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992A -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992A
KR20100012992A KR1020080074457A KR20080074457A KR20100012992A KR 20100012992 A KR20100012992 A KR 20100012992A KR 1020080074457 A KR1020080074457 A KR 1020080074457A KR 20080074457 A KR20080074457 A KR 20080074457A KR 20100012992 A KR20100012992 A KR 20100012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deo signal
signal processing
signal
ima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우
김기홍
노창균
강윤식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7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2992A/ko
Publication of KR20100012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임의의 사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와, 검출된 영상 신호의 전체 화소 영역 중 일부 화소 영역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만 명암비를 개선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 영역인 일부 영역만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명암비를 개선시킴으로써, 관심 영역의 화상을 보다 세밀하게 나타낼 수 있다.
열상 장치, 히스토그램 평활화

Description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Infrared Thermal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외선 열상 장치(Infrared Thermal Imag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의 전체 화소 영역 중 관심 영역인 일부 화소 영역에 대해서만 명암비 개선을 행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적외선 열상 장치는 물체와 배경의 온도차에 의한 복사 에너지(적외선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그 복사 에너지는 보통 물체가 갖는 온도차를 음영 계조 즉, 명암에 대한 계조(Gray level)(또는 화소값)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런 열상 장치는 반도체 기술과 신호 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군사적 뿐만 아니라, 산업계, 의료계 등 다양한 분야로 그 응용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일반적인 적외선 열상 장치의 감지되는 영상 신호는 음영 계조의 분포에 따라 재구성되며, 하늘 배경과 노면 배경이 함께 있는 경우 명암에 따른 대조비가 너무 커 관심영역을 자세히 나타내기 어렵다. 특히 야간 차량 운행시 적외선 열상 장 치가 운전자용으로 사용되어 도로를 감시하는 경우, 위협 물체, 노면 가장자리와 물 웅덩이등에 대한 위치정보는 안전 운행에 필수적인 사항이 된다. 그러나, 온도차가 큰 하늘 배경과 노면이 함께 있는 경우는 화면상으로 표시할 때, 명암에 따른 대조비 즉 명암비가 너무 커 노면을 세밀하게 나타내기 어렵다. 이 경우, 운전자의 노면과 같은 부분인 관심 영역을 보다 세밀하게 나타내어, 위협 물체 및 웅덩이 등을 화면상 보다 자세하게 표시함으로써 사고 방지를 위한 영상 처리방법이 요구된다.
여기서, 명암비(대조비; contrast ratio)란 텔레비전, 팩시밀리, 컴퓨터 모니터 등의 화상에 있어서, 가장 밝은 부분과 가장 어두운 부분과의 음영 계조 차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감지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 영역인 일부 화소 영역만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명암비를 개선시킴으로써, 관심 영역의 화상을 보다 세밀하게 나타내는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 신호 처리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열상 장치는, 임의의 사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와, 적외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영상 신호의 전체 화소 영역 중 일부 화소 영역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만 명암비를 개선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 영상신호 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한다.
이 때, 적외선 검출부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감지부, 적외선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및 A/D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1 프레임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 출력부는, 영상신호 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2 프레임 메모리부, 제2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신호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및 D/A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화소영역은 일정한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따라 설정된 기준 복잡도보다 큰 복잡도를 갖는 화소영역이며, 상기 복잡도는 상기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대해 화소값에 의한 표준 편차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영상 신호처리부는, 상기 일부 화소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histogram equalization method)을 적용하여 명암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영상신호 처리부는, 화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불균일 보정, 결점 보상, 또는 잡음제거 중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를 더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검출부, 영상 신호 처리부, 영상 출력부를 구비한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은, 적외선 검출부에 의해 임의의 사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과, 검출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이용하여 전체 화소영역 중 일부 화소영역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만 명암비를 개선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공정과,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 때,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은, 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적외선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공정,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공정,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제1 프레임 메모리부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출력하는 공정은, 제2 프레임 메모리부에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공정,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 영상 신호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D/A 변환부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공정 및,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특히, 신호처리를 행하는 공정은, 일부 화소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histogram equalization method)을 적용하여 명암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화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불균일 보정, 결점 보상, 또는 잡음 제거 중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감지되는 적외선 영상 신호에 대해 사용자의 관심 영역인 일부 화소 영역만 영상 신호 처리를 행하여 명암비를 개선시킴으로써, 관심 영역의 화상을 보다 세밀하게 나타내는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상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열상 장치는, 임의의 사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100)와, 적외선 검출부(100)에 의해 검출된 영상 신호의 전체 화소 영역 중 일부 화소 영역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만 명암비를 개선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부(200)와, 영상신호 처리부(200)에 의해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300)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검출부(100)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감지부(110)와, 적외선 감지부(11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130) 및 A/D 변환부(130)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1 프레임 메 모리부(150)로 구성된다.
또한, 영상 출력부(300)는, 영상신호 처리부(200)에 의해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2 프레임 메모리부(350), 제2 프레임 메모리부(350)에 저장된 영상 신호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330) 및 D/A 변환부(330)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310)를 포함한다.
이 때에, 일부 화소영역은 일정한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따라 설정된 기준 복잡도보다 큰 복잡도를 갖는 화소영역을 나타내며, 그 복잡도는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대해 화소값에 의한 표준 편차에 근거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의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따라 복잡도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도 2에서는 야간의 어느 도로의 한 이미지를 나타낸다. 이 때, 하늘 영역과 땅영역에 대해 블록단위 화소영역(250 또는 260)(도시된 예에서는 8×8 화소영역)의 화소 값에 의한 평균값을 구한 후, 표준 편차를 구하면, 하늘 영역의 화소 영역(250)은 대부분 "0"에 가까운 값을 가져 복잡도가 적은 것을 알 수 있고, 땅 영역의 화소 영역(260)은 하늘 영역에 비해 복잡도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열상 장치는 일정한 블록단위의 화소영역에서 화소값에 의한 표준 편차에 근거하여 복잡도를 계산하고, 각각의 화소 영역의 복잡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복잡도보다 큰 화소영역에 대해서만 명암에 따른 대조비(명암비)를 개선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게 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기준 복잡도는 적용하고자 하는 용도 및 성능을 고려하고, 실험에 의한 설정값으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영상 신호처리부(200)는, 명암비를 개선하기 위해 일부 화소영역(즉,복잡도가 기준 복잡도보다 큰 화소 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histogram equalization method)을 적용하여 명암비를 개선한다.
일반적으로 한 장의 디지털 영상 신호는 수 십만개 화소(예로써, 640 × 480)로 이루어진다. 각 화소값은 0에서 4095개(12비트)계조를 가진다. 이 때, 히스토그램은 한 장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서 동일한 화소값(음영 레벨값)을 가진 개수로 나타낸 그래프를 의미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 영상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값 즉 영상 밝기의 분포가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체의 인식이 어렵다. 이를 위해 명암비 개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여기서, 그래프의 가로축은 화소값(gray level)을 나타내며, 세로축은 화소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4(a)는 도 3의 영상에 대한 명암비가 개선된 히스토그램을 나타내고, 도 4(b)는 도 4(a)에 적용된 영상 변환 그래프를 나타낸다. 즉, 도 3의 히스토그램을 갖는 영상이 도 4(a)와 같은 히스토그램을 갖는 영상으로 변환(명암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 4(b)와 같은 변환 유형을 가져야 한다. 이와 같은, 입력값에 대한 대응 출력값으로 변환하도록 실시간 신호 처리를 위해서는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RAM으로 처리하는 방식인 룩-업 테이블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입력된 화소값이 1024이면 125의 대응 출력값으로 변환하고, 입력된 화소값이 500이면 50 의 대응 출력값으로 변환한다. 또한, 영상의 화질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해 도 4(b)의 영상 변환 그래프의 기울기 구간을 영상의 특성에 따라 변환한다. 일반적으로 도 4(b)의 b1 및 b2값은 영상의 평균에서 표준편차를 더하거나 뺀 값을 나타내게 된다. 영상 화소의 평균값 및 표준 편차값은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담당하게 된다. 이와 같은 대조비 개선 방식을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이라 한다.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영상(신호처리를 하지 않은 영상)을 나타내고, 도 5(b)는 도 5(a)의 원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나타내고, 도 6(a)는 도 5(a)의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이 적용된 영상을 나타내고, 도 6(b)는 도 6(a)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5(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가지의 화소값(음영 레벨)구간에만 분포되어 있으나,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을 적용하여 전체적인 화소값 구간에 대해 분포되게 함으로써, 보다 두드러진 다시 말해, 보다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은 영상이 어두운 영역으로 밀집되어 있거나, 밝은 부분으로 밀집되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또한, 영상 신호처리부(200)는 화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불균일 보정, 결점 보상, 또는 잡음제거 중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를 더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열상 장치에 있어서, 검출된 영상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는 필수적이며 영상 신호처리부(20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불균일 보정이란, 일반적으로 열상 장치의 영상 센서인 적외선 검출부(100)는 주변 사물과 온도차에 의한 출력 신호인 전압 또는 전류값을 출력한다. 그러나 같은 온도를 가진 물체에 대해 검출부의 출력값이 다르게 나타나서 영상이 균일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에 검출부의 출력단을 조정하여 균일한 영상으로 보이게 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또한, 결점 보상이란, 일반적인 열상 장치의 적외선 검출부는 예로써, 320 × 240 화소, 즉 76,800화소로 만들어진 센서 배열이다. 그러나 센서 제조 과정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소가 결점을 가져 센서 이상 현상 또는, 출력이 나오지 않는 현상을 갖게 되는 경우, 이상이 생긴 화소 주변 값을 이용하여 이상이 생긴 화소값을 보상해 주는 기법을 의미한다.
잡음 제거란, 적외선 영상은 잡음(noise)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프레임 적분을 사용한다. 프레임 적분은 과거 프레임 영상 화소와 현재 프레임 영상 화소에 가중치(α)와 (1-α)를 곱하여 잡음을 없앤다. 즉, 현재의 영상 입력화소 값 x(n)을 프레임 적분한 화소값 y(n)은 다음의 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n) = (1-α)·x(n-1) + αx(n) .........식 (1)
(여기서, x(n-1)은 한 프레임 이전의 화소값을 나타내고, α는 계수로서 0에서 1까지의 값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은, 크게 적외선 검출부(100)에 의해 임의의 사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S 100)과, 검출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200)를 이용하여 전체 화소영역 중 일부 화소영역의 영상 신호에 대해 서만 명암비를 개선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공정(S 200)과,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영상 출력부(300)를 통해 출력하는 공정(S 3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S 100)은, 적외선 감지부(110)를 통해 상기 적외선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공정(S 110),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A/D 변환부(130)를 통해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공정(S 130),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제1 프레임 메모리부(150)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공정(S 150)을 포함한다.
또한, 신호 처리를 행하는 공정(S 200)은, 감지된 적외선의 영상 신호에 따라 전체 화소영역에 대해 일정한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근거한 각 블록단위의 화소영역의 복잡도를 영상신호 처리부(200)에 의해 계산하고, 그 후에 계산된 블록 단위의 해당 화소영역의 복잡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복잡도보다 큰 복잡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 210). 그 때에, 기준 복잡도보다 큰 복잡도를 갖는 각 블록단위의 화소영역의 경우에는 명암비를 개선하는 신호처리를 행하고(S 250), 기준 복잡도 이하의 복잡도를 갖는 각 블록단위의 화소 영역의 경우에는 신호처리를 행하지 않는 즉, 현상태를 유지한다(S 230).
또한, 영상 출력부(300)를 통해 출력하는 공정(S 300)은, 제2 프레임 메모리부(350)에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공정(S 310),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 영상 신호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D/A 변환부(330)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공정(S 330) 및,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부(310)에 표시하는 공정(S 350)을 포함한다.
특히, 신호처리를 행하는 공정(S 200)은, 일부 화소영역(즉, 기준 복잡도보다 큰 복잡도를 갖는 블록단위의 화소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histogram equalization method)을 적용하여 명암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화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불균일 보정, 결점 보상, 또는 잡음 제거 중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공정를 더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에 대한 명암비 개선 전 영상(a) 및 개선 후 영상(b)에 대한 비교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전 영상(a) 보다 명암비가 개선된 개선 후 영상(b)이 관심영역이 되는 노면에 대해 노면의 가장자리 및 도로의 윤곽 등을 보다 세밀하게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과 실시예를 가지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서, 청구범위를 한정하도록 이해해서는 아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상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의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따라 복잡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에 의해 감지된 적외선 영상의 히스토그램.
도 4(a)는 도 3의 영상에 대한 대조비가 개선된 히스토그램이며, 도 4(b)는 도 4(a)에 적용된 영상 변환 그래프.
도 5(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원 영상(신호처리를 하지 않은 영상)을 나타낸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원 영상에 대한 히스토그램.
도 6(a)는 도 5(a)의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이 적용된 영상을 나타낸 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히스토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관심영역 대조비 개선 방법의 흐름도.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에 대한 대조비 개선 전 영상(a) 및 개선 후 영상(b)에 대한 비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적외선 검출부 110 : 적외선 감지부
130 : A/D 변환부 150 : 제1 프레임 메모리부
200 : 영상신호 처리부 300 : 영상 출력부
310 : 표시부 330 : D/A 변환부
350 : 제2 프레임 메모리부

Claims (14)

  1. 임의의 사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검출부;
    상기 적외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영상 신호의 전체 화소 영역 중 일부 화소 영역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만 명암비(contrast ratio)를 개선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를 구비한 적외선 열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검출부는,
    상기 적외선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적외선 감지부;
    상기 적외선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A/D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1 프레임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출력부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에 의해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제2 프레임 메모리부;
    상기 제2 프레임 메모리부에 저장된 영상 신호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상기 D/A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화소영역은 일정한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따라 설정된 기준 복잡도보다 큰 복잡도를 갖는 화소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잡도는 상기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대해 화소값에 의한 표준 편차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처리부는,
    상기 일부 화소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histogram equalization method)을 적용하여 명암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는,
    화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불균일 보정, 결점 보상, 또는 잡음제거 중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를 더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
  8. 적외선 검출부, 영상 신호 처리부, 영상 출력부를 구비한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검출부에 의해 임의의 사물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
    검출된 영상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 처리부를 이용하여, 전체 화소영역 중 일부 화소영역의 영상 신호에 대해서만 명암비를 개선하는 신호 처리를 행하는 공정;
    상기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상기 영상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신호를 검출하는 공정은,
    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상기 적외선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공정;
    검출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A/D 변환부를 통해,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 하는 공정;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제1 프레임 메모리부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공정은,
    제2 프레임 메모리부에, 상기 신호 처리가 행해진 영상 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공정;
    상기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 영상 신호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D/A 변환부를 통해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공정;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화소영역은 일정한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따라 설정된 기준 복잡도보다 큰 복잡도를 갖는 화소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잡도는 상기 블록단위 화소영역에 대해 화소값에 의한 표준 편차에 근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를 행하는 공정은,
    상기 일부 화소영역에 대해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histogram equalization method)을 적용하여 명암비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를 행하는 공정은,
    화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불균일 보정, 결점 보상, 또는 잡음 제거 중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열상 장치를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KR1020080074457A 2008-07-30 2008-07-30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KR20100012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457A KR20100012992A (ko) 2008-07-30 2008-07-30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457A KR20100012992A (ko) 2008-07-30 2008-07-30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992A true KR20100012992A (ko) 2010-02-09

Family

ID=4208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457A KR20100012992A (ko) 2008-07-30 2008-07-30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299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026B1 (ko) * 2013-10-14 2013-12-09 (주)유디피 열화상 카메라 가시성 개선 방법 및 장치
WO2014185714A1 (ko) * 2013-05-15 2014-11-2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화질 개선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7380B1 (ko) * 2013-05-15 2014-12-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화질 개선 방법 및 그 장치
US9189863B2 (en) 2012-06-25 2015-11-17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otion capable of removing shadow by heat
KR20160037479A (ko) * 2014-09-29 2016-04-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열상 영상 명암비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영상 처리 장치
KR20180060116A (ko) * 2016-11-28 2018-06-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90077688A (ko) * 2017-12-26 2019-07-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열화상 영상처리장치 및 열화상 영상처리방법
KR102093917B1 (ko) * 2019-07-03 2020-03-2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열 영상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193973B1 (ko) * 2019-07-16 2020-12-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표적 탐지를 위한 비행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9863B2 (en) 2012-06-25 2015-11-17 Postech Academy-Industry Found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motion capable of removing shadow by heat
WO2014185714A1 (ko) * 2013-05-15 2014-11-20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화질 개선 방법 및 그 장치
KR101467380B1 (ko) * 2013-05-15 2014-12-0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 영상 화질 개선 방법 및 그 장치
KR101339026B1 (ko) * 2013-10-14 2013-12-09 (주)유디피 열화상 카메라 가시성 개선 방법 및 장치
KR20160037479A (ko) * 2014-09-29 2016-04-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열상 영상 명암비 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상 영상 처리 장치
KR20180060116A (ko) * 2016-11-28 2018-06-0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자 검출 장치 및 방법
KR20190077688A (ko) * 2017-12-26 2019-07-04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열화상 영상처리장치 및 열화상 영상처리방법
KR102093917B1 (ko) * 2019-07-03 2020-03-26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열 영상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102193973B1 (ko) * 2019-07-16 2020-12-2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표적 탐지를 위한 비행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12992A (ko) 적외선 열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영상신호 처리방법
JP4221434B2 (ja) 輪郭補正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表示装置
US8339518B2 (en) Video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histogram
US8160387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software for image processing
US8660352B2 (en) Quality assessment of images with extended dynamic range
US2008025275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3669542B1 (en) Bit-depth efficient image processing
JP2009071621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9311561B2 (en) Histogram equalization apparatus using histogram compression
JP2006311162A (ja) 映像処理装置
KR101874738B1 (ko) 영상처리를 이용하여 ldr 영상으로부터 hdr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8072450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564884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KR101937249B1 (ko) 열상카메라의 영상 잡음 레벨에 기반한 대조비 향상 기법 및 장치
JP2010232892A (ja) スレッショルド関数制御型ウェーブレットシュリンケージ雑音除去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049226B1 (en) Median based frequency separation local area contrast enhancement
KR101642034B1 (ko) 입력 영상의 동적 범위를 변환하는 방법 및 장치
EP35107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high dynamic range digital double sampling
JP2017130799A (ja) 画像処理装置
JP5860298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550090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WO2010116522A1 (ja) 画像処理装置、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および表示装置
KR101726868B1 (ko) 히스토그램 분석에 의한 착시 효과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WO2010150687A1 (ja) 画像処理装置、x線画像診断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Narasimha et al. A real-time high dynamic range HD video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