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527B1 - 치약압출기 - Google Patents

치약압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527B1
KR100530527B1 KR10-2005-0012550A KR20050012550A KR100530527B1 KR 100530527 B1 KR100530527 B1 KR 100530527B1 KR 20050012550 A KR20050012550 A KR 20050012550A KR 100530527 B1 KR100530527 B1 KR 100530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oothpaste
fixing
motor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2160A (ko
Inventor
고준빈
윤호진
류시웅
Original Assignee
고준빈
강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준빈, 강형모 filed Critical 고준빈
Priority to KR10-2005-001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5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2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5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5/00Holders or dispensers for soap, toothpaste, or the like
    • A47K5/06Dispensers for soap
    • A47K5/1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 A47K5/122Dispensers for soap for liquid or pasty soap using squeeze bott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04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 B05B11/042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 B05B11/043Deformable containers producing the flow, e.g. squeeze bottles the spray being effected by a gas or vapour flow in the nozzle, spray head, outlet or dip tube designed for spraying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B65D35/285Co-operating squeezing supportin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플라스틱 재질이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인 하부케이스(1)와, 상기 하부케이스(1)내에 안치되는 구동장치(3)와, 상기 하부케이스(1) 중앙일측에 고정되어 치약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0)와, 상기 하부케이스(1)의 상부에 위치되는 판상 형상이며, 상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통공(60)과 하부테두리 일측에 다수개 형성된 화스너(61)로 구비된 상부케이스(2)로 구성된 치약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약압출기 {dentifrice extruding machine}
본 발명은 치약압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또는 수동에 의해 구동되며, 무한궤도로 회전되는 체인에 압출롤러를 설치하여 고정된 치약에 일정한 속도로 체인의 압출롤러가 전진하면서 치약을 일정량 압출하는 치약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연질의 튜브내에 포장되어 판매되며, 튜브에 내장된 치약을 인출시키기 위하여 토출구에 설치된 마개를 제거하고 튜브를 압착하여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튜브에 내장된 치약을 남김없이 알뜰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튜브의 끝단에서부터 압력을 가하여 치약을 인출시키고 인출이 완료된 다음에도 치약이 튜브의 끝단부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압력을 제거시키지 않아야만 한다.
이러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1992-0003815호에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압축부재로 치약튜브를 짜주기 위한 나사축만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나사측이 없이 단지 길이방향의 평래크에 다수의 피니언 기어만으로 치약튜브를 압출할 수 잇도록 한 공지의 치약압출장치에 있어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며 치약튜브를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여 짜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자재부에 의해 승강차재되고, 상기 치약튜브를 상기 본체내에 보호지지 및 안정화시키는 튜브고정부 및 상기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튜브고정부에 파지된 치약튜브의 개구와 연통하며, 치약을 분쇄하기 위한 치약압출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구동부를 가동시키는 모터구동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구동회로는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순,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전기치약압출기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실1994-0002069호에는 하단부위에 착탈가능한 치약압출 단속부재와, 측면에 착탈가능한 칫솔걸이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위에 설치되며 과부하방지장치를 구비한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로 동력을 전달받는 승강자재부재 및, 상기 승강자재부재에 의해 승강자재하면서 치약튜브를 압축시키는 롤러부재와, 상기 치약튜브를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된 치약압출 단속부재의 직상방에 견고히 파지시키는 튜브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전기치약압출기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실1993-0003409호에는 일잔부위에 설치된 치약압출단속부재와, 이 직하방에 설치된 투명커버와, 바닥면에 다수의 흡착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 이 본체의 타단부위에 설치되고 승강자재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하는 승강자재부재 및 전기 승강자재부재에 의해 좌우로 이동자재하면서 치약튜브를 압축시키는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부재의 이동방향 중앙부에 설치되고 치약튜브를 그대로 유지하는 치약지지부재로 구성된 전기 치약압출기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실1990-0002980호에는 압출구의 압압판을 누르면 압압판과 연동되는 치차의 회전으로서 압출롤러를 이동시켜 자동으로 치약이 칫솔에 짜지도록 한 자동치약 압출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74206호에는 칫솔을 압출장치의 내부로 투입시키는 동작만으로 간편하게 일정량의 치약을 치모부에 동일한 두께로 묻힐 수 잇는 치약압출장치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73886호에는 칫솔을 밀어 넣으면 치약용기의 입구를 막고 있는 치약마개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로울러가 하강되어 치약용기가 가압되도록 함으로서 치약이 자동으로 미는 량만큼 짜지도록 구조가 간소화된 치약가압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98300호에는 치약의 후미로부터 압착되어 회전하는 상, 하 2개의 압출롤러를 회전되게 설치하고, 케이스를 누르면 일측 롤러구동축에 조립된 기어리셋트와, 리셋트기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압출하고 기어와 리셋트기어비에 의해 압출롤러의 회전 량을 크고 적게 하여 치약튜브의 압력에 의한 흘러내림을 방지하면서 일정량의 치약을 배출토록 한 치약압출기가 기재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168432호에는 압출레버에 고착된 1차기어 양단에 2차기어 및 스크류를 조절하여 압출레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2차기어와 스크류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스크류 축선상에 너트작동자를 설치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며, 너트 작동자들 사이에 압축롤러를 조합하여 직선운동을 구름운동으로 전환시켜, 종적으로 압출롤러가 치약튜브를 압축하게 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치약절약 균등짜게가 기술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1999-0039341호에는 육면체를 이루는 본체 내에 설치되는 압출로울러와, 이 압축로울러의 동축상에 하나의 피니언을 설치하며, 상기 본체 상면에 치약튜브가 통과되기 위하여 형성한 통과구멍과 상기 본체 내 양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과 이맞춤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레크와 상기 피니언 양측에 원통형 손잡이인 돌리개가 동축적으로 설치되어 형성된 치약압출기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치약을 남김없이 알뜰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그 대부분이 장치가 복잡하고, 작용부전의 문제점으로 실용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하부케이스에 화스너로 밀착 고정시키고, 하부케이스의 홈에 칫솔을 위치시키고, 하부케이스 내부에는 구동장치를 설치하고, 치약 끝단을 하부케이스에 고정된 고정부에 고정시킨 다음, 모터에 의해 체인을 구동시키면, 체인사이에 설치된 압출부를 통해 치약을 압착시켜 치약을 일정량 배출시키는 치약압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명플라스틱 재질이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인 하부케이스(1)와, 상기 하부케이스(1)내에 안치되는 구동장치(3)와, 상기 하부케이스(1) 중앙일측에 고정되어 치약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0)와, 상기 하부케이스(1)의 상부에 위치되는 판상 형상이며, 상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통공(60)과 하부테두리 일측에 다수개 형성된 화스너(61)로 구비된 상부케이스(2)로 구성된 치약압출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부케이스내에 삽입되어 구동되는 구동장치의 체인의 이동은 자동으로 일정시간 세팅된 모터와,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세면장의 일측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정시간 세팅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기술구성은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주요핵심기술이 아니므로 구체적인 기술내용의 기재를 생략하기로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구동장치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구동부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압출부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고정부 상세도, 도7 본 발명의 고정부의 작동상태도, 도8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하부케이스(1), 상부케이스(2), 구동장치(3), 스위치(11), 릴레이(12), 모터 및 변속기 (13), 모터풀리(14), 중간기어풀리(15), 벨트(16), 중간기어(17), 대기어(18), 스프로킷(19), 체인(20), 손잡이(21), 고정부(30), 고정판(31), 상하고정고무판 (32,34),켐(33), 고정판통공(35,36), 압출부(40), 롤러고정기(41), 롤러(42), 치약고정통공링(50), 하부전면홈(51), 칫솔보관홈(52), 손잡이연결통공(53), 화스너 (54,61), 스위치통공(61), 전방스프로킷고정부(70), 제1기어부(80), 제2기어부 (90), 치약(100)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플라스틱 재질이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인 하부케이스(1)와, 상기 하부케이스(1)내에 안치되는 구동장치(3)와, 상기 하부케이스(1) 중앙일측에 고정되어 치약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0)와, 상기 하부케이스(1)의 상부에 위치되는 판상 형상이며, 상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통공(60)과 하부테두리 일측에 다수개 형성된 화스너(61)로 구비된 상부케이스(2)로 구성된 치약압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케이스(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중앙부 일측에 하부에 고정되어 치약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0)와,
전면부중앙에 형성된 하부전면홈(51)과, 상기 하부전면홈(51)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치약고정통공링(50)과, 일측면에 형성되어 칫솔이 삽입되는 칫솔보관홈(52)과, 상기 일측면 후면부에 형성된 손잡이연결통공(52)과, 상기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 형성된 다수개의 화스너(5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3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의 중앙부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 중앙일측에 전후면으로 관통된 고정판통공(35)과, 측면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다른 고정판통공(36)이 구비된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통공(35)에 삽입되는 두 개의 상하고정고무판(32,34)과, 상기 다른 고정판통공(36)에 삽입되어 상부고정고무판(32)을 상하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켐(3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3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켐(33)을 수동으로 작동시켜 상부고정고무판(32)을 상부로 위치시킨 다음, 치약(100)의 끝을 삽입시킨 후에, 켐(33)을 회전시켜 상부고정고무판(32)을 하부로 위치시켜 치약을 고정시켜 사용한 다음, 사용후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역순으로 하여 치약(100)을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케이스(1)에 내장되는 구동장치(3)는 도3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11)와, 상기 스위치(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스위치 (1)와 연결된 릴레이(12)와, 상기 릴레이(12)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릴레이(12)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모터축에 모터풀리(14)가 구비된 모터 및 변속기(13)와, 상기 모터 및 변속기(13)의 전면에 설치되어 벨트(16)에 의해 모터 및 변속기(13)에 연결되며 일측에 중간기어풀리(15)가 구비된 제1기어부(80)와, 상기 제1기어부(80)의 후면에 위치되며 제1기어부(80)와 연결된 제2기어부(90)와,
상기 제2기어부(90)의 양측 끝단에 설치된 두 개의 스프로킷(19)에 연결된 두 개의 체인(20)과, 상기 두 개의 체인(20) 중간부에 설치되어 체인(20)의 이동과 함께 전후진되는 압출부(40)와, 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체인(20)의 다른 끝단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로킷(19)을 고정시키는 두 개의 전방스프로킷고정부 (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어부(80)는 축의 일단에 형성되며 벨트(16)에 의해 모터축의 모터풀리(14)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중간기어풀리(15)와, 축의 다른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21)와, 축의 중간에 위치되며 제2기어부(90)의 대기어(18)와 밀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두 개의 소기어(17)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기어부(90)는 축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어부(80)의 두 개의 소기어(17)와 밀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두 개의 대기어(18)와, 축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로킷(19)과, 상기 두 개의 스프로킷(19)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체인(20)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20)사이에 설치되어 체인(20)의 이동과 함께 전후진되는 압출부 (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형성되며 양끝단 하부에 고정통공(미도시)이 구비된 롤러고정기(41)와, 상기 롤러고정기(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롤러(42)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치약(100)을 상부케이스(2)를 열어 하부케이스(1)에 삽입시키되, 치약 전면부의 배출구는 하부전면홈(51)에 고정된 치약고정통공링(50)에 삽입시키고, 치약끝단을 압출부(40)를 통해 상기 도7 및 도8과 같이 켐(33)을 회전시켜 상부고정고무판(32)을 하부로 위치시켜 고정부(30)에 치약(100)의 끝단을 고정시킨 다음, 상부케이스(2)를 하부케이스(1)의 상부에 위치시켜 화스너(54,60)로 고정시킨 다음, 하부케이스(1)의 일측면에 설치된 칫솔홈(52)에서 꺼내어 칫솔의 치모를 상기 치약배출구에 위치시킨 후에,
상부케이스(2)의 상부로 돌출된 스위치(11)를 ON시키면, 셋팅된 릴레이(12)와, 상기 릴레이(12)의 신호에 따라 모터 및 변속기(13)가 구동되며, 모터축에 모터풀리(14)와 벨트(16)에 연결된 중간기어풀리(15)가 회전되고, 중간기어풀리(15)가 부착된 제1기어부(80)의 중간에 설치된 두 개의 소기어(17)가 회전되며, 동시에 제1기어부(80)의 두 개의 소기어(17)와 밀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두 개의 대기어 (18)가 형성된 제2기어부(90)가 회전되며, 상기 제2기어부(9)의 축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로포킷(19)이 회전되며, 상기 두 개의 스프로킷(19)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체인(20)또한 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두 개의 체인(20) 사이에 설치된 압출부(40)가 함께 전진되어 압출부(40)사이에 삽입된 치약(100)을 압착하여 치약(100)의 전면에 설치된 배출구로 치약(100)이 일정량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두손을 이용하여 치약을 압출하는 번거로움과, 복잡한 구조에 의한 원가상승을 감소시킴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치약압출기를 화장실의 벽면이나 세면장 벽면에 부착하여 자동(원터치) 또는 수동으로 짜지므로 치약의 분실 및 정결을 유지하는 경제적, 위생적인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전체도
도2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상세도
도3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구동장치 상세도
도4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구동부 상세도
도5 본 발명의 압출부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고정부 상세도
도7 본 발명의 고정부의 작동상태도
도8 본 발명의 치약압출기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하부케이스(1), 상부케이스(2), 구동장치(3), 스위치(11), 릴레이(12), 모터 및 변속기(13), 모터풀리(14), 중간기어풀리(15), 벨트(16), 중간기어(17), 대기어 (18), 스프로킷(19), 체인(20), 손잡이(21), 고정부(30), 고정판(31), 상하고정고무판(32,34), 켐(33), 고정판통공(35,36), 압출부(40), 롤러고정기(41), 롤러(42), 치약고정통공링(50), 하부전면홈(51), 칫솔보관홈(52), 손잡이연결통공(53), 화스너(54,61), 스위치통공(61), 전방스프로킷고정부(70), 제1기어부(80), 제2기어부 (90), 치약(100)

Claims (3)

  1. 치약압출기에 있어서,
    투명플라스틱 재질이며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인 하부케이스(1)와, 상기 하부케이스(1)내에 안치되는 구동장치(3)와, 상기 하부케이스(1) 중앙일측에 고정되어 치약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0)와, 상기 하부케이스(1)의 상부에 위치되는 판상 형상이며, 상부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통공(60)과 하부테두리 일측에 다수개 형성된 화스너(61)로 구비된 상부케이스(2)로 구비되며,
    상기 하부케이스(1)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중앙부 일측에 하부에 고정되어 치약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부(30)와, 전면부중앙에 형성된 하부전면홈(51)과, 상기 하부전면홈(51)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치약고정통공링(50)과, 일측면에 형성되어 칫솔이 삽입되는 칫솔보관홈(52)과, 상기 일측면 후면부에 형성된 손잡이연결통공(52)과, 상기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 형성된 다수개의 화스너(54)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30)는 하부케이스(1)의 중앙부 바닥에 고정되며, 상부 중앙일측에 전후면으로 관통된 고정판통공(35)과, 측면 일측에 관통되어 형성된 다른 고정판통공(36)이 구비된 고정판(31)과, 상기 고정판통공(35)에 삽입되는 두 개의 상하고정고무판(32,34)과, 상기 다른 고정판통공(36)에 삽입되어 상부고정고무판(32)을 상하로 이동시켜 고정시키는 켐(3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케이스(1)에 내장되는 구동장치(3)는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11)와, 상기 스위치(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스위치(1)와 연결된 릴레이(12)와, 상기 릴레이(12)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릴레이(12)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모터축에 모터풀리(14)가 구비된 모터 및 변속기(13)와, 상기 모터 및 변속기(13)의 전면에 설치되어 벨트(16)에 의해 모터 및 변속기(13)에 연결되며 일측에 중간기어풀리(15)가 구비된 제1기어부(80)와, 상기 제1기어부(80)의 후면에 위치되며 제1기어부(80)와 연결된 제2기어부(90)와, 상기 제2기어부(90)의 양측 끝단에 설치된 두 개의 스크로킷(19)에 연결된 두 개의 체인(20)과, 상기 두 개의 체인(20) 중간부에 설치되어 체인(20)의 이동과 함께 전후진되는 압출부(40)와, 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체인(20)의 다른 끝단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로킷(19)을 고정시키는 두 개의 전방스프로킷고정부(70)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1)에 내장되는 구동장치(3)는 일측에 형성된 스위치(11)와, 상기 스위치(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스위치(1)와 연결된 릴레이(12)와, 상기 릴레이(12)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릴레이(12)의 신호에 따라 구동되며 모터축에 모터풀리(14)가 구비된 모터 및 변속기(13)와, 상기 모터 및 변속기 (13)의 전면에 설치되어 벨트(16)에 의해 모터 및 변속기(13)에 연결되며 일측에 중간기어풀리(15)가 구비된 제1기어부(80)와, 상기 제1기어부(80)의 후면에 위치되며 제1기어부(80)와 연결된 제2기어부(90)와, 상기 제2기어부(90)의 양측 끝단에 설치된 두 개의 스크로킷(19)에 연결된 두 개의 체인(20)과, 상기 두 개의 체인 (20) 중간부에 설치되어 체인(20)의 이동과 함께 전후진되는 압출부(40)와, 전방부에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체인(20)의 다른 끝단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로킷(19)을 고정시키는 두 개의 전방스프로킷고정부(7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어부(80)는 축의 일단에 형성되며 벨트(16)에 의해 모터축의 모터풀리(14)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중간기어풀리(15)와, 축의 다른 끝단에 형성된 손잡이(21)와, 축의 중간에 위치되며 제2기어부(90)의 대기어(18)와 밀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두 개의 소기어(17)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기어부(90)는 축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기어부(80)의 두 개의 소기어(17)와 밀착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두 개의 대기어(18)와, 축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두 개의 스프로킷(19)과, 상기 두 개의 스프로킷(19)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두 개의 체인(20)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체인(20)사이에 설치되어 체인(20)의 이동과 함께 전후진되는 압출부 (40)는 상부에 형성되며 양끝단 하부에 고정통공(미도시)이 구비된 롤러고정기 (41)와, 상기 롤러고정기(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롤러(42)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인(20)사이에 설치되어 체인(20)의 이동과 함께 전후진되는 압출부(40)는 상부에 형성되며 양끝단 하부에 고정통공(미도시)이 구비된 롤러고정기(41)와, 상기 롤러고정기(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두 개의 롤러(42)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압출기.
KR10-2005-0012550A 2005-02-16 2005-02-16 치약압출기 KR100530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550A KR100530527B1 (ko) 2005-02-16 2005-02-16 치약압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550A KR100530527B1 (ko) 2005-02-16 2005-02-16 치약압출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039U Division KR200349317Y1 (ko) 2004-02-17 2004-02-17 치약압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160A KR20050082160A (ko) 2005-08-22
KR100530527B1 true KR100530527B1 (ko) 2005-11-22

Family

ID=37268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550A KR100530527B1 (ko) 2005-02-16 2005-02-16 치약압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68B1 (ko) * 2008-07-30 2010-11-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약압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3344B (zh) * 2019-12-16 2023-01-13 中芝堂药业(山东)有限公司 一种用于软体膏状化妆品袋的挤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368B1 (ko) * 2008-07-30 2010-11-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약압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2160A (ko) 2005-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6056A (en) Automatic soap dispensing device
US5611465A (en) Automatic toilet bowl cleaner
KR100530527B1 (ko) 치약압출기
CN201920614U (zh) 具提示功能的自动给皂机
KR200349317Y1 (ko) 치약압출기
CN104889085A (zh) 一种手持式多功能贴纸去除机
CN108746049B (zh) 一种物料清洗设备
CN210285204U (zh) 一种自动挤牙膏装置
CN211049674U (zh) 多功能电动牙刷
CN109573400B (zh) 一种智能太阳能自动清洁垃圾箱的底座
KR200273886Y1 (ko) 치약 가압장치
CN112617713B (zh) 一种组合式家用仪器
CN205652589U (zh) 一种智能牙膏盒
KR940002786B1 (ko) 치약 자동 압출장치
CN111973037A (zh) 一种智能节能洗手器
CN217610948U (zh) 一种拖把清洗装置
KR100666333B1 (ko) 치약 토출기
CN215605232U (zh) 一种智能米桶
CN204564644U (zh) 一种分体式电凝镊的镊尖消毒甩干支座
CN212711745U (zh) 一种牛羊饲料生产用防粘结料斗
CN217185776U (zh) 一种清理方便的智能烤面包机
CN216266986U (zh) 一种开炼机自动下料辅助装置
CN215016577U (zh) 一种手自一体皂液机
US6662381B1 (en) Automated toilet plunging apparatus
KR100302010B1 (ko) 냉면반죽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