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810A - 광대역 튜너 - Google Patents

광대역 튜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810A
KR20100013810A KR1020080075507A KR20080075507A KR20100013810A KR 20100013810 A KR20100013810 A KR 20100013810A KR 1020080075507 A KR1020080075507 A KR 1020080075507A KR 20080075507 A KR20080075507 A KR 20080075507A KR 20100013810 A KR20100013810 A KR 2010001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local oscillation
mix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득
탁금영
임동구
이희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3810A/ko
Publication of KR2010001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8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4∼1000㎒의 지상파 및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광대역 튜너에 관한 것으로서 RF(Radio Frequency) 신호 처리부가 채널 정보에 따라 복수의 경로로 RF 신호를 수신하고,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0° 및 90°를 포함한 복수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며, 복합 믹서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 제거믹서를 포함한 복수의 믹서로 구성하고, 선택되는 믹서가 RF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RF 신호에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In-phase) 채널 및 Q(Quadrature-phase) 채널의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한 IF 신호를 IF 신호 처리부가 처리한다.
Figure P1020080075507
광대역, 튜너, 텔레비전 수상기, IQ 믹서, 하모닉 제거믹서, 멀티위상,

Description

광대역 튜너{A wide band tuner}
본 발명은 광대역 튜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44∼1000㎒의 지상파 및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우수한 성능 및 저전력으로 수신할 수 있고, 단일 칩의 구현이 가능한 광대역 튜너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서비스되고 있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 - Terrestrial), ISDB-T(Integrated Service Digital Broadcasting - Terrestrial), PAL(Phase Alternating Line),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오픈 케이블(Open-cable) 및 DVB-C(Digital Video Broadcasting - Cable) 등을 비롯한 각종 지상파 및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은 채널 대역폭이 6∼8㎒이나, 44∼1000㎒의 매우 넓은 RF(Radio Frequency) 신호의 주파수를 확보하기 때문에 동시에 다양한 방송 채널을 제공하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원하는 수신 채널 이외의 다른 모든 채널은 간섭 신호가 되기 때문에 텔레비전 방송 수신 칩의 인접 간섭 신호 내성에 대한 스펙이 강화되는 반작용이 있어 튜너의 제조사는 이를 기술적으로 잘 해결해야만 한다.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서는 멀티 밴드 및 멀티 패스 구조의 고성능 RF 트래킹 필터를 이용한 캔 튜너와, 하모닉 제거 믹서를 사용하는 칩 튜너와, 멀티 RF 경로와 멀티 IQ 믹서를 이용하는 멀티 밴드 모바일용 튜너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캔 튜너는 제조 수율이 낮고, 크기가 커서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수신기능이 있는 모바일 폰 등과 같은 휴대용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상기 칩 튜너는 소모전력이 많아 제한된 전력만을 공급하는 휴대용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상기 멀티 밴드 모바일용 튜너는 하모닉의 제거가 어렵고, 3차 하모닉에 해당하는 다른 채널의 간섭신호를 60㏈ 이상 감쇠시키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모 전력이 적고, 단일 칩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광대역 튜너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 소모 전력과 단일 칩으로 구현하여 휴대용 텔레비전 수상기에 간단히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광대역 튜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일 실시 예는, 복수의 경로로 텔레비전 방송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처리하는 RF 신호 처리부와, 0° 및 90°를 포함한 복수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와, 복수의 단위 믹서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 제거믹서를 포함하여 복수의 단위 믹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믹서를 구비하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In-phase) 채널 및 Q(Quadrature-phase) 채널의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복합 믹서 유닛과,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이 생성한 IF 신호를 처리하는 IF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다른 실시 예는, 복수의 경로로 텔레비전 방송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RF 신호 처리부와, 0° 및 90°를 포함한 복수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와, 복수의 단위 믹서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단위 믹서들 중에서 선택된 단위 믹서들이 하모닉 제거 믹서 또는 IQ 믹서로 동작하면서 상기 RF 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In-phase) 채널 및 Q(Quadrature-phase) 채널의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복합 믹서 유닛과,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이 하모닉 제거 믹서 또는 IQ 믹서로 동작되게 하는 믹서 선택부와,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이 생성한 IF 신호를 처리하는 IF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채널 정보에 따라 VHF-L 밴드, VHF-H 밴드 및 UHF 밴드의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각기 통과시키는 복수의 RF 필터와, 상기 RF 필터의 출력신호를 AGC(Automatic Gain Control) 신호에 따라 각기 이득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채널 정보에 따라 VHF-L 밴드 및 VHF-H 밴드와, UHF 밴드의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RF 필터와, 상기 RF 필터의 출력신호를 AGC(Automatic Gain Control) 신호에 따라 각기 이득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텔레비전 방송의 전채 대역의 RF 신호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RF 신호의 이득을 AGC 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제 1 가변이득 증폭기와, 상기 제 1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신호에서 채널 정보에 따른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켜 상기 복합 믹서 유닛으로 입력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RF 신호의 이득을 AGC 신호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복합 믹서 유닛으로 입력시키는 제 2 가변이득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RF 필터와 가변이득 증폭기는 상호간에 앞뒤로 순서를 바꿔 구 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은,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하모닉 제거 믹서와,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UHF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0° 및 90°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IQ 믹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은, 8개의 단위 믹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VHF-L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8개의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하모닉 제거 믹서와, 4개의 단위 믹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VHF-H 밴드 및 UHF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4개의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하모닉 제거 믹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채널 정보에 따라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와, 채널 정보에 따라 UHF 밴드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1 고역통과필터와, 채널 정보에 따라 L-Band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고역통과필터와, 상기 저역통과필터, 제 1 고역통과필터 및 제 2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의 이득을 AGC 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은, RF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VHF-L 밴드 및 VHF-H 밴 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하는 하모닉 제거 믹서와,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UHF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0° 및 90°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IQ 믹서와,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L-Band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0° 및 90°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IQ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는 다중 경로로 RF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RF 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목수의 믹서가 선택적으로 동작하면서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하는 것으로 크기가 작고, 전력 소모가 적어 휴대용 텔레비전 수상기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도 1은 캔 튜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캔 튜너는 RF 신호 처리부(100)와, 국부발진신호 발생부(110)와, 멀티 믹서 유닛(120)과,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 처리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100)는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RF 트래킹 필터(tracking filter; 102a, 102b, 102c)와, 상기 복수의 RF 트래킹 필터(102a, 102b, 102c)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RF 신호를 AGC(Automatic Gain Control) 신호에 따라 이득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104a, 104b, 104c)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RF 트래킹 필터(102a)는 VHF-L(Very High Frequency - Low) 밴드의 RF 신호에서 채널 정보에 따른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키고, RF 트래킹 필터(102b)는 VHF-H(Very High Frequency - High) 밴드의 RF 신호에서 채널 정보에 따른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며, RF 트래킹 필터(102c)는 UHF(Ultra High Frequency) 밴드의 RF 신호에서 채널 정보에 따른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킨다.
상기 RF 트래킹 필터(102a, 102b, 102c)를 통과한 RF 신호는 가변이득 증폭기(104a, 104b, 104c)에서 AGC 신호에 따라 이득이 조절된 후 멀티 믹서 유닛(120)으로 입력된다.
상기 국부발진신호 발생부(110)는 채널 정보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국부발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국부발진신호는 멀티 믹서 유닛(120)으로 입력된다.
상기 멀티 믹서 유닛(120)은 복수의 단위 믹서(122a, 122b, 122c)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104a, 104b, 104c)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에 상기 국부발진신호 발생부(110)로부터 입력되는 국부발진신호를 복수의 단위 믹서(122a, 122b, 122c)가 각기 혼합하여 IF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IF 신호 처리부(130)는 예를 들면, 필터(132)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멀티 믹서(120)에서 변환된 IF 신호를 필터(132)가 필터링하여 통과시킨다.
이러한 캔 튜너에 있어서, 상기 IF 신호의 중심주파수는 약 44㎒ 정도이고, 상기 RF 트래킹 필터(102a, 102b, 102c)는 통과시키고자 하는 RF 신호와 대략 88㎒ 정도 떨어진 이미지 신호를 약 60㏈ 이상으로 감쇄시키는 특성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RF 트래킹 필터(102a, 102b, 102c)는 수작업 튜닝이 필요한 복수의 하이 Q 에어 코일 인덕터와, 외부의 전압에 의해 커패시턴스가 가변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하이 Q 에어 코일 인덕터와, 가변용량 다이오드를 사용함에 따라 튜너의 제조 수율이 저하되고, 크기가 커서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수신기능이 있는 모바일 폰 등과 같은 휴대용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그리고 상기에서 가변용량 다이오드의 커패시턴스는 온 및 오프시의 비율이 약 10정도 되므로 44∼1000㎒의 주파수 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기 RF 신호 처리부(100)가 RF 신호의 처리 경로를 3개로 나누어 병렬로 수신하는 멀티 경로를 구현해야 된다.
여기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RF 신호의 주파수가 정해지면 멀티 경로들 중에서 해당하는 하나의 경로만을 턴 온 되고, 다른 두 개의 경로는 모두 턴 오프된다. 즉,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이 VHF-L 밴드의 RF 신호일 경우에 RF 트래킹 필터(102a), 가변이득 증폭기(104a) 및 단위 믹서(122a)만을 턴 온 시키고, RF 트래킹 필터(102b, 102c), 가변이득 증폭기(104b, 104c) 및 단위 믹서(122b, 122c)는 턴 오프 시킨다.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이 VHF-H 밴드의 RF 신호일 경우에 RF 트래킹 필터(102b), 가변이득 증폭기(104b) 및 단위 믹서(122b)만을 턴 온 시키고, RF 트래킹 필터(102a, 102c), 가변이득 증폭기(104a, 104c) 및 단위 믹서(122a, 122c)는 턴 오프 시킨다.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이 UHF 밴드의 RF 신호일 경우에 RF 트래킹 필터(102c), 가변이득 증폭기(104c) 및 단위 믹서(122c)만을 턴 온 시키고, RF 트래킹 필터(102a, 102b), 가변이득 증폭기(104a, 104b) 및 단위 믹서(122a, 122b)는 턴 오프 시킨다.
이와 같이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RF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하나의 경로만을 턴 온 시키고, 다른 두 개의 경로는 모두 턴 오프 시킴에 따라 필요 없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하모닉 제거 믹서를 사용하는 칩 튜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하모닉 제거 믹서를 사용하는 칩 튜너는 RF 신호 처리부(200)와,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210)와, 하모닉 제거 믹서(220)와, IF 신호 처리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200)는 RF 튜너블 필터(202)를 구비하여 채널 정보에 따라 44∼1000㎒의 RF 신호를 통과시키고, RF 튜너블 필터(202)를 통과한 RF 신호는 AGC 신호에 따라 가변이득 증폭기(204)에서 이득이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210)는 채널 정보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국부발진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주파수는 동일하고 위상은 각기 상이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204)에서 이득이 조절된 RF 신호와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210)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는 하모닉 제거 믹서(120)로 입력된다.
상기 하모닉 제거 믹서(120)는 복수의 단위 믹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RF 신호와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복수의 단위 믹서들이 혼합하고, 복수의 단위 믹서들이 혼합한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고, 합성하여 I(In-phase) 채널 및 Q( Quadrature-phase) 채널 형태의 ZIF(Zero IF) 신호 또는 로우(low) IF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하모닉 제거 믹서(120)가 생성한 ZIF 신호 또는 로우 IF 신호는 IF 신호 처리부(230)로 입력된다.
상기 IF 신호 처리부(230)는 두 개의 필터(232, 234)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I(In-phase) 채널 및 Q( Quadrature-phase) 채널 형태의 ZIF 신호 또는 로우IF 신호를 두 개의 필터(232, 234)가 각기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칩 튜너에 있어서, 수신되는 RF 신호의 3차, 5차 및 7차 등의 하모 닉(harmonic) 신호에 해당되는 RF 간섭신호는 멀티 위상 RF 신호 처리부(200)의 RF 튜너블 필터(202),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210) 및 하모닉 제거 믹서(220)에 의해 60㏈ 이상 제거되어야 한다.
상기 하모닉 제거 믹서(120)를 이용하는 칩 튜너는 RF 신호 처리부(200)의 RF 튜너블 필터(202)의 하모닉 제거 스펙이 낮으므로 하나의 칩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론적으로 4개의 위상을 가지는 국부발진신호를 이용할 경우에 하모닉 제거 믹서(220)에서 3차 및 5차 하모닉 신호가 제거되고, 8개의 위상을 가지는 국부발진신호를 이용할 경우에는 3차, 5차, 7차, 9차 및 11차 하모닉 신호가 제거된다.
그러나 RF 튜너블 필터(202), 가변이득 증폭기(204),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210) 및 하모닉 제거 믹서(220)를 사용할 경우에 소모전력이 크고, 이로 인하여 제한된 전력만을 공급하는 휴대용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도 3은 멀티 RF 경로와 멀티 IQ 믹서를 이용하는 멀티 밴드 모바일용 튜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멀티 밴드 모바일용 튜너는 RF 신호 처리부(300), 국부발진신호 발생부(310), 위상 편이기(320), IQ 믹서 유닛(330) 및 IF 신호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300)는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RF 필터(302a, 202b)와, 상기 복수의 RF 필터(302a, 302b)에서 출력되는 복수의 RF 신호를 AGC 신호에 따라 이득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 기(304a, 304b)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RF 필터(302a)는 VHF 밴드의 RF 신호에서 채널 정보에 따른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키고, RF 필터(302b)는 UHF(Ultra High Frequency) 밴드의 RF 신호에서 채널 정보에 따른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킨다.
상기 RF 필터(302a, 302b)를 통과한 RF 신호는 가변이득 증폭기(304a, 304b)에서 AGC 신호에 따라 이득이 조절되어 IQ 믹서 유닛(330)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국부발진신호 발생부(310)는 채널 정보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국부발진신호는 상기 IQ 믹서 유닛(330)으로 입력된다.
또한 상기 국부발진신호 발생부(310)가 발생한 국부발진신호는 위상 편이기(320)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위상 편이기(320)는 입력되는 국부발진신호의 위상을 90°편이시키고, 그 90° 편이시킨 국부발진신호는 상기 IQ 믹서 유닛(330)으로 입력된다.
상기 IQ 믹서 유닛(330)은 2개의 단위 믹서(332a, 334a)로 이루어지는 제 1 IQ 믹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304a)에서 출력되는 RF 신호가 단위 믹서(332a, 334a)로 입력됨과 아울러 상기 국부발진신호 발생부(310)가 발생한 국부발진신호와 위상 편이기(320)에서 위상이 90° 편이된 국부발진신호가 단위 믹서(332a, 334a)로 입력된다.
그러면, 단위 믹서(332a)는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304a)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와 상기 위상 편이기(320)에서 위상이 90° 편이된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고, 단위 믹서(334a)는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304a)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와 상기 국부발진신호 발생부(310)가 발생한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IQ 믹서 유닛(330)은 2개의 단위 믹서(332b, 334b)로 이루어지는 제 2 IQ 믹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304b)에서 출력되는 RF 신호가 단위 믹서(332b, 334b)로 입력됨과 아울러 상기 국부발진신호 발생부(310)가 발생한 국부발진신호와 위상 편이기(320)에서 위상이 90° 편이된 국부발진신호가 단위 믹서(332b, 334b)로 입력된다.
그러면, 단위 믹서(332b)는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304b)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와 상기 위상 편이기(320)에서 위상이 90° 편이된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고, 단위 믹서(334b)는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304b)에서 출력되는 RF 신호와 상기 국부발진신호 발생부(310)가 발생한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IQ 믹서 유닛(330)의 제 1 및 제 2 IQ 믹서에서 생성된 Q채널 및 I 채널의 IF 신호는 IF 신호 처리부(340)의 필터(342a)(342b)에서 각기 필터링되어 출력된다.
이러한 멀티 밴드 모바일용 튜너는 상기한 도 1의 캔 튜너와 마찬가지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RF 신호에 따라 멀티 경로들 중에서 해당하는 하나의 경로만을 턴 온 되고, 다른 두 개의 경로는 모두 턴 오프된다. 이 경우에 광대역의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되나, 지역별로 사용하는 주파수가 한정되어 있어 RF 신호 가 수신되는 경로를, 주파수 대역을 기준으로 다중 경로로 분할하고,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 대역에 최적인 경로 즉, RF 필터(302a), 가변이득 증폭기(304a) 및 제 1 IQ 믹서의 경로를 선택하여 RF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RF 필터(302b), 가변이득 증폭기(304b) 및 제 2 IQ 믹서의 경로를 선택하여 RF 신호를 수신한다.
그러나 상기한 멀티 밴드 모바일용 튜너를 전체 주파수 대역을 포괄하고 있는 지상파 튜너에 적용하면, 하모닉의 제거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 멀티 밴드 모바일용 튜너는 RF 고정(fixed) 필터 또는 RF 튜너블 필터 등의 RF 필터(302a, 302b)로 VHF 대역의 RF 신호를 필터링할 경우에 3차 하모닉에 해당하는 다른 채널의 간섭신호를 60㏈ 이상 감쇠시키기가 어렵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는 채널 정보에 따른 채널의 RF 신호를 복수의 경로를 통해 처리하는 RF 신호 처리부(400)와,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주파수는 동일하고 위상이 각기 상이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와,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 제거 믹서를 포함한 복수의 믹서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가 입력한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F 신호를 생성하는 복합 믹서 유닛(420)과, 상기 복합 믹서 유닛(420)이 생성한 IF 신호를 처리하는 IF 신호 처리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는 채널 정보에 따라 VHF-L 밴드의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RF 필터(402a)와, 채널 정보에 따라 VHF-H 밴드의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RF 필터(402b)와, 채널 정보에 따라 UHF 밴드의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RF 필터(402c)와, 상기 RF 필터(402a, 402b, 402c)의 출력신호를 AGC 신호에 따라 각기 이득을 조절하는 가변이득 증폭기(404a, 404b, 404c)와,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404a, 404b) 및 가변이득 증폭기(404c)의 출력신호를 각기 증폭하는 증폭기(406a, 406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RF 필터(402a, 402b, 402c)와 상기 가변이득 증폭기(404a, 404b, 404c)는 상호간에 순서를 바꾸어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복합 믹서 유닛(420)은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가 처리한 VHF-L 밴드의 RF 신호와 VHF-H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한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하모닉 제거 믹서(422)와,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가 처리한 UHF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한 0° 및 90°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IQ 믹서(424)로 구성된다.
상기 IF 신호 처리부(430)는 상기 복합 믹서 유닛(420)이 생성한 Q 채널의 IF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432a)와, 상기 복합 믹서 유닛(420)이 생성한 I 채널의 IF 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43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는 RF 신호 처리부(400)가 채널 정보에 따라 소정 채널의 RF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한 소정 채널의 RF 신호는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예를 들면, VHF-L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채널 정보에 따라 RF 필터(402a)가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VHF-H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채널 정보에 따라 RF 필터(402b)가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통과시킨다. 또한 UHF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채널 정보에 따라 RF 필터(402c)가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통과시킨다.
상기 RF 필터(402a) 또는 RF 필터(402b, 402c)를 통과한 RF 신호는 AGC 신호에 따라 가변이득 증폭기(404a, 404b, 404c)에서 이득이 조절되고, 증폭기(406a, 406b)에서 증폭된 후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멀티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는 채널 정보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국부발진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국부발진신호의 위상을 조절하여 0° 및 90°를 포함한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복합 믹서 유닛(420)은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가 처리한 RF 신호와 상기 멀티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한 멀티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수신하고자 하는 RF 신호가 VHF-L 밴드 또는 VHF-H 밴드의 RF 신호일 경우에 RF 신호 처리부(400)의 증폭기(406a)에서 출력되는 VHF-L 밴드 또는 VHF-H 밴드의 RF 신호와 멀티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한 멀티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하모닉 제거 믹서(422)가 믹싱하고, 적절하게 이득을 조절 및 합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수신하고자 하는 RF 신호가 UHF 밴드의 RF 신호일 경우에 RF 신호 처리부(400)의 증폭기(406b)에서 출력되는 UHF 밴드의 RF 신호와 멀티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한 0° 및 90°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IQ 믹서(424)의 단위 믹서(424a, 424b)가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복합 믹서 유닛(420)이 생성한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는 IF 신호 처리부(430)의 필터(432b, 432a)에서 필터링되어 출력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일 실시 예는 지상파 및 케이블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적은 소모전력으로 수신하고, 하나의 칩으로 구현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RF 신호 처리부(400)는 수신하고자 하는 RF 신호의 전체 주파수 대역을 저주파 대역인 VHF-L 대역과, 중간주파 대역인 VHF-H 대역과, 고주파 대역인 UHF 대역으로 구분하고, 구분한 각각의 대역 별로 신호 처리 경로를 만든 다음, 이 다중 경로들을 병렬로 결합하였다.
그리고 방송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다중 경로들 중에서 해당 채널의 RF 신호가 수신되는 경로만을 턴 온 시켜 동작시키고, 나머지 경로들은 모두 턴 오프시켜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즉, VHF-L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RF 필터(402a), 가변이득 증폭기(404a) 및 증폭기(406a)만을 동작시키고, RF 필터(402b, 402c), 가변이득 증폭 기(404b, 404c) 및 증폭기(406b)는 동작시키지 않는다. VHF-H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RF 필터(402b), 가변이득 증폭기(404b) 및 증폭기(406a)만을 동작시키고, RF 필터(402a, 402c), 가변이득 증폭기(404a, 404c) 및 증폭기(406b)는 동작시키지 않는다. UHF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RF 필터(402c), 가변이득 증폭기(404c) 및 증폭기(406b)만을 동작시키고, RF 필터(40a, 402b), 가변이득 증폭기(404a, 404b) 및 증폭기(406a)는 동작시키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실제로 동작하는 경로의 주파수 대역이 좁아진 만큼 간섭 신호 제거 등의 성능이 높아지고, 다중 경로의 회로가 저 소모 전력으로 설계가 가능하다.
그리고 하모닉 제거 믹서(422) 및 IQ 믹서(424)로 이루어지는 복합 믹서 유닛(420)도 수신하는 RF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어느 하나만 턴 온 되어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턴 오프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즉, VHF-L 밴드 또는 UHF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하모닉 제거 믹서(422)만 턴 온 시켜 동작되게 하고, UHF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IQ 믹서(424)만 턴 온 시켜 동작되게 한다.
그리고,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는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에 해당하는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가 발생되어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RF 신호는 RF 신호 처리부(400)에서 RF 필터(402a) 또는 RF 필터(402b, 402c)를 통과하고, 가변이득 증폭기(404a, 404b, 404c)에서 AGC 신호에 따라 이득이 조절된 후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그러면, 복합 믹서 유닛(420)은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한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와 RF 신호 처리부(400)에서 출력되는 RF 신호를 믹싱 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IF신호는 필터(432a, 432b)에서 필터링되어 출력된다.
상기 복수 경로의 RF 신호 처리부(400)는 하나 이상의 RF 신호 입력포트와 하나 이상의 RF 신호 출력포트를 갖는다. 복수 경로는 RF 신호를 처리하는 복수의 경로가 병렬로 결합된 형태이고, 각 경로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다르나 전체 주파수 대역의 동작 안정성을 위해 서로 연결되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일부 겹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경로는 RF 신호를 입력받아 통과 및 이득을 조절하여 복합 믹서 블록(420)으로 출력한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에 구비되는 RF 필터(402a, 402b. 402c)는 고정형 소자를 사용하는 고정형 필터나, 가변형 소자를 사용하고, 외부의 전기적인 신호 즉, 채널 정보에 따라 중심 주파수 또는 차단 주파수가 가변되는 가변형 필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RF 필터(402a, 402b. 402c)로 가변형 필터를 사용할 경우에 임의의 채널에 대해서만 중심 주파수 또는 차단 주파수가 가변될 수 있다.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는 광대역의 RF 신호들 중에 원하는 채널의 RF 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 또는 0° 및 90°의 위상을 가지는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한다. 즉, 복합 믹서 유닛(420)의 하모닉 제거 믹서(422)가 동작할 경우에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는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고, IQ 믹서(424)가 동작할 경우에는 0° 및 90°의 위상을 가지 는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는 3개 이상 임의의 N개 위상을 가지는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로 생성되고, 그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의 개수 및 위상은 고정되거나 또는 전기적 신호로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8개의 위상을 가지는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선택되는 위상의 국부발진신호가 출력되게 조절하는 것으로서 8개, 7개, 6개, 5개, 4개 및 3개 등으로 선택되는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게 조절한다.
또한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는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생부와, 0° 및 90°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생부를 구비하고, 그 발생부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 또는 0° 및 90°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하는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는 차동(differential) 신호이다.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입력하는 하모닉 제거 믹서(422)와 0° 및 90°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입력하는 IQ 믹서(424)고 구성되는 복합 믹서 유닛(420)은 하나 이상의 RF 입력포트와 하나 이상의 IF 신호 출력포트를 갖는다.
고정형의 RF 필터(402a, 402b, 402c)나 간단한 가변형의 RF 필터(402a, 402b, 402c) 만으로 하모닉 믹싱 간섭을 제거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서는 IQ 믹서(424)를 동작시키고, 그 외 상황에서는 하모닉 제거 믹서(422)를 동작시켜 I 채 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한다.
즉, UHF 대역의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3차 및 5차 등과 같은 하모닉은 발생하지 않고, 대신 1.7∼2.2㎓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WCDMA와, 2.4㎓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WLAN 등의 높은 주파수의 간섭 신호만이 존재한다.
이 경우에 고정형이나 간단한 가변형의 RF 필터(402a, 402b, 402c)로 WCDMA 및 WLAN 등의 하모닉 성분을 60㏈ 이상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복합 믹서 유닛(420)은 하모닉 제거 믹서(422)를 턴 오프시켜 동작시키지 않고, IQ 믹서(424)만을 턴 온 시켜 UHF 대역의 Rf 신호를 IF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IQ 믹서(424)는 상기 하모닉 제거 믹서(422)보다 전력 소모가 적고, 또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는 발생하는 국부발진신호의 발진 주파수 범위가 줄어들어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의 크기 및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하모닉 제거 믹서(422)는 3개 이상의 복수 개의 단위 믹서로 구성되어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와 RF 신호를 입력받고, 믹싱하여 위상차가 90°인 I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하모닉 제거 믹서(422)는 항상 복수의 단위 믹서가 모두 동작하는 상태로 구현할 수 있고, 또는 전기적 조절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복수의 단위 믹서만이 동작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최대 8개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입력하는 하모닉 제거 믹서(422)라고 가정할 경우에 8개의 단위 믹서를 사용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전기 적 조절 신호를 통해 8개 단위 믹서들 중에서 일부 단위 믹서만 턴 온 되어 동작하고, 나머지 단위 믹서들은 턴 오프시켜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8개의 단위 믹서를 구비한 하모닉 제거 믹서(422)에서 실제로 동작하는 단위 믹서를 8개, 7개, 6개, 5개, 4개, 3개 및 2개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IF 신호는 제로(Zero) IF 신호 또는 로우(Low) IF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F 신호 처리부(430)는 튜너 칩과 연결되는 복조기에 최적의 IF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필터, 가변 증폭기 및 IQ 에러 보정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F 신호 처리부(430)는 튜너 칩과 연결되는 다양한 복조기와의 연동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주파수 변환기를 구비하여 IF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IF 신호 처리부(430)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신호 처리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고, 상기 IF 신호 처리부(4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출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에서 RF 신호 처리부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의 다른 실시 예는 2개의 경로로 RF 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채널 정보에 따라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과필터(500a)와, 채널 정보에 따라 UHF 밴드의 RF 신호를 통과시키 는 고역통과필터(500b)와, 상기 저역통과필터(500a) 및 상기 고역통과필터(500b)를 통과한 RF 신호의 이득을 AGC 신호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출력하는 가변이득 증폭기(502a)(50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RF 신호 처리부(400)의 다른 실시 예는 저역통과필터(500a) 및 가변이득 증폭기(502a)로 이루어지는 로우밴드 경로와, 저역통과필터(500b) 및 가변이득 증폭기(502b)로 이루어지는 하이밴드 경로로 나누어진 것이다.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상기 로우밴드 경로 즉,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채널의 RF 신호가 저역통과필터(500a)를 통과하고, AGC 신호에 따라 가변이득 증폭기(502a)에서 이득이 조절된 후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UHF 밴드의 RF 신호를 수신할 경우에 상기 하이밴드 경로 즉, 채널 정보에 따라 해당 채널의 RF 신호가 저역통과필터(500b)를 통과하고, AGC 신호에 따라 가변이득 증폭기(502b)에서 이득이 조절된 후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에서 RF 신호 처리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의 다른 실시 예는 전체 대역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대역통과필터(600)와, 가변이득 증폭기(602a), 저역통과필 터(604) 및 증폭기(606a)로 이루어지는 로우밴드 경로와, 가변이득 증폭기(602b) 및 증폭기(606b)로 이루어지는 하이밴드 경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RF 신호 처리부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대역통과필터(600)가 전체 텔레비전 방송의 RF 신호 즉, 44∼1000㎒의 RF 신호를 통과시킨다.
그리고 상기 대역통과필터(600)를 통과한 RF 신호들 중에서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는 AGC 신호에 따라 가변이득 증폭기(602a)에서 이득이 조절되고, 채널 정보에 따라 저역통과필터(604)를 통과한 후 증폭기(606a)에서 증폭되어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대역통과필터(600)를 통과한 RF 신호들 중에서 UHF 밴드의 RF 신호는 AGC 신호에 따라 가변이득 증폭기(602b)에서 이득이 조절되고, 증폭기(606a)에서 증폭되어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입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에서 복합 믹서 유닛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 믹서 유닛의 다른 실시 예는 제 1 하모닉 제거 믹서(710) 및 제 2 하모닉 제거믹서(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하모닉 제거믹서(710)는 예를 들면 8개의 단위 믹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RF 신호 처리부(400)를 통과한 VHF-L 밴드의 RF 신호와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하는 8개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제 1 하모닉 제거믹 서(710)에 구비된 8개의 단위 믹서가 각기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모닉 제거믹서(720)는 예를 들면 4개의 단위 믹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RF 신호 처리부(400)를 통과한 VHF-H 밴드 및 UHF 밴드의 RF 신호와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410)가 발생하는 4개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제 2 하모닉 제거믹서(720)에 구비된 4개의 단위 믹서가 각기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다른 실시 예는 RF 신호 처리부(400)가 3개의 경로로 RF 신호를 수신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는 VHF-L 밴드, VHF-H 밴드, UHF 밴드 및 L-Band 신호를 처리한다.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는 저역통과필터(802a) 및 가변이득 증폭기(804a)를 통해 처리한다. UHF 밴드의 RF 신호는 제 1 고역통과필터(802b) 및 가변이득 증폭기(804b)를 통해 처리한다. L-Band의 RF 신호는 제 2 고역통과필터(802c) 및 가변이득 증폭기(804c)를 통해 처리한다.
그리고 복합 믹서 유닛(420)은 하나의 하모닉 제거 믹서(820a)와, 제 1 및 제 2 IQ 믹서(820b, 820c)를 구비한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에서 처리된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는 하모닉 제거 믹서(820a)가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와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 신호 처리 부(400)에서 처리된 UHF 밴드의 RF 신호는 제 1 IQ 믹서(820b)가 0° 및 90°의 국부발진신호와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 신호 처리부(400)에서 처리된 L-Band의 RF 신호는 제 2 IQ 믹서(820c)가 0° 및 90°의 국부발진신호와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또 다른 실시 예는 3개의 경로로 RF 신호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RF 필터(902a) 및 가변이득 증폭기(904a)로 이루어지는 로우밴드 경로와, RF 필터(902b) 및 가변이득 증폭기(904b)로 이루어지는 미들밴드 경로와, RF 필터(902c) 및 가변이득 증폭기(904c)로 이루어지는 하이밴드 경로로 RF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복합 믹서 유닛(420)으로 복수의 단위 믹서를 구비하고, 믹서 선택부(900)를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단위 믹서가 선택적으로 동작되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믹서 선택부(900)가 채널 정보에 따라 복합 믹서 유닛(420)에 구비된 복수의 단위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복합 믹서 유닛(420)이 하모닉 제거믹서 또는 IQ 믹서로 동작하게 한다.
예를 들면, 복합 믹서 유닛(420)이 하모닉 제거믹서로 동작되게 할 경우에 상기 믹서 선택부(900)는 복합 믹서 유닛(420)에 구비된 복수의 단위 유닛들 중에서 선택되는 8개의 단위 믹서, 6개의 단위 믹서 또는 4개의 단위 믹서를 동작시켜 하모닉 제거 믹서로 동작되게 한다.
또한 복합 믹서 유닛(420)이 IQ 믹서로 동작되게 할 경우에 상기 믹서 선택부(900)는 복합 믹서 유닛(420)에 구비된 복수의 단위 유닛들 중에서 선택되는 2개의 단위 믹서만을 동작시켜 IQ 믹서로 동작되게 한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방송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광대역 튜너에 관한 것으로서 크기가 작고, 소모전력이 적어 휴대용 텔레비전 수상기나 텔레비전 방송신호의 수신기능이 있는 휴대용 기기에 간단히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캔 튜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하모닉 제거 믹서를 사용하는 칩 튜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멀티 RF 경로와 멀티 IQ 믹서를 이용하는 멀티 밴드 모바일용 튜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에서 RF 신호 처리부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에서 RF 신호 처리부의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에서 복합 믹서 유닛의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광대역 튜너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Claims (12)

  1. 복수의 경로로 텔레비전 방송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처리하는 RF 신호 처리부;
    0° 및 90°를 포함한 복수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
    복수의 단위 믹서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 제거믹서를 포함하여 복수의 단위 믹서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믹서를 구비하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In-phase) 채널 및 Q(Quadrature-phase) 채널의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복합 믹서 유닛; 및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이 생성한 IF 신호를 처리하는 IF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대역 튜너.
  2. 복수의 경로로 텔레비전 방송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RF 신호 처리부;
    0° 및 90°를 포함한 복수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
    복수의 단위 믹서를 포함하고 그 복수의 단위 믹서들 중에서 선택된 단위 믹 서들이 하모닉 제거 믹서 또는 IQ 믹서로 동작하면서 상기 RF 신호 처리부가 처리한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In-phase) 채널 및 Q(Quadrature-phase) 채널의 IF(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를 생성하는 복합 믹서 유닛;
    상기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이 하모닉 제거 믹서 또는 IQ 믹서로 동작되게 하는 믹서 선택부; 및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이 생성한 IF 신호를 처리하는 IF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광대역 튜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채널 정보에 따라 VHF-L 밴드, VHF-H 밴드 및 UHF 밴드의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각기 통과시키는 복수의 RF 필터;
    상기 RF 필터의 출력신호를 AGC(Automatic Gain Control) 신호에 따라 각기 이득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채널 정보에 따라 VHF-L 밴드 및 VHF-H 밴드와, UHF 밴드의 해당 채널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복수의 RF 필터;
    상기 RF 필터의 출력신호를 AGC(Automatic Gain Control) 신호에 따라 각기 이득을 조절하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텔레비전 방송의 전채 대역의 RF 신호를 필터링하는 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RF 신호의 이득을 AGC 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제 1 가변이득 증폭기;
    상기 제 1 가변이득 증폭기의 출력신호에서 채널 정보에 따른 주파수의 RF 신호를 통과시켜 상기 복합 믹서 유닛으로 입력시키는 저역통과필터;
    상기 대역통과필터를 통과한 RF 신호의 이득을 AGC 신호에 따라 조절하여 상기 복합 믹서 유닛으로 입력시키는 제 2 가변이득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은;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멀티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 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하모닉 제거 믹서; 및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UHF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0° 및 90° 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IQ 믹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은;
    8개의 단위 믹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VHF-L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8개의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제 1 하모닉 제거 믹서; 및
    4개의 단위 믹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출력되는 VHF-H 밴드 및 UHF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하는 4개의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를 생성하는 제 2 하모닉 제거 믹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처리부는;
    채널 정보에 따라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저역통 과필터;
    채널 정보에 따라 UHF 밴드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1 고역통과필터;
    채널 정보에 따라 L-Band의 RF 신호를 통과시키는 제 2 고역통과필터; 및
    상기 저역통과필터, 제 1 고역통과필터 및 제 2 고역통과필터의 출력신호의 이득을 AGC 신호에 따라 조절하는 복수의 가변이득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믹서 유닛은;
    RF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VHF-L 밴드 및 VHF-H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하는 하모닉 제거 믹서;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UHF 밴드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0° 및 90°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IQ 믹서; 및
    상기 RF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L-Band의 RF 신호에 상기 멀티 위상 국부발진신호 발생부가 발생한 0° 및 90°위상의 국부발진신호를 믹싱하여 I 채널 및 Q 채널의 IF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IQ 믹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9. 제 1 항, 제 2 항, 제 6 항, 제 7 항 및 제 8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IF 신호는;
    제로(Zero) IF 신호 또는 로우(Low) IF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IF 신호 처리부는;
    필터, 가변 증폭기 및 IQ 에러 보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IF 신호 처리부는;
    주파수 변환기를 포함하여 IF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IF 신호 처리부는;
    상기 IF 신호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처리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튜너.
KR1020080075507A 2008-08-01 2008-08-01 광대역 튜너 KR201000138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07A KR20100013810A (ko) 2008-08-01 2008-08-01 광대역 튜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507A KR20100013810A (ko) 2008-08-01 2008-08-01 광대역 튜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810A true KR20100013810A (ko) 2010-02-10

Family

ID=4208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507A KR20100013810A (ko) 2008-08-01 2008-08-01 광대역 튜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38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38B1 (ko) * 2010-09-06 2012-04-04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시스템 및 수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038B1 (ko) * 2010-09-06 2012-04-04 국방과학연구소 다중 경로 신호 수신 시스템 및 수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4926B1 (en) Analog signal processing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with
US7769359B2 (en) Adaptive wireless receiver
KR101913238B1 (ko) 무선 주파수 수신기 및 수신 방법
CA2590456C (en) Harmonic reject receiver architecture and mixer
US82126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ignal mixing based on high order harmonics
WO2017040904A1 (en) Flexible multi-channel wireless audio receiver system
KR20090075615A (ko) 튜너
WO2012014343A1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れを備えたチューナシステム
US200700197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djacent radio frequency channels simultaneously
CN101170656A (zh) 电视调谐器
US78304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frequency multiplexing in double-conversion receivers
JP2007110696A (ja) アナログ信号処理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通信装置
US20110053544A1 (en) Efficient receiver frequency plan for covering multiple frequency bands
JP2008160629A (ja) 無線受信回路、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受信装置の切替方法
KR20100013810A (ko) 광대역 튜너
TW201008141A (en) Method for reducing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and signal receiver using the same
JP6952040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システム
US20060194557A1 (en) Tuner
US20090186591A1 (en) Receiver
KR100783502B1 (ko) 바이패스 회로를 구비한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수신기.
US20220209797A1 (en) Semiconductor chip and receiving apparatus
JP4755666B2 (ja) 無線通信モジュール
JP5197510B2 (ja) 受信機
KR20130063953A (ko) 튜너 모듈
KR20110051866A (ko) Rf 신호처리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