, b)의 외측 원주 표면의 부분적 환형 홈(8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 환형 홈(84)은 적어도 하나의 실링 부재(86)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락킹 세그먼트(74)가 사이에 배치된 두 개의 밸브 세그먼트(80a, b)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는 바이패스 기계장치(9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기계장치(90)는 두 개의 상기 밸브 세그먼트(80a, b)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채널(9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채널(92)은 상기 락킹 샤프트(70a, b)의 내부에서 확장하고 상기 밸브 세그먼트(80a, b)로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5. 제7항 내지 제14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세그먼트(80a, b)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 부재(88)를 양쪽 면에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6. 제2항 내지 제1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헤드(10)의 상기 리세스(30)는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표면(32, 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7. 제2항 내지 제1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0)는 윤곽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0)는 상기 리세스(30)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가 차이 나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 표면(32, 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19. 제4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샤프트(70a, b)의 상기 락킹 세그먼트(74)는 리세스 표면(32, 34)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락킹 표면(75a, 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40)는 잠금 위치에서 상기 락킹 샤프트(70a, b)와 맞물리고 상기 락킹 샤프트(70a, b)를 고정하는 걸쇠(10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 장치.
  21. 수처리제, 특히 여과수단을 수용하기 위한 컨테이너(2) 및 연결 부재(40)에 연결하기 위한 상기 컨테이너(2)에 배치된 연결 헤드(10)를 구비한 카트리지(1)에 있어서,
    상기 연결 헤드(10)는 락킹 샤프트(70a, b)와 맞물리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3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헤드(10)의 상기 리세스(30)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 표면(32, 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30)는 윤곽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30)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에서 차이가 나는 적어도 두 개의 리세스 표면(32, 34)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KR1020097020357A 2007-04-05 2008-03-20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 및 카트리지 KR1015021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17388.3 2007-04-05
DE102007017388A DE102007017388B4 (de) 2007-04-05 2007-04-05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Wasser, insbesondere Filtervorrichtung, und Kartusche
PCT/EP2008/053344 WO2008122496A1 (de) 2007-04-05 2008-03-20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wasser, insbesondere filtervorrichtung, und kartus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4673A true KR20100014673A (ko) 2010-02-10
KR101502183B1 KR101502183B1 (ko) 2015-03-18

Family

ID=39473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0357A KR101502183B1 (ko) 2007-04-05 2008-03-20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 및 카트리지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9084952B2 (ko)
EP (1) EP2131940B1 (ko)
JP (1) JP5539182B2 (ko)
KR (1) KR101502183B1 (ko)
CN (1) CN101622046B (ko)
AR (1) AR065944A1 (ko)
AT (1) ATE532569T1 (ko)
AU (1) AU2008235601B2 (ko)
BR (1) BRPI0809698B1 (ko)
CA (1) CA2677037C (ko)
CL (1) CL2008000990A1 (ko)
DE (1) DE102007017388B4 (ko)
DK (1) DK2131940T3 (ko)
ES (1) ES2373615T3 (ko)
IL (1) IL201342A (ko)
MX (1) MX2009009365A (ko)
PL (1) PL2131940T3 (ko)
PT (1) PT2131940E (ko)
RU (1) RU2443455C2 (ko)
SI (1) SI2131940T1 (ko)
WO (1) WO2008122496A1 (ko)
ZA (1) ZA2009051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64945B3 (de) * 2008-06-27 2021-05-27 Brita Gmbh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Wasser, insbesondere Filtervorrichtung und Kartusche
CN103328067B (zh) * 2011-01-24 2016-02-24 3M创新有限公司 线性运动安装的滤筒和歧管
EP2898782A1 (en) 2014-01-28 2015-07-29 Brita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itioning an aqueous liquid and use of such liquid
EP2899164A1 (en) 2014-01-28 2015-07-29 Brita GmbH Device and method for conditioning an aqueous liquid such as drinking water
PL2977658T3 (pl) 2014-07-23 2019-02-28 Brita Gmbh Zawór dla aparatu do obróbki płynów oraz sposób i system do obsługiwania zaworu
EP3034474A1 (en) 2015-09-10 2016-06-22 Brita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conditioning an aqueous liquid
PL3141529T3 (pl) 2015-09-10 2019-05-31 Brita Gmbh Aparatura i sposób dla oczyszczania wodnej cieczy
DE202017102570U1 (de) 2017-05-02 2018-08-06 Bwt Ag Anschlusskopf für eine Filterkerze sowie Filterkerze
DE102017214263A1 (de) * 2017-08-16 2019-02-21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rohrförmiges filtermodul
EP3542889A1 (en) 2018-03-20 2019-09-25 Brita GmbH Liquid treatment apparatus, valve thereof and use of the valve
USD969964S1 (en) 2020-03-06 2022-11-15 Pentair Residential Filtration, Llc Filt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8291A (en) * 1941-07-21 1944-01-04 Imp Brass Mfg Co Two-way strainer
US3508657A (en) * 1968-04-29 1970-04-28 Pall Corp High pressure filter assembly having an easily detachable bowl cover
FR2808457B1 (fr) 2000-05-02 2002-07-19 Rena Sa Filtre exterieur a un bac, notamment a un aquarium
CA962915A (en) * 1971-04-05 1975-02-18 Sam Close Valve for a filter
AT325287B (de) * 1972-05-02 1975-10-10 Koellensperger Geb Stützvorrichtung
US4032451A (en) * 1975-03-31 1977-06-28 Rosaen Nils O Filter device with rotatable bypass valve
US4493343A (en) * 1983-04-13 1985-01-15 Indiana Brass, Inc. Single lever faucet assembly
SU1174058A1 (ru) * 1983-06-23 1985-08-23 Саратовский филиал Специального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го бюро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Союзгазавтоматика"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фильтр со сменным элементом
GB2222534B (en) * 1988-09-09 1992-11-25 Process Scient Innovations Filter assembly and cartridge therefor
JPH06178975A (ja) * 1992-12-14 1994-06-28 Takuma Co Ltd 浄水器
US5342519A (en) * 1993-07-30 1994-08-30 Donaldson Company, Inc. Fluid filter cartridge with replaceable filter element
US5653871A (en) 1996-04-24 1997-08-05 Everpure, Inc. Filter assembly with O-ring protection
DE19727251C2 (de) * 1997-06-26 2002-06-06 Fresenius Medical Care De Gmbh Filtervorrichtung und Vorrichtung zu deren Halterung
JP2001327960A (ja) * 2000-05-25 2001-11-27 Kuritakku Kk 浄水器及び浄水器用接続具
ITPD20010179A1 (it) 2001-07-17 2003-01-17 Askoll Holding Srl Gruppo di raccordo tubi con blocco di sicurezza per filtri esterni per acquari.
JP4181766B2 (ja) * 2001-11-01 2008-11-19 クリタック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US20040035776A1 (en) * 2002-08-23 2004-02-26 Richard Coleman Quick disconnect inline filter
WO2005077490A1 (en) * 2004-02-03 2005-08-25 Zohar Waterworks, Llc Filter cartridge and manifold for a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0712266B1 (ko) * 2005-03-24 2007-05-17 주식회사 피코그램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
US20070227959A1 (en) * 2006-03-31 2007-10-04 Sinur Richard R Filter cartridge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0905199B (en) 2010-09-29
PL2131940T3 (pl) 2012-02-29
WO2008122496A1 (de) 2008-10-16
AU2008235601A1 (en) 2008-10-16
AU2008235601B2 (en) 2012-03-01
BRPI0809698B1 (pt) 2018-07-17
US9084952B2 (en) 2015-07-21
DE102007017388B4 (de) 2012-03-22
AR065944A1 (es) 2009-07-15
EP2131940A1 (de) 2009-12-16
ATE532569T1 (de) 2011-11-15
EP2131940B1 (de) 2011-11-09
KR101502183B1 (ko) 2015-03-18
SI2131940T1 (sl) 2012-01-31
JP2010523307A (ja) 2010-07-15
CL2008000990A1 (es) 2009-03-27
JP5539182B2 (ja) 2014-07-02
US20100307964A1 (en) 2010-12-09
IL201342A0 (en) 2010-05-31
CN101622046A (zh) 2010-01-06
CA2677037A1 (en) 2008-10-16
BRPI0809698A2 (pt) 2014-10-07
RU2443455C2 (ru) 2012-02-27
DE102007017388A1 (de) 2008-10-09
PT2131940E (pt) 2011-12-26
RU2009140786A (ru) 2011-05-10
DK2131940T3 (da) 2012-01-09
IL201342A (en) 2016-06-30
CN101622046B (zh) 2012-06-27
MX2009009365A (es) 2009-09-14
ES2373615T3 (es) 2012-02-07
CA2677037C (en)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4673A (ko) 수처리 장치, 특히 여과 장치, 및 카트리지
KR100712266B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
KR200415015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역삼투막 필터, 및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GB2506650A (en) Filter apparatus with lever operated cam mechanism
JP2006021190A (ja) ワンタッチ着脱式単一及びマルチアダプター、それに着脱できるフィルター組立体及びそれら要素を採用した浄水システム
KR20130130941A (ko) 회전식 필터 커넥터
KR101957684B1 (ko) 정수필터 조립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KR100909377B1 (ko) 필터세척기능을 갖는 정수기 필터
CA3119852A1 (en) Water filter cartridge and head having keyed engagement
KR101326805B1 (ko) 정수기 필터 케이스용 커넥터
US20220024781A1 (en) Filter device for filtering drinking water
KR101732503B1 (ko) 직수형 정수기
KR200386870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용 필터, 및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KR100572625B1 (ko) 볼밸브용 잠금장치
KR101325726B1 (ko)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KR102052554B1 (ko) 필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기
US20140319043A1 (en) Locking filter assembly
KR102597434B1 (ko) 와이-형 스트레이너
JP3774379B2 (ja) ホース収納式水栓の水切構造
KR200320671Y1 (ko) 비데장치
KR20200139028A (ko) 물 필터 장치
KR200370298Y1 (ko) 볼밸브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