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2127A -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2127A
KR20100012127A KR1020080073332A KR20080073332A KR20100012127A KR 20100012127 A KR20100012127 A KR 20100012127A KR 1020080073332 A KR1020080073332 A KR 1020080073332A KR 20080073332 A KR20080073332 A KR 20080073332A KR 20100012127 A KR20100012127 A KR 20100012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setting
block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장성호
Original Assignee
윤경호
장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70076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753B1/ko
Application filed by 윤경호, 장성호 filed Critical 윤경호
Priority to KR1020080073331A priority patent/KR101094604B1/ko
Priority to KR1020080073332A priority patent/KR20100012127A/ko
Priority to CN2008801012899A priority patent/CN101784214B/zh
Priority to JP2010519149A priority patent/JP2010535061A/ja
Priority to PCT/KR2008/004426 priority patent/WO2009017357A1/en
Priority to US12/671,185 priority patent/US20100301651A1/en
Priority to EP08792947A priority patent/EP2178418A1/en
Publication of KR20100012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3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coi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복수개의 지지축(300)과, 상기 지지축(300)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하우징(110)과, 상기 각 하우징(110)에 삽입되고 양 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126)이 형성된 지지블록(120)과, 상기 지지블록(12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22)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양 측면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축(300)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에는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고정돌기(321)가 형성된 한 쌍의 설정블록(320)과, 상기 설정블록(320)을 탄력 지지하는 설정 스프링(324)과, 상기 설정블록(320)에 와이어(330)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레버(340)와, 상기 회전레버(340)가 힌지(373)를 매개로 설치되고 일면에는 설정홈(372)과 해제홈(371)이 형성된 지지판(370)과, 상기 회전레버(340)에 지지스프링(351)을 매개로 탄력 설치된 작동레버(350)와, 상기 작동레버(3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정홈(372) 또는 해제홈(37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설정핀(360)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의자, 등받이, 메모리, 지지블록, 스프링, 척추

Description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Memory apparatus for the back of a chair}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 사용자의 상체를 받쳐주는 등받이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개의 지지블록에 의해서 사용자의 상체(등허리부분)에 긴밀히 접촉될 수 있도록 등받이의 형상을 유지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휴식을 취하거나 직장인이나 학생들이 사무실 또는 가정에서 각종 작업을 행할 경우 신체를 편안한 자세로 착석하는 신체 거치수단으로, 휴식을 취하거나 작업 등에 적합하도록 등받이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른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어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자는 통상 등받이와 안착판 및 받침다리가 상호 일체화된 단순 고정 구조를 취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굴곡에 적절하게 대응되지 못하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바, 장시간 착석시 의자 배김현상 내지 허리 통증과 같은 사용상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단순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기능 성 의자들이 양산, 보급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상체를 편안하게 받쳐줄 수 있는 등받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인체의 상체(척추 구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된 골반에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허리뼈(요추), 등뼈(흉추) 및 목뼈(경추)로 크게 구분된다.
그리고, 척추는 모두 26개의 뼈(경추 : 7, 흉추 : 12, 요추 : 5, 천골 : 1)로 구성되며, 성인의 척추길이는 약 71~75Cm이고, 뼈와 뼈 사이에는 추간원판(디스크) 이라는 섬유성 연골이 뼈와 뼈를 보호하고 있다.
또한, 척추를 측면에서 보면 "S"형태로 휘어져 있고, 이를 만곡이라 하는데 성인의 경우에는 4군데가 휘어져 있으며, 목부분 만곡은 선천적이며 허리의 만곡은 생후 1년경 걸음마를 시작하는 시기에 형성된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보급과 노동형태의 변화는 인간으로 하여금 의자에 앉아 있는 시간을 증가시키고 있으며, 미국의 웰즈는 자세를 극단적인 형으로 분류하여 인류형(人類型)과 유인형(類人型)으로 나누고 있으며, 문명의 발달과는 반대로 유인형의 자세로 퇴화되어 가고 있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다.
현재는 서 있는 자세보다도 장시간을 보내는 의자에 앉은 자세가 더 중요시 되고 있다.
왜냐하면 서 있을 때의 자세는 자기 의사로 조절이 되나 의자에 앉았을 때는 자기의 의사보다는 인공적인 요소에 지배되므로 편한 자세로 앉을 수 있는 의자의 선택이 필요하다.
이때에는 좌판의 높이, 깊이 및 경사 그리고 등받이의 경사, 만곡부 등이 중요하다.
먼저, 좌판의 높이는 하퇴의 길이와 일치되는 것으로 대퇴부가 수평이 되거나 무릎이 다소 높아지는 것이 좋고, 이보다 높으면 허리의 신근(伸筋)이 작용하게 되므로 피로하기 쉽다.
깊이는 대퇴부의 길이보다 다소 짧지 않으면 무릎 후면이 압박되고 오랜 시간에는 하지의 혈행장애를 일으킨다.
경사는 사무용은 3∼5ㅀ, 휴식용은 15ㅀ 정도가 적당하다. 등받이는 사무용은 100∼110ㅀ, 휴식용은 115∼130ㅀ가 좋다.
등받이의 만곡부는 서 있을 때의 요부(腰部)의 만곡부보다 완만해야 한다. 왜냐하면, 만곡부가 강할 때는 추간판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므로 허리가 피로하기 쉽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등받이의 내부에 쿠션을 내장하여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거나, 상체와 유사한 형태로 굴곡되게 성형된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일명 : 하이펙 의자)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등받이 중 쿠션이 내장된 등받이는 사용자에게 어느 정도 안락감을 제공할 수는 있지만, 장기간 사용시 쿠션이 압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굴곡되게 성형된 등받이의 경우에는 그 굴곡이 사용자의 상체와 일치하지 못하여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의 피로감이 증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상체 굴곡과 일치되도록 등받이에 내장된 복수개의 지지블록을 이동시킨 후 그 굴곡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블록을 고정하여 장시간 사용시에도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함은 물론,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는 복수개의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하우징과, 상기 각 하우징에 삽입되고 양 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된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 측면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축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에는 고정홈에 끼워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설정블록과, 상기 설정블록을 탄력 지지하는 설정 스프링과, 상기 설정블록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가 힌지를 매개로 설치되고 일면에는 설정홈과 해제홈이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회전레버에 지지스프링을 매개로 탄력 설치된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정홈 또는 해제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설정핀을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본 발명은 등받이에 내장된 복수개의 지지블록이 출몰되면서 사용자의 신체 만곡과 일치되도록 등받이 표면에 굴곡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장시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자의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고정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굴곡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여기에서 참조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의자 등받이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지지축(300)이 마련되어 있되, 그 지지축(300)은 이후에 설명할 하우징(11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4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지축(300)에는 복수개의 하우징(110)이 삽입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110)에는 지지축(300)이 끼워지는 끼움공(111)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개의 하우징(110)을 적층할 때에는 끼움공(111)에 지지축(300)을 끼우는 것으로서, 일정하게 적층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하우징(110)의 설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하 우징(110)의 사이에 간격유지구(310)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지지블록 수용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지지블록 수용홈(112)의 내부에는 지지블록(120)이 삽입되어 있되, 그 지지블록(120)은 의자 등받이의 전/후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각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114)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블록(120)에는 가이드(114)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121)의 일측에는 스프링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홈(121a)의 내부에는 지지블록(120)이 전방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122)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지지블록(120)의 상면에는 그 지지블록(120)의 이동량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120)의 양 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126)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블록(120)의 전면에는 호 형상의 요입홈(1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블록(120)의 전면 양 측에는 연장판(123)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양 측면에는 설정블록(320)이 삽입되어 있되, 그 설정블록(320)에는 회전부재(322)가 설치되어 있고, 그 회전부재(322)의 일단은 지지축(30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설정블록(320)에는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고정돌기(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322)의 사이에는 그 회전부재(322)를 탄력 지지하는 설정 스프링(32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설정블록(320)에 와이어(330)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레버(34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레버(340)는 힌지(373)를 매개로 지지판(370)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지지판(370)의 일면에는 설정홈(372)과 해제홈(37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370)은 의자의 좌판 저면 선택된 곳에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레버(340)에는 작동레버(350)가 설치되어 있되, 그 작동레버(350)는 지지스프링(351)을 매개로 탄력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버(350)에는 설정홈(372) 또는 해제홈(37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설정핀(3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의자 등받이의 표면을 이루는 등받이 커버(180)의 내측면에 지지블록(120)이 접촉되게 설치할 수도 있지만, 상기 등받이 커버(180)와 지지블록(120)의 사이에는 쿠션(190)을 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 커버(180)의 내측면에 히터(200)를 더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만곡과 일치하도록 등받이의 굴곡을 조절할 때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블록(320)에 형성된 고정돌기(321)와 지지블록(120)에 형성된 고정홈(126)이 분리되도록 설정블록(32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설정블록(320)을 회전시킬 때에는 회전레버(340)에 설치된 작동레버(350)를 당기면, 상기 작동레버(350)는 지지스프링(351)을 압축하게 되고 설정핀(360)은 지지판(37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와이어(33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회전레버(340)를 회전시 키고 작동레버(350)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지지스프링(351)의 복원력에 의해서 설정핀(360)이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설정핀(360)은 해제홈(371)에 끼워지게 되는 것으로서 와이어(330)는 당겨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330)가 당겨지면 한 쌍의 설정블록(320)은 외측으로 회전되어 고정돌기(321)와 고정홈(126) 분리되는 것이며, 지지블록(120)은 스프링(122)의 탄성력에 의해서 등받이의 전면으로 이동(돌출)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블록(120)은 가이드홈(121)에 끼워진 가이드(114)에 안내를 받으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블록(120)의 상면에 형성된 스토퍼(125)가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접촉되면, 더 이상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상체를 등받이에 접촉시키면, 지지블록(120)은 사용자의 상체에 의해서 이동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지지블록(12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 만곡과 일치되게 출몰되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지지블록(120)은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쿠션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상체 만곡과 일치되게 복수개의 지지블록(120)이 이동된 후 그 지지블록(1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며, 이때에는 설정블록(320)에 형성된 고정돌기(321)와 지지블록(120)에 형성된 고정홈(126)을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때에는 작동레버(350)를 당겨 설정핀(360)을 해제홈(371)에서 분리시킨 후 회전레버(340)를 회전시키면 와이어(330)에 가해진 당김력이 제거되는 것이며, 이 때 설정블록(320)은 설정 스프링(324)의 복원력에 의해서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설정블록(320)은 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그 설정블록(320)의 타단에 형성된 고정돌기(321)가 고정홈(126)에 결합되어 지지블록(120)의 이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지지블록(120)이 출몰되면서 사용자의 상체 만곡과 일치시키면, 사용자 자신의 체형에 일치되게 등받이의 굴곡이 조절된 상태이므로 의자에 착석한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안락감을 느낄 수 있으며, 피로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등받이 커버(180)의 내측에 히터(200)를 내장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히터(2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추위 예방은 물론, 보조의료기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고, 상기 지지블록(120)의 표면에 형성된 요입홈(124) 및 쿠션(190)에 의해서 안락감이 증가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서, 각 사용자의 만곡에 일치되게 등받이의 굴곡을 간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서, 다수인의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지블럭(120)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동일한 간격이 유지되게 설치하거나,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추 부분은 근접되게 설치하고 흉추 부분 및 경추 부분은 분리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에는 간격유지구(310)의 크기로 조절하는 것이다.
도 1은 인체의 척추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고정력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굴곡을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하우징 120 : 지지블록
122 : 스프링 123 : 연장판
124 : 요입홈 126 : 고정홈
300 : 지지축 310 : 간격유지구
320 : 설정블록 321 : 고정돌기
324 : 설정 스프링 330 : 와이어
340 : 회전레버 350 : 작동레버
351 : 지지스프링 360 : 설정핀
370 : 지지판 371 : 해제홈
372 : 설정홈 373 : 힌지

Claims (4)

  1. 복수개의 지지축(300)과, 상기 지지축(300)에 끼워지는 복수개의 하우징(110)과, 상기 각 하우징(110)에 삽입되고 양 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홈(126)이 형성된 지지블록(120)과, 상기 지지블록(120)을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22)과,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양 측면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축(300)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에는 고정홈(126)에 끼워지는 고정돌기(321)가 형성된 한 쌍의 설정블록(320)과, 상기 설정블록(320)을 탄력 지지하는 설정 스프링(324)과, 상기 설정블록(320)에 와이어(330)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레버(340)와, 상기 회전레버(340)가 힌지(373)를 매개로 설치되고 일면에는 설정홈(372)과 해제홈(371)이 형성된 지지판(370)과, 상기 회전레버(340)에 지지스프링(351)을 매개로 탄력 설치된 작동레버(350)와, 상기 작동레버(350)에 일체로 형성되어 설정홈(372) 또는 해제홈(37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설정핀(36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120)의 전면에는 호 형상의 요입홈(124)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120)의 양 측면에는 연장판(123)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300)에는 하우징(110)의 설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구(31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1020080073332A 2007-07-31 2008-07-28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20100012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37A KR100916753B1 (ko) 2007-07-31 2007-07-31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1020080073331A KR101094604B1 (ko) 2007-07-31 2008-07-28 의자 등받이용 쿠션 장치
KR1020080073332A KR20100012127A (ko) 2007-07-31 2008-07-28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CN2008801012899A CN101784214B (zh) 2007-07-31 2008-07-30 用于椅背的记忆装置
JP2010519149A JP2010535061A (ja) 2007-07-31 2008-07-30 椅子背もたれ用メモリ装置
PCT/KR2008/004426 WO2009017357A1 (en) 2007-07-31 2008-07-30 Memory apparatus for the back of a chair
US12/671,185 US20100301651A1 (en) 2007-07-31 2008-07-30 Memory apparatus for the back of a chair
EP08792947A EP2178418A1 (en) 2007-07-31 2008-07-30 Memory apparatus for the back of a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937A KR100916753B1 (ko) 2007-07-31 2007-07-31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1020080073331A KR101094604B1 (ko) 2007-07-31 2008-07-28 의자 등받이용 쿠션 장치
KR1020080073332A KR20100012127A (ko) 2007-07-31 2008-07-28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127A true KR20100012127A (ko) 2010-02-08

Family

ID=4030452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937A KR100916753B1 (ko) 2007-07-31 2007-07-31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1020080073332A KR20100012127A (ko) 2007-07-31 2008-07-28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1020080073331A KR101094604B1 (ko) 2007-07-31 2008-07-28 의자 등받이용 쿠션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937A KR100916753B1 (ko) 2007-07-31 2007-07-31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331A KR101094604B1 (ko) 2007-07-31 2008-07-28 의자 등받이용 쿠션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301651A1 (ko)
EP (1) EP2178418A1 (ko)
JP (1) JP2010535061A (ko)
KR (3) KR100916753B1 (ko)
CN (1) CN101784214B (ko)
WO (1) WO20090173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ES20090147A2 (en) * 2009-02-24 2011-02-16 Colm Campbell A chair
IT1395424B1 (it) * 2009-08-31 2012-09-14 Galante Struttura di supporto e contenimento per persone
KR101418865B1 (ko) * 2013-06-03 2014-07-17 주식회사 포트론 스쿨존 cctv 감시장치 성능개선 시스템
RU2610417C2 (ru) * 2015-04-27 2017-02-10 Борис Владимирович Романов Кресло со спинкой, состоящей из подвижных механических сегментов, поддерживающих спину, шею и голову пользователя
CN107495708A (zh) * 2017-10-23 2017-12-22 华北理工大学 适应人体的座椅
CN107495707A (zh) * 2017-10-23 2017-12-22 华北理工大学 人体仿生座椅
KR102354056B1 (ko) 2021-04-26 2022-01-24 (주)이지템 스마트 쿠션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1129A (en) * 1960-12-16 1963-03-12 Ridder Clara Ann Chairs and seats
US3990742A (en) * 1975-07-03 1976-11-09 Glass Katalina T Adjustable spinal contour seating
US4437702A (en) * 1981-04-06 1984-03-20 Agosta A Richard Adjustable patient corrective support apparatus
JPS61143454U (ko) * 1985-02-25 1986-09-04
IE65087B1 (en) * 1987-05-13 1995-10-04 Joseph Mary Jacobsen "Measuring device"
US4944554A (en) * 1987-10-02 1990-07-31 Gross Clifford M Active biomechanical chair
CN2065851U (zh) * 1989-07-15 1990-11-21 陆永岚 躺仰工作椅床
JPH0538307A (ja) * 1991-08-06 1993-02-19 Nissan Motor Co Ltd 圧力可変シート
US5328245A (en) * 1992-10-30 1994-07-12 Thomas J. Marks Chair having adjustable back support
JP3304505B2 (ja) * 1993-05-27 2002-07-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US5558398A (en) * 1993-11-08 1996-09-24 Santos; James P. Self-adjusting seating system
KR200171458Y1 (ko) * 1998-02-17 2000-03-02 한만홍 변형이 가능한 시트 쿠션
JP2000175774A (ja) 1998-12-18 2000-06-27 Hitachi Ltd 椅子/ベッド装置
GB0106247D0 (en) * 2001-03-14 2001-05-02 Williams David N L Improvements relating to supports
US6557937B1 (en) * 2001-04-09 2003-05-06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ure-relieving wheelchair seating apparatus
JP2003000392A (ja) 2001-06-22 2003-01-07 Honda Motor Co Ltd 体圧分散型シート
US7651163B2 (en) * 2002-12-02 2010-01-26 Logicback, Inc. Lumbar support device
US20060238006A1 (en) * 2005-04-08 2006-10-26 Baranov Michael V Armchair for formation and correction of human spine
KR100811069B1 (ko) * 2007-03-16 2008-03-06 최장수 욕창 방지용 매트리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604B1 (ko) 2011-12-15
EP2178418A1 (en) 2010-04-28
KR20090012796A (ko) 2009-02-04
WO2009017357A1 (en) 2009-02-05
KR20100012126A (ko) 2010-02-08
KR100916753B1 (ko) 2009-09-14
JP2010535061A (ja) 2010-11-18
CN101784214B (zh) 2012-02-29
US20100301651A1 (en) 2010-12-02
CN101784214A (zh) 201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201B1 (ko) 기능성 의자
KR20100012127A (ko)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JP5894277B2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100807370B1 (ko) 의자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N111067291A (zh) 形成有指压球的功能性椅子
KR20110082744A (ko)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KR101910413B1 (ko) 틸팅 의자
JP2009160195A (ja) 椅子
KR101285459B1 (ko) 안락좌석
KR102138836B1 (ko) 좌판 틸팅구조를 갖는 의자
KR101928164B1 (ko) 요추지지고정용 등쿠션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0826365B1 (ko) 변위 각도 설정 기능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
KR20170016063A (ko) 의자 설치용 허리보호대
KR101313685B1 (ko) 좌판의 탄성을 이용한 뇌활성화 기능성 의자
KR20100012128A (ko)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KR200437560Y1 (ko) 지압 기능을 갖는 의자용 목받침
KR101633223B1 (ko) 의자 등받이 지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압의자
KR200439162Y1 (ko) 의자용 요추 완충장치
KR20090048281A (ko) 변위 각도 설정 기능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
KR100787165B1 (ko) 척추교정용 의자
CN113974359A (zh) 腰椎支撑坐垫的靠背角度调节装置
KR200215221Y1 (ko) 의자 등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