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3774A -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3774A
KR20100013774A KR1020080075446A KR20080075446A KR20100013774A KR 20100013774 A KR20100013774 A KR 20100013774A KR 1020080075446 A KR1020080075446 A KR 1020080075446A KR 20080075446 A KR20080075446 A KR 20080075446A KR 20100013774 A KR20100013774 A KR 2010001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oor
fixed
hole
die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109B1 (ko
Inventor
김현욱
Original Assignee
김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욱 filed Critical 김현욱
Priority to KR102008007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1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4Low pressure casting, i.e. making use of pressures up to a few bars to fill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4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의 공정에 2개의 도어용 힌지의 생산이 가능함으로써, 도어용 힌지의 제품성형 비용절감 효과와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고, 용탕의 주입시에 분할된 금형의 작동구간으로 용탕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금형의 오작동 및 고장과 금형의 경계면에 경계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체(機體)에 고정되는 고정금형과, 고정금형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작동금형으로 이루어진 도어힌지용 다이케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과 작동금형의 대응부 사이에 형성되어 동시에 2개의 도어용 힌지를 주조하는 주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이케스팅, 도어, 힌지, 주형틀

Description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A hinge die casting device for door }
본 발명은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의 공정에 2개의 도어용 힌지의 생산이 가능함으로써, 도어용 힌지의 제품성형 비용절감 효과와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성형할 수 있고, 용탕의 주입시에 분할된 금형의 작동구간으로 용탕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금형의 오작동 및 고장과 금형의 경계면에 경계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케스팅은 다이 주조라고도 하며, 필요한 주조형상에 완전히 일치하도록 정밀하게 기계 가공된 강제의 금형에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금형과 똑같은 주물을 얻는 정밀주조법으로, 그 제품을 다이케스팅 주물이라고 한다.
이러한 다이케스팅에 의한 방법은 주물의 치수가 정확하므로 다듬질할 필요가 거의 없는 장점 외에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며,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이용되는 금속은 아연, 알루미늄, 주석, 구리 등의 합금이며, 다이케스팅 주조기를 사용하여 공기압, 수압, 유압 등에 의해 용탕(용융금속)을 주입하여 냉각 응고시킴으로서 제품을 주조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케스팅을 이용하여 도어용 힌지를 제작할 경우에는 도어용 힌지 형상을 가지는 금형을 2개로 분리 제작하여 이 2개의 금형을 서로 겹친 후에 밀착부에 주입구를 형성하고, 이 주입구로 용탕을 강제 주입하여 도 1과 같은 형상을 가지는 도어용 힌지가 제조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도어용 힌지를 주조함에 있어 주입된 용탕이 2개의 금형 사이 틈으로 침투하여 도어용 힌지의 중심부에 경계부가 돌출 형성되어 이 경계부를 제거하는 별도의 연마작업 공정이 추가 되게 되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하나의 도어용 힌지를 주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으로써, 많은 양의 주물제품을 생산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단시간내에 많은 양과 고품질의 도어용 힌지 제품을 생산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금형에 고열, 고압의 용탕이 주입되기 때문에 금형 사이로 용탕이 흘러들어 가 용탕의 응고 후에 금형을 분리시킬 때 금형의 맞닿은 부분이 파손되는 등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이케스팅용의 고정금형과 작동금형 중 어느 하나에 도어용 힌지 형상을 갖는 주형을 형성하되 도어용 힌지 형상이 형성된 주형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각각의 주형에 용탕을 주입한 후 응고시키게 되면 도어용 힌지 주조품이 형성됨으로써, 도어용 힌지의 주조품에 경계면으로 인해 경계부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별도의 연마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게 되어 제작비용을 점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도어용 힌지를 주조할 때 금형의 결합부를 주조품의 외측면을 피하여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도어용 힌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한번의 다이케스팅 작업에 의해 2개의 도어용 힌지 주조품을 동시에 주조할 수 있어 종래에 도어용 힌지 주조품을 주조하는 동일 작업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도어용 힌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한번에 2개의 도어용 힌지를 주조함으로써, 주조품의 생산 시간이 단축되고, 이로 인해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체(機體)에 고정되는 고정금형과, 고정금형에 체결되어 동작하는 작동금형으로 이루어진 다이케스팅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과 작동금형의 사이 대응부에 형성되어 동시에 다수개의 도어용 힌지를 주조하는 주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형부는 작동금형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작동금형은 수직, 수평으로 전면이 개방되게 "+"자 형상으로 수평가이드홀과 수직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가이드홀의 중앙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재와 연결되는 연장부재가 중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가이드홀과 수직가이드홀의 양측면 각각에는 슬라이드레일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에는 탕로가 형성되고, 연결부재 중 하단부에 형성된 연장부재에는 통로와 연통되는 중계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형부는 작동금형의 수평가이드홀에 형성된 돌출부재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한쌍의 제1주형틀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홀이 형성된 연장부재의 양측부에 구비되도록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상,하부에 제2주형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형부의 제1주형틀과 제2주형틀에는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가이드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작동금형의 각 모서리부에는 슬라이드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금형에는 제1주형틀과 제2주형틀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되고, 이 안착홀에 가이드핀이 형성되며, 안착홀 바닥면에는 작동금형의 돌출부재와 대응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금형에 형성된 제1주형틀과 제2주형틀의 외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금형의 안착홀에는 제1,2주형틀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제1주형틀과 제2주형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테이퍼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금형에는 작동금형에 형성된 슬라이드핀공에 체결되는 슬라이드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주형틀과 제2주형틀에는 돌출부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는 작동금형에 고정되되, 상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져 제1주형틀 및 제2주형틀에 나사 결합 고정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볼트의 머리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금형에는 작옹금형의 중계구와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동금형에는 다리가 구비되고, 이 다리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는 이젝터판이 구비되고, 이젝터판에는 고정금형을 관통하여 수평가이드홀과 수직가이드홀에 끝단부가 위치되는 이젝터핀이 구비 되며, 상기 이젝터핀을 고정시키되 이젝터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고 고정금형에 체결되어 이젝터판의 동작시 가이드하는 리턴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이케스팅용의 고정금형과 작동금형 중 어느 하나에 도어용 힌지 형상을 갖는 주형을 형성하되 도어용 힌지 형상이 형성된 주형이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고, 각각의 주형에 용탕을 주입 후 응고시키게 되면 도어용 힌지 주조품이 형성됨으로써, 도어용 힌지 주조품에 경계면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별도의 연마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공정을 생략하게 되어 제작비용을 점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어용 힌지를 주조할 때 분할된 금형의 결합되는 위치를 주조품의 표면을 피하여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러운 도어용 힌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의 다이케스팅 작업에 의해 2개의 도어용 힌지 주조품을 동시에 주조할 수 있어 종래에 도어용 힌지 주조품을 주조하는 동일 작업에 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도어용 힌지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한번에 2개의 도어용 힌지를 주조함으로써, 주조품의 생산 시간이 단축되고, 이로 인해 생산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고정금형을 보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금형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가압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가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100)는 기체(機體)에 고정되는 고정금형(110)이 구비되고, 이 고정금형(110)의 전면에 체결되어 동작을 수행하는 작동금형(21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금형(210)은 전면이 개방되게 수직과 수평으로 "+"자 형상이 되게 수평가이드홀(212)과 수직가이드홀(214)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수평가이드홀(212)과 수직가이드홀(214)이 교차되는 중앙부에는 전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재(216)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가이드홀(214)의 중심부 길이 방향, 즉 수직가이드홀(214)을 양측으로 분리되도록 돌출부재(216)와 연결되는 연장부재(217)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재(217)는 돌출부재(216)보다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가이드홀(212)과 수직가이드홀(214)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드레일(218)이 체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216)의 전면에는 탕도(216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재(217) 중 하단부에 형성된 연장부재(217)에는 돌출부재(216)의 탕도(216a)와 연계되어 용탕을 공급하는 중계구(217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금형(210)의 전면 각 모서리부에는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슬라이드핀공(219)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금형(110)은 작동금형(210)의 슬라이드핀공(219)과 동일한 위치, 즉 후면 각 모서리부에 작동금형(210)의 슬라이드핀공(219)에 끼워져 전, 후 왕복 동작을 수행시 고정금형(110)으로부터 작동금형(2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핀(11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금형(110)의 후면에는 수평가이드홀(212)과 수직가이드홀(214)과 대응되게 동일한 안착홀(114)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홀(114)은 후면이 개방되고 좌,우측면과 상,하부면은 밀폐된 상태로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안착홀(114)에는 고정금형(110)의 후면 외측으로 돌출되되, 안착홀(114)의 수평 방향 양측 끝단부와 수직 방향, 즉 수직가이드홀(214)의 사이에 형성된 연장부재(217)의 양측으로 하여 상,하부에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다수개의 슬라이드핀(116)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금형(110)의 하단부에는 작동금형(210)의 중계구(217a)와 연통되어 외부의 용탕을 주입시 중계구(217a)를 통하여 탕도(216a)로 공급되도록 하는 주입구(1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금형(110)의 안착홀(114) 바닥면에는 상기 작동금형(210) 의 돌출부재(216)와 대응되는 지지부재(11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금형(110)과 작동금형(210)이 접촉되는 사이에는 도어용 힌지를 주조하는 주형부(310a,310b)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주형부(310a,310b)는 작동금형(210)의 수평가이드홀(212)과 수직가이드홀(214)에 안착되어 이 수평가이드홀(212)과 수직가이드홀(214)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을 하는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주형(312a,312b)은 도어용 힌지의 몸체 형상이 형성되어 수평가이드홀(212)에 형성된 돌출부재(216)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1주형(312a,312b)은 슬라이드레일(218)에 의해 수평가이드홀(212)로부터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주형(322a,322b)은 도어용 힌지의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아암과 체결축이 형성되도록 수직가이드홀(214)에 형성된 연장부재(217)의 양측부에 구비되되, 이 연장부재(217)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형성되는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상,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주형(322a,322b)은 제1주형(312a,312b)과 동일하게 슬라이드레일(218)에 의해 수직가이드홀(214)로부터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자유롭게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에는 상기 고정금형(110)의 안착홀(114)에 형성된 슬라이드핀(116)이 끼워지되, 이 슬라이드핀(116)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슬라이드핀공(314)(32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금형(210)이 동작함에 따라 상기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이 슬라이드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의 외측면에는 경사면(315)(32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금형(110)의 안착홀(114)에는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의 경사면(315a,315b)(325a,315b)과 동일한 경사면을 가지는 테이퍼부재(119)가 체결 고정된다.
즉, 상기 테이퍼부재(119)는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에 형성된 슬라이드핀공(314)(324)이 형성된 외측 방향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에는 작동금형(210)의 외측 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가압부(4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410)는 작동금형(210)의 외측면에 고정되되, 수평가이드홀(212)과 수직가이드홀(214)이 형성된 외측면에 각각 "L"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부에 관통공(414)이 형성되어 볼트 등 고정수단에 의해 작동금형(210)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부재(412)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412)는 관통공(414)에 끼워져 제1주형(312a,312b) 및 제2주형(322a,322b)에 각각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416)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재(412)와 고정볼트(416)의 머리 사이에는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이 각각 외측으로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탄성부재(41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410)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금형(210)이 동작하여 제1주 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이 수평가이드홀(212)과 수직가이드홀(214) 상에서 슬라이드 동작을 수행할 때 더욱 효과적으로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이 후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금형(210)의 후면 각 모서리부에는 다리부재(230)가 구비되고, 이 다리부재(230)가 고정되는 고정판(232)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232)의 사이에는 이젝터판(234)이 구비되고, 이 이젝터판(234)의 전면에는 작동금형(210)을 관통하여 끝단부가 수평가이드홀(212) 및 수직가이드홀(214)에 위치되게 이젝터핀(236)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이젝터판(234)에 구비되되, 이젝터핀(236)이 고정되는 지지판(238)이 구비되고, 이 지지판(238)에는 이젝터핀(236)이 고정됨과 동시에 작동금형(210)의 후면에 체결되어 이젝터판(234)의 작동시에 가이드 하는 리턴핀(239)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의 내측으로 주입된 용탕이 응고된 후 제1주형(312a,312b) 및 제2주형(322a,322b)으로부터 응고된 주조품을 쉽고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작동금형이 고정금형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작동금형과 고 정금형이 이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100)는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고정금형(110)에 작동금형(210)을 밀착시키게 되면 주형부(310a,310b)의 제1주형(312a,312b) 및 제2주형(322a,322b)이 작동금형(210)의 중앙부로 이동되어 도어용 힌지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도어용 힌지 형상을 유지하는 공간으로 주입구(117)를 통하여 고압으로 용탕을 주입하게 되면 중계구(217a)를 통하여 탕도(216a)로 유입되게 되고, 탕도(216a)로 유입된 용탕은 주형부(310a,310b)의 도어용 힌지 형상으로 형성된 공간부에 채워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주형부(310a,310b)로 주입된 용탕을 응고시킨 후에 작동금형(210)을 고정금형(110)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고정금형(110)에 구비된 슬라이드핀(116)의 가이드 안내에 따라 후퇴하면서 제1주형(312a,312b) 및 제2주형(322a,322b)의 슬라이드핀공(314)(324)에 슬라이드핀(116)이 가이드되고, 이 과정에서 경사지게 형성된 슬라이드핀(116)에 의해 제1주형(312a,312b) 및 제2주형(322a,322b)이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주형(312a,312b)과 제2주형(322a,322b)은 가압부(410)의 가압력에 의해 외측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주형(312a,312b) 및 제2주형(322a,322b)이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에 이젝터판(234)을 동작시키게 되면 이젝터핀(236)이 수평가이드홀(212) 및 수직가이드홀(214) 상으로 돌출되면서 응고된 주조품인 도어용 힌지(500)를 밀 어주게 되어 다이케스팅 장치(100)의 주형부(310a,310b)로부터 주조품이 분리되게 된다.
또한, 주조품을 주형부(310a,310b)로부터 분리 후에는 작동금형(210)을 고정금형(110)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슬라이드핀(116)의 안내에 따라 상기 제1주형(312a,312b) 및 제2주형(322a,322b)에 형성된 슬라이드핀공(314)(324)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1주형(312a,312b) 및 제2주형(322a,322b)을 중앙부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어 도어용 힌지의 형상의 주형부(310a,310b)가 완성되게 된다.
이러한 동일 방법, 즉 작동금형(210)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제1,2주형(312a,312b)(322a,322b)이 고정금형(110)의 중앙부로 슬라이드되어 좁아지거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도어용 힌지 형상의 주형이 완성되고, 완성된 주형에 주입된 용탕이 응고되어 도어용 힌지가 주조된 후에는 용이하게 주형부(310a,310b)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주조된 주조품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도어용 힌지(500)가 주조되게 되고, 이 주조품의 절단부를 절단하게 되면 도어용 힌지(500)의 완제품이 완성되게 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와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주조작업을 수행시에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1개의 도어용 힌지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표면, 특히 금형 간의 접합부에 돌출되는 라인이 형성되어 별도의 연마작업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어용 힌지(500)는 금형의 결합되는 부분이 중앙부에서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용 힌지(500)의 표면이 매끄럽고 한번의 공정으로 2개의 도어용 힌지(500)를 주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도어용 힌지를 주조할 때 많은 양의 도어용 힌지를 주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표면이 매끄러운 도어용 힌지를 주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의 공정에 2개의 도어용 힌지의 생산이 가능함으로써, 도어용 힌지의 제품성형 비용절감 효과와 단시간에 많은 양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고, 용탕의 주입시에 분할된 금형의 작동구간으로 용탕이 스며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금형의 오작동 및 고장과 금형 경계면에 경계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도어용 힌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고정금형을 보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금형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를 보인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압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압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작동금형이 고정금형에 밀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보인 것으로, 작동금형과 고정금형이 이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의해 주조된 주조품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이케스팅 장치 110 : 고정금형
112 : 가이드핀 114 : 안착홀
116 : 슬라이드핀 117 : 주입구
118 : 지지부재 210 : 작동금형
212 ; 수평가이드홀 214 : 수직가이드홀
216 : 돌출부 216a : 탕도
217 : 연장부재 217a : 중계구
218 : 슬라이드레일 219 : 슬라이드핀공
230 : 다리부재 232 : 고정판
234 : 이젝트판 236 : 이젝터핀
238 : 지지판 239 : 리턴핀
312a,312b, 322a,322b : 제1,2주형틀
314, 324 : 슬라이드핀공
410 : 가압부 412 : 고정부재
414 : 관통공 416 : 고정볼트
418 : 탄성부재 500 : 도어용 힌지

Claims (15)

  1. 기체(機體)에 고정되는 고정금형과, 고정금형에 결합되어 동작하는 작동금형으로 이루어진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과 작동금형의 대응부 사이에 형성되어 동시에 2개의 도어용 힌지를 주조하는 주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부는 작동금형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금형은 수직, 수평으로 전면이 개방되게 "+"자 형상으로 수평가이드홀과 수직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가이드홀의 중앙 길이 방향으로 돌출부재와 연결되는 연장부재가 중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가이드홀과 수직가이드홀의 양측면 각각에는 슬라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에는 탕도가 형성되고, 연결부재 중 하단부에 형성된 연장부재에는 통로와 연통되는 중계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부는 작동금형의 수평가이드홀에 형성된 돌출부재를 중심으로 양측면에 서로 대응되게 한쌍의 제1주형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홀에 형성된 연장부재의 양측부에 구비되도록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상,하부에 제2주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부의 제1주형과 제2주형에는 전면을 향하도록 경사진 가이드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금형의 각 모서리부에는 슬라이드핀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에는 제1주형과 제2주형이 안착되는 안착홀이 형성되고, 이 안착홀에 가이드핀이 형성되며, 안착홀 바닥면에는 작동금형의 돌출부재와 대응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금형에 형성된 제1주형과 제2주형의 외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금형의 안착홀에는 제1,2주형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제1주형과 제2주형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된 테이퍼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에는 작동금형에 형성된 슬라이드핀공에 체결되는 슬라이드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형과 제2주형에는 돌출부재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13. 도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작동금형에 고정되되, 상단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공에 끼워져 제1주형 및 제2주형에 나사 결합 고정되는 고정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고정볼트의 머리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다이케스팅 장치.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금형에는 작동금형의 중계구와 연통되는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금형에는 다리가 구비되고, 이 다리부재가 고정되는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판의 사이에는 이젝터판이 구비되고, 이젝터판에는 고정금형을 관통하여 수평가이드홀과 수직가이드홀에 끝단부가 위치되는 이젝터핀이 구비되며,
    상기 이젝터핀을 고정시키되 이젝터판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판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판에 고정되고 작동금형에 체결되어 이젝터판의 동작시 가이드하는 리턴핀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KR1020080075446A 2008-08-01 2008-08-01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KR101028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446A KR101028109B1 (ko) 2008-08-01 2008-08-01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446A KR101028109B1 (ko) 2008-08-01 2008-08-01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774A true KR20100013774A (ko) 2010-02-10
KR101028109B1 KR101028109B1 (ko) 2011-04-12

Family

ID=42087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446A KR101028109B1 (ko) 2008-08-01 2008-08-01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03B1 (ko) * 2019-05-02 2020-03-13 주식회사 동서기공 알루미늄합금 주조성형을 위한 분할형 압탕중자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423B1 (ko) 2019-12-09 2021-01-19 김동식 다이케스팅기의 금형판 면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31564A (ja) * 1984-05-02 1985-11-18 Kyokuto Diecast Kk 内径に中くぼみをもつダイカスト製品鋳造用金型
KR100939966B1 (ko) * 2006-12-11 2010-02-04 평화기공 주식회사 차량 조향장치용 밸브하우징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703B1 (ko) * 2019-05-02 2020-03-13 주식회사 동서기공 알루미늄합금 주조성형을 위한 분할형 압탕중자 및 이를 이용한 주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8109B1 (ko) 201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109B1 (ko) 도어용 힌지 다이케스팅 장치
KR100947381B1 (ko) 다이캐스팅 금형용 코어 이젝팅장치
CN212239140U (zh) 前模隧道行位锁紧结构及压铸模具
KR102398059B1 (ko) 고진공 다이캐스팅 금형
CN218015717U (zh) 一种方便脱膜的压铸模具
CN212329608U (zh) 一种打磨机头壳压铸模具
KR20080053901A (ko) 차량 조향장치용 밸브하우징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90061370A (ko) 다이 캐스팅용 카세트 장치
CN115106506A (zh) 一种稳定性好的多滑块精密高速压铸机
JP2539333B2 (ja) ダイカストホイ―ルの連続鋳造方法及びダイカスト機
JP3158337B2 (ja) 樹脂シャッタの成形金型および成形方法
JP2788669B2 (ja) 中空樹脂製品の製造方法
CN104999626A (zh) 一种同时注塑坐便器坐圈和盖板的注塑模具
CN107096902A (zh) 金属套类零件压铸成型模具
CN210791861U (zh) 一种双型腔注塑模具
CN215144584U (zh) 一种圆弧抽芯机构
CN220482450U (zh) 一种前后限位的前模侧抽芯模具
CN221047268U (zh) 一种后视镜座压铸模具
CN216680151U (zh) 一种稳定性好的多滑块精密高速压铸机
KR20200039414A (ko) 알루미늄 파이프가 인서트되는 고압주조 금형 및 그 제조방법
CN210525706U (zh) 一种异形瓶盖注塑模具
KR200283404Y1 (ko) 자동차용 정밀 주조품의 구멍 막힘 방지기능을 갖는 금형
CN213134965U (zh) 一种发动机缸体模具
JP2014076450A (ja) ナックル用重力鋳造装置及び重力鋳造法
KR101924029B1 (ko) 다이캐스팅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