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997A - 치약압출기 - Google Patents

치약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997A
KR20100012997A KR1020080074473A KR20080074473A KR20100012997A KR 20100012997 A KR20100012997 A KR 20100012997A KR 1020080074473 A KR1020080074473 A KR 1020080074473A KR 20080074473 A KR20080074473 A KR 20080074473A KR 20100012997 A KR20100012997 A KR 2010001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aste
opening
toothpaste tube
closing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2368B1 (ko
Inventor
고준빈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7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36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17Electrical control means for the dispens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4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metering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Abstract

자동으로 치약을 토출시키는 치약압출기에 관해 개시된다. 내측에 치약튜브(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치약튜브(300)을 짜내는 구동장치(4)와,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6)와,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에 칫솔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4)를 구동시키는 동작감지부 및 상기 치약튜브(300)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로 구성된다. 이로써, 치약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고, 자동으로 치약이 인출될 수 있으며,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1020080074473
치약, 감지, 개폐, 압출

Description

치약압출기{Automatic Toothpaste Extruder}
본 발명은 치약압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일정량씩 치약을 짜낼 수 있고, 또한 치약의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커버장치가 구비되어 치약의 건조를 방지하며, 토출구에 칫솔을 대면 자동으로 치약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치약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치약은 연질의 튜브내에 포장되어 판매되며, 튜브에 내장된 치약을 인출시키기 위하여 토출구에 설치된 마개를 제거하고 튜브를 압착하여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튜브에 내장된 치약을 남김없이 알뜰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튜브의 끝단에서부터 압력을 가하여 치약을 인출시키고 인출이 완료된 다음에도 치약이 튜브의 끝단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압력을 제거시키지 않아야만 한다.
이러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1992-0003815호에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압축부재로 치약튜브를 짜주기 위한 나사축만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나사측이 없이 단지 길이방향 의 평래크에 다수의 피니언 기어만으로 치약튜브를 압출할 수 잇도록 한 공지의 치약압출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치약튜브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짜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자재부에 의해 승강차재되고, 상기 치약튜브를 상기 본체내에 보호지지 및 안정화시키는 튜브고정부 및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고정부에 파지된 치약튜브의 개구와 연통하며, 치약을 분쇄하기 위한 치약압출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구동부를 가동시키는 모터구동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구동회로는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순,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기치약압출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1994-0002069호에는 하단부위에 착탈가능한 치약압출 단속부재와, 측면에 착탈가능한 칫솔걸이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위에 설치되며 과부하방지장치를 구비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로 동력을 전달받는 승강자재부재 및, 상기 승강자재부재에 의해 승강자재하면서 치약튜브를 압축시키는 롤러부재와, 상기 치약튜브를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된 치약압출 단속부재의 직상방에 견고히 파지시키는 튜브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치약압출기가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치약을 남김없이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대부분이 장치가 복잡하고, 작용부전의 문제점으로 실용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530527호 「치약압출기」를 선출원한 바 있다.
상기 선출원된 특허등록 10-0530527호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인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내에 안치되는 구동장치와, 상기 하부케이스 중앙일측에 고정되어 치약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되는 판상 형상이며, 상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통공과 하부테두리 일측에 다수개 형성된 화스너로 구비된 상부케이스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특허등록된 제품을 사용해본 결과 치약의 토출구가 밀폐되지 못하여 대기중에 노출됨으로써 토출구의 치약이 말라붙어 제대로 토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치약의 잔량을 외부에서 파악하기가 용이치 않아 교환시기를 미리 예상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밝힌 바 있는 본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 10-0530527호를 개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약의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마개를 구비함으로써 치약의 건조를 방지하고, 토출구에 칫솔을 대면 자동으로 치약이 인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치약압출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된 치약의 잔량을 체크하여 그 수치를 표시창에 표출시킴으로써 보다 쉽고 편하게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치약압출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압출기의 일 실시양태는, 내측에 치약튜브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치약튜브를 짜내는 구동장치와, 상기 치약튜브의 토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와, 상기 치약튜브의 토출구에 칫솔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동작감지부와, 상기 치약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며 스프로켓이 설치된 감속기어부와, 상기 감속기어부의 스프로켓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된 보조스프로켓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체인과, 상기 체인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치약튜브를 하 단부에서부터 짜내도록 하는 압출부재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치약튜브의 토출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케이스의 통공의 외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고, 상기 동작감지부는, 상기 통체부의 상단에 설치되어 칫솔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장치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치약압출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 따르면 치약의 토출구를 폐쇄할 수 있는 개폐장치에 의해 사용하지 않을때는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치약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칫솔을 대면 자동으로 치약이 인출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수납된 치약의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한 장점도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압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압출기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압출기에 대한 측단면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A)는, 내측에 치 약튜브(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치약튜브(300)을 짜내는 구동장치(4)와,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6)와,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에 칫솔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4)를 구동시키는 동작감지부 및 상기 치약튜브(300)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로 구성된다.
이제 상기 언급된 주된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2)는 장방형의 통체로써 내부에는 치약튜브(300)가 수납될 수 있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되고, 상부의 개구부에는 커버(도시되지 않았음)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수납된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가 삽입되는 통공(22)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즉, 상기 커버는 일단에 경첩이 부착되어 상기 케이스(2)에 힌지결합되고, 커버의 타측에 잠금장치가 형성되어 케이스(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잠금장치는 걸고리형태 또는 자석부착 또는 벨크로파스너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의 기술사상이므로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이고, 더구나 본 발명의 주된 특징요소도 아니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4)는, 치약튜브(300)을 짜내기 위한 장치로써,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며 스프로켓(42)이 설치된 감속기어부(43)와, 상기 감속기어부(43)의 스프로켓(4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20)에 설치된 보조스프로켓(44)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체 인(45)과, 상기 체인(45)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치약튜브(300)를 하단부에서부터 짜내도록 하는 압출부재(4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동장치(4)는 앞서 언급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 10-0530527호에 이미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개폐장치(6)는,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가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있으면 끝단의 내용물이 말라붙어 굳어버리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서 '개폐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서 '개폐장치'를 개방시킨 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서 '개폐장치'를 폐쇄시킨 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해보면, 개폐장치(6)는,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케이스(2)의 통공(22)의 외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일종의 마개이다.
상기 개폐장치(6)는 반구형태이며, 외주연의 일측에는 상기 케이스(2)의 통공(22)에 인접되어 축핀(67)이 결합됨으로써 스윙식으로 개폐가능토록 하였다.
특히, 상기 개폐장치(6)는 원터치 개폐수단에 의해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원터치 개폐수단이라 함은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가볍게 밀면 개폐장치(6)가 열리게 되고, 반대로 밀면 즉시 원상태로 돌아와 닫히도록 한 구조로써, 조작에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원터치 개폐수단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현이 가능하거나 또는 자착에 의한 구현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자착에 의한 원터치 개폐수단을 채용하였다.
즉, 자착에 의한 원터치 개폐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공(22)의 주변에 매립된 자석(62)과, 상기 자석(62)에 자착되도록 상기 개폐장치(6)의 내측에 설치된 철판(63)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개폐장치(6) 및 통공(22) 주변에는 칫솔이 근접되면 치약을 짜내어 토출시키기 위한 동작감지부가 더 설치된다.
상기 동작감지부는, 상기 통공(22)의 주변에 설치되어 칫솔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65)와, 상기 광센서(65)의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장치(4)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광센서(65)는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체로 통합된 통합형이 채용됨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광센서(65)에서 칫솔이 근접되었음을 판단하면 그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송하고,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100)는 다시 구동장치(4)의 구동모터(41)를 구동시킴으로써 치약을 짜내어 토출구(310)를 통해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4)의 구동에 의해 토출되는 치약의 양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어부(100)의 마이크로칩에 내장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 적용되는 '잔량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해보면, 상기 잔량표시부는, 케이스(2)의 내부에 수납된 치약튜브(300)의 잔량을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도록 디지털 숫자로 표시창(200)에 표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잔량표시부는, 등간격으로 상기 수용공간(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치약튜브(300)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한쌍의 발광센서(5a) 및 수광센서(5b)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감지센서(51~55)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어 잔량을 숫자로 표출시키도록 케이스(2)에 설치된 표시창(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센서(5a)와 수광센서(5b)는 케이스(2)의 내부 수용공간(20)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체인(45)의 스프로켓(42)과 보조스프로켓(44)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방해물이 없이 발광센서(5a)에서 방사된 빛이 수광센서(5b)로 직접 인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51~55)는 치약튜브(300)를 5등분하여 치약튜브(300)의 하단부에서부터 1번으로 정하고 상단까지 5번으로 정하여 총 5개조의 감지센서(51~55)가 설치됨으로써 20%씩 잔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치약튜브(300)에 의해 발광센서(5a)와 수광센서(5b)의 빛이 차단되다가 치약을 짜냄으로써 치약튜브(300)가 얇아지게 되어 발광센서(5a)와 수광센서(5b)에 상호 빛이 통하게 되면 그변화를 감지하여 잔량을 파악하게 된다.
즉, 최초 1번의 감지센서(51)가 치약이 충전되어 두툼해진 치약튜브(300)에 의해 빛이 차단된 상태였다가 치약의 배출됨에 따라 두께가 얇아져 상호 빛이 통하 게 되면, 그 신호를 제어부(100)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100)는 신호를 받아 이를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표시창(200)에 '80'이라는 숫자로 표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치약이 80%정도 남았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감지센서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표시창(200)은 케이스(2) 또는 커버의 어느 부분에든 설치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커버의 전면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 대한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케이스(2)의 커버를 열고 치약튜브(300)를 수납하되, 토출구(310)가 통공(22)에 끼워지도록 하여 수납한다.
이후, 커버를 닫고 전원을 인가하면 사용 준비 상태가 되며, 이때 표시창(200)에는 '100'이라는 숫자가 표출됨으로써 100%의 잔량이 남아 있음을 표시한다.
이후, 사용자가 개폐장치(6)를 일측으로 밀어 개방시킨 후 칫솔을 토출구(310)에 갖다대면 광센서(65)에서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를 통해 구동장치(4)를 구동시킴으로써 치약이 토출된다.
이후, 칫솔을 떼고 개폐장치(6)를 타측으로 밀어 폐쇄시킨후 양치를 한다.
한편, 치약튜브의 잔량이 줄어들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1번 감지센서(51)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그 감소량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표시창(200)에 표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치약튜브(300)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광센서(65)의 작동불능 상황이 발생되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등록특허 10-0530527호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직접 작동스위치(24)를 온/오프 시켜 치약을 토출시킬 수 있어 사용이 불가능한 상황은 피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압출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압출기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치약압출기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서 '개폐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서 '개폐장치'를 개방시킨 상태에 대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서 '개폐장치'를 폐쇄시킨 상태에 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에 적용되는 '잔량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구성 부호에 대한 설명>
2 : 케이스 4 : 구동장치
6 : 개폐장치 20 : 수용공간
51~55 : 제 1 내지 제 5감지센서 62 : 자석
63 : 철판 65 : 광센서

Claims (5)

  1. 내측에 치약튜브(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치약튜브(300)을 짜내는 구동장치(4)와,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6)와,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에 칫솔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4)를 구동시키는 동작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구동장치(4)는,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며 스프로켓(42)이 설치된 감속기어부(43)와, 상기 감속기어부(43)의 스프로켓(4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20)에 설치된 보조스프로켓(44)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체인(45)과, 상기 체인(45)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치약튜브(300)를 하단부에서부터 짜내도록 하는 압출부재(46)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개폐장치(6)는,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케이스(2)의 통공(22)의 외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감지부는, 상기 통공(22)의 주변에 설치되어 칫솔의 근접여부를 감지하는 광센서(65)와, 상기 광센서(65)의 신호를 받아 상기 구동 장치(4)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6)는 원터치 개폐수단이 더 설치된 것이며, 상기 원터치 개폐수단은, 상기 통공(22)의 주변에 매립된 자석(62)과, 상기 자석(62)에 자착되도록 상기 개폐장치(6)의 내측에 설치된 철판(63)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량표시부는, 등간격으로 상기 수용공간(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치약튜브(300)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한쌍의 발광센서(5a) 및 수광센서(5b)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어 잔량을 숫자로 표출시키도록 케이스(2)에 설치된 표시창(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기.
  5. 내측에 치약튜브(30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치약튜브(300)을 짜내는 구동장치(4)와,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6)와,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에 칫솔이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장치(4)를 구동시키는 동작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며,
    상기 치약튜브(300)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 이며,
    상기 구동장치(4)는, 구동모터(41)와, 상기 구동모터(41)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며 스프로켓(42)이 설치된 감속기어부(43)와, 상기 감속기어부(43)의 스프로켓(4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20)에 설치된 보조스프로켓(44)에 결합된 일정 길이의 체인(45)과, 상기 체인(45)에 결합되어 이동될 수 있어 상기 치약튜브(300)를 하단부에서부터 짜내도록 하는 압출부재(46)로 구성된 것이고,
    상기 개폐장치(6)는, 상기 치약튜브(300)의 토출구(31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상기 케이스(2)의 통공(22)의 외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잔량표시부는, 등간격으로 상기 수용공간(20) 내에 설치되며 상기 치약튜브(300)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한쌍의 발광센서(5a) 및 수광센서(5b)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감지센서와,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되어 잔량을 숫자로 표출시키도록 케이스(2)에 설치된 표시창(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기.
KR1020080074473A 2008-07-30 2008-07-30 치약압출기 KR100992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473A KR100992368B1 (ko) 2008-07-30 2008-07-30 치약압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473A KR100992368B1 (ko) 2008-07-30 2008-07-30 치약압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97A true KR20100012997A (ko) 2010-02-09
KR100992368B1 KR100992368B1 (ko) 2010-11-04

Family

ID=42087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473A KR100992368B1 (ko) 2008-07-30 2008-07-30 치약압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36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463B1 (ko) * 2010-12-30 2013-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모박 관 혈액 배출기
US20140226316A1 (en) * 2013-02-08 2014-08-14 Cree, Inc. Modular led lighting system
CN107021285A (zh) * 2017-06-05 2017-08-08 华北理工大学 单手自动牙膏挤压器
US9822951B2 (en) 2010-12-06 2017-11-21 Cree, Inc. LED retrofit lens for fluorescent tube
US9874333B2 (en) 2013-03-14 2018-01-23 Cree, Inc. Surface ambient wrap light fixture
US10100988B2 (en) 2013-12-16 2018-10-16 Cree, Inc. Linear shelf light fixture with reflectors
US10309627B2 (en) 2012-11-08 2019-06-04 Cree, Inc. Light fixture retrofit kit with integrated light bar
US10584860B2 (en) 2013-03-14 2020-03-10 Ideal Industries, Llc Linear light fixture with interchangeable light engine unit
US10612747B2 (en) 2013-12-16 2020-04-07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Linear shelf light fixture with gap filler elements
CN111003344A (zh) * 2019-12-16 2020-04-14 李姗姗 一种用于软体膏状化妆品袋的挤出装置
US10900653B2 (en) 2013-11-01 2021-01-26 Cree Hong Kong Limited LED mini-linear light engine
EP3808239A1 (en) * 2019-10-18 2021-04-21 Jiangsu Oppeal Daily Cosmetics Corp., Ltd Soap dispenser for use in hotel bathroo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931B1 (ko) 1997-12-24 1999-12-01 윤종용 용지량 측정장치
KR100306068B1 (ko) 1999-03-05 2001-09-26 박선호 치약 압출장치
KR100530527B1 (ko) * 2005-02-16 2005-11-22 고준빈 치약압출기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2951B2 (en) 2010-12-06 2017-11-21 Cree, Inc. LED retrofit lens for fluorescent tube
KR101238463B1 (ko) * 2010-12-30 2013-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헤모박 관 혈액 배출기
US10309627B2 (en) 2012-11-08 2019-06-04 Cree, Inc. Light fixture retrofit kit with integrated light bar
US11162655B2 (en) 2012-11-08 2021-11-02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Modular LED lighting system
US20140226316A1 (en) * 2013-02-08 2014-08-14 Cree, Inc. Modular led lighting system
US10788176B2 (en) * 2013-02-08 2020-09-29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Modular LED lighting system
US10584860B2 (en) 2013-03-14 2020-03-10 Ideal Industries, Llc Linear light fixture with interchangeable light engine unit
US9874333B2 (en) 2013-03-14 2018-01-23 Cree, Inc. Surface ambient wrap light fixture
US10900653B2 (en) 2013-11-01 2021-01-26 Cree Hong Kong Limited LED mini-linear light engine
US10100988B2 (en) 2013-12-16 2018-10-16 Cree, Inc. Linear shelf light fixture with reflectors
US10612747B2 (en) 2013-12-16 2020-04-07 Ideal Industries Lighting Llc Linear shelf light fixture with gap filler elements
CN107021285B (zh) * 2017-06-05 2019-10-18 华北理工大学 单手自动牙膏挤压器
CN107021285A (zh) * 2017-06-05 2017-08-08 华北理工大学 单手自动牙膏挤压器
EP3808239A1 (en) * 2019-10-18 2021-04-21 Jiangsu Oppeal Daily Cosmetics Corp., Ltd Soap dispenser for use in hotel bathroom
US11369233B2 (en) 2019-10-18 2022-06-28 Jiangsu Oppeal Daily Cosmetics Corp., Ltd Soap dispenser for use in hotel bathroom
CN111003344A (zh) * 2019-12-16 2020-04-14 李姗姗 一种用于软体膏状化妆品袋的挤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368B1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368B1 (ko) 치약압출기
EP2108106B1 (en) Electric soap dispenser
US8096445B2 (en) Electric soap dispenser
EP1586340B1 (en) Breast pump
US8087543B2 (en) Electric soap dispenser
US6347724B1 (en) Automatic dispenser apparatus
WO2008087982A1 (ja) 血液検査装置
EP4062955A1 (en) Automatic cleaning and washing device for administering substances to body
JP2006502827A5 (ko)
US5875929A (en) Toothpaste dispensing apparatus
KR200471800Y1 (ko) 디스펜서에 수용된 액체 자동 배출 장치
ES2320544T3 (es) Dispositivo de dosificacion automatica con medios de absorcion del exceso de velocidad del motor.
KR20200135903A (ko) 비접촉식 손소독제 자동 배출장치
KR101496209B1 (ko) 전자식 흡인기
JP2011525627A5 (ko)
KR20100135511A (ko) 자동 치약공급장치
US11230452B1 (en) Smart toilet paper dispenser
KR200273886Y1 (ko) 치약 가압장치
CN107948897B (zh) 听力装置恢复设备、系统及方法
KR200288387Y1 (ko) 치약 인출장치
KR100530527B1 (ko) 치약압출기
CN211154246U (zh) 一种防滴液口灰尘聚集堵塞的液态化妆品
JPH08198219A (ja) 汚物収納容器
KR200349577Y1 (ko) 자동치약압출기
BRPI0903996A2 (pt) processo e dispositivo dosador de creme dental automatiz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